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amples 

-S_Z(order top이므로 order top의 성질을 모두 따름)

 S_Omega.pdf


-S_Z는 largest element를 갖지 않는다.

-not compact

-not metrizable

-S_Z의 countable subset E는 upperbound in S_Z를 갖는다.

-least upperbound property만족

-모든 closed interval(not singleton)은 compact

-LKT2

-sequential closure와 그냥 closure가 다를 수 있음

-limit point compact

-sequentially compact

-first-countable

-not separable

-not second-countable

-not lidelof

-ocl(S_Z)=cl(S_Z)

-cl(S_Z)의 특징

-least upper bound property

-compact

-not first-countable

-not second-countable

-not separable

-lindelof

-not metrizable

-Z가 limit point of S_Z이다.

-LL(with dictionary order with deleted smallest element)

-path-connected

-locally homeomorphic to R(std)

(not imbedded in R(std))

-V_4의 성질

-order:4

-ab=c, bc=a, ca=b형태

-abelian

-Aut(V_4) giso S3

-Inn(V_4)=1

-D_2n의 성질

-order:2n, reflection:n, rotation:n

-rotation(2pi/n)을 r이라하고 reflection(중심과 1을 이은 직선 기준인)을 s라 하면 r과 s로 모든 원소 representation가능

-r*s=s*r^(-1), [r,s]=r^(-2)

-C(D_2n)=<r^2> _<! D_2n

-<r>:NS

-<s>:S (not normal), D_2n/<r> giso <s>

-D_2n giso OSDP(Z/nZ,Z/2Z)

-따라서 solvable(따라서 D_k, k=not power 2^n이면 solvable인데 not nilpotent의 예)

-Z/nZ대신 Z이면 D_inf라 쓰고 infinite dihedral group이라 한다.

-n>=3인 odd면 

-Z(D_2n)={e}, 

-<r^2>의 order:n

-D_4n giso D_2n x Z/2Z

-n=2k인 even이면 

-Z(D_2n)={e, r^k}

-<r^2>의 order:2n/4

-D_2n/<r^2> giso V_4

-D_8의 성질

-Z(D_8)=<r^2>=C(D_8)

-NS=<s,r^2>, <r>, <rs,r^2>, <r^2>

-conjugate class={1}, {r^2}, {r,r^3}, {s,sr^2}, {sr,sr^3}

-Aut(D_8) giso D_8

-D_2^n, 즉 order가 power of 2인 경우(2^k)

-nilpotent하고 nilpotent class:k-1

(order가 power of 2가 아닌 경우는 not nilpotent)

-3차원 정다면체 관련

-정다면체의 한 꼭지점에서의 정다각형들의 내각의 합은 360도보다 작다.

-정다면체가 5종류이고, n:정n각형, p:한 점에서 만나는 정n각형의 개수 

(n,p)=(3,3), (3,4), (3,5), (4,3), (5,3)임을 앎

-v-e+f=2를 이용하면 다 앎

-symmetries group의 order는 v*(한 꼭짓점에 걸리는 변의 개수)

-Q_8의 성질

-order8이면서 non-abelian인 예, 하지만 모든 S는 NS.

-Z(Q_8)=<-1>=C(Q_8)

-Upper central series:{1}, {-1,1}, Q_8, 따라서 nilpotent class of 2

-<i>={-1, -i, 1, i}

-N_(Q_8)(<i>)=Q_8

-N_(Q_8)(i)=<i>

-conjugate class={1},{-1},{i,-i},{j,-j},{k,-k}

-Aut(Q_8) giso S_4

-nilpotent, nilpotent class=2

-te rep(Q_8):Q_8->SL(2,C) s.t. i->(i 0 0 i ), j->(0 1 -1 0), k->(0 i i 0)

-(a,b)_F, called Quaternion algebra, defined by F[Q_8], i^2=a, j^2=b, 

-(-1,-1)_R(std)을 주로 Quaternion이라 부르고 H라 나타냄

-S_[n]의 성질

-임의의 원소는 disjoint cycles의 곱으로 표현이 된다.(unique, 곱의 order는 생각안할 시)

-임의의 원소는 adjacent transposition의 곱으로 표현이 된다.(not unique)

(직관적인 이해는 사다리 타기의 가로이동을 adjacent transposition으로 보면 된다.)

(먼저 disjoint cycles로 표현한 뒤, 각 cycle를 transposition으로 표현한뒤 각 transposition을 adjacent transposition으로 표현)

(f(a,b,c)f^-1 = (f(a),f(b),f(c))이용, conjugate)

-임의의 subgroup S는 S_[n]의 subgroup과 isomorphic하다.(S_[n], 중요)

-S_[n]은 GL(n,F)의 subgroup과 isomorphic하다.(GL(n,F), 중요)

-임의의 원소의 sign판단은 사다리 타기의 가로이동 갯수로 가능(즉 adjacent transposition 개수 =  transposition개수 mod2)

-(i+1,i+2)(i,i+1)(i+1,i+2)=(i,i+1)(i+1,i+2)(i,i+1), called braid relation, 외우기 쉽게는 (23)(12)(23)=(12)(23)(12)

-S_[n] giso OSDP(Alt(n),Z/2Z)

-(G<S_[n]일 때 G<alt(n)일 조건)If there is no subgroup S of G s.t. [G:S]=2, then G<alt(n)(link)

-n>=3이면 

-Z(S_[n])=1

-not nilpotent

-n>=5이면 nontrivial proper normal subgroup은 Alt(n)뿐

-따라서 S_[n]:solvable iff n<=4

-n이 6만 아니면, Aut(S_[n])=Inn(S_[n]) giso S_[n]

-n=6이면 [Aut(S_[n]):Inn(S_[n])]=2

-n=prm일 때, 

-|N_S_[n](Sprm)|=prm*(prm-1), Sprm이란, Sylow prm-subgroup

-p-cycle and a transposition generates S_[n] (n=prm일 때만 됨)

-sum g in S_[n] q^inv(g) = [n]_q

-S_[3]의 성질

-NS=<(1,2,3)>

-Sp(p=3)=<(1,2,3)>

-Sp(p=2)=<(1,2)>, <(1,3)>, <(2,3)>, 총 3개 

-S_[4]의 성질

-Sp(p=2), 총 3개, giso D_8

-Sp(p=3), 총 4개, giso Z_3

-representation관련

-f:S_[n]->GL(1,C), f(g)=sgn(g), it is called sign rep

-f:S_[n]->GL(n,C), (f(g))_(i,j)=1 if g(j)=i, otherwise, (f(g))_(i,j)=0, it is called defining rep(image의 MT들은 permutation MT가 된다.즉 각 열마다 1은 1번, 행마다 1은 1번)

(정의할 때 , g(i)=j 부분의 i,j를 위치를 바꾸면 rt((f(g)))가 나온다, 그래서 f가 group homomorphism이 되지 않는다.)

-S_[inf]:=union over n>=2 S_[n]관련

-not equal to {f:N->N s.t. f:bijection}, S_[n]은 유한개만 permute함

-



-Alt(n)의 성질
-n>=3이면 3-cycles로 generated됨
-n>=4이면 
-Z(Alt(n))=1(link)
-C(Alt(n))={1,(12)(34),(13)(24),(14)(23)}
-n>=5이면 
-non-abelian
-simple
-type(2,2)로 generated
-any two 3-cycles in Alt(n) are conjugate in Alt(n)
-perfect(즉 Alt(n)=C(Alt(n))
-
-Alt(4)의 성질
-Alt(4) giso 정사면체 group of symmetries
-order 6인 subgroup존재 안함
-Z(Alt(4))=1
-solvable, Alt(4), Sp(p=2),...순으로 잡아나가면 됨
-Sp(p=2)=<(1,2)(3,4), (1,3)(2,4)>, 1개
-Sp(p=3), <(1,2,3)>, <(1,2,4)>, <(1,3,4)>, <(2,3,4)>, 총 4개
-Alt(5)의 성질
-order:60
-non abelian simple group중 order가 제일 작은 group임
(1-cycle, 3-cycle, 5-cycle, (1,2)(3,4)류, 각각 centralizer구하고(S_5에서 구하고 Alt(5)에 들어가는놈 or 직접)
-conjugacy class의 order=1, 20, 12, 12, 15->따라서 simple(normal subgroup과 conjugacy class관계)

-N

-(Well-ordering Principle)N의 nonempty subset은 smallest element를 갖는다.

-Well-ordering Principle iff Induction Principle iff Strong Induction Principle

-(Induction Principle)Let S(n) be a statement on N satisfying S(1):true and for any n in N if S(n):true then S(n+1):true. Then S(n):true for all n in N

-(Strong Induction Principle)Let S(n) be a statement on N satisfying S(1):true and for any n in N if S(1),S(2),...,S(n):true then S(n+1):true. Then S(n):true for all n in N

-N(std)인 경우

-LKT2

-ocl(N(std)) homeo {0}U{1/n s.t. n is in N}

-Z

-(Euler's Theorem)gcd(n1,n2)=1 이면 (n1)^ephi(n2) ≡ 1 (mod n2)

-(Euclid Algorithm)gcd(n1+n2*n3,n3)=gcd(n1,n3)

-Inn(Z) giso 1

-Projective Z-Md

-Z[i]:ED(link)

-p:prm with p=4k+1 for some k in Z, then p is the sum of squares(link)


-Z/nZ의 성질

-|G|의 factor당 subgroup이 유일하게 존재

-모든 S가 char

-abelian

-G of order n의 generator개수:ephi(n)

-FP(Z/2Z, Z/2Z) giso OSDP(Z,Z/2Z), i.e. infinite dihedral group과 giso

-Aut(Z/nZ) giso (Z/nZ)^*(link1)(link2)

-Aut(Z/nZ):abelian, order:ephi(n)

-(Z/nZ)^*은 사실상 다 앎, n만 factorization하면, link참고

-Aut(EAG(p,n)) giso GL(n,F) with |F|=p 인 field

(Z-md structure is consistent with F-scalar multiplication이 되기 때문)

-Inn(Z/nZ) giso 1

-TP(Z/nZ, Z/mZ) giso Z/gcd(n,m)Z(모두 Z-Md에 대해서)(link)

-id, subgroup은 nZ
-n1+ n2Z=gcd(n1,n2)Z
-Z[x]를 이용해 만든 방정식은 Z/nZ에서도 성립해야됨(해가 존재안함을 보이거나 존재해도 mod n으로 해석가능)
-gcd(n1,n2)=1일 때 Z/n1n2Z riso (Z/n1)x(Z/n2), (Z/n1n2Z)^*  giso (Z/n1Z)^*x(Z/n2Z)^*
(ephi가 multiplicative이고 ephi의 계산에 도움되는 내용을 줄 수 있다.)
-Not divisible
-Not Injective Z-Md
-Z/pZ, F_p의 경우
-char(F_p[x])=p
-char(F_p(x))=p
-Z[x]

-id={deg가 >=2인 것들}union{0}, Z[x]/id는 zd를 갖지만, Z[x]는 zd를 안가짐

-id={계수가 모두 even인 것들}, 

-Q

-additive group로 볼 때

-divisible

-injective Z-Md

-Q/Z:Injective Z-Md

-not cyclic

-te no maximal subgroup(link)

-not projective Z-Md(link)


-field로 볼 때

-[ac(Q):Q]=inf

-R(std)의 subspace로 볼 때

-not open subspace

-not closed subspace

-not locally compact

-R(std)

-Aut(R)=Aut(R/Q)=1

-C4(TS)는 C4({(a,b)}, C4({(a,b]}), C4({[a,b]}), C4({(-inf,a]}), C4({(-inf,a)})와 같다.

-모든 nonempty open set은 disjoint c-union open intervals로 표현가능(link)

-모든 closed interval(not singleton)은 uncountable이다.

any subset whose complement is countable is dense in R(std)(link)

-homeo (-1,1)(둘다 order top)

-R(std)<R(l)

-R(std)<R(K)

-nonempty perfect subset은 uncountable

-uncountable subset은 반드시 limit pt를 갖는다.

-[0,1]

-compact, limit point compact, sequentially compact

-connected, path-connected, locally connected, locally path-connected

-ocl(R(std)) homeo 1-dim sphere

-second-countable

-contractible(link)

-metrizable

-T2

-T3

-T4

-C4(top)은 generating set을 {(a,b)}, {[a,b)}, {(a,b]}, {[a,b]} 다 가능

-About Cantor Ternary Set

-closed

-compact

-let x in [0,1]. x in Cantor Ternary Set iff x has a ternary expansion consisting only of 0's and 2's.(따라서 uncountable)

-Lebesgue Measure, 0

-totally disconnected

-KT2

-no isolated pt(즉 perfect set)(따라서 uncountable)

-Lebesgue Measure(LM)

-건설:RSC3={empty, all bdd intervals}, RSC3에 vol이란 PM을 주고, {all PM*ME}에서의 measure

(C4(RSC3)는 C4(TOP)가 된다. 즉 Borel sigma algebra)

-특징

-complete(Borel sigma algebra에서는 not complete, 

-f:R(std)->R(std)의 성질(a,b in R)

-정의역이 [a,b]인 경우

-f가 monotone이면 

-불연속점의 개수는 at most countable

-(Lebesgue's Theorem)미분가능한 점의 개수는 lebesgue measure에 대해 almost everywhere

-{f_n} on [0,1], Berenstein Polynomial of degree n, uni cv to conti f(link1)(link2)

-f가 conti이면 antiderivative를 갖고,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FTOC)

:f:conti on [a,b], F(x)=int from t=a to t=x f(t)dt일 때, F는 미분가능, F'(x)=f(x)

(즉 f가 conti이면 anti-derivative를 갖고 그것은 diff라는 것)

-(Integration by Substitution)

:f1 on [a,b]:conti이고 te f2 s.t. C^1 on [c,d], f2([c,d])=[a,b]인 f2가 있다면

int from x=a to x=b f1(x)dx = int from t=c to t=d f1(f2(t))*f2'(t) dt가 성립

(즉 실제 적용시, 전자를 후자로 하게끔하는 f2를 찾는 것이다.)

(f1의 conti는 integral 정의를 위함이고, f2의 C^1도 등식의 후자에 integral 정의를 위함)

(증명은 FTOC이용)

-About Bounded Variation

-the total variation of f := sup over all partition of [a,b] (sum of |f(x_(i+1)) - f(x_i))|)

-f가 bdd variation이란(f:BV) its total variation is finite일 때

-the positive variation of f := sup over all partition of [a,b] (sum of max(f(x_(i+1)) - f(x_i)),0))

-the negative variation of f := sup over all partition of [a,b] (sum of -min(f(x_(i+1)) - f(x_i)),0))

-total variation of f = sum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variations of f

-g1,g2:[a,b]->R이고 BV이면 g1+g2:BV

-3개의 variations중 1개라도 finite면

-나머지도 finite(link)

-the positive variation - the negative variation = f(b)-f(a)(link)

-(Jordan Decomposition of a function)f가 bdd variation iff te g1,g2:[a,b]->R s.t. g1,g2:inc and f=g1-g2(link)

-About Absolutely continuous(abs conti)(정의역이 그냥 interval이기만 하면 됨)

-f가 abs conti란, for any ε > 0, te δ > 0 s.t. for any finite segments [x_1,x_2], ..., [x_(n-1),x_n] s.t. sum of all lengths of segments < δ, sum of all |f(x_(i+1) - f(x_i)| < ε

-f가 abs conti

iff f has f' in Lp(LM) s.t. f(x)=f(a)+int from t=a to t=x f'(t) dt for all x in [a,b]

iff te g in Lp(LM) s.t. f(x)=f(a)+int from t=a to t=x g(t) dt for all x in [a,b]

(위의 equivalents는 [a,b]에서만 성립, compact필요)

-정의역이 (a,b)인 경우

-(Chain Rule for one-dimensional)g:diff at a, f:diff at g(a)일 때, (f o g):diff at a이고 d(f o g)/dx at x=a =f'(g(a))g'(a)

-(Darboux 's Theorem)f:(a,b)->R(Std), f:diff일 때, for c,d in (a,b) s.t. f'(c) != f'(d), for t between f'(c) and f'(d), te e in [c,d] s.t. f'(e)=t

-정의역이 R인 경우

-f가 monotone이고 bdd이면 불연속점의 개수는 at most countable

-{f_k}, {a_n}:any rv seq일 때, te {f_(n_k)} s.t. cv at all a_n(그 수렴값은 +inf, -inf을 취해도 된다고 할 때)(link)

-정의역이 뭐든간에

-f가 analytic on open set E란, for any x in E, te nbd(x) s.t. f is equal to its taylor series on nbd(x)

-About Taylor Series

-f가 x=a에서 infinitely many diff이면 Tay_(f,a)가 정의됨

-Tay_(f,a)가 정의될 때, a에서의 RoC 구해서 f(x)=Tay_(f,a)(x)가 가능한 x범위를 구할 수 있다.

(ratio test, root test 등이 있다.)

-혹은 f:C->C로 이해해서 a에서 가장 가까운 not diff점까지의 거리를 통해 RoC를 구할 수도 있다.)

-Taylor Series는 기본적으로 f의 local property

-f가 x=a에서 infinitely many diff이어서 Tay_(f,a)가 정의 되더라도, f가 not analytic at x=a일 수 있다.

(f(x)=e^(-1/x^2) for nonzero x, 0 for x=0)

-analytic function관련 성질

-f가 analytic on open set E이면 f in C^inf(E),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f(x)=e^(-1/x^2) for nonzero x, 0 for x=0


-About Convex Functions

-정의:

-I(interval, open이든 closed이든, finite이든 뭐든 어쨋든 interval, singleton일 수도)에서 정의된 f가 convex란, 

f(ax+(1-a)y)<=a*f(x)+(1-a)*f(y) for all x,y, in I, for all a in [0,1]

-f on I, f has support at t in I란, te linear function g(x)=f(t)+m*(x-t) s.t. g<=f on I

-성질:

-f:convex on I일 때, 

-[a,b]<I에 대해 f는 Lipschitz-conti on [a,b], f는 abs conti on [a,b], f는 conti at x in Int(I)

-left(right)-derivative exist on Int(I), 그리고 각각은 inc이다. 

-f:convex on open interval I일 때, E={x in I s.t. f' not exist at x}, E:at most countable이고 I-E에서 f'은 continuous

-f:convex on (a,b) iff te at least one line of support for f at each x in (a,b)


-R(l)

-R(l)과 R(K)는 not comparable

-First-countability

-separable

-lindelof

-not second-countable

-not metrizable

-totally disconnected(path-connected component, connected component 모두 singleton)

-not compact

-not limit point compact

-not sequentially compact

-[0,1]

-not limit point compact

-not compact

-not sequentially compact

-T2

-T3

-T4

-CN

-T5

-not TVS([0,1)을 a배 해도 -1을 포함하지 않는 걸 생각)

-Sorgenfrey plane(inverse diagonal {(x,-x)}가 중요한 역할함)

-not lindelof(but lindelof 2개 곱해서 얻은 product topology임)

-T2

-T3

-not T4


-R(K)의 특징

-[0,1]이 not compact subspace

-not path-connected, path-connected component={(-inf,0],(0,inf)}

-not locally connected

-not locally path-connected

-T2

-not T3

-connected

-[0,1]x[0,1] with dictionary order(ordered square라 함)의 성질

-R(std)xR(std) with dictionary order의 subspace랑은 다르다.

-First-countability

-linear continuum

-connected

-compact

-not path-connected

-locally connected

-not locally path-connected

-lindelof

-not metrizable

-not second countable

-R^n의 특징(n>=2)

-C4(TS)=C4({open rectangles})=C4({(-inf, x)}

(R^n에서의 order는 각 coordinate 모두에 성립하는 order로써 정의가능)

-임의의 nonempty open set은 nonoverlapping c-union of closed cubes로 쓰여질 수 있다.

(nonoverlapping이란, interior가 disjoint인)

-product top from each order top=uniform top=box top=top from euclidean metric=top from square metric

-with dictionary order from each standard order top이면, metrizable

-countable set을 빼도 path-connected, connected

-open connected E는 path-connected된다.

