Chapter 1. Demand and Supply Analysis:Introduction

Chapter 2. Demand and Supply Analysis:Consumer Demand

Chapter 3. Demand and Supply Analysis:The Firm

Chapter 4. The Firm and Market Structures

Chapter 5. Aggregate Output, Prices, and Economic Growth

Chapter 6. Understanding Business Cycles

Chapter 7. Monetary and Fiscal Policy

Chapter 8. International Trade and Capital Flows

Chapter 9. Currency Exchange Rates


Chapter 4. The Firm and Market Structures

-Market Structure에서 다룰 특징들

-기업 개수

-기업 규모

-상품의 질의 차이유무

-각 기업의 수요곡선들의 수요의 가격탄력성

-각 기업들이 경쟁하는 방법

-시장진입장벽

-Market Structure마다의 특징

-PCM(Perfect Competition Market)

-기업 개수:많음

-기업 규모

-상품의 질의 차이유무:차이없음

-각 기업의 수요곡선들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완전탄력적

-각 기업들이 경쟁하는 방법

-only on the basis of price

-price-taker

-plant size를 늘리거나 줄이거나 산업 exit하거나 등

-각 기업들이 맞이하는 수요곡선:horizontal

-시장진입장벽:낮음

-기타

-price taker 가정+ 모든 resource의 이동이 완전히 자유롭다고 가정->Pure Competition market이라 한다.

-PCM되기위해서는 조건4개를 만족해야됨, 위의 2가지와+동일한 상품의 질+완전한 정보

-즉 pure competition은 PCM보다 general한 가정인 상태

-Long run에선 결국 어느 기업도 economic profit이 양수가 될 수가 없다. 

-왜냐하면 가정속에서, economic profit이 양수인 기업과 똑같은 구조(cost발생구조가)같은 기업이 생기므로

-P=MR=MC=ATC 되는 지점에서 Q가 결정됨

-각 기업에서 MC>AVC인 영역이 곧 그 기업의 공급함수가 된다. AVC보다 클 때는 operate할 것이므로(long run일 땐 안하겠지만), 그리고 각 기업들의 MC곡선의 horizontal sum으로써 market supply curve를 얻을 수 있다. 

-시장 수요 증가->균형가격 증가->진입 회사 증가->생산량 증가->균형 가격 하락(기존가격보다도 더 하락할수도, 진입 회사가 너무 많다면)

따라서, 시장 총 공급량이 늘더라도, 각 기업이 생산하는 양은 줄어들수도(대신 총 기업수가 늘어난 형태)

그래도 균형가격이 기존 균형가격만큼만 떨어진다면, 각 기업의 생산량과 균형가격은 원래대로와 같지만, 총 생산량은 늘어난 형태가 된다.

-MNCM(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

-기업 개수:많음(collusion이 불가능할 정도로)

-기업 규모:small market share(market price에 영향력 적음)

-상품의 질의 차이유무:차이 약간 있음(경쟁사들의 상품이 거진 대체재가 됨)

-각 기업의 수요곡선들의 수요의 가격탄력성:매우 탄력적(왜냐하면 대체재가 많아서, 하지만 not perfectly)

-각 기업들이 경쟁하는 방법

-상품의 가격

-marketing

-상품의 질(product innovation계속 연속해서 economic profit>0을 유지하려 애쓸 것이다.marginal cost of additional innovation=marginal revenue of additional innovation하는 정도의 cost를 innovation에 투자할 것 이다.)

-price researcher but market price에 영향력 적음(average market price에 관심있지, 경쟁사의 가격에 관심없음)

-각 기업들이 맞이하는 수요곡선:downward-slope

-시장진입장벽:낮음

-기타

-각 기업들은 MR=MC되는 양(Q)만큼에다가 그때의 수요곡선상의 가격(P)으로 생산하고 판매한다.

-Long-run으로 보면 economic profit=0, 왜냐하면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

-각 기업이 선정하는 가격은 MC보다 크게 된다.(PCM과는 다른 점)

-ATC가 minimum인 Q를 생산하지 않는다.(PCM과는 다른 점)

-상품의 질의 차이와 마케팅으로서, cost가 비효율적일 때의 생산량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게 과연 사회전체로봐서 비효율적인가는 의논이 다양하다. 다른 상품들과 그것의 홍보를 통해, 개개인의 만족도를 더 높일 수만 있다면, 더쓴 cost가 아깝지 않다는 의견이 있다.

-PCM과 MM에 비해 advertising expense가 높다.

-advertising expense가 들더라도 총 판매량(Q)가 늘어나버리면 economic profit을 더 늘릴 수 있다.

-Brand name이 높은 회사는 brand name으로부터 오는 이익이 상당하므로, 계속적으로 상품의 quality를 높게 생산할 incentive가 있다. 그리고 그것을 고객은 믿는다.