-E:compact iff E:closed and bdd wrt euclidean metric

-second-countable

-complete in euclidean metric, or square metric

-(Vitali Covering Theorem)

-Version 1(link)

:E:bdd subset, F:a collection of open balls which are centered at points of E s.t. every point of E is the center of some ball of F일 때

->te a seq (B1,B2,...)(유한 seq일 수도 있음) of balls from F s.t. (B1,B2,...):disjoint and E<union of (3B_i)

-Version 2(infinitesimal)(link)

:E:subset, F:a collection of closed balls with positive radius which satisfies 

"x in E, eps>0이면 te B in F s.t. x in B and rad(B)<eps"

이면 ->te a seq (B1, B2, ...)(유한 seq일 수도 있음) of balls from F s.t. (B1,B2,...):disjoint and E<union of (B_i) except for a null set

-Lebesgue Measure(LM)

-건설:RSC3={empty, cartesian product of bdd intervals}, vol이란 PM를 주고 extension해서 {all PM*ME}에서의 measure

(C4(RSC3)는 C4(TOP)가 된다. 즉 Borel sigma algebra, {all PM*ME}가 더 넓은 sigma-algebra)

-Lebesgue Measurable Set을 LME라 하자.

-특징:    

-complete(Borel sigma algebra에서는 not complete)

-Borel Sigma algebra의 completion이 Lebesgue sigma algebra됨을 알 수 있다.

-Lebesgue Measure 건설 과정을 보면은, RSC3->C3(RSC3)->C3(RSC3)(U)->C3(RSC3)(U)(I)->...->{all PM*ME}

-C3(RSC3)(U)(I)로 Lebesgue Measurable set을 approximation할 수 있다.(sf-M이므로 가능해짐)

(C3(RSC3)(U)(I)엔 open, closed, compact 다 포함되어있다.)

(outer measure값이 finite이면 조금 작은 compact 잡을 수 있다.)

(조금 큰 open set, 조금 작은 closed set 잡을 수 있음)

-C3(RSC3)(U)나 C3(RSC3)(U)(I)로 임의의 E in P(R^n)의 Lebesgue Outer Measure approximation가능

-Lebesgue Measurable인데 not borel set

-P(R^n)에서 not Lebesgue Measurable set

-sCez<lp, p in [1,inf)<sClz<sCcv<lp, p=inf

-f:R^n(std)->R^m(std)의 성질(꼭 정의역과 공역이 전체가 아니어도 상관없을 때가 많다. open->open이기만 하면 될 때가 많음)

-f:vector-valued일 때

-정의

-D_f(x_0)란 derivative of f(matrix을 가리킨다. entries는 partial derivatives, Jacobian Matrix라고도 함)

(f=(f1,f2,...,fm)에서 각 fi의 gradient를 row로 하는 matrix가 된다.)

-n=m일 땐, J_f란 det(D_f)을 가리킨다. (Jacobian of f)

-D_(f,x_0)(x), directional derivative of f along x_0 at x란, lim h->0 (f(x+h*x_0)-f(x)/h), h는 scalar임

-x_0:critical point of f란 f:diff at x_0 and D_f(x_0)=0일 때

-C^k-f란, f의 각 coordinate function 모두가 C^k일 때(C^inf는 특별히 smooth라 한다.)

-(n=m일 때 정의함)diffeo:C^inf이고 C^inf인 inverse를 가질 때

-f:diff at x_0란 D_f(x_0)가 lim h->0 {f(x_0+h)-f(h)-D_f(x_0)(h)}/||h||=0을 만족할 때

-Jordan Curve란 f:[0,1]->R^2(std), conti, f(0)=f(1), restriction of f on [0,1) is injective, 이때 f의 image를 Jordan Curve라 하자.

-성질

-(Inverse Function Theorem for multivariate, m=n)

:C^1-f on open U의 J_f가 non-zero at x_0라면(즉 derivative가 invertible), te nbd(x_0) and nbd(f(x_0)) s.t. nbd(x_0)<U and nbd(f(x_0))<f(U) f|nbd(x_0):nbd(x_0)->nbd(f(x_0))에서 bijective이고 inverse도 C^1 on nbd(f(x_0)). 게다가 D_f(x_0)의 inverse matrix는 D_f^(-1)(f(x_0))   

(단순히 미분가능, 도함수의 존재가 아니라 도함수가 연속하다는 조건이 꼭 필요, 그래야 nbd에서 injective해짐)

-(Rank Theorem for R^m)

:U1:open in R^m(Std), U2:open in R^n(std), F:U1->U2가 smooth with constant rank k일 때 

for any p in U1, te smooth charts (V1,g1) for R^m(std) centered at p and (V2,g2) for R^n(std) 

s.t. V1<U1 and F(V1)<V2<U2 and g2(F(g1^(-1)(x1,x2,...,xm)))=(x1,x2,...,xk,0,0,...,0) 

-D_f(x_0)의 성질

-f:diff at x_0일 때(derivative의 존재성보다 약간 강한 조건임), D_f(x_0)는 the best linear approximation near at x_0가 된다.

-D_(f,x_0)(x)의 성질

-D_(f,x_0) is linear in x_0

(단, 존재할 때 이야기성립)

-

-J_f의 성질

-Inverse Function Theorem

-Multiple Integral에서 transform이용

:좌표변환이라 함은, 기존좌표계 with dV(대게 직교좌표계)에서 

"이전 좌표계(구면, 원통 등 있다고 생각)->기존좌표계"인 함수 g를 찾고,

g를 이용하여 multiple integral 수정 with dV'=dV*|J_g|

-(Chain Rule for Multi-dimensional)

-g:R^n(std)->R^m(std), f:R^m(std)->R^k(std)에서 D_(f o g)(x_0)=D_f(g(x_0)) * D_g(x_0) where *은 matrix multiplication

-(Implicit Function Theorem)

-motive:

-f:R^n(std)->R^m(std)에서 n>m이고 n=k+m, C^1

-a in R^k, b in R^m, U:open(a) in R^k, V:open(b) in R^mf(a,b)=c

-g:U->V s.t. {(x,g(x)) s.t. x in U}={(x,y) < UxV s.t. f(x,y)=c} and C^1인 g를 찾는게 목표

-Statement:

-f:R^n(std)->R^m(std)에서 n>m이고 n=k+m, C^1(정의역이 좀 더 작은 open set이어도 가능)

-D_f(a,b)에서 뒷열에서부터 mxm matrix가 invertible이면 te desired g,U,V s.t. U:open(a) in R^k, V:open(b) in R^mf(a,b)=c

(f가 C^n이면 g도 C^n인게 존재함, f가 C^inf였어도 마찬가지로 g가 C^inf인게 존재함)

-any diffeo is homeo

-(Invariance of Domain, m=n)f:conti,injective이면 f:open이다.

-따라서 there is no homeomorphism between R^n(std) and R^m(std) for different n,m

(만약 f:R^n(std)->R^(n-1)(std), f:homeo라면, i:R^(n-1)(std)x{0}->R^n(std), inclusion, i o f 는 conti injective이므로 invariance of domain에 의해 homeo가 되는데, image인 R^(n-1)(std)x{0}은 not open in R^n(std))

-증명으로 가는 길

-(Homotopy Extension Lemma)Xx[0,1]:T4, A:closed in X, Y:open in R^n(std), f:A->Y:conti and nulhomotopic일 때

te g:X->Y s.t. g=f on A and g:nulhomotopic(link1)(link2)


-(Jordan Curve Theorem)

-C가 Jordan Curve이면 complement of C는 two connected components를 갖고 하나는 bdd하고 다른 하나는 unbounded, 전자가 interior, 후자가 exterior가 된다.

(즉, piecewise smooth path의 intereior가 well-defined됨을 보장해준다.)

-MT(R(std))(3x3)이 entry 모두가 positive real인 경우 이 MT는 has a positive real eigenvalue

-f:rv일 때

-정의

-grad(f)=(df/dx1, df/dx2, ...)

-C^n-f란, f의 n번 partial derivative(mixed도 포함)가 exist and continuous

-f has local maximum at x_0란 f(x_0)>=f(x) on a nbd(x_0)

-x_0 is a extreme point of f란 f가 x_0에서 local maximum이나 local minimum을 가질 때

-x_0:saddle point of f란 critical point x_0 of f가 not extreme point of f일 때 

-Hessian of f at x_0란 D_(D_f)(x_0)

-D_(f,x_0)(x), directional derivative of f along x_0 at x란, lim h->0 (f(x+h*x_0)-f(x)/h), h는 scalar임

-for G:bdd,open,connected, 0<a<=1, f가 Holder-conti on G with a란, sup over x,y in G |f(x)-f(y)|/|x-y|^a가 finite일 때고 이 값을 Holder-coefficient라 한다.

-for G:open in R^n(std), fCC^k(G):={f:G->R(Std) s.t. C^k-f}

-for m=0,1,2,3,..., 0<a<=1, G:bdd,open,connected,fCHconti_(m,a)(cl(G),R(std))이란, f in fCC^k(cl(G))이면서 ||f||_(m,a)<inf인 것들

where ||f||_(m,a)정의는 link참고

(줄여서 fCH_(m,a)라 적자, 정의역 공역 모두 생략, 필요하면 적기)

-f:Schur-convex on E if for any seq (a_n), (b_n) in E with b_n majorize a_n, f(a_n) <= f(b_n)

-f:strictly Schur-convex on E if for any seq (a_n), (b_n) in E with b_n majorize a_n and b_n is not a_n up to permutation, f(a_n) <= f(b_n)

-f:Schur-concave on E if for any seq (a_n), (b_n) in E with b_n majorize a_n, f(a_n) >= f(b_n)

-f:strictly Schur-concave on E if for any seq (a_n), (b_n) in E with b_n majorize a_n and b_n is not a_n up to permutation, f(a_n) >= f(b_n)

-성질

-lim (x,y)->(0,0) f(x,y)가 존재하면, lim x->0 f(x,0)도 존재하고 lim y->0, f(0,y)도 존재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f:diff at x_0, x_0:extreme point of f일 때 D_f(x_0)=0이다.

-C^2-f에 대해 x_0:critical point of f and Hessian of f at x_0:negative-definite이면 f has a local maximum at x_0

(C^2-f에 대해 partial converse:f has a local maximum at x_0엿다면 Hessian of f at x_0:negative-semidefinite)

-partial integral로 얻은 함수의 성질(편의상 n=2일 때 생각)

-f:(x,y)->R(std), int f(x,y) dx=F(y)라 하자. 이 때 F(y)가 conti at y_0할 충분조건은, 

-te g(x) in L1 s.t. |f(x,y)|<=g(x)

-f(x,y):conti wrt and at y_0

2가지를 다 만족시키면 된다.(Using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dF(y)/dy의 경우도 유사, link참조(link)

-(Integration by Substitution)

:f1:conti with compact support contained in some open set V in R^n이고

te f2:U->V s.t. U:open in R^nf2:1-1, C^1, J_f2:non-zero in U일 때

int in V f1 = int in U f1(f2)|J_f2|

-(Mean Value Theorem for Multi-dimensional)

-f:R^n(std)->R(std):C^1, x1,x2 in R^n(std)일 때, f(x2)-f(x1) can be described into partial derivative and coordinate difference(link참조)

-Lp(R^n(std), C4(TS), LM))

-(0,inf]에서

-(0,inf)에서

-[1,inf]에서

-[1,inf)에서

-separable

(증명은 MF in Lp 잡고 pt cv a.e. 인 simple functions seq잡고 그게 cv in Lp인걸 보인다. 이후 simple function이 step functions에 의해 근사 됨을 보인다.(Lp norm) 유리수값을 가지는 유리수 좌표의 rectangles에 의한 step function으로 MF를 근사할 수 있으므로 countable dense set 가짐)

-fCcontiKS(R^n(std), R(std)):dense in Lp(R^n(std), C4(TS), LM))


-(0,1)에서


-주의

-directional derivatives가 존재해도(어느 방향이든) not diff일 수 있다.

-directional derivatives가 존재해도(어느 방향이든) not conti일 수 있다.

-partial derivatives가 존재해도 directional derivative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fCHconti(cl(G),R(std))의 성질

-BS(R(std))

-About Schur-convex and Schur-concave

-(Characterization of Schur-convex)

Let E be a symmetric and convex subset of R^n(std), and f be a C^1 on int(E).

Then f:Schur-convex on E

iff f:symmetric on E and (x1-x2)*(∂f/∂x1(x) - ∂f/∂x2(x)) >= 0 for any x in E, the latter is called the Schur condition.

(f:symmetric일 때 Schur-condition은 n=2일때만 생각해서 보여도 충분하다.)

-f:symmetric and convex on E이면 f는 Schur-convex

-f:symmetric and concave on E이면 f는 Schur-concave

-f:E<R^n(Std)->R(std), g:R(std)->R(std), h:E->R(std) s.t. h(x)=f(g(x1), g(x2),..., g(xn)), j:E->R(std) s.t. j=g(f)

-f:Schur-convex and inc, g:convex이면 h는 Schur-convex

-f:Schur-convex and dec, g:concave이면 h는 Schur-convex

(f가 inc란 정의역에선 componentwise inequality사용, not majorization)

-f:Schur-convex, g:inc이면 j는 Schur-convex

-f:Schur-convex, g:dec이면 j는 Schur-concave

-대표적인 Schur-convex function

-f(x)=sum over i=1 to i=n x_i

-f:Schur-convex iff g:convex

-g가 1/x이면 h(x) = sum over i=1 to i=n 1/x_i

-g가 -log(x)이면 h(x) = sum over i=1 to i=n (-log(x_i))

-(-1)*(e_n), where e_n:nth elementary symmetric function,

-(-1)*{(e_n)/(e_(n-1))}

-for 1<=p<=k<=n, (-1)*[e_k/e_(k-p)]^(1/p)

-About Convex

-Def

-A subset E of R^n(std) is said to be convex if E is closed under c-linc

-for a subset E of R^n(std), conv(E):the convex hull of E, conv(E):=the intersection of all convex sets containing E

-for a finite subset E of R^n(std), conv(E) is called a convex polytope

-for a convex set E or R^n(std), dim(E):=dim(aff(E))

-Properties

-E:convex iff it contains all the clinc of its all elements

-convex subset은 star-convex subset이다.

-star-convex subset은 simply connected이다.

-star-convex open subset에서의 closed cvf는 exact이다.

-any convex subspace has a trivial FHG



-smooth GL(n,R(std))-space

-O_x={0} or O_x = R^n(std)-{0}

-smooth O(n,R(std))-space

-O_x={0} or spheres centered at origin.


-About Affine set

-Def

-A subset E of R^n(std) is called an affine set if for any x,y in E, any 1-linc of x,y is in E.

-for E:a subset of R^n(std), aff(E):the affine hull of E, aff(E):=the intersection of all affine sets containing E.

-E1,E2:affine of R^n(std)일 때 E1//E2(parallel)란 if te a in R^n(std) s.t. E1=E2+a

-for E:affine of R^n(std), dim(E):=dim(S) s.t. S:linear subspace of R^n(std) s.t. S//E

-for E:affine of R^n(std) s.t. dim(E)=(n-1), we call E a hyperplane of R^n(std)

-Properties

-E:affine set of R^n(std)이면 a+E도 affine

-for any E:affine of R^n(std), te! linear subspace S of R^n(std) s,t, S//E

-(Representation of Affine set of R^n(std))E:affine set iff E={x s.t. Ax=b}(link)

-About Majorization of two seqs (a_n), (b_n)

-Def

-for real seq (a_n), (b_n), (a_n) majorize (b_n)이란 (a_n)과 (b_n)을 monotone dec하게 rearrange한 다음에 partial sum은 a_n이 더 크거나 같고, 전체 합은 같을 때), denoted by a <_m b

-for real seq (a_n), (b_n), (a_n) weakly submajorize (b_n)이란 (a_n)과 (b_n)을 monotone dec하게 rearrange한 다음에 partial sum은 a_n이 더 크거나 같을 때

denoted by a <_wm b

-for real seq (a_n), (b_n), (a_n) weakly supermajorize (b_n)이란 (a_n)과 (b_n)을 monotone inc하게 rearrange한 다음에 partial sum은 b_n이 더 크거나 같을 때

denoted by a <^wm b


-Properties

-(Characterization of Majorization using perm and DSMT)

for nnn seq (a_n), (b_n), (b_n) majorize (a_n)

iff for any nnn seq (x_n), perm(A(x_n)) <= perm(B(x_n)) where A(x_n)(i,j)=(x_i)^(a_j), B(x_n)(i,j)=(x_i)^(b_j)

iff te DSMT s.t. (a_n) = DSMT (b_n), 양변 모두 column

-For nnn seq (a_n), (b_n) with (b_n) majorize (a_n),

-{all DSMT of order n s.t. (a_n) = DSMT (b_n)} is convex polytope, called the majorization polytope

-n=3일땐 extreme points가 알려져 있음

-for any x in R^n(std), DSMTx majorize x iff MT:DSMT

-About weakly submajorize

-for any x in R^n(std), MTx weakly submajorize x iff MT:DSSMT

-for nnn seq (a_n), (b_n), (b_n) weakly submajorize (a_n) iff (a_n) = MT (b_n) for some MT:DSSMT

-About weakly supermajoriize

-for any x in R^n(std), MTx weakly supermajorize x iff MT:DSPMT

-for nn seq (a_n), (b_n), (b_n) weakly supermajorize (a_n) iff (a_n) = MT(b_n) for some MT:DSPMT





-R^J의 특징(uncountable cartesian product)

-product top<uniform top<box top(J가 infinite이면 다 strict해짐)

-product top

-not metrizable

-not normal

-Function Space입장

-J=(MetricS, d), (R(std), euclidean metric)

-for f in R^J, the set of discontinuities of f is ME(link)

-R^N의 특징

-product top

-metrizable(그리고 그 때 complete도 됨)

-path-connected

-connected

-not locally compact

-not compact

-second-countable

-uniform top

-metrizable by d_uni

-not connected, by bdd seq and unbdd seq(separation됨)

-locally path-connected(따라서 path-connected component=connected component)

-x,y가 같은 connected component iff x - y:bdd

-first-countable

-not second-countable

-not separable

-not lindelof

-box top

-not metrizable

-not connected, by bdd seq and unbdd seq(separation됨)

-not locally path-connected

(하지만 path-connected component와 connected component가 같음)

-x,y가 같은 connected component iff x - y:eventually zero

-not first-countable

-Sequence관점({x_n}, {y_n} in R^N, S_n:=sum from i=1 to i=n x_i, T_n:=sum from i=1 to i=n y_i)

-limsup과 liminf는 monotone

-limsup x_n = sup {all limit points of x_n} / liminf x_n = inf { all limit points of x_n}

-limsup x_n < r이면 x_n < r for large n

-limsup x_n > r이면 x_n > r for infinitely many n

-liminf x_n + liminf y_n <= liminf(x_n + y_n)<=limsup x_n + liminf y_n <= limsup(x_n+y_n) <= limsup x_n + limsup y_n

(따라서 {x_n}이 cv to x이면 limsup(x_n+y_n)=x+limsup y_n)

-{x_n}과 {y_n}이 nnn이면 limsup(x_n*y_n)<=limsup(x_n)*limsup(y_n)

-{x_n}이 nnn이면 limsup(1/x_n)=1/(liminf x_n), liminf(1/x_n)=1/(limsup x_n)

-(Kronecker's Lemma)(link)

:{x_n}:inc with lim n->inf x_n =inf이고 sum from n=1 to n=inf (y_n / x_n) cv with finite value이면 

(T_n / x_n):cv to 0

-(using Upcrossing)(link)

:{x_n}:cv in ETR(std) iff for any rationals a<b, beta(a,b)<inf where beta(a,b)는 link참조


-Series관점

-{x_n}:abs summable, {y_n}:abs summable->{x_n conv y_n}:abs summable

-Kempner Series Problem:{1/n}:series에서 특정 숫자 배열(예를 들면 2015711574)가 분모에 들어간 것을 제외하고 더한다면 수렴할까?

-답은 Yes

-Topologist's Sine Curve의 특징(0x[-1,1]없는 걸 E라 하자. cl(E)도 주요 관심대상, 대게 cl(E)를 topologist's sine curve라 한다.)

-cl(E)는 connected

-cl(E)는 not path-connected

-C의 성질

-open and connected subset of C를 Region이라 하자.

-Construction

-R^2(std)이면서 덧셈과 곱셈을 다르게 정의한 형태

-R^2(std)와 isomorphic as topological space and VS(R)

-quotient ring R[x]/(1+x^2)으로 정의한 형태

-top 2-mnf이므로 top n-mnf성질 따름

-F된다.

-ac-F(by 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


-Associative R-A

-infinite product of complex numbers의 convergence

-정의:c-product from i=1 to i=inf (1+a_i)이 cv if te k s.t. c-product from i=k to i=n (1+a_i) cv to nonzero as n->inf

-성질:

-c-product from i=1 to i=inf (1+a_i)가 cv iff c-sum from i=1 to i=inf log(1+a_n):cv(link)

(단, Re(a_n) > (-1) for n=1,2,3,..., 만약 아니면 이게 성립할 때부터 곱셈시작으로 간주하면 됨)

-c-product from i=1 to i=inf (1+a_i)가 abs cv iff c-sum from i=1 to i=inf a_i:abs cv(link)

-f:[0,1]->C, f(t)=x(t)+y(t)i관련

-smooth path f란 x(t), y(t)가 diff이고 x'(t)=y'(t)인 t가 존재하지 않을 때(t=0, t=1은 상관없음)

-piecewise smooth path f란, smooth curve를 이어서 만든 것(각 경계에선 not smooth하지만 거진 smooth한 경우가 된다.)

-smooth or piecewise smooth path가 closed란, f(0)=f(1)일 때

-smooth or piecewise smooth path가 simple이란, not self-intersecting(closed일 때는 endpoint에서같아도 simple이라 함)

-f:[0,2pi]->C 관련

-About L2-space

-특히 [0,2pi] as L2-space(Fourier Series)

-활용방안:

주기함수을 연속함수(sine파)들의 급수로 표현, 이때 sin(2pi*진동수*t)의 계수, 를 통해 진동수에 해당하는 진폭(계수)를 알아내서 어떠한 주기함수(파형)의 진동수마다의 진폭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유한한 구간에서만 정의된 함수를 expansion, 

몇가지 급수 값을 구할 수 있음

푸리에 계수(하단에 <f,e_n>)은 다양한 물리적 의미를 갖는다.

-<f,g> := int from x=0 to x=2pi f*conj(g) dλ 이러면 < > 은 inner product가 된다. 이걸로 HS가 된다.

-{e_n(t)}, e_n(t)=(2pi)^(-1/2) * exp(i*n*t), 는 maximal orthonormal set이 된다.

-(complex valued)for f in L2-Space[0,2pi], f(t)=sum over all int n <f,e_n> e_n(t)로 표현이 된다.

-[0,2pi]까지만 정의된 함수를 expansion(even, odd에 따라)가능하다

-Bessel's inequality, Parsevel's identity사용가능, 참고


-f:C->C관련(z=x+yi, f=u+vi, 정의역이 꼭 C전체 아니어도, C의 open subset이어도 가능)

-holo f의 properties

-용어관련

-f가 holo at z 란 domain of f는 z를 포함하는 open set이고 lim h->0 {f(z+h)-f(z)}/h가 존재할 때(f:R^m->R^n과는 다른 이유가, C->C에서는 곱셈연산이 있기 때문)

-f가 holo on open set E란, f가 holo at any z in D

-f가 holo on closed set E란, te nbd(E) s.t. f가 holo on nbd(E)

-primitive of f on open set E란, E에서 holo이면서 미분해서 f되는 함수

-f가 biholo(conformal map이라고도 함)란, holo이고 bijective이고 inverse도 holo일 때

-f:holo on C이면 f:entire라 한다.

-holo의 충분조건

-f가 CRE를 만족하고 Re(f)와 Im(f)가 C^1이면 f는 holo on 가정만족하는 영역

-holo의 필요조건

-(Cauchy-Riemann Equation, CRE)

:u의 x미분=v의 y미분 and u의 y미분=v의 x미분*(-1), 이것은 holo의 필요조건

(real analysis와 complex analysis를 잇는 equation이다.)

(iv function의 real part만이 전부를 determine한다는 의미도 있다.)

-f가 holo at z이면 f is diff in real sense(역은 성립 안함)

-f가 holo on open set E이면 f has infinitely many complex derivatives in E(Cauchy's Integral Formula for Derivatives에 의해)

-Power Series 관련(Center가 0인 경우만 따져도 됨)(PS(z)=sum from n=1 to n=inf (a_n)*(z)^n라 하자)

-PS(z1):cv이면 for |z|<|z1|, PS(z):cv

-(RoC의 존재성)for any PS, 

te R s.t. 

-0<=R<=inf, 

-|z|<R이면 PS(z):abs cv

-|z|>R이면 PS(z):diverge

-PS:uni cv on {z s.t. |z|<=A<R}

-RoC 구하기

-RoC={limsup(|a_n|)^1/n}^(-1)

-PS의 도함수 또한 RoC가 같다.

-PS1, PS2(with same center), PS1+PS2의 RoC>=min{RoC1, RoC2}, PS1*PS2의 RoC>=min{RoC1, RoC2}

-lim n->inf a_n=0이면 RoC>=1

-PS는 holo inside RoC

(on RoC에서는 cv할지도 diverge할 지도 모름)

(즉 analytic function은 holo하다는 것을 앎)

-PS의 도함수는 term-by-term 미분해서 얻을 수 있다.

-Integration along path

-piecewise smooth path f1, f1의 image에서 conti인 f2에 대해 integral정의함

-for g:E->C conti, f1:piecewise C^1 in E, int of g along f:= int from 0 to 1 g(f(t))f'(t)dt로 정의

-any parametrization of f gives the same value of integral above

-|int of g along f|<=(max over z in f([0,1]) |f(z)|) * length of f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version Complex)

:f on open set E가 conti

f가 primitive on E, F를 갖고

f1:piecewise smooth path in E이면

int over f1 f는 F(f1(1))-F(f1(0))가 된다.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real version과는 다른 점이, primitive의 존재성이 보장받지 않다는 것)

(f가 primitive를 갖는지 판단시 사용가능 using closed path)

-f:holo on a region E, f'=0 on E일 때 f는 constant(E가 connected인 것도 중요)

-(Cauchy's Theorem으로 가는 Step, E:open in C, R:region in C, D:open ball in C, T:image of simple closed piecewise smooth path in C)

-(Step 1, Cauchy's Theorem on E containing T)

:T:triangle with its interior in E, f:holo on E이면 int over T f=0

(triangle의 interior가 포함되어있다는 것은 거진 connected조건느낌)

(rectangle로도 확장가능)

(f:conti on E, for any T:triangle with its interior in E int over T f=0이면 f:holo on E, 즉 역도 성립)

-(Step 2)

:f:holo on UB2이면 f has a primitive on UB2

(UB2보다 일반적으로 convex open subset에서도 성립함)

-(Step 3, Cauchy's Theorem on UB2 containing any closed path)

:f:holo on UB2이면 for any closed path f1 in D이면 int over f1 f=0

-(Step 4, Cauchy's Theorem on E containing T and its interior, using Jordan Curve Theorem)

:f:holo on E containing T and int(T)<E이면 int over T f=0

-(Cauchy's Integral Formula)

:T:image of simple closed piecewise smooth path in C이고 f가 holo on open set E containing cl(int(T))이고 C=bd(int(T))=C with positive orientation라 할 때 

for z in int(T), f(z)=1/(2*pi*i) int over C f(t)/(t-z) dt

-(Cauchy's Integral Formula for Derivatives)

:T:image of simple closed piecewise smooth path in C이고 f가 holo on open set E containing cl(int(T))이고 C=bd(int(T))=C with positive orientation라 할 때 

for z in int(T), f^(n)(z)=n!/(2*pi*i) int over C f(t)/(t-z)^(n+1) dt

(즉 f:holo at z이면 infinitely differentiable at z이다.)

-(Cauchy's Inequality)

:for z in open E, B(z,r) <E s.t. cl(B(z,r))<E, f:holo on E이면 for any n in N, |f^(n)(z)|<=n!/r^n * sup over z' in bd(B(z,r)) |f(z')|

(즉 holo f의 도함수값 at z은 f의 함숫값(z의 주위에서의)에 영향을 받는다.)

-analytic function f의 properties

-용어관련

-f가 C-analytic on open set E란, for any x in E, te nbd(x) s.t. f is equal to its taylor series on nbd(x)(f:R(std)->R(std)에서의 analytic과는 정의가 같지만 성립하는 properties는 다름)

-f가 C-analytic at z란, te nbd(z) s.t. f is analytic on nbd(z)

-properties

-f의 C-analytic 가능한 points의 모임은 open이다.

-f:C-analytic on open E이면 for z_0 in E, f의 taylor series centered at z_0의 RoC는 dist(z_0, Bd(E))

(즉 f:C-analytic on open E이면 수렴반지름을 그저 f가 holo가 되는 영역이 되는데, R-analytic에선 이런게 안된다. 단순히 미분무한번가능한영역으로의 확장이 analytic이 보존되지 않는다.)

-f:C-analytic at z iff f가 holo at z

-f:holo on open connected E이고 {an} in E s.t. an->a in E and {an}:distinct and f(an)=0이면 f=0 on E

(즉, the zeroes of f on E는 isolated)

(증명을 series전개해서... 그렇다보니 f:R->R에선 성립안함)

-f:holo on open connected E, U:open in E일 때 restriction of f on U =0 on U이면 f=0 on E

-f, g:holo on open connected E, U:open in E, f=g on U일 때, f=g on E

(즉 extension이 unique, but 이렇게 가면 extension이 multivalued일 순 있음, log(x) 생각)

-entire function(f:entire)

-(Liouville's theorem)f:bdd이면 f는 constant

(C^inf(R)선 성립하지 않음)

-{f_n}, f_n:C->C관련, E:open in C,

-{f_n}:holo on E, uni-cv to f on every compact subset K of E이면 f:holo on E and {f'_n}:uni-cv to f' on every compact subset K of E

-


-Laurent's Series관련



-Elementary functions

-log(with principal branch):ocl(C) - (-inf,0] ->C

-exp:C->C-{0}

-entire

-



-(Binomial Theorem)

:(1+z)^a where a:complex는 다음 taylor series를 갖는다. 

sum from n=0 to n=inf (aCn)*x^n 

(단, RoC는 a마다 그때그때 구해야함)

-(Residue Theorem)

-(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

:a polynomial f(x) in C[x] of degree>=1 has a root in C(using homotopy link)

-(Riemann Mapping Theorem)

:U:nonempty, proper, open, simply connected, x in U이면 te! f:U->UB2 in C s.t. f:biholo

-P(R^n+1)

-정의:R^(n+1)(std) - {0}/~, where x=(x1,x2,...,xn+1)~y=(y1,y2,...,yn+1) where xi=kyi for some nonzero k in R

-topology는 quotient로 줌

-topological mnf됨(locally euclidean to R^n(std))

-second-countable

-T2

-locally euclidean to R^n(std)

-FHG=Z_2(n>=1), Z(n=0일 때)

-m-fold projective planes

-정의:

  -(a1a1a2a2...amam)이란 scheme으로 만든 도형

-성질:

-FHG=FP(Z,m개)/<a1a1a2a2...amam>

-first homology group:FAG of rank m-1

-UO1

-Strong Deformation Retract of R^2 - {0}

-FHG(UO1) giso cyclic group Z(covering map의 induced group homomorphism이용, R(std)이simply-connected라) 

-h:UO1->TS, conti일 때 TFAE(link1)(link2)

-h:nulhomotopic

-h extends to a continuous map k:cl(UB2)->TS

-homo from h is the trivial homomorphism of fundamental groups

-inclusion(UO1,R^2(std)-{0}) is not nulhomotopic

-identity:UO1->UO1 is not nulhomotopic(즉 not contractible이다 UO1은)

-antipode-preserving:UO1->UO1이 conti이면 not nulhomotopic(link1)(link2)

-LG

-n-torus

-정의

-prod(UO1), UO1을 n번 prod한 TS

-R^n(std)에서 (x1,x2,...,xn)~(x1,x2,...,xn)+ei, ei=i성분만 1, for all i=1,2,3,...,n, quotient space (R^n(std),~)

-성질

-topological mnf됨

-second-countable

-T2

-locally euclidean to R^n(std)

-n=1은 UO1과 같음

-FHG(n-torus)=Z x Z x ... x Z

-n-fold torus

-정의

-(a1b1a1^(-1)b1^(-1))...(anbnan^(-1)bn^(-1))이란 scheme으로 만든 도형

-성질

-compact connected surface

-FHG=FP(Z,2n)/<a1b1a1^(-1)b^(-1)...(anbnan^(-1)bn^(-1))>

-first homology group=FAG of rank 2n



-UO2

-(UO2 <-> R^2(std))f:UO2-{b}->R^2(std) homeo가 compact set을 뺏을 때 생기는 component를 어떻게 보내는지(link)

-X:compact, f:X->UO2-{a}-{b}:conti일 때, a,b가 UO2-f(K)의 same component에 존재하면 f:nulhomotopic(link)

(역은 f가 injective면 성립)(link1)(link2)

-UO2=A1UA2UA3 where Ai:closed in UO2일 때 te {x, -x} s.t. x and -x are in Ai for some i(link)

-UOn

-for n>=2, simply connected, 즉 FHG(UOn)=trivial(using Pre van-kampen or Strong Deformation)

-embedded n-submanifold of R^(n+1)(std)(link)

-smooth O(n+1,R(std))-space

-transitive

-smooth SO(n+1,R(std))-space

-transitive

-(Borsuk-Ulam Theorem)m<=n, f:UOn->R^m(std), conti이면 te x in UOn s.t. f(x)=f(-x)

-UB2

-te no continuous retraction(cl(UB2),UO1)

-(Brouwer Fixed-point theorem for the disc)f:cl(UB2)->cl(UB2), conti이면 te a fixed point x(즉 f(x)=x인 x in cl(UB2))(link)

-

-UO1VUO1

-FHG(UO1VUO1) giso FP(Z,Z) giso OSDP(Z,Z/2Z) using van-kampen theorem

-GL(1,R)

-GL(1,R)^+

-SL(1,R)

-SO(2,R)

-O(3,1,R)(Lorentz Group)

-SO(n,1,R)

-HSBG


-Functions Spaces to R(std)

-fC(TS,R(std))

-VS(R(std))

-(CMetricS,d_uni)(이걸로 norm은 못만들고...)

-fCbdd(TS,R(std))

-NVS using uniform norm, sup{|f(x)|}

-BS

-(fC(TS,R(std)), d_uni)로 얻은 top=uniform norm으로 얻은 top

-closed in (fC(TS,R(std)), d_uni)

-fCconti(TS,R(std))

-closed in (fC(TS,R(std)), d_uni)

-fCcontibdd(TS,R(std))

-NVS using uniform norm

-BS

-fCcontiV(TS,R(std))

-closed in (fCcontibdd(TS,R(std), d_uni)

-BS

-fCcontiKS(TS,R(std))

-need not be BS(TS=R(std)넣으면 BS안됨)  

 

Mixed Distribution(discrete과 continuous 혼합)의 예

-전구를 갈아끼우고 스위치를 켜면 q의 확률로 전구가 터지고, p(=1-q)의 확률로 전구가 들어온다. 그리고 불이 들어오는 전구의 수명(T)은 지수분포를 따른다고 할 때, 

F(t)=P(T<=t)=0 if t<0,

q, if t=0,

1-p*e^(-1*lambda*t) if t>0

  

*Exercises

*Lagrange's Theorem의 역이 성립안하는 예(link)

*N_G({g})와 N_G(<g>)가 다른 예(link)

*S1S2=S2S1인데 S1 _< N_G(S2)가 아닌 예(link)

*S1S2가 not subgroup of G인 예(link)

*SNS가 not normal in G인 예(link)

*S1 _< N_G(S2)인데 S1 _<! S1S2인 예(link)

*order(g1)<inf, order(g2)<inf인데 order(g1g2)=inf인 예(link)

*G=G, J=NS, conjugation action on J by G, homo by act, homo(g)가 Inn(NS)의 원소가 아닌 예(link)

*homog:G1->G2, homog(G1) is not normal in G2인 예(link)

*모든 원소가 finite order를 갖고, 임의의 자연수 n을 order로 갖는 g가 항상 존재하는 group의 예(link)

*S<G, Aut(S)의 원소이지만, Inn(S)의 원소가 아닌 예(link)

*TS:T2인데 QS(TS,~)가 not T2인 예(link)

*TS:simply connected인데 QS(TS,~)가 not simply connected인 예

*TS:contractible인데 QS(TS,~)가 not contractible인 예

*TS:locally compact인데 QS(TS,~)가 not locally compact인 예

*bdd인 (MetricS,d)가 not totally bdd인 예

*CR에서 (gcd(a,b))랑 ({a,b})다른 예

*ID인데 not ED인 예

*PID인데 not ED인 예

*ID의 원소 r이 irreducible in R인데 not prime인 예

*Maximal subgroup MS가 존재하지 않는 group G의 예, <Q,+>

*f:R^2(std)->R^2(std)로 봐서는 diff인데 not holo인 complex function인 예

*F(a1,a2)인데 simple extension of F인 예

*Grp(V(G),E(G))가 its complement와 same인 예

*F:not perfect, char(F)=p, irreducible inseparable polynomial f(x) in F[x]인 예(link)

*for every proper prime id of ID, P(x):reducible in (ID/id)[x]인데 P(x):irreducible in ID[x]인 예(link)

*for every proper id of ID, P(x):reducible in (ID/id)[x]인데 P(x):irreducible in ID[x]인 예

*finite extension of F인데 not splitting field over F인 예

*NEF of F인데 not SEF of F인 예(link)

*SEF of F인데 not NEF of F인 예(link)

*p=inf일 때 (Lp)^*이 Lq와 not iiso인 예

*R-Md:finitely generated인데 subMd가 not finitely generated인 예(link)

*gSg^(-1) < S (strictly인) 의 예(link)

*homor:R->R인데 not R-md homomorphism의 예(link)

*f:R->R이 R-md homomorphism인데 not homor인 예(link)

*R:ring, M:left R-MD인데 not right R-MD인 예(link)

*DSMT인데 UDSMT인 예(link)

 

*Basic Graph Theory

-G:simple graph, n:order of G, m:size of G, t:the number of triangle of G

-invariant map의 예:order, size, δ(G), d(G), Δ(G), g(G), G(G), components 개수, D(G), r(G), central, 

-sum of all degree = 2m

-the number of vertices of odd degree is always even

-d(G) = 2m/n

-r(G)<=D(G)<=2r(G)(link)

-Every G with at least one edge has a subgraph G' s.t. 2*δ(G') > m(G') >= m(G) 

-Every G contains a path of length δ(G)

-Every G contains a cycle of at least length δ(G)+1(if δ(G) >= 2)

-Every G containing a cycle satisfies g(G) <= 2*D(G) + 1

-if r(G) <= k and Δ(G) <= d, then n <= d * (d-1)^k * 1/(d-2) 

-n >= n_0(δ(G), g(G))

-if δ(G) >= 3, then g(G) < 2 * log_(2)(n)

-if m(G) >= m >= 2 and g(G) >= g, then n >= n_0(m,g)(Alon, Hoory, and Linial 2002)

-(Mader)if m(G) >= 4k, then G has a (k+1)-connected subgraph G' s.t. m(G') > m(G) - 2k(link1)(link2)

-D(G)>=3 이면 D(bar(G)) <= 3(link)

-a_k:dec seq of positive integers with n terms일 때

-a_k:graphical이면

-a_1 <= n-1

-sum over k a_k는 even

-for b_j s.t. a_k majorize b_j, b_j:graphical

-(Characterization of graphical seq, Havel-Hakimi Theorem)

-a_k:graphical

iff a_k의 a_1을 없애고 a_2부터 총 a_1개의 terms에 -1해서 얻은 seq도 graphical

(위 thm을 반복해서 적용, 그러다 negative값이 나오면 not graphical 혹은 graphical한거나오면 됨)

iff sum from i=1 to i=tr(Tb(G)) (a_i + 1) <= sum from i=1 to i=tr(Tb(G)) conj(a_k)_i

(for each i=1,2,...tr(Tb(G)), decdseq(G)_i + 1 = conj(decdseq(G))_i iff G:threshold)

-given fixed n, the graph with the smallest D(G) is K_n, the quantity = 1

-given fixed n, the graph with the smallest md_G is K_n, the quantity = 1

-given fixed n, the graph with the largest D(G) is P_n, the quantity = n-1

-given fixed n, the graph with the largest md_G is P_n, the quantity = (n+1)/3

-G has two vertex having the same degree(link)

-G:self-complementary이면 4|n or 4|(n-1)(link)

-G:bipartite iff G has no odd cycles

-About α(G)(V, independence), τ(G)(V, covering), v(G)(E, matching), γ(G)(V, domination)

-α(G)+τ(G) = n

-ν(G) <= τ(G)

-G:odd cycle이면 ν(G) +1 = τ(G)

-G:even cycle이면 ν(G) = τ(G)

-ν(G) = α(L(G))

-G:isolated-free

-γ(G) <= ν(G)

-G has a minimum dominating set U in which every member u in U has epn(u,U)

-G has a star forest F=(S_n1,...,S_nγ) s.t. every v in V(G) belongs to exactly one star, and the centers of the stars form a minimum dominating set.