-MM(Monopoly Market)

-기업 개수:단 한개(대체재 없음)

-기업 규모

-상품의 질의 차이유무

-각 기업의 수요곡선들의 수요의 가격탄력성

-각 기업들이 경쟁하는 방법

-price을 한개기업이 결정(이게 곧 market price된다.)

-price researcher, market price에 영향력 높음

-Advertising

-각 기업들이 맞이하는 수요곡선:downward-slope

-시장진입장벽:높음

-특허권 등으로 독점시장이 유지될 수 있음

-resource권한으로 독점시장이 유지될 수 있음

-정부의 지원으로 독점시장이 유지될 수 있음(가장 흔함)

-ATC가 소비자의 demand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있는 경우, 독점시장이 유지될 수 있음(전력공사 등)

-기업이 여러개 존재하면은 ATC가 월등히 높아지는 경우를 가리킴, 따라서 규모의 경제 등의 효과를 누리기 위해 1개의 기업만이 존재하게 되는 독점시장, 이런 경우를 Natural Monopoly라 한다.

-기술의 발전, 소비자취향변화 등으로 독점시장의 기업도 파업하기도 한다. 

-OM(Oligopoly Market)

-기업 개수:소수

-기업 규모

-상품의 질의 차이유무:대체재성향띰

-각 기업의 수요곡선들의 수요의 가격탄력성:MNCM보다 더 탄력적이거나 더 비탄력적

-각 기업들이 경쟁하는 방법(interdependent)

-가격설정

-marketing

-상품의 질

-price researcher, market price에 영향력 높음

-비즈니스 전략

-각 기업들이 맞이하는 수요곡선

-시장진입장벽:높음(규모의 경제 존재, 마케팅)

-기타

-Oligopoly Market에서는 Models로 분석한다. 가정과 결론을 이해하는게 관건

-Kinked Demand Curve Model

-가정:

-A가 가격을 올릴 시 B(나머지 기업 모두는 따라 올리지 않으나, A가 가격을 내릴 시 나머지는 따라 내린다.

-결론:

-각 기업의 수요곡선은 kink point 위로는 more elastic, 아래로는 less elastic

-각 기업의 MR curve는 kink point에서의 Q에서 불연속 적이다.

-각 기업의 이윤극대화 생산량은 MR=MC지만, MR=MC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즉, MR곡선의 gap을 MC가 통과하는 경우)에는 kink point에서의 생산량이 이윤극대화가 된다.

-kink point가 결정되는 원리에 대해선 설명해주지 못한다.

-Cournot Model

-가정:

-2개의 똑같은 기업(MC 곡선이 같음)만이 존재한다.

-각 기업은 이전 기간의 다른 기업의 생산량을 알고 다가오는 기간에도 똑같이 다른 기업이 그 양만큼 생산할 거라 믿는다.

-결론:

-각 기업은 시장전체 수요곡선에서 다른 기업의 생산량(이전, 그리고 이후에 생산할)을 뺀만큼으로 자기의 수요곡선으로 받아들이고 이윤극대화량만큼 생산할 것이다.

-결론 적으로 2기업 모두가 같은 양만큼 생산하게 수렴한다.(stable equilibrium)

-수렴한 가격은 MC보다 높다.

-결국 수렴한 가격은 MM일 때보다 낮고, PCM일 때보다 높다.

-수렴한 생산량(2개의 합)은 MM일 때보다 많고, PCM일 때보다 낮다.

-기업의 수가 늘어날수록, 수렴한 가격은 MC를 향해 수렴한다.

-Nash Equilibrium

-가정:

-각 기업은 상대방 기업의 모든 전략적행위를 알고 있다.

-결론:

-기업 A가 다른 기업 B가 어떤 전략을 쓰든, 기업A입장에서 유리한 선택을 해버린다.

-결과적으로 collusion하기로 agreement한 2기업 A,B가 모두 honor를 계속하면 둘 다 이익이지만, 둘다 cheat해버리는 결과를 낳는다.

-기타:

-collusive agreements가 잘 지켜질 수 있는 조건(cartel)

-기업 수가 적을 수록 좋다.

-상품이 거의 동질적일수록 좋다.(교복같은)

-비용구조가 거의 비슷할수록 좋다.

-상품 판매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빈번할 때가 좋다.

-보복이 심각하고 확실할수록 좋다.

-cartel밖의 실질적인 혹은 잠재력있는 회사가 적을수록 좋다.

-Dominant Firm Model

-가정:

-Dominant Firm(DF) 한개가 존재

-결론:

-DF가 market share크게 가짐(greater scale and lower cost structure)

-DF가 결정한 price를 나머지 회사들이 따르게 됨

-DF의 수요곡선은 market demand와 거의 유사함

-DF의 전략은 MR=MC되는 Q와 DF의 수요곡선을 통해 P를 결정하고 나머지 회사는 이 P를 따르게 됨

(즉, DF만 price researcher, 나머진 price take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