-About DfG

-Bipartite

-

-About Split Graph


-About cograph, G:cograph

-any cograph may be constrcted using complement and disjoint union

-cograph is closed under complement, finitely many disjoint union

-bar(G):cograph

-G1:cograph, G2:cograph이면 G1+G2도 cograph

-any connected cograph is a join of two graphs(왜냐하면 G1VG2 = bar(bar(G1) + bar(G2))

-Any Cograph is L-integral

-About Threshold Graph

-G:split and cograph, then G:threshold graph

-(Criteria of threshold)if G:threshold, then decdseq(G)_(i+1) = conj(decdseq(G))_i for all i > tr(Tb(G))

-(Characterization of Threshold Graph)G:Threshold

iff G:obtained from K_1 by a seq of operations (i) add an isolated vertex, or (ii) take the complement

iff G:obtained from K_1 by a seq of operations (i) add an isolated vertex, or (ii) add an dominating vertex

iff decdseq(G) is not majorized by any other decdseq

iff for each i=1,2,...tr(Tb(G)), decdseq(G)_i + 1 = conj(decdseq(G))_i

-About genus

-(Euler's Formula)G:connected with genus(G)=0이면 n - m + r = 2, where r:the number of region from G

(증명은 induction on m, G:tree일때와 아닐 때로 구분)

-if G with genus(G)=0

-m <= 3n - 6(즉 no crossing edges로 그래프 그릴려면 m이 그렇게 클 수가 없음)

-δ <= 5

-if G:maximal planar

-every region is bounded by three edges

-every vertex v is the center of a wheel subgraph induced by v and all vertices adjacent to v.

-δ >= 3

-(Kuratowski's Theorem, Criteria of Planar)

:G가 planar iff G does not contain K_5, K_(3,3), or any subdivision of K_5, or K_(3,3) as a subgraph.

 

 


 

 

-About subgraph

-Every graph G with at least one edge has a subgraph G' with δ(G') > d(G')/2 >= d(G)/2(link)

-G:eulerian iff G:connected and d(vi):even for all i

-for r:even, G:r-regular이면 G has a 2-factor

-t(G)=t(G-e) + t(G with e) for any edge e


-About generated graph

-bar(K_p)Vbar(K_q)=K_(p,q)

-Every topological minor of G is minor of G(역 성립 안함)

-bar(G1+G2) = bar(G1) V bar(G2)(드모르간 같음)

-bar(G1VG2) = bar(G1) + bar(G2)(드모르간 같음)

-G':sub

-(Characterization of Line Graph)

G:line graph

iff E(G) can be partitioned into a set of cliques with the property that any vertex lies in at most two cliques.

(G에서 pendant말고 다른 vertex생각해보면 그때마다 cliques in L(G)생김)

iff each induced subgraph of G on at most six vertices is a line graph

-(Whitney's Line Graph Theorem)G1:Connected and G2:connected일때

G1 graph-iso G2 iff L(G1) graph-iso L(G2) except for G1=K_(1,3), G2=K_3

-δ(G1)>=4 and δ(G2)>=4이면(connected일 필요 없음) G1 graph-iso G2 iff L(G1) graph-iso L(G2)

-G:connected이면 L(G):connected(역은 성립안함)

-G:connected이고 L(G):regular이면 G:regular or semiregular bipartite

-G:connected이고 G graph-iso L(G)이면 G:cycle

 

 

 

-L(G)의 예

-L(K_(1,n))=K_n

-L(P_(n+1))=P_n

-L(C_n)=C_n

-L(G)의 구조

-|V(L(G))| = m

-|E(L(G))| = 1/2 * [sum over i~j (d(vi)+d(vj)-2)] = (1/2 * {sum of all d(vi)^2}) - m

-G=L(G) and G:connected인 것은 C_n뿐(link)

-About quasi-line graph

-G:L(G') for some G'이면 G:quasi-line graph

-G:quasi-line graph이면 G:claw-free


-About Connectivity

-About tree

-G:tree이면

-m=(n-1)

-G has at least Δ(G) leafs, n>=2

-bipartite, 따라서 bipartite성질을 모두 따른다.

-for vi~vj, d(vi)+d(vj) <= n

-center가 1개 or 2개 존재함(증명은 leaf를 없앨 때마다 e(vi)가 -1 그래서 계속 없애다보면 center되는 애나 애들만이 남음)

-edge1개 지우면 component는 정확히 2개, 각각은 다시 tree됨

-d(vi)=s인 vi를 지우면 components는 정확히 s개, 각각은 다시 tree됨

-항상 {v1,v2,...,vn} enumerate가능 s.t. G[{v1,v2,...,vi}]:connected for every i=1,2,3,..,n and vi has a unique nbd in {v1,v2,...,vi-1}

-For any a in N, te v in V(T) s.t. te! component C of T - v with |C| <= max(n-1-a,a) and all other components C_i of T - v with |C_i| <= a(link)



 

 

-G:tree(connected acyclic)(link1)(link2)(link3)(link4)(link5)

iff G:1-edge-connected , i.e. minimally connected

iff G+e have a cycle

iff G:connected with n-1 edge

iff for any vi, vj in G, te! path from vi to vj

-About Binary Tree

-te 1/2 * (n+1) vertices s.t. degree=1

-m>=1/2*(n-1)(n-2) + 1이면 G:connected(link)

-δ(G)>1/2*n - 1이면 G:connected(link)

-G:disconnected이면 bar(G):connected

-G:connected이면

-n >= D(G) * δ(G) * 1/3

-항상 {v1,v2,...,vn} enumerate가능 s.t. G[{v1,v2,...,vi}]:connected for every i=1,2,3,..,n

-G contains a normal tree with any specified vertex as its root(root에서 시작해서 아직 안가본 any vertex로 edge따라 이동, 만약에 그런 점이 없을 경우가 오면, 현재 그 점에 가장 처음에 왔던 edge를 따라 이동, 그리고 그런 점이 없을 경우가 root가 된다면 stop, 이렇게 얻은 tree가 normal이 된다.)

-G contains a normal spanning tree with any specified vertex as its root.

-G has at least n-m connected components(link)

-G:connected이면 m >= n-1

-κ(G) <= λ(G) <= δ(G)(link)

-About cutvertex

-(Characterization of cutvertex)G:connected일 때 TFAE

-v:cutvertex

-te u,w in V(G) s.t. u != v and w != v and u lies on every path from u to w .

-v:a point of articulation of G

-About κ(G)

-κ(P_n) = 1

-κ(C_n) = 2

-κ(tree)=1

-About λ(G)

-λ(P_n)=1

-λ(K_n)=n-2

-λ(C_n)=2

-λ(tree)=1


-About hypergraph


-About Directed

-If dG:acyclic, then [n]로 level assign, with no two vertices have the same level, and if vivj is in E(dG) then ni<nj, 가능!

-If dG:acyclic with a longest path of length k, then k+1 is the smallest number of levels in any level assignment of dG

(즉, dG가 acyclic이면 |longest path|+1개의 숫자써서 level assign가능)

-dG* has no loops

-dG* has no closed directed walks(link)

-TFAE

-dG has no cycles

-every strong components of dG consists of one point

-dG is isomorphic to dG*

-dG and dG* have the same number of points

-Every walk is a path

-It is possible to order the points of dG so that AdMT(dG) is UMT(link)

-It is possible to assign levels ni to the points vi in such a way that if vivj is in E(dG) than ni<nj

-dG^t has no loops, asymmetric(arc (a,b)가 있으면 (b,a)는 없음), transitive

-About competition graph C(dG)

-(Opsut 1982)It is an NP-complete problem to compute c#(G)

-c#(G) >= cec(G) - n + 2

-If G without K_3, then c#(G) >= m - n + 2

-If G without K_3 and conncected, then c#(G) = m - n + 2

-Every chordal graph G has c#(G) <= 1 with = iff G has no isolated vertices

-Every interval graph has c#(G) <= 1

-(Opsut 1982)c#(G) <= cec(G)

-(Opsut 1982)c#(G) >= min over vi cvc(N_G(vi)), N_G(vi)를 induced subgraph of G로 보고 계산

-If G is L(G') for some graph G', then cvc(N_G(vi))<=2

-If G is L(G') for some graph G', then c#(G) <= 2 with = iff every v in V(G), cvc(N_G(v)) = 2

-About Matching

-M:maximum matching iff G has no M-augmenting path(link)

-(First Tutte's Theorem)G has a perfect matching iff for any subset U of V(G), odd(G-U)<=|U|

-for every component C with odd order and v in V(C), C - v has a perfect matching

-(Tutte-Berge Formula)ν(G) = 1/2 * min over U:subset of V(G) {(|U| + |V(G)| - odd(G-U))}

-(Konig's Matching Theorem)G:bipartite이면 ν(G) = τ(G)(link)

-(Hall's Marriage Theorem)G:bipartite with partition (A,B) of V(G)일 때, 

te M covering A iff for any subset U of A, |N_G(U)|>=|U|(link)

(Marriage Theorem이라 불리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생각하자. A:남자들의 모임, B:여자들의 모임, 각 남자 mi는 결혼하면 행복할 여자들 Bi가 존재한다. (즉, Bi:nonempty subset of B) 그리고 여자들은 자기를 좋아해주는 남자와 결혼하면 행복하다고 하자. 이때 모든 남자들이 행복한 결혼생활을 할 수 있게 matching시켜줄 수 있는 필요충분조건을 제시함)

-(Gale-Shapley Theorem)Every bipartite graph has a stable matching

-for r>=1, G:r-regular bipartite이면 G has a perfect matching

-G:3-regular and has no bridge이면 G has a perfect matching



-About Coloring

-col(G) = deg(G) + 1

-χ(G) <= χ_l(G) <= col(G) <= Δ(G) + 1.

-χ(G) <= aχ(G)

(aχ(G) and col(G) are incomparable)

-About k-color-critical

-G:k-color-critical이면

-δ(G) >= k-1


-About Homomorphism, Automorphism, Group etc

-Aut(G)=Aut(bar(G))

-χ(G)=the minimum number a s.t. te f:homomorphism from V(G) to V(K_a)

-End(G)는 monoid가 된다.

-Aut(C_n) giso D_2n(아마도?)

-S_[v] <= Aut(J(v,k,i)), as a subgroup

(사실 = 일 때가 많다, 증명은 어렵지만)

-n!/|Aut(G)| = |isomorphism class of G| (즉, vertices개수가 n인 graph중에서 G와 isomorphic인 애들의 개수)

-About Matrices

-MT:irreducible iff dG(MT):strongly connected(link)(other link)

-About Space of a graph

-Let E be a subset of E(G). Then TFAE

-E is in CS(G)

-E is a disjoint union of cycles in G(empty일 수도)

-all vertex degree of (V,E) is even

*Applications

*Combinatorics


-About counting, p:permutation on J, |J|=n, P:permutation groups on J

-def

-the cycle index monomial of p is a monomial in variables a_i, prod over j=1 to j=n a_j^b_j, where a_j:variables, b_j:p를 cycle decomposition했을 때 길이가 j인 cycle의 개수

-ex) p=(1)(234)(5)(67)인경우 the cycle index monomial of p = a_1^2 * a_2^1 * a_3^1

-the cycle index polynomial of P := 1/|P| * sum over p in P (the cycle index monomial of p)

(즉, the average of the cycle index monomials of its elements)

(어떤 permutation on J는 permutation on J'으로 바꿔서 생각할 수 있다. 가령 C_4:반시계 방향 rotation, e, 90, 180, 270, 같은 경우 J={1,2,3,4}에서 action을 생각할 수도 있지만, J'={{1,2}, {2,3}, {3,4}, {1,4}}, J는 Square 1개에 각 꼭짓점에 시계방향으로 1,2,3,4를 새긴 경우, J'은 같은 square의 선분을 가리킴

the cycle index polynomial of C_4 on J와 the cycle index polynomial of C_4 on J'은 다르다.

전자는 C_4의 원소를 J에서의 permutation으로 보고, 후자는 C_4의 원소를 J'에서의 permutation으로 본다.)

(따라서 the cycle index는 단순히 Group에만 의존하는게 아니라 Group action에 의존, 즉 acting되는 set도 중요)

(Z(G,X)라 쓰도록 하자.)

-G acts on X일 때, for each x in X, wt:X->Y s.t. wt(x)=wt(gx) for all g in G, 즉 X의 orbit은 같은 값가지는 function

-ex)G=C_4, X={all squares with each vertex with colored black or white}, wt(x)=b^i * w^j, where i=# of blacks, j=# of whites

-G acts on X with wt, wt(Orbit)=wt(x) for some x in Orbit, well-defined

-G acts on X with wt, the wt enumerator := sum over all orbit O wt(O)

-thm

-(Burnside Lemma)

G acts on X일 때 the number of orbits = the average number of points fixed by an element of G(link)

-(Weighted Version of Burnside Lemma)

G acts on X with wt일 때 the wt enumerator = the average wt of points fixed by an element of G(link)

-(Polya Enumeration Theorem)(link)

-G acts on X, Y=finite colors={c_1,c_2,...,c_k}, then G acts on Y^X

-G acts on Y^X with wt:=prod over i=1 to i=k c_i^d_i, where d_i:=# of c_i in element of Y^X일 때

the wt enumerator := Z(G,X) with a_i replaced by (c_1^i + c_2^i + ... + c_3^i)

(좌변을 구하기 위해서 우변을 이용하란 의미고, 우변의 전개식에서 원하는 (c_1^d_1, c_2^d_2,..., c_k^d_k)조합의 계수를 읽어 냄으로써 counting

-Examples, Burnside, Weighted Burnside, Polya 구분하기 위한 예제모음

-회전하여 같으면 같은 것으로 간주, 정사각형에 4명의 사람 배열, 서로 다른 배열의 개수?

->Burnside, G=C_4, X={일렬로 4명을 배열한 모든 경우}, |X|=24, the number of orbits이 답,

1/4*4!=3!

-회전하여 같으면 같은 것으로 간주, 정사각형에 각 꼭짓점에 black, white 둘중 1개 색칠, 서로 다른 배열의 개수?

->Burnside, G=C_4, X={일렬로 4개의 점을 색칠한 모든 경우}, |X|=16, the number of orbits이 답,

1/4*(16+2+4+2)=6

-회전하여 같으면 같은 것으로 간주, 정사각형에 각 꼭짓점에 R,G,B 셋중 1개 색칠, 서로 다른 배열의 개수?

->Burnside, G=C_4, X={일렬로 4개의 점을 색칠한 모든 경우}, |X|=3^4=81, the number of orbits이 답,

1/4*(3^4 + 3 + 3^2 + 3)=24

-회전하여 같으면 같은 것으로 간주, 정사각형에 각 꼭짓점에 R,G,B 셋중 1개 색칠, (R,G,B)=(2,1,1)개 사용된 서로 다른 배열의 개수?

->Polya, G=C_4, X={1,2,3,4}, Z(G,X)구한 다음 a_i에 (r^i + g^i + b^i)대입하여 r^2g^1b^1의 계수구하면 됨

-회전 및 대칭하여 같으면 같은 것으로 간주, 정사각형에 각 꼭짓점에 R,G,B 셋중 1개 색칠, (R,G,B)=(2,1,1)개 사용된 서로 다른 배열의 개수?

->Polya, G=D_8, X={1,2,3,4}, Z(G,X)구한 다음 a_i에 (r^i + g^i + b^i)대입하여 r^2g^1b^1의 계수구하면 됨





-About gf

-Motive:

sequence자체나 recursive formula는 양이 너무 많다. 따라서 대응되는 gf의 explicit는 간단하고 정보를 다 담고 있다.

-Basic

-From {a_n} to gf

-recursive formula 양변에 적당히 x^sth을 곱하고 더하고 하면 얻을 수 있다.

-From gf to {a_n}

-partial fraction

-About prod of gf

-A(x):gf_{a_n}, B(x):gf_{b_n}, C(x):gf_{c_n}, where c_n:=the cauchy prod of a_n and b_n일 때

A(x)B(x)=C(x)

-A(x):gf_{a_n}, B(x):gf_{b_n}, C(x):gf_{c_n}, D(x):gf_{d_n}, where d_n:=...일 때

A(x)B(x)C(x)=D(x)

-About composition of gf

Case 1(link)

a_n:=# of ways to build a certain structure on a set E, |E|=n, a_0 = 0

h_n:=# of ways to split [n] into an unspecified number of disjoint nonempty intervals, then build a structure of the given kind on each of these intervals, h_0 = 1

Then A(x):gf_{a_n}, H(x):gf_{h_n}일 때 H(x)=1/(1-A(x))


Case 2(link)

a_n:=# of ways to build a certain structure on a set E, |E|=n, a_0 = 0

b_n:=# of ways to build a second structure on a set J, |J|=n, b_0 = 1

g_n:=# of ways to split [n] into an unspecified number of nonempty intervals, then build a structure of the given kind on each of these intervals, and then build a structure of the second kind on the set of the intervals, h_0 = 1

Then G(x) = B(A(x))


-분할 관련

-gf_#ptt(n)(x) = sum over n>=0 #ptt(n)x^n 

= prod over n>=1 1/(1-x^n) = (ef(x))^(-1)(link)(link, 수렴성관련)

=1+ sum over k>=1 q^k / (1-q)(1-q^2)...(1-q^k)

=1+ sum over k>=1 q^k / (1-q^k)(1-q^(k+1))...(link)

-ef(q) = gf_(#ptt(n) with distinct even parts - #ptt(n) with distinct odd parts)(q)

-(PTT, <_lexi):total order

-(PTT, <_d):partial order

-{ptt s.t. ptt=ptt(n)}

bijective {conjugacy classes of S_[n]}

bijective {irreducible characters of S_[n]}

bijective {Ferrar diagram, boxes 개수 = n}

-gf_#ptt(n)_o = gf_#ptt(n)_d (link)

-ptt(n)_o = ptt(n)_d

-Q-analogue관련

-DF(m,n)_q관련

-analytic on unit disk on C

-(Pentagonal Number Theorem)DF(q,inf)_q = ef(q) = sum over k in [-inf,inf] (-1)^k * q^P(5,k)(link)

-Polygonal Number관련

-P(5,n)=(3n-1)*n*1/2

-

-Tableaux관련

-(Hook Length Formula)shape을 보고 가능한 ST를 count하는 formula, link참조(link)

-SST:associative monoid

-x _r> sst is a sst

-(Inverse Process of Row bumping)

:added box의 위치와 그 숫자(y)를 안다면, inverse가능(원래 sst와 무엇을 insert했는지 알 수 있음)

-y의 row 바로 윗 row에서 y보다 작은 놈들 중 가장 오른쪽에 있는 놈을 y로 바꾸고 원래 y'을 그 윗 row에 apply

(Inverse Process of Column bumping도 가능)

-(Robinson-Schested Correspondence, RS-correspondence)

:Row or Column bumping이 inversible이므로 다음의 Bijection을 얻는다. {all words of length n} bijective SST_(ptt(n)) x ST_(ptt(n)) for any ptt(n) in PTT(n)

-{all words of length n on [n]} bijective ST_(ptt(n)) x ST_(ptt(n)) for any ptt(n) in PTT(n)

-(Row Bumping Lemma)for a sst, a _r> sst with bumping route R_a by a and new box A, b _r> (a _r> sst) with bumping route R_b by b and new box B

:if a<=b, then R_b is strictly right of R_a 이고 B:strictly right of A 이고 B:weakly above A

:if a>b, then R_b is weakly left of R_a 이고 B:weakly left of A 이고 B:strictly below A

(한 경우만 외우면 나머지는 완전 반대임)

-sliding of skew sst is also skew sst

-계속하면 sst를 얻음

-(Inverse Process of Sliding)

:sliding의 result와 removed된 empty box의 마지막 위치를 안다면 inverse가능

-empty box의 left, above를 비교하여 큰것과 위치이동, left와 above가 같다면 above를 이동

-(Unique of Rect(skew sst))for any skew sst, any choice of series of inside corners, the result sst is same.

-for any sst, positive integer x, word_r(x _r> sst) is knuth equivalent to word_r(sst)x

-word_r(sst1*sst2 using def1) is knuth equivalent to word_r(sst1)word_r(sst2)

-sliding해도 word는 knuth equivalent

-Rect(skew sst) is the unique sst s.t. word_r(sst) is knuth equivalent to word_r(skew sst)

-Every word is knuth equivalent to the word of a unique sst

-word=x1x2x3...xk인 경우 xk _r> (...(x2 _r> x1)...)인 sst의 word와 knuth equivalent, 이 sst를 sst(word)라 쓰자.

(construction of sst는 위의 방법대로 하면되는데 uniqueness is not obvious)

-If word_r(skew sst1) is knuth equivalent to word_r(skew sst2), then Rect(skew sst1) = Rect(skew sst2)

-About TbR_[m]

-Z-Md, associative ring, not commutative

-TbR_[m] riso to Z[x1,x2,...xm] and as Z-Md, using f:TbR_[m]->Z[x1,x2,...,xm] f(sst)=x^sst

-K_(shape, weight)를 해석하는 방법

-정의대로, shape, weight를 가지는 sst 개수

-shape을 weight=(a1,a2,...,al), l개로 partition하는 방법의 수, 

-(Stirling's Formula)

:lim n->inf n!/{(sqrt(2*pi*n) * n^n * e^(-n)}=1, 즉 n!을 근사할 수 있음

-proof(using PD(1) and chf)(link1)(link2)

*Topological Vector Space(NVS는 따로, TVS, LCTVS, LBTVS, LKTVS까지 정리)

-TVS에서

-Basic Properties(X:TVS(F), x in X, U:open in X, E:subset of X, a in F)

-(a1+a2)E<a1E+a2E

-translation by x는 X->X인 homeo이다.

-따라서 x+U은 open, E+U도 open(for any subset E)

-local basis for 0만 알면 사실상 top모든 원소 다 아는 셈

-multiplication by a는 X->X인 homeo이다.

-aU도 open

-if U:nbd(0), then aU:nbd(0)

-f:F^n x X^n -> X, f((a1,a2,...,an),(x1,x2,...,xn))=sum of aixi일 때 f는 conti

-X:T2 iff every singleton subset is closed

-다음의 성질을 만족하는 local basis for 0(B_0)는 항상 존재

-if U1 in B_0, te U2 in B_0 s.t. U2+U2<U1 and U2:symmetric(induction쓰면 U2+U2+...+U2<U1도 가능)

-if E1,E2 in B_0, te E3 in B_0 s.t. E3<E1교E2(Basis로써 성립해야됨)

-if x in E1 in B_0, te E2 in B_0 s.t. x+E2<E1(translation이 homeo니까)

-if x in X and E1 in B_0, te a in F s.t. x in aE1(absorbing이란 소리)

-if E1 in B_0 and 0<|a|<=1, aE1<E1 and aE1 in B_0(balanced란 소리)

-(X가 T2이면)intersection of all E1 in B_0 = {0}

-X:T2이면 T3도 된다.

-cl(LS):LS

-LCTVS에서

-LBTVS에서

-LKTVS에서

-f-dim

-TVS(F):T2 iff every singleton is closed

-TVS(F)에서 || ||은 conti이다.(? || ||이란 norm인것 같은데 어떤 norm을 가리키는거지? 나중에 체크)

-f-dim LS는 closed이다.

-F=R(std)일 때만 되는 것들

-R(std)에 norm을 줄 수 있으므로 TVS(R)는 NVS(R)된다.

-F=C일 때만 되는 것들

-C에 norm을 줄 수 있으므로 TVS(C)는 NVS(C)된다.

*Normed Vector Space

-기본적인 성질들

-NVS에서 vector addition, scalar multiplication, || ||은 conti이다.

(Every NVS is TVS)

-cl(LS)도 LS(link)

-|| ||_1과 || ||_2가 equivalent하면 같은 topology를 만듦

-NVS:f-dim 

iff every closed and bdd subset is compact(link)


-f-dim NVS인 경우

-모든 norms은 equivalent(link)

-dim(NVS)=n이면 NVS tiso R^n(std)

-dim(NVS1)=dim(NVS2)=n이면 NVS1 tiso NVS2

-reflexive


-|| ||_1과 || ||_2가 equivalent하면 (NVS,|| ||_1)과 (NVS, || ||_2)는 tiso

-VS가 || ||_1에서 BS가 되고, || ||_2에서도 BS가 된다면, || ||_1과 || ||_2가 equivalent iff te C>0 s.t. ||x||_1 <= C||x||_2 for any x in VS

(즉 각 norms에서 complete되는 norms끼리는 equivalent 판단을 한방향으로만 보여도 된다.)

(증명은 identity를 이용하여 Open Mapping Theorem 적용)

-(Completion of Normed Vector Space)Every NVS has unique completion up to iiso

 (구체적으로는 BS가 존재 s.t. f:NVS->BS linear, injective, isometry, f(NVS):dense in BS인 f가 있는 것)

(혹은 dd(NVS(F))와 Ev_NVS(F)를 생각해서 Ev_NVS(F)(NVS(F))<dd(NVS(F))이고 dd(NVS(F))가 BS인건 아니까, cl(Ev_NVS(F)(NVS(F)))생각하면 됨)

-(Riesz's Lemma)(link)

:For S:proper closed linear subspace of NVS, let 0<a<1, te x_0 in NVS s.t. ||x_0||=1 and diam(x_0,S)>=a

(a=1일땐 성립 안함)

-for X:nvs1, Y:nvs2, XxY:nvs with norm ||(x,y)||:=||x||_1 + ||y||_2

-이 때 XxY:BS iff X:BS and Y:BS

 

-about BS

-(Characterization of BS(F))NVS가 complete iff every abs cv인 series가 cv(link)

-f-dim NVS는 BS이다.

-f-dim NVS에서는 임의의 two norms가 equivalent

-f-dim LS는 closed in NVS(단, base field가 R(std)이나 C일 때만, 만약 Q일 때 생각하면 성립안됨)

-BS의 closed LS는 BS이다.(complete에서 closed subset도 complete되니까)

-X:BS일 때, X:reflexive iff (X)^*:reflexive(link)


-about LT(NVS1,NVS2)인 F

-||F||

=inf{C>=0 s.t. ||F(x)||_2<=C*||x||_1}

=sup over nonzero x in NVS1 {||F(x)||_2/||x||_1}

=sup over unit x in NVS1 {||F(x)||_2}

=sup over ||x||<=1 in NVS1 {||F(x))||_2}

-TFAE(link)

-F:bdd

-F:conti at one pt in NVS1

-F:conti at 0 in NVS1

-F:conti

-F:uniformly conti on NVS1

-{x in NVS1 s.t. ||F(x)||_2<=1}:nonempty interior

-dim(NVS1)<inf이면 F:bdd

-about LT(BS1,BS2)(X:BS1, Y:BS2, U:NVS1, V:NVS2)

-(Extension of Conti Linear Map on nvs)S:dense in X, G:S->Y가 linear, bdd이면 te! F s.t. F:X->Y, linear, bdd, ||F||=||G||(link)

(G가 compact였으면 F도 compact임)

-F:X->Y가 linear, bdd이고 onto이면 for any eps>0, te a>0 s.t. {y in Y s.t. ||y||<a} < F({x in X s.t. ||x||<eps})(link)

-(Open Mapping Theorem)F:X->Y가 linear, bdd이고 onto이면 open이다.(link)

(따라서 F가 injective이기도했다면 X tiso Y)

-(Closed Graph Theorem in BS)F:X->Y가 linear일 때 F:bdd iff F has a closed graph.

-for a set E, C:={all f:E->Y s.t. sup over x in E ||f(x)||<inf}, for f in C, ||f||:=sup over x in E ||f(x)||라 할 때 (C,|| ||)은 BS가 된다.

-(Uniform Boundedness Principle)a collection C:={f:X->U s.t. f:bdd and linear}일 때 if for all x in X, sup over f in C ||f(x)||:finite이면 

sup over f in C ||f||:finite이다.(즉 x마다 bdd이면 X에서 bdd, pointwise bdd->uniform bdd)(link)

-for f:X->Y, f:strongly-strongly conti iff f:weakly-weakly conti(link)


-about LTC(nvs1,nvs2)

-VS가 된다.

-about LTCconti(nvs1,nvs2)

-NVS가 된다.

-dim(LTCconti(nvs1,nvs2)=dim(nvs1)*dim(nvs2)

-LTCconti(nvs1,nvs2):BS iff nvs2:BS(link1)(link2)

-LTCconti(nvs,F):BS(F=R(std) or C이므로 BS이니까)

-about NVS^*, Dual space관련(X:NVS(F), S:linear subspace of X)

-(Hahn-Banach Extension)for S:LS of NVS g:bdd LF(S)일 때 te f:bdd LF(X) s.t. ||f||=||g|| and f=g on S(link)

(Extension of Conti Linear Map과 비교하면, 정의역이 좀더 작아도 쓸수 있는 대신 공역이 애초에 좀더 작은 형태)

-for nonzero x1 in NVS, te bdd LF(NVS) f s.t. ||f||=1 and f(x1)=||x1||(link)

(f-dim NVS이면 LF(NVS)가 다 bdd이니까 당연)

(NVS:nonzero reflexive일 때 (NVS)^*에 적용하면 for f in (NVS)^*, te x in NVS s.t. ||x||=1 and f(x)=||x||)

-for v1,v2,...,vn:lind in nvs and a1,a2,...,an in F, te bdd LF(nvs) f s.t. f(vi)=ai

-||x_0||=sup over unit f in (nvs)^* {|f(x_0)|}=sup over ||f||<=1 in (nvs)^* {|f(x_0)|}

-for S:linear subspace of nvs, x_0 s.t. diam(x_0,S)>=a_0>=0 for some a_0, te bdd LF(nvs) f s.t. f=0 on S and f(x_0)=a_0 and ||f||<=1(link)

-for S:linear subspace of nvs,  x_0 s.t. diam(x_0,S)=a_0>0 for some a_0, te bdd LF(nvs) f s.t. f=0 on S and f(x_0)=a_0 and ||f||=1(link)

-for S:linear subspace of nvs,  x_0 s.t. diam(x_0,S)>0, diam(x_0,S)=max{|f(x_0)| over f:bdd LF(nvs), ||f||<=1 and f=0 on S}

-(nvs)^*가 separable이면 nvs도 separable(countable dense subset)(link)

-Ev_nvs는 isometry도 된다.(linear isometry)(link)

-weak^*관련

-X:reflexive iff weak^* top of X^* = weak top of X^*

-{f_n}:cv weak^* to f이고 X:BS이면 {f_n}:bdd(norm sense) and ||f||<=liminf ||f_n||

-(Alaoglu's Theorem){f in X^* s.t. ||f||<=1}:weak^* compact(link)

-E:weak^* compact iff E:weak^* closed and norm bounded(where X:BS일 때, 증명은 conti(compact):compact이랑, UBP)

-about topologies(X:NVS, top1:X를 TVS로봤을 때 top, top2:weak top from (NVS)^*, top3:induced from norm)

-top2<top3, top1<top3

-즉 weakly open이면 strongly open, weakly closed이면 strongly closed

-top2:T2(즉 hausdorff)

-for f:LF(X)일 때 f:conti in top2 sense iff f:conti in top3 sense

-for x in X, basis at x는 eps, f1,f2,...,fk in (NVS)^*로 만들어짐(유한개의 linear functional)

-top2=top3 iff dim(X)<inf(link)

-for E:nonempty convex subset, E:weakly closed iff E:strongly closed(link)

-E:stongly bdd iff E:weakly bdd(즉 bdd는 weak sense나 norm sense나 같네)(link)

-about cv weakly

-for {x_n} in X, {x_n}:cv weakly to x를 for each f in (X)^*, f(x_n):cv to f(x)로 정의가능

-for {x_n}:cv weakly to x라면, {x_n}:bdd(norm sense) and ||x||<=liminf ||x_n||

-{x_n}:cv weakly to x, and {f_n}:strongly cv to f in (NVS)*이면 {f_n(x_n)}:cv to f(x) in R(std)


-about NVS(C)(NVS(R(std))와 비교 대조 위주로)


-

-IPS(F)관련(symmetric bilinear form에서의 성질 참고)

-inner product로 norm을 만들 수 있다.

-(Cauchy-Schwarz inequality)|<x,y>|<=||x||||y||, 여기서 norm || || 은 from < >

-If X:NVS(F) with norm || || satisfying parallelogram law, then X can be IPS(F) with <x,y>:=1/4 * (||x+y||^2 - ||x-y||^2) (FC일 땐 다른 형태임)

-for E subset of IPS(F), (E)^ㅗ:closed LS and E<(E)^ㅗㅗ, (E)^ㅗㅗ:closed LS containing E

-for LS of IPS(F), LS교(LS)^ㅗ=0(direct sum은 안될 수 있음, X=direct sum of LS, (LS)^ㅗ은 안될 수 있음)

-항상 maximal orthonormal set E={e_i}이 존재한다.(countable인지를 모름)

-E^ㅗ=0

-for any x in IPS(F), x=sum over i <x,e_i>e_i

(maximal orthonormal set이 basis인건 아닐 수 있다. finite linear combination으로 표현하는게 아니다보니)

-any two maximal orthonormal sets have the same cardinality.

-(Best Approximation)for E:nonempty complete convex subset of IPS(F), for any x in IPS(F) te! x_0 in E s.t. ||x-x_0||=dist(x_0,E)

-for LS:complete of IPS(F), for any x in IPS(F), 위에서 구한 x_0에 대해 x-x_0 in (LS)^ㅗ

-(Projection Theorem)for LS:complete of IPS(F), IPS(F)=direct sum of LS, (LS)^ㅗ

-P_LS:IPS(F)->LS, orthogonal projection map 정의 가능

-P_LS의 성질

-linear

-Im(P_LS)=LS

-idempotent

-ker(P_LS)=(LS)^ㅗ

-(LS가 nonzero)||P_LS||=1

-P_LS in HLT(IPS(F))

-for LS:complete of IPS(F), (LS)^ㅗㅗ=LS

-for X:IPS(F), {x_n}:cv to x, {y_n}:cv to y일 때, <x_n,y_n>:cv to <x,y>(cv라는게 in the sense <,>)

-for D:dense subset of X:IPS(F), for all x in D <x,y>=0이면 y=0

-(Bessel's Inequality)for {u_n}:orthonormal seq in X:IPS(F), for any x in X, (sum from n=1 to n=inf |<x,u_n>|^2) <= ||x||^2

-sum from n=1 to n=inf <x,u_n>u_n이 cv to some y for any x in X

(증명은 y_m:=x - sum from n=1 to n=m |<x,u_n>|u_n , <y_m,y_m>>=0이용)

-(Gram-Schmidt Process)basis의 각 원소가 norm이 1이고 서로 orthogonal하게해서 새 basis를 얻는 process

-cl(IPS(F))(as a metric space, completion)은 HS(F)가 된다.

-IPS(R(std))에서

-f-dim에서

-for f in LT(IPS(R(std))), f:isometry iff f의 MT는 OMT

-IPS(F)가 G-Md이고 G-invariant한 inner product <,>가 있고 LS:G-subMd일 때, (LS)^ㅗ도 G-subMd가 된다.

(IPS(F)가 G-Md이고 G-invariant한 inner product <,>가 있으면, for any g in G, rep(G)(g):unitary된다.)

-IPS1(F)->IPS2(F)관련

-LT(IPS1(F),IPS2(F))관련(X:IPS1(F),Y:IPS2(F),f:LT(X,Y), c in F)

-f:preserve inner product iff f:preserve norm(link)

-Y=X일 때

-f:unitary iff te adj(f) and adj(f):inverse of f

-adj관련

-if S:subspace of X s.t. S:f-invariant and te adj(f), then S^ㅗ:adj(f)-invariant.

-f in HLT(IPS(F))일 때

-for any x in X, <f(x),x>:real

-egv(f):real

-{egv(f,egv_i)}:orthogonal(즉 다른 egv의 eigenvector는 orthogonal)

-{u_n}:countable or finite complete orthonormal seq s.t. u_n:egv(f)이면 대응되는 {egv(f)}는 모든 egv(f)를 포함한다.

             -conti인 f일 때

-||f||=sup over ||x||=1 {|<f(x),x>|}(link)

-

-IPS(F)->F(as VS(F))

-LF관련(X:IPS(F), S:subspace of X, g:S->F, f:V->F)


-IPS1(F), IPS2(F)가 f-dim일 때

-LF관련(X:IPS(F), S:subspace of X, g:S->F, f:V->F)

-f:LF일 때, for any v in X, f(v)=<v,a> for some a in X(Orthonormal basis잡고 표현한거 생각)

({b_i}:orthonormal basis일 때 a=sum ct(f(b_i))b_i라 두면 된다. )

-LT(IPS1(F),IPS2(F))관련(X:IPS1(F),Y:IPS2(F),f:LT(X,Y), c in F)

-X,Y:ipiso iff dim(X)=dim(Y)

-Y=X일 때 

-f:unitary iff f의 matrix 표현 MT_f in some ordered orthonormal basis is a UnMT    

-adj관련

-te! adj(f)

-for B={b1,b2,...,bn} orthonormal basis of X일 때, f의 matrix 표현 MT_f라 할 때 MT_f_(i,j) = <f(b_j),b_i>

-for B={b1,b2,...,bn} orthonormal basis of X일 때, MT_adj(f)=ct(MT_f)

-adj(f1+f2)=adj(f1)+adj(f2)

-adj(cf)=ct(c) * adj(f)

-adj(f1 o f2)=adj(f2) o adj(f1)

-adj(adj(f))=f

-f in HLT(IPS(F))일 때

-HS(F)관련

-for {u_n}:orthonormal seq in X:HS(F), for any x in X일 때 sum from n=1 to n=inf <x,u_n>u_n은 cv to some y in X

(증명은 cauchy인 것만 보이면 되는데 그건 Bessel's inequality의 좌항이 수렴하는 것 이용)

-for LS:closed of HS(F), HS(F)=direct sum of LS, (LS)^ㅗ

-(Riesz Representation Theorem)f:HS(F)->(HS(F))^*, f(x)=<y,x>, f가 isometrical isomorphism, 즉 HS(F) iiso (HS(F))^*, (F=C일 땐 약간 다름)

-HS(F)는 reflexive

-dim(HS(F))=inf일 때

-HS(F):separable관련

-iff |any maximal orthonormal set|=aleph_0

-any two separable infinite-dimensional HS(F) are isomorphic

-X:separable이면 for {u_n}:countable maximal orthonormal set, for any x in X일 때 sum from n=1 to n=inf <x,u_n>u_n = x

-HS1(F)->HS2(F)관련

-LT(HS1(F),HS2(F))관련(X:HS1(F), Y:HS2(F), f:LT(X,Y), c in F)

-Y=X일 때

-adj관련

-f in HLT(HS(F))일 때

-conti인 f일 때

-(Hilbert-Schmidt Theory, Main Theorems)(link1)(link2)(link3)(link4)

:dim(X)=inf이고 f(nonzero map)가 compact이고 injective이면 

-te {(u_n,v_n)} s.t.

-{(u_n,v_n)}:countable

-(u_n,v_n):eigensolution of f

-all u_n are real, gm이 finite, lim n->inf u_n=0

-all eigenvalues of f are in {u_n}

-{v_n}:complete orthonormal seq

(증명과정을 보면 dim(X):not inf여도 비슷한 얘기 가능)

-(Courant Minimax principle)

:X:HS(R)이고 f가 compact이고 strictly monotone이면 

-te {(u_n,v_n)} s.t.

-{(u_n,v_n)}:countable

-(u_n,v_n):eigensolution of f

-all u_n are real, gm이 finite, u_1>=u_2>=...>0, dim(X)=inf이면 lim u_n=0

-all eigenvalues of f are in {u_n}

-{v_n}:complete orthonormal seq

-u_m=max min <f(u),u>, where max over M in L_m = {S교L s.t. L:m-dimensional LS of X}, S={x in X s.t. ||x||=1}, min over u in M

(즉, eigenvalue를 찾는 방법 제시)

*Topology

-Space, subspace관련

-어떤 subsets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top생각가능(즉, top의 intersection은 top됨)

-top들의 collection에 의해 generated top도 생각가능

-Order Topology관련

-T4(따라서 T3,T2 이런 것도 다 됨)

-least upperbound property가 성립 iff 모든 closed interval(not singleton)은 compact

-linear continuum가 성립 iff TS가 connected

-linear continuum이 성립할 때 구체적으로는 

-V는 connected이고 따라서 전체집합, intervals, rays모두 connected됨

-locally compact

-T4

-well ordered인 경우(least upper bound가 성립)

-T5

-Subspace관련

-From TS to S

-모든 S에 대하여

-strict total order relation

-open

-closed

-basis

-closure(E<S, cl(E) in S =cl(E) in TS intersection S)

-T2

-T2.5

-T3

-T3.5

-CN

-T5

-f:X->Y, conti, S<X이면 g:S->Y도 conti

-f:X->Y, conti, f(X)<S1<Y이면 g:X->S1도 conti

-first-countability

-second-countability

-covering map(f:TS1->TS2, covering map일 때 TS2의 subspace S2를 잡고,f:f^(-1)(S2)->S2가 covering map도 된다는 것)

-S가 open in TS일 때만

-LKT2(LK만 되는지는 모름)

-S가 closed in TS일 때만

-compact

-paracompact

-LK

-lindelof

-T4

-기타

-S with induced order은 S as subspace랑 다르다. (S가 convex in TS이면 가능)

-From S to TS

-모든 S에 대하여

-f:X->S, conti, S<Y이면 g:X->Y도 conti

-S가 open in TS일 때만

-open

-S가 closed in TS일 때만

-closed

-NTS


-Product관련

-Prod(S_i) = subspace of Prod(TS_i)

-From TS_i to Prod(TS_i) (곱이 countable개이냐 아니냐/product top이냐 box top이냐 구분)

-open(box top에서만 됨)

-closed

-basis

-T2

-T3

-T3.5(product top에서만 됨)(link)

-f:TS->Prod(TS_i)의 conti(product top에서만 됨)

-seq의 수렴성(product top에서만 됨)

-connected(product top에서만 됨)

-(Tychonoff's Theorem)compact(product top에서만 됨, product를 uncountable개 하더라도)

-path-connected(product top에서만 됨)

-TS1,TS2:path-connected일 때 FHG(TS1xTS2,x1,x2) giso FHG(TS1,x1)xFHG(TS2,x2)

-Countable Prod일 때

-first-countability

-second-countability

-separable

-metrizable

-complete

-totally bdd(각 TS_n가 MetricS)

-Finite Prod일 때

-covering map

-From Prod(TS_i) to TS_i

-Using projection

-open

-f:TS->Prod(TS_i)의 conti

-seq의 수렴성

-metrizable

-connected

-T2

-T3

-T4

-Quotient Space, QS(TS,~)관련

-From TS to QS(TS,~)

-TS:connected이면 QS(TS,~):connected

-TS:path-connected이면 QS(TS,~):path-connected

-TS:locally connected이면 QS(TS,~):locally connected(link)

-TS:compact이면 QS(TS,~):compact

-TS:T3이고 E:closed in TS이면 QS(TS,E):T2(T3가 아니라 T2가 맞음)

-TS:T4이고 E:closed in TS이면 QS(TS,E):T4

-From QS(TS,~) to TS

-QS(TS,~):connected, 각 class가 connected in TS이면 TS도 connected

-LKT2관련

-LKT2의 해석방법

-compact nbd 

-pre-K open set

-TS1:LKT2 iff te TS2 s.t. TS1<TS2 and TS2-TS1 is singleton and TS2:KT2(link)

(TS1:LKT2일 때, TS2를 ocl(TS1)이라 표기하기로 하자. 왜냐하면 추가한 point가 TS1의 limit pt가 됨)

(TS2는 유일 up to homeomorphic)

(TS1:open subspace of ocl(TS1))

-E1:open containing x일 때, te E2:open containing x s.t. E2:pre-K, cl(E2)<E1(link)

-E1:open containing K일 때, te E2:open containing K s.t. E2:pre-K, cl(E2)<E1

-Baire

-CGT

-T3

-T3.5

-KT2관련(KT2도 일단 LKT2이므로 LKT2의 성질들 만족)

-isolated pt가 하나도 없으면 uncountable space이다.(link)

(isolated pt란, {pt}:open일 때, 그 pt를 isolated pt라 한다.)

-BaireS(link)

-LKT2됨(LKT2 성질들 다 만족)

-T3

-T4

-Metrizable iff second-countable

-CGT관련

-CGT의 예:LK, K, first-countable, MetricS

-f:CGT->TS가 for any K, restriction of f on K is conti이면 f는 conti

-Retract of TS관련

-TS:T2이면 Retract of TS:closed in TS(link)

-Classification of Surfaces

-Polygonal region을 pasting edges해서 얻은 space는 T2 compact connected surface가 된다.

(quotient는 compact,connected을 preserve하고, 원래 polygonal region이 2-dim이므로)

(finite polygonal regions이면 connected빼곤 다됨, quotient가 closed map이므로 T2 preserve함)

-만약 모든 vertex가 1개의 vertex로 mapping되면(by quotient), 얻어진 surface의 FHG는 

FP(Z, label개수만큼)/<scheme을 한바퀴 돈것>

-two schemes가 equivalent란, 얻어진 quotients가 homeo일 때

-scheme연산(equivalent를 얻는) 것으로는

-cut

-paste

-relabel

-permute

-flip

-cancel

-uncancel

-한개의 polygonal region으로 만든 T2 compact connected surface는 homeo S2 or n-fold torus or m-fold projective plane

-compact surface관련

-모든 compact surface는 triangulable

-모든 connected compact surface는 하나의 polygonal region을 pasting edges해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connected compact surface는 classification됨

-{n-fold torus, n=1,2,3,..} bij {compact orientable Riemann Surfaces}

-Subset관련(open, closed, compact, connected, convex, dense...)

-operation on subset관련

-cl은 monotone, commute with finite union, product

-cl취해도 변하지않는 성질들

-connected

-diam

-E의 interior, exterior, boundary는 TS를 partition함, 이때 interior, boundary는 cl(E)를 partition함

-(cl(E))^c = int(E^c)  /  (int(E))^c =  cl(E^c) (드모르간 법칙 같네)

(따라서 Baire Space의 정의를 closed sets이용해서 state할 수 있고, 혹은 open sets을 이용할 수도 있다.)

(E:dense in TS iff E^c has empty interior)

-Bd(E) = empty iff E:open and closed

-Limit point관련

-E1<E2, x:limit point of E1이면 x:limit point of E2

-Connected관련

-C가 connected TS란, 

-there is no separation이 정의

(separation (U,V)란, U와 V가 disjoint, nonempty, open, union=TS을 가리킴)

-empty set is connected

-every singleton subset set is connected

-separation G1,G2에 대해 G1의 limit pt는 G2에 속하지 않는다. (G2의 limit pt는 G1에 속하지 않는다.)

(즉 Separation은 separated sets이다.)

-TS:connected iff te no separation

-TS:connected iff clopen sets은 TS랑 empty뿐

-G1,G2:separation of TS, S:connected이면 S<G1 or S<G2

-S_i가 connected일 때, union S_i도 connected(단 common pt가 있을 때)

-(Intermediate Value Theorem)f:C->TS with order top, conti이고 f(a)<r<f(b)이면 te c in C s.t. f(c)=r

-connected component는 closed이다.

(open일 때도 있는게, component가 유한개거나, locally connected이면 된다.)

-path-connected관련(connected임을 보이는 쉬운 방법중 하나)

-TS:path-connected이면 connected이다.(역은 성립 안함)

-S_i가 path-connected일 때, union S_i도 path-connected(단 common pt가 있을 때)

-path-connected components는 connected components에 포함된다.

(S:path-connected라해서 cl(S)가 path-connected인 것은 아니다.)

(path-connected component는 closed일 필요도 없고 open 일 필요도 없다.단, locally path-connected이면 open은 된다.)

-totally disconnected관련

-Compact관련

-empty set은 compact

-compact set is closed if TS:T2

-모든 singleton set은 compact

-TS:compact iff every collection of closed sets in TS having finite intersection property, intersection of all elements in the collection is nonempty

-finite union of compact is compact

-LK

-CGT

-(Tube Lemma)

-TS1xTS2, TS2:compact, N:open in TS1xTS2 containing x_0 x TS2이면 te E s.t. N contains ExTS2, x_0 is in E, E:open in TS1

(꼭 N이 x_0 x TS2를 contain할 상황 말고도 subset x TS2형태를 contain하더라도 적용가능, 얻은 E를 union해버리면 되므로) 

-S1<TS1, S2<TS2, S1과S2 둘다 compact, N:open in TS1xTS2 containing S1xS2이면 te E1,E2 s.t. E1:open in TS1, E2:open in TS2, S1xS2 < E1xE2 < N(link)

(두번째 것이 첫번째 것을 포함하지만, 첫번째 것만으로도 자주 나오니 구분해서 적음)

-(Extreme Value Theorem):f:K->TS with order top, conti이면 te c,d in K s.t. f(c)<=f(x)<=f(d) for all x in K

-비슷한 compact관련

-compact이면 limit point compact이다.

-compact이면 lindelof이다.

-Metrizable일 땐, compact=limit point compact=sequentially compact

-limit point compact의 closed subset은 limit point compact

-paracompact관련

-TS:metrizable이면 paracompact

-TS:RTS and lindelof이면 paracompact

-TS:T2 and paracompact이면 

-TS:T4

-for any finite open cover {E_i}, te a partition of unity on TS dominated by {E_i}

-smooth mnf는 paracompact


-Convex관련(오직 Strict Total Order Relation을 가진 E에서만 생각)

-Local Property관련

-Locally Connected관련

-TS:locally connected iff every connected components of every open in TS is open

-Locally Path-Connected관련

-TS:locally path-connected iff every path-connected components of every open in TS is open

-TS:locally path-connected이면 path-connected component=connected component, 게다가 open(link)

-Locally Compact관련

-E:compact->E:locally compact

-Locally Homeomorphic관련

-every homeomorphism is local homeomorphism

-local homeomorphism은 open map, conti(link)

-bijective local homeomorphism은 homeomorphism

-f:TS1->TS2, local homeomorphism일 때 preserve하는 성질들

-TS1이 locally path-connected이면 f(TS1)도 locally path-connected

-TS1이 locally connected이면 f(TS1)도 locally connected

-TS1이 locally compact이면 f(TS1)도 locally compact

-TS1이 first-countable이면 f(TS1)도 first-countable

-Countability관련

-first-countable관련

-TS:가 first-countble이고 E<TS일 때 x:limit point of E이면 te {x_n} in E s.t. cv to x(역은 first-countability아니어도 성립)

-f:X->Y, X가 First-Countability이면 Sequentially conti->conti

-TS:first-countable이면 TS는 CGT

-Second-Countable관련

-TS:second-countable이면 모든 discrete subspace는 countable이다.

-second-countable이면 separable이다.(metrizable이면 역도 성립)

-second-countable이면 lindelof이다.(metrizable이면 역도 성립)

-second-countable이면 first-countable이다.

-TS:second-countable이고 E:uncountable이면 uncountable many pts in E는 E의 limit pt이다. 

(즉 second-countable이면 uncountable E들은 limit pts를 uncountable개 갖는다 in E)

-Lindelof

-countable TS이면 lindelof이다.

-compact이면 lindelof이다.

-Separable

-TS:separable이면 every collection of disjoint open sets는 countable

-Separation관련

-포함관계

-T0>T1>T2>T2.5>CT2>T3>T3.5>T4>T5>T6

-R>CR

-N>CN>PN

-T0(2pt, topologically distinguishable)관련

-T1(2pt, separated, separated란 each가 cl(the other)와 disjoint, or open sets으로도 해석 가능)관련

-(iff)모든 finite set은 closed

-E의 limit L iff open(L) intersection E는 infinitely many pts을 포함

(first-countability는 L을 포함하는 open set의 개수가 countable개 있음을 보장해주고, T1은 intersection의 원소가 무한개임을 보장해준다.)

-T2(2pt, separated by open nbd)관련

-seq의 limit은 기껏해야 1개

-TS:T2S iff TSxTS의 diagonal은 closed in TSxTS

-compact subspace는 closed됨

-compact와 pt는 separated by open nbd

-2 compact는 separated by open nbd

-f:TS1->TS2 conti, g:TS1->TS2 conti, TS2:T2일 때, {x in TS1|f(x)=g(x)}는 closed in TS1

(따라서 f:TS->TS conti, TS:T2일 때, fixed points의 모임은 closed in TS됨)

-T2.5(2pt, separated by closed nbd)관련

-CT2(2pt, separated by conti function)관련

-R(closed와 pt, separated by open nbd)관련

-(iff)closed와 pt에 대해 separated by closed nbd

-(iff)for any x in TS, any open U containing x, te open V containing x s.t. cl(V)<U

-(T1도 되면)T3라 한다.(T0,T1,T2 중 어느것이 되도 상관없음, 이후 일관성 때문)

-TS:T3이고 lindelof이면 T4

-TS:T3이고 second-countable이면 T4, CN, T5, metrizable, imbedded in R^N(product top or uniform top)

(metrizable임을 보일 때, TS가 imbedded in R^N (with product top or uniform top)임을 보인다.)

-CR(closed와 pt, separated by conti function)관련

-closed와 compact가 주어지면 separated by conti function 가능

(단, closed와 closed일 때까지로는 확장 못함)

-(T1도 되면)T3.5라 한다.(T0,T1,T2 중 어느 것이 되도 상관없음)

-TS:T3.5 iff TS homeo S of [0,1]^J for some J.

([0,1]^J 는 KT2됨)

-TS:T3.5 iff TS has a compactification

-TS:T3.5이면 te! SCcl(TS) up to homeo s.t. for any f:TS->KT2, conti, f can be uniquely extended to SCcl(TS), conti.

-N(2closed, separated by open nbd)관련

-TS:NTS 

iff for any closed set E1 in TS, any open E2 s.t. E1<E2, te open E3 containing E1 s.t. cl(E3)<E2(link)

iff (Urysohn's Lemma)2closed, separated by conti function(link1)(link2)

iff (Tietze Extension Theorem)for any closed E in TS, for any conti f:E->[0,1], 

f has extension g:TS->[0,1], conti, restriction of g on E=f(link)

(Tietze Extension Theorem에서 [0,1]대신 [a,b], (a,b), R(std), [0,1]^n형태도 가능)(link)

-(T1도 되면)T4라 한다.(T0는 안됨, T1,T2 중 어느 것이 되도 상관없음)

-TS:T4이고 connected이면 |TS|=1 or uncountable이다.(확인필요 꼭 T4여야하는지)

-T4

-(Existence of Partitions of Unity)for any finite open cover {E_i}, te a partition of unity on TS dominated by {E_i}


-CN(2separated sets, separated by open nbd)관련

-(iff)모든 subspace가 N

-(T1도 되면)T5라 한다.(T0는 안됨, T1,T2 중 어느 것이 되도 상관없음)

-PN(2closed, precisely separated by conti function)관련

-(iff)모든 closed set이 Gd

-(T1도 되면)T6라 한다.(T0는 안됨, T1,T2 중 어느 것이 되도 상관없음)

-Sequence관련

-Directed Set, Net, Net Convergence관련

-Net convergence를 도입시 좋은 점

-x in cl(E) iff te seq {x_n} in E cv to x(단 TS가 first-countable일 때 only if가 성립-(*))

-f:sequentially conti iff f:conti(단 domain이 first-countable일 때 only if가 성립-(*))

-TS:sequentially compact iff TS:compact(단 TS가 Metric일 때 only if가 성립-(*))

((*)에서 seq를 net으로 바꾸면 단~~ 부분이 필요없어지게 된다.)

-Map관련(Conti, Homeo, Open map, closed map, quotient map, Projection,)

-Projection의 성질

-open map(closed map는 아닐 수 있음)

-conti

-not closed(TS1xTS2->TS1에서 TS2가 compact라면 closed map됨, (link))

-conti criteria, f:X->Y

-X의 open개수가 많고 Y의 open개수가 적을수록 conti될 가능성이 높아짐

-Use closed in Y

-Use open in Y

-Use basis in Y

-Use subbasis in Y

-f(cl(E))<cl(f(E))

-Using Pasting lemma, open sets in X(uncountable개여도 상관없음)

-Using pasting lemma, finite closed sets in X

-f가 conti이면 sequentially conti(역은 domain TS가 first-countability필요)

-(Closed Graph Theorem in TS)Y:KT2일 때는, f가 conti iff the graph of f is closed in XxY가 성립(if는 K인걸 이용, only if는 T2인 걸 이용)(link)

-open map, closed map, continuous map, quotient map의 성질(f(TS1)에서의 성질들이다 continuous image관련해서는)

-f:TS1->TS2, conti,

-f:(TS1,C4(TS1))->(TS2,C4(TS2))가 conti면 MF도 된다.

-f:S(<TS1)->TS2, TS2:T2일때, extension of f on cl(S)는 unique(link)

-f(connected)=connected

-f(compact)=compact

-f(path-connected)=path-connected

-f(lindelof)=lindelof

-f(dense)=dense

-f(separable)=separable

-f:open이기도 하면

-f(basis)=basis of f(TS1)

-f(locally compact)=locally compact

-f(first-countable)=first-countable

-f(second-countable)=second-countable

-f:surjective이면 f:quotient map

-f:closed이기도 하면

-f(T4):T4(link)

-f:surjective이면 f:quotient map

-TS2:order top이고, g:TS1->TS2, conti일 때, {x in TS1|f(x)<=g(x)}:closed in TS1, h=min(f,g):conti(link)

-f:quotient map일때

-restriction of quotient map to class or union of classes

-class or union of classes가 open혹은 closed였으면 restriction도 quotient

-quotient map이 open or closed map이었으면 restriction도 quotient

-f:injective이기도하면 f:homeomorphism

-(Characteristic Property of Quotient Map)

:g:TS2->TS3:conti iff g o f:conti

-f:TS1->TS2, closed

-TS1:T1이면 f(TS1):T1

-U:open in TS1, E2:subset in TS2, s.t. f^(-1)(E2)<U이면 te V:open in TS2 s.t. E2<V, f^(-1)(V)<U(link)

-proper map관련

-TS2가 first-countable이고 pt마다 pre-K nbd를 가지고 f:proper conti이면 f는 closed

-f:TS1->TS2, proper되기위한 충분조건

-TS1:compact and TS2:T2이고 f가 conti이면 f는 proper

-f가 proper이고 E<TS1이 saturated wrt f일 때 restriction of f on E는 proper

-TS1,TS2가 T2이고 f가 conti이고 te g:left inverse of f s.t. g:conti이면 f는 proper


-Topological Properties관련

-모음

-connectedness

-compactness

-local connectedness

-metrizability

-first-countable

-second-countable

-lindelof

-separable

-fundamental group(giso일 듯? 이후 수정)

-Compactification관련

-TS has a compactification TS2이면 TS는 T3.5

-Functions Collection관련(혹은 Functions Seq관련)(Domain과 Range에 Metric이 없어도 되는 경우)

-fC(J,TS)에서(top of pt cv정의가능)

-seq {f_n} in fC(J,TS) cv in the top of pt cv iff {f_n}:pt cv.(fC(J,TS)의 product top과도 같음)

-fC(TS1,TS2)에서

-fCconti(TS1,TS2)에서(KG-top정의가능)

-top of pt cv < KG-top

-eval:LKT2 x fCconti(LKT2,TS) -> TS는 conti




-With Measure

*Algebraic Topology+Differential Geometry

-Homotopy, Homotopy of Paths관련

-about =_homotopic

-equivalence relation을 만든다

-f1 =_homotopic f2 of TS1 into TS2, g1 =_homotopic g2 of TS2 into TS3일 때 g1(f1) =_homotopic g2(f2)(link)

-TS1->R^2(std)인 경우

-straight-line homotopy를 통해서 임의의 conti function f1,f2가 =_homotopic임을 알 수 있다.

-특히 f1, f2의 image가 convex set에서만 생긴다면 straight-line homotopy의 image모두 convex set안에 유지

-about [TS1,TS2]

-[TS1, [0,1]] has a single element(link)

-[[0,1], path-connected TS] has a single element(link)

-TS2:contractible이면 [TS1,TS2] has a single element(link)

-TS2:path-connected더라도(contractible보단 약한), TS1:contractible이면 [TS1,TS2] has a single element(link)

-about contractible

-contractible TS는 path-connected이다.(link)

-TS1:contractible iff for any TS2, for any f:TS2->TS1, g:TS2->TS1, 둘다 conti, f =_homotopic g

-TS:contractible이라해서 strong deformation retract singleton이 존재하는건 아님, zigzag예 생각

-about =_phomotopic(1개의 TS의 성질 관심)

-equivalence relation을 만든다.

-path1의 final이 path2의 initial인 paths끼리 product연산(*)을 줄 수 있다.

(별말없이 path1*path2라 썻다면 path1의 final=path2의 initial인 상황)

-[path1]*[path2]=[path1*path2]로 정의하면 phomotopic classes에 product연산(*)을 줄 수 있다.

-phomotopy path1,path2(in TS1)에 conti인 k:TS1->TS2를 합성하면, phomotopy k(path1), k(path2)가 된다.  

-conti인 k:TS1->TS2가 있을 때 k(path1*path2)=k(path1)*k(path2)가 성립

-product연산 on phomotopic classes은 groupoid properties를 만족(link)

(group axioms가 성립하지 않는 유일한 다른점은 final과 initial이 같은 path classes사이에서만 연산된다는 점)

-path in TS를 n개의 path로 쪼개기 가능, [path]=[path1]*[path2]*...*[pathn]

-[0,1]->R^2(std)인 경우

-straight-line homotopy를 통해서 임의의 path1, path2 with same initial, final가 =_homotopic임을 알 수 있다.

-특히 path1, path2의 image가 convex set에서만 생긴다면 straight-line homotopy의 image모두 convex set안에 유지

-R^2(std)-{0}에서는 성립안함. UO1에서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path가 not phomotopic

-About Fundamental group(FHG(TS,x))

-FHG(TS,x)는 group이 된다.

-path from x to y가 있다면 FHG(TS,x)->FHG(TS,y)인 giso를 얻을 수 있다.

-TS가 path-connected이면 for any x, y in TS FHG(TS,x) giso FHG(TS,y)

(TS가 path-connected인 경우에 Fundamental Group에 대해서 이론전개하는 이유이다.)

(TS가 path-connected이면 FHG(TS,x)에서 base point 언급이 필요없을 것 같지만, base point 사이 path결정에 따라 giso가 달라지므로 일반적으로 TS가 path-connected여도 base point언급을 한다.)

-E:path-connected component(subspace)인 경우 FHG(E,x)=FHG(TS,x)가 된다.

-TS:path-connected이면 for x in TS, FHG(TS,x)가 abelian iff giso from FHG(TS,x) and FHG(TS,y)는 unique(link)

-TS:simply connected인 경우

-FHG(TS,x)=trivial

-TS의 임의의 두 paths with same initial, final인 path1, path2는 phomotopic이다.

-FHG은 topological property이다. 

(homeo:TS1->TS2, homeo(x)=y일 때 FHG(TS1,x) giso FHG(TS2,y))

-(Pre Van-Kampen Theorem)(link)

:if TS=union of E_i, E_i:path-connected and open, E_i교E_j:path-connected, te x in all E_i, then any loop in X based at x is homotopic to a product of loops based at x each of which is contained in E_i

-(Van-Kampen Theorem)

:if TS=union of E_i, E_i:path-connected and open, E_i교E_j:path-connected, te x in all E_i, 

then the homog F:FP(FHG(E_i,x))->FHG(X,x) is surjective where i_i:E_i->X, inclusion이므로 homog from i_i인 f_i:FHG(E_i,x)->FHG(X,x)이고 Universal mapping property of free product에 의해 만든 F

그리고 E_i교E_j교E_k for any i,j,k가 path-connected이면 ker(F)=the normal subgroup of FP(FHG(E_i,x)) generated by all elements of the form i_(ij)(w)i_(ji)(w)^(-1) for w in FHG(E_i교E_j,x), where i_(ij)와 i_(ji)는 inclusions:E_i교E_j->E_i, :E_j교E_i->E_j에 의해 induced homog

-(Adjoining 2-cells)(link)

-따라서 어떤 TS의 FHG를 구하고 싶을 때

-covering map

-deformation

-van-kampen

-scheme을 구한 다음, label개수만큼 UO1을 wedge product한 다음, scheme을 adjoin해서 구할 수 있다.

-FHG(P(R^2))=Z/2Z

-FHG(2-torus)=ZxZ

-FHG(Klein bottle)=FP(Z,Z)/<aabb> where Klein bottle:aba^(-1)b를 scheme으로 가지는 것

-(FHG Functor is surjective)For any G:group, te X:TS s.t. FHG(X)=G using presentation of G and adjoing 2-cells

-About homo from (h,x_0)

-h1:TS1->TS2, h1(x_0)=y_0, h1:conti이고 h2:TS2->TS3, h2(y_0)=z_0, h2:conti일 때, 

homo from (h2 o h1, x_0)=homo from (h2,y_0) o homo from (h1,x_0)

-homo from (identity,x_0)는 identity group homomorphism이다.

-h가 homeomorphism일 땐 homo from (h,x_0)는 giso가 된다. 

-h:TS1->TS2, h:conti이고 TS1:path-connected였다면 homo from (h,x_0)에서 x_0로 뭘 택하든 같은 homomorphism을 얻는다.

(path-connected까진 아니어도 TS1에서 path가 있었다면... 다음 참고 link)

-About Same homotopy type

-Homeomorphic한 2 spaces끼린 same homotopy type

(역은 성립안함, same homotopy type을 가진다 하더라도 homeo하진 않을 수 있다.)

-{TS_i}에서 same homotopy type이란 relation을 주면 equivalence relation된다.

-Fiber bundle관련

-(E,p,B):F-bundle일 때

-p^(-1)(b) homeo F

-p:open

-따라서 p는 quotient map(근데 이게 원래 정의보다 강력하지 않음, 그냥 open conti surjective로 아는게 도움됨)

-for any open V in B, (F, p^(-1)(V), restriction of p on p^(-1)(V), V)또한 f-bundle된다.

-(E,p,B):R^k(std)-vector bundle일 때

-(conti or smooth)local frame for E over V가 있으면 local section on V가 (conti or smooth)한지 판단가능, using component functions wrt given local frame(link)

-vf_U의 경우는 local frame for TM over U를 coordinate chart on M과 R^n(std)상의 partial derivatives의 inverse로 이용해서 판단가능

-cvf_U의 경우는 위의 local frame의 dual basis로 이용해서 판단가능

-(M1,p,M2):smooth R^k(std)-vector bundle일 때

-M:smooth manifold일 때, smooth R^k(std)-vector bundle만드는 방법(link)

-transition function의 정의와 성질, link참고(link)

-(M1,p1,M), (M2,p2,M)사이의 smooth bundle map f:M1->M2는 다음을 만족한다.

-f:SGS1(M)->SGS2(M)은 C^inf(M)-linear

-g:SGS1(M)->SGS2(M)이 C^inf(M)-linear이면 te smooth bundle map f:M1->M2 s.t. f=g

-p:submersion

-SGS(M2):VS(R(std)) and C^inf(M2)-Md

-(Extension of smooth local section over closed to global)for A:closed in M2, f:A->M1 s.t. smooth and section of p, U:open containing A일 때 te g in SGS(M2) s.t. g=f on A and support of g < U

-{Smooth local frame} bijective {Smooth local trivialization}(->가 어려움)(link1)(link2)

-(M1,p,M2):trivial iff it admits a smooth global frame

-for a (smooth)coordinate chart (V,g) for M2, smooth local frame for M1 over V, te a (smooth)coordinate chart (p^(-1)(V),f) for p^(-1)(V)(link)

(즉, (M1,p,M2)에서 M2에서 좌표잡겠다고 (smooth) coordinate chart on V갖고오면 p^(-1)(V)에서도 좌표논의 가능)

-(TM,p,M)관련

-vf:smooth iff for any U:open in M, for any f in C^inf(U), vf_U(f):smooth

-f:C^inf(M)->C^inf(M):derivation iff f is of the form vf_M for some smooth vector field vf

-srv-bundle of rank n where n=dim(M)

-transition function은 Jacobian matrix가 된다.

-M:parallelizable iff (TM,p,M):trivial

-VF(M), derivation의 collection으로 보면

-for F:M1->M2, smooth, vf1 in VF(M1), vf2 in VF(M2)일 때, vf1,vf2:F-related iff vf1(f o F)=vf2(f) o F for any f in C^inf(V), V:any open in M2

(즉 F-related판정을, vf를 derivation으로 보아 판정 가능)

-for F:M1->M2, diffeo, vf1 in VF(M1), te! vf2 in VF(M2) s.t. vf1,vf2:F-related(vf2(F(p))=pf_p(F)(vf1(p)))

-Lie R-A된다.

-for vf1,vf2 in VF(M), [vf1,vf2]의 계산은, 각각을 먼저 coordinate로 표현하면 쉬워진다.(link)

-Lie R-A이면서 C^inf(M)-Md인 걸 생각하면 다음 공식얻는다. 

for f,g in C^inf(M), vf1,vf2 in VF(M), [fvf1,gvf2]=fg[vf1,vf2]+(fvf1g)vf2-(gvf2f)vf1(link)

-for F:M1->M2, smooth, vf1,vf3 in VF(M1), vf2,vf4 in VF(M2), vf1,vf2:F-related and vf3,vf4:F-related일 때 [vf1,vf3],[vf2,vf4]:F-related

-(CTM,p,M)관련

-cvf:smooth iff for any U:open in M, any vf_U, (cvf,vf_U):U->R(std)가 smooth

-local frame for M over U가 있으면 local coframe을 만들 수 있다. using duality 이 때 얻은 coframe을 dual coframe to the given frame이라 함.

-for U:open in M, x in M, f in C^inf(U), df_x는 smooth cvf_(U,x)이다.

-(Properties of df)(U:open in M, f,g in C^inf(U), a,b in R(std), 

-d(af+bg)=adf+bdg

-d(fg)=fdg+gdf

-d(f/g)=(gdf-fdg)/g^2 on the set where g != 0

-if Im(f)<J, J:interval in R(std), h in C^inf(J), then d(h o f) = (h' o f) df

-df=0 iff f is constant on each component of M

-df_p(v) is the best approximation f(p+v)-f(p)

-f in C^inf(M), r:J->M, smooth curve in M일 때 (f o r)'(t) = df_(r(t))(r'(t))(link)

-for F:M1->M2, smooth, cvf2 in CVF(M2)일 때 we can define cvf1 in CVF(M1) s.t. cvf_p = pb_(F(p),F)(cvf2_F(p))

(cvf2가 smooth이면 cvf1도 smooth하게 가능)

-for F:M1->M2, smooth, g in C^inf(M2), h in CVF(M2)(link)

-pb_(F)(dg)=d(g o F)

-pb_(F)(gh)=(g o F) pb_(G)(h)

-cvf:conservative iff cvf:exact

-cvf:exact이면 cvf:closed(따라서 exacteness체크 쉬움, 게다가 모든 charts가 아니라 M을 cover하는 charts collection에 대해서만 보여도 충분함)

-cvf:closed이면 exact이다는 domain(M)의 모양에 depends

-star-convex open in R^n(std)이면 성립

-every closed cvf is exact on any simply connected manifold

-(Local Exactness of Closed Covector Fields)cvf:closed on M이면 every p in M has a nbd(p) on which cvf:exact

-for f:M1->M2, local diffeo일 때 pb_(f)은 closed cvf를 closed cvf로, exact cvf를 exact cvf로 mapping

-cvf:exact일 때 potential은 여러개 있을 수 있으나 상수만큼만 차이남





-Covering관련

-TS1:covering space of TS2 with covering map f:TS1->TS2일 때, for any y in TS2, f^(-1)(y) has a discrete topology induced from TS1

-covering map f:TS1->TS2이면

-surjective

-continuous

-f:local homeomorphism

-f:open map

-g:TS2->TS3가 covering map이고 g^(-1)(z):finite set for all z in TS3이면 f o g도 covering map(link)

-f(x1)=x2이고 

-(Existence of Lift(path), uniqueness)path:[0,1]->TS2, path(0)=x2일 때 te! lift(path) to TS1 s.t. lift(path):a path and lift(path)(0)=x1(link1)(link2)

-(Existence of Lift(phomotopy), uniqueness)F:[0,1]x[0,1]->TS2, conti, F(0,0)=x2일 때 te! lift(F) to TS1 s.t. lift(F):conti and lift(F)(0,0)=x1

(F가 phomotopy였으면 lift(F)도 phomotopy됨)

-path1:[0,1]->TS2, path2:[0,1]->TS2가 phomotopic이면 lift(path1) to TS1, lift(path2) to TS1도 photomopic

-TS1:path-connected이면 lifting correspondence_(f,x1):FHG(TS2,x2)->f^(-1)(x2)은 surjective이다.(link)

-TS1:simply connected이면 liffting correspondence_(f,x1):FHG(TS2,x2)->f^(-1)(x2)은 bijective이다.(link)

-homo from (f,x1)은 injective이다.

-S:=homo from (f,x1)(FHG(TS1,x1)), lifting correspondence_(f,x1) induce  g:FHG(TS2,x2)/S->f^(-1)(x2) and g:injective

(TS1:path-connected이면  g:bijective까지도 됨)

-l:loop in TS2 based x2일 때 [l] in S iff lift(l) to TS1은 a loop in TS1 based x1

-가장 쉬운 예: f:R(std)->UO1(subspace of R^2(std)), f(t)=(cos(2*pi*t),sin(2*pi*t))


-From TS1 to TS2

-

-From TS2 to TS1

-T2

-T3

-T3.5

-locally compact hausdorff

-compact(단, covering map f:TS1->TS2, f^(-1)(y):finite for all y in TS2인 경우만)

-Universal covering관련

-(Universal Covering이라 부르는 이유)TS1:universal covering space of TS2일 때, for any g:TS3->TS2 covering map, te h:TS1->TS3 covering map

(즉 Universal covering space는 다른 covering space를 cover한다. 즉 cover 중에서 가장 넓은 개념)

-(Existence of Universal Covering Space)if TS:connected and locally simply connected이면 te universal covering space of TS



-Retraction관련

-retraction(TS,S):conti일 때

-quotient map이 된다.

-S를 retract of TS라 부른다.

-inclusion:S->TS를 f라 하면 homo from (f,x):injective for any x in S

-Topological Group관련(*는 group의 operation으로보자)

-자주 쓰이는 함수관련

-f:TGxTG->TG, f(g1,g2)=g1*(g2)^(-1):conti

-conjugation by g, left multiplication by g, inversion, 3개다 TG->TG인 homeo

-{all SME(e)}는 nbd basis됨, 즉 for any nbd(e), te nbd2(e) in {SME s.t. SME=nbd(e)} s.t. nbd2(e)<nbd(e)

-left multiplication by any element가 homeomorphism이므로 {all SME(e)}만 이용하면 많은 문제 해결됨

-TG가 discrete top을 가진다 iff {e}:open

(포인트는 이 명제 자체가 아니라, TG에서는 nbd(e)에 대해서만 생각하면 된다는 것이 포인트)

-for any g in TG, for any nbd(g), te SME(e) s.t. SME(e)*g*SME(e) < nbd(g)

-for any nbd(e) and n:자연수, te SME(e) s.t. (SME(e))^n < nbd(e)

-For any subset E, cl(E)=intersection E*SME(e) over all SME(e)=intersection SME(e)*E over all SME(e)=intersection SME(e)1*E*SME(e)2 over SME(e)1, SME(e)2

-cl(subTG):subTG(subgroup이 된다는 게 포인트)

-cl(NS):NS(normal이 유지된다는 게 포인트)

-Topological Manifold관련

-smoothness는 not topological property

-T2가 정의상 필요한 이유는 TS에서 T2가 필요한 것과 마찬가지, limit의 유일성, finite set의 closedness가 필요

-Second-countable이 필요한 이유는 partitions of unity의 존재성보일 때 등등 

-top n-mnf이 동시에 top m-mnf이 될 수는 없다.(Invariance of Domain참고)

-모든 top n-mnf 

-has a countable basis of pre-K coordinate balls

-locally compact

-locally path-connected(이것이므로 아래 3개가 성립)

-locally connected

-top n-mnf:connected iff top n-mnf:path-connected

-path-connected components = connected components

-connected components가 각각이 모두 open subset이고 top n-mnf가 된다.

-connected components의 개수가 at most countable

-for any x in top n-mnf, |FHG(top n-mnf,x)|:countable

-Smooth Manifold관련(Topological Manifold+Smooth Structure)


-T4

-second-countable

-paracompact

-homeomorphic인데 not diffeomorphic인 mnf들이 존재한다. 즉 mnf를 구분 짓는데에 smooth structure도 필요

-smooth chart는 모두 diffeo이다.(공역을 치역으로 제한하면)

-function on mnf(M:mnf)

-C^inf(M)은 VS(R(std))이다.

-for smooth f:M1->M2, pb(f):unital homor가 된다.

-(Fundamental Theorem for Line Integral of cvf)for f in C^inf(M), r:[a,b]->M, piecewise smooth curve in M일 때 

lint over r df = f(r(b)) - f(r(a))

-(Existence of Smooth Partitions of Unity)for any open cover {E_i}, te a partition of unity {f_i} on TS dominated by {E_i}

(적당한 C^inf(M) 원소 잡을 때 쓰임)

-(Existence of Bump Function)for any U:open in M, A:closed in U, te f:smooth bump function for A supported in U(Partitions of unity쓰면 됨)

-(Extension Lemma)for any U:open in M, A:closed in U, f:A->R^k(std), smooth일 때 

te F:M->R^k(std) s.t. restriction of F on A = f and support of F < U

-(Inverse Function Theorem for Manifolds)

(가정을 smooth말고 C^1으로 줄일 수도 있을 듯)

:f:M1->M2가 smooth이고 pf_p(f)가 bijective이면 te nbd(p) and nbd(f(p)) s.t. f|nbd(p)는 diffeo 게다가 pf_(f(p))(f^(-1))=(pf_p(f) )^(-1)

(만약 g:M1->M2, smooth, immersion and submersion이면 g:local diffeo를 알 수 있다.)

(pf가 원래 smooth map에 영향을 주는 예가 된다.)

-(Rank Theorem for Manifolds)

:for dim(M1)=m1, dim(M2)=m2, f:M1->M2가 smooth with constant rank k 

for each x in M1, te smooth charts (V1,g1) for M1 centered at x and (V2,g2) for M2 s.t. (g2 o F o g1^(-1))((x1,x2,...,xm))=(x1,x2,...,xk,0,0,...,0)

(즉 smooth map이 아주 간단해짐, 그리고 image가 rank-dimensional, 이 theorem때문에 rank가 의미가 있는 것)

(마찬가지로 pf가 원래 smooth map에 영향을 주는 예가 된다.)

-for smooth f:M1->M2, M1:connected, TFAE

-for any p in M1, te smooth charts (V1,g1) containing p, (V2,g2) containing f(p), s.t. (g2 o F o g1^(-1))((x1,x2,...,xm))=(x1,x2,...,xk,0,0,...,0) for some k

-F has constant rank

-for smooth f:M1->M2, S:embedded submanifold of M2, Im(f)<S이면 f:M1->S도 smooth

-for smooth f:M1->M2 with constant rank

-f가 surjective이면 f는 submersion

-f가 injective이면 f는 immersion

-f가 bijective이면 f는 diffeomorphism

-(Equivariant Rank Theorem)

:M1:transitive smooth LG-space, M2:smooth LG-space, F:M1->M2 smooth, equivariant이면 F has constant rank, 

그리고 level set은 closed embedded submanifolds of M1

-submersion관련(f:M1->M2가 submersion)

-product of mnfs->mnf, projection과 srv-bundle의 map p가 대표 submersion예

-closed under composition 

-f:open map

-every p in M1 is in the image of a smooth local section of f 

-if f:surjective, then f:quotient map

-for g:M2->M3, if f:surjective submersion, then g:smooth iff g o f:smooth

-for f:surjective submersion, if g:M1->M3:smooth, constant on the fibers of f, then te! h:M2->M3 s.t. h:smooth and h o f = g

-(uniqueness of smooth manifold quotient by surjective submersion)

:for f1:M1->M2, f2:M1->M3, 둘다 surjective submersions s.t. constant on each other's fibers, te! g:M2->M3 s.t. g:diffeo, g o f1 = f2

-immersion관련

-smooth curve f:interval->mnf with f'(t):nonzero for all t in interval이 대표 immersion예

-closed under composition 

-f:M1->M2가 immersion이면 locally embedding이다.(for any p in M1, te nbd(p) in M1 s.t. restriction of f onto nbd(p):smooth embedding)


-smooth embedding관련

-inclusion:mnf->product of mnfs가 대표 smooth embedding예

-for smooth embedding f:M1->M2, M1 diffeo f(M1)

-f:M1->M2가 injective immersion이라해서 smooth embedding되지 않는다.(link)

(M1이 compact or f:proper란 조건이 붙으면 smooth embedding됨)

-closed under composition 

-function on C^inf(M)(M:mnf, p in M)

-for smooth f:M1->M2, pb(f):C^inf(M2)->C^inf(M1), pb(f)(g)=g(f))

-tgs_p(M):VS(R(std))

-tgs_p(M), tv_p의 성질

-for any constant f in C^inf(M), tv_p(f)=0(link)

-for any f, g in C^inf(M) s.t. f(p)=g(p)=0, tv_p(fg)=0(link)

-(tgs_p is purely local)for any tv_p in tgs_p(M), any f, g in C^inf(M) s.t. f=g on a nbd(p) 일 때 tv_p(f)=tv_p(g)(link)

-(tgs_p(open submnf) iso tgs_p(M) as VS(F))U:open submanifold이고 i:inclusion of U일 때, pf_p(i)는 isomorphism (as VS(F)) for any p in U(link)

-f:M1->M2가 local diffeo면 pf_p(f)는 isomorphism for any p in M1

-따라서 f:submersion and immersion도 됨

-for V:f-dim VS(R(std)), any p in V, te F:isomorphism from V to tgs_p(V) 

s.t. for any g in LT(V,W), pf_p(g) o F = G o g where G:isomorphism from W to tgs_g(p)(W)(즉 commute하게)

(따라서 V:f-dim VS(R(std))의 경우 일단 a in V를 택하면 for v in V, v can be identified with D_(*,v)(a) as derivation)

-(Chacracterization of tgs_p(M), using curves)

every tgv_p is the tangent vector to some smooth curve in M

(따라서 tgv는 derivation으로 이해하나, 혹은 M상의 smooth curve의 접vector로 이해하나 가능)

-(tgs of product mnfs)tgs_(p,q)(M1xM2) iso tgs_p(M1) x tgs_q(M2) as vector space


-function on tgs_p(M)(M:mnf)

-pf_p(f)의 성질(f:M1->M2, smooth, p in M1, g:M2->M3, smooth)

-pf_p(f):tgs_p(M1)->tgs_f(p)(M2)

-for g:tv_p, h in C^inf(M2), pf_p(f)(g)(h)=g(h(f)))

-pf_p(f):linear

-pf_p(g o f)=pf_f(p)(g) o pf_p(f)

-if id:identity on M, then pf_p(id)=identity on tgs_p(M)

-if f:diffeo, then pf_p(f):isomorphism from tgs_p(M1) to tgs_f(p)(M2)

-for any smooth chart (U,g), pf_p(g):tgs_p(M)->tgs_g(p)(R^n(std)), diffeo이다.

(따라서 for p in M, tgs_p(M)의 basis는 tgs_g(p)(R^n(std))의 basis의 inverse로 사용)

(for p in M, ctgs_p(M)의 basis는 위의 basis의 dual basis로 사용)

-pf(f)는 smooth bundle이 된다. TM->TN

-실질적인 계산 관련

-tgs_p(M)의 basis는 p에서의 coordinate system(즉 smooth chart)를 잡으면 해결됨(link)

-chart를 2개를 잡았다면(link)

-f:M1->M2 smooth, pf_p(f)는 p에서의 coordinate system과 f(p)에서의 coordinate system을 잡으면 pf_p(basis의 원소)가 어떻게 적히는 지 앎(link1)(link2)

-ctgs_p(M)의 basis는 p에서의 coordinate system를 잡으면 해결됨, chart를 2개 잡았을 때도 참고(link)

-for f in C^inf(U), df_p의 coordinate(link)

-submanifold관련(M:n-mnf, E:a subset of M)

-embedded k-submanifold관련

-if for some k, every p in E has nbd(p) in M s.t. nbd(p)교E:embedded k-submanifold of nbd(p), then E:embedded k-submanifold of M

(UOn이 embedded n-submanifold of R^(n+1)(std)임을 보일 때 사용됨, 즉 local에서 embedded submanifold만족하면...전체 subset도 된다는 것)

-E:embedded k-submanifold일 때, E:k-mnf(top k-mnf with subspace top, inclusion map E->M가 smooth embedding되게 smooth structure가짐)

(역 성립, smooth embedding의 image는 embedded submanifold가 된다.) 

(위의 2 내용을 요약하면 embedded submanifolds are precisely the images of smooth embeddings)

-inclusion:E->M생각하면, pf_p(inclusion):tgs_p(E)->tgs_p(M), injective linear이니까 tgs_p(E) can be viewed as subspace of tgs_p(M)

-(Characterization tgs_p(E) as a subspace of tgs_p(M))

:for E:embedded submanifold and x in E, tgs_p(E)={X in tgs_p(M) s.t. Xf=0 for any f in C^inf(M) and f=0 on E}

-(Construct embedded submanifold, Graph)

:if U:open in R^n, F:U->R^k가 smooth이면 then the graph of F는 embedded n-dimensional submanifold of R^(n+k)

-(Constant-Rank Level Set Theorem)

:f:M1->M2 smooth with constant rank k일 때 level set of f는 closed embedded submanifold of codimension k.

-(Regular Level Set Theorem)

:f:M1->M2 smooth일 때 every regular level set은 closed embedded submanifold whose codimension is equal to the dimension of the range.

-(Characterization of embedded submanifold)

:E:embedded k-submanifold iff every p in E has a nbd(p) in M s.t. E교nbd(p) is a level set of a submersion F:nbd(p)->R^(n-k)(std)

-embedded submanifold 판정법

-정의대로

-image of smooth embedding으로써

-graph으로써

-level set으로써

-immersed k-submanifold관련

-immersed submanifolds are precisely the images of injective immersions.

-(Characterization tgs_p(E) as a subspace of tgs_p(M))

:embedded submanifold처럼 가능, 왜냐하면 smooth immersion의 image이므로

-covering관련(M:mnf(n-mnf), f:M1->M2 smooth covering map)

-f:immersion and submersion

-f가 injective이면 diffeo이다.

-(local continuous section of f의 존재성)for any x in M1, te nbd(f(x)) and g s.t. g:nbd(f(x))->M1, conti, f o g =id_nbd(f(x))

-for any M3, g:M2->M3:smooth iff g o f:smooth 

-g:M1->M2가 proper local diffeo이면 g는 smooth covering map이다.

-if g:M1->M2가 topological covering map then M1:top n-mnf and M1 has a unique smooth structure s.t. g:smooth covering map.

-Complex Manifold관련

-any connected open subset of a Riemann surface is a Riemann surface

-Riemann surface is 2-dim C^inf manifold로 간주 될 수 있다.(여기서 2-dim 은 over R)

(왜냐하면 모든 holomorphic은 analytic이고 따라서 f(z)=u(z)+iv(z)를 f(x,y)=(u(x,y),v(x,y))로 보면 f:holo이면 f는 C^(inf))

-Every Riemann surface is orientable(transition map들이 holomorphic이고 derivative가 nonzero이므로 conformal되니까)

-Every Riemann Surface is an path-connected 2-dimensional C^inf real manifold

-Every compact Riemann surface is diffe to the g-holed torus, for some unique integer g>=0(g를 topological genus라 한다.)

-Lie Group관련

-EDP(LGi)도 LG(연산은 componentwise)

-LG:parallelizable(Lie(LG)의 basis생각)

-act_M by LG관련

-LG:discrete일 때 M:smooth LG-space iff for any g in LG, act_M by g:smooth

(즉 discrete LG action경우 smooth 판정이 쉽다.)

-LG-space관련

-for any g in LG, act_M by g는 homeo

-f:LG1->LG2, homoLG일 때 LG1:smooth LG1-space(left multiplication), 이 action과 f로 act_LG2 by LG1가능, 그러면 f는 equivariant됨(link)

-smooth LG-Space관련

-for any g in LG, act_M by g는 diffeo

-for LG, LG itself smooth LG-space(left multiplication)

-Lie(LG)관련

-Lie(LG):Lie subalgebra of VF(LG)

-Lie(LG) isomorphic tgs_e(LG) as vector spaces(link)

-dim(Lie(LG))=dim(LG)

-LG:abelian이면 Lie(LG):abelian

-f:LG1->LG2, homoLG이면 g:Lie(LG1)->Lie(LG2), lie algebra homo를 얻는다.

-vf,g(vf)는 f-related가 된다.








*Metric Space

-Space, Subspace, Subset관련

-(MetricS,d)에서의 성질

-any subset E is the intersection of open sets(countable intersection아닐 수 있음)

(주의:U_n := Union ball(x,1/n) for x in E, Intersection U_n is not E, but cl(E))

-any open set is an countable union of an increasing closed sets

-any closed sets is an countable intersection of an decreasing open sets

-First-Countability

-CGT

-T6

-(MetricS,d):totally bdd이면

-bdd이다.

-totally bdd under d iff totally bdd under d_sb

-S도 MetricS됨(전체 Space의 d를 restriction)

-모든 compact set은 bdd and closed

(역은 성립안함)

-compact=limit point compact=sequentially compact

-seq {x_n} in (MetricS,d)가 cauchy이면 te subseq s.t. d(x_n_k+1,x_n_k)<=2^(-k)(link)

-seq {x_n} in (MetricS,d)가 cauchy이고 subseq가 cv이면 seq {x_n}도 cv(link)

-CMetricS의 성질

-(Baire Category Theorem in CMetricS)X:CMetricS이면 X:Baire(link)

-C=a collection of f:CMetricS->R(std), conti이고 for any x in X, te M_x s.t. |f(x)|<=M_x for all f in C라면

te open U in X and te M s.t. |f(x)|<=M for all f in C and all x in U(link)

-complete is not top property

-CMetrics의 closed S도 CMetricS됨

-(MetricS,d)가 complete iff (MetricS,d_sb)가 complete

-(MetricS,d)가 complete iff every cauchy seq {x_n} in MetricS has a cv subseq.

-(MetricS,d)가 complete iff every nested seq {E_n} of nonempty closed subsets s.t. diam(E_n)->0, the intersection of E_n is nonempty.

-for any MetricS, te isom(MetricS,S of completion of MetricS), uniquely up to isom

-(Banach Fixed Point Theorem)

:CMetricS의 complete subset E, f:contraction on E일 때, f는 fixed point을 유일하게 갖고, iteration으로 얻어진다.

-KMetricS의 성질(KMetricS,d)

-(Heine-Borel Theorem)(MetricS,d):compact iff (MetricS,d):complete and totally bdd

-(Lebesgue Number Lemma)for any open covering, te delta>0 s.t. diam(E1)<delta이면 te E2 in the covering s.t. E1<E2(link)

-compact이므로 lindelof

-lindelof인데 metric이므로 second-countable

-complete

-LKT2, KT2의 성질들 모두 만족

-Metric관련

-metric d is conti(link)

-metric d가 induce한 top은 d가 conti가 되게하는 the smallest top이다.

-metric d와 d_sb는 같은 topology를 induce한다. 

-d(x,E)=0 iff x is in cl(E)

-d(x,K)=d(x,a) for some a in K

-d(E1,E2)=0, E1:closed, E2:closed, E1,E2:disjoint일 수 있다. (R^2(std)에서 xy=1과 x축 생각)

-{x|d(x,E)<eps}=union of the open balls {x|d(a,x)<eps} for a in E(따라서 open)

-d(x,E):TS->R>=0 is conti

-K<open1이면, te open2 s.t.K<open2<open1 and open2={x|d(x,K)<eps}

-F1과 F2가 disjoint closed인데 d(E1,E2)=0일 수도 있다.

-isom(MetricS1,MetricS2)는 imbedding이고 따라서 isometric imbedding이라 하기도 함

-diam(E)의 성질

-monotone

-E1교E2 is not empty 이면 diam(E1UE2) <= diam(E1)+diam(E2)

-diam(E)=diam(cl(E))

-Continuous, Map관련

-MetricS에서의 conti criteria

-f:(MetricS1,d1)->(MetricS2,d2) conti <-> eps-delta definite이용((MetricS2,d2)가 R(std)일 때 주로 도움)

-f1:TS->R(std), f2:TS->R(std), f1 + f2, f1 - f2, f1 * f2, f1 / f2 모두 conti 

-(Characterization of Closed Graph)(link)

:f:(MetricS1,d1)->(MetricS2,d2) has a closed graph iff if {x_n}:cv to x in MetricS1 and {f(x_n)}:cv to y in MetricS2 then y=f(x).

-compact metric space의 성질(KMetricS,d)

-(Uniform Continuity Theorem)f:KMetricS->MetricS가 conti이면 uni conti

-Functions collection관련(혹은 functions seq관련)(Range에 Metric이 있는 경우)

(Functions collection관련 in topology도 참고)

-for U:open in TS, A:closed in U, f:TS->R(std):conti, f:bump function for A supported in U란, 0<=f<=1 on TS, f=1 on A, support of f < U

-fC(J,MetricS)에서(uni cv, pt bdd, d_uni정의가능)

-fC(J,CMetricS)는 CMetricS됨 using d_uni(link)

-(d_sup)_sb=d_uni, when d_sup이 정의될 때

(d_sup이 정의되면, d_sup으로 논하는게 마음 편함, d_uni는 복잡함)

(즉, d_uni(f1,f2)=min{d_sup(f1,f2),1})

-fC(TS,MetricS)에서(top of K cv정의가능)

-top of pt cv < top of K cv < uni top

-seq {f_n} in fC(TS, MetricS) cv in the top of K cv iff for any K in TS, {f_n}:uni cv on K

-TS=K일 때

-top of K cv = uni top

-TS=discrete일 때

-top of pt cv = top of K cv

-fCbdd(J,MetricS)에서(d_sup정의가능)

-fCbdd(TS,MetricS)에서

-closed in fC(TS,MetricS) with uni top

-fCbdd(TS,CMetricS)는 CMetricS됨 using d_uni

-fCconti(TS,MetricS)에서(equiconti정의가능)

-KG-top = top of K cv

-(Uniform Limit Theorem)closed in fC(TS,MetricS) with uni top

-fCconti(TS,CMetricS)는 CMetricS됨 using d_uni

-E가 totally bdd using d_uni이면 E는 equiconti

-(Ascoli's Theorem)E가 equiconti, for any a in TS, E_a:={f(a) s.t. for some f in E}:pre-K in MetricS이면 

-te S of fCconti(TS,MetricS) with top of K cv s.t. E<S, S:compact

-TS=CGT일 때

-closed in fC(TS, MetricS) with top of K cv

-{f_n}:cv in the top of K cv to f이면 f도 conti

-TS=LKT2일 때

-E<S, S:compact in fCconti(TS,MetricS) with top of compact cv이면 E는 equiconti이고 for any a in TS, E_a:pre-K in MetricS

-TS=K일 때

-MetricS=KMetric일 때, E가 equiconti이면 E는 totally bdd

-MetricS:all closed, bdd subsets are compact일 때, 

-E:pre-K iff E:pt bdd, equiconti

-MetricS=R(std)일 때

-(Dini's Theorem)seq {f_n} in fCconti(TS,R(std))가 monotone, pt cv, limit f is conti이면 f_n은 uni cv 

(유사하게, seq {f_n} in fC(K in R(std), R(std)), 각각이 monotone(conti일 필요 없음), pt cv to f which is  conti on K이면 f_n은 uni cv도 된다.)

-MetricS=R^n일 때

-E:compact iff E:closed, bdd, equiconti

-(Arzela's Theorem){f_n} in fCconti(K,MetricS), {f_n}:pt bdd, equiconti이면 {f_n}은 uni cv인 subseq을 갖는다.

-fCcontibdd(TS,MetricS)에서

-fCcontiV(TS,R(std))에서

-E of fCcontiV(TS,R(std)), E:pre-K iff E:pt bdd, equiconti, vanishes uniformly at infinity

-fCcontiV(TS,C)에서

*Group Theory

-About Group, Subgroup관련

-Subgroup Criteria

-E:finite->non-empty, closed under multiplication

-E:infinite->closed under multiplication, closed under taking inverse.

-Z(G) _< C_G(~) _< N_G(~) _< G의 성질

-E

-Z(G) _< C_G(E) _< N_G(E) _< G

-C_S(E)=C_G(E)교S

-N_S(E)=N_G(E)교S

-E1<E2일 때 C_G(E2) _< C_G(E1)

-<g> _< C_G(g)

-C_G(<g>)=C_G(g)=N_G(g) _< N_G(<g>)

-C_G(E)=G iff E < Z(G)

-S

-C_G(Z(G)) = N_G(Z(G)) = G

-S _<! N_G(S)

-C_G(S) _<! N_G(S)(link)

-N_G(S)/C_G(S) giso a subgroup of Aut(S)(link)

(Aut(S)를 먼저 조사해서 N_G(S)/C_G(S)에 반영할 수 있음)

-S가 abelian이면 S _< C_G(S)

-S _< Z(G)이면 C_G(S)=N_G(S)=G이고 S _<! G이다.

-|S|=2이면 N_G(S)=C_G(S)

-S1 _< S2, S2:abelian이면, S1 _< S2 _< N_G(S1)

-NS

-C_G(NS) _<! G

-N_G(NS)=G

-|NS|=2이면 NS _< Z(G) _< C_G(NS) = N_G(NS) = G

-기타

-G/Z(G)은 Inn(G)와 giso라는게 Z(G)의 핵심

-Z(G) _<! G, Z(G)는 abelian normal subgroup of G

-C_G(G)=Z(G)=intersection over all subset A, C_G(A)

-G/Z(G) giso Inn(G)

-G/Z(G):cyclic iff Inn(G):cyclic iff G:abelian

(Generally, S _< Z(G) G/S:cyclic이면 G:abelian)(link)

-Z(G)i:char in G for any 0<=i

-S1S2의 성질

-|S1S2|=|S1||S2|/|S1교S2| (즉 S1S2의 order와 S2S1의 order가 같음, S1S2 _< G인지는 아직 모름)(link)

-S1S2 _< G iff S1S2=S2S1 iff Si _< N_G(Sj), 즉 1개가 다른 1개의 normalizer에 포함

-S1S2 _< G 이면 S1 _< S1S2 and S2 _< S1S2 and S2S1 _< G

-S1만 normal인 경우

-S1S2 _< G, S2S1 _< G(normal subgroup인지는 모름)

-S1S2=S2S1

-S1, S2 둘 다 normal인 경우

-S1S2 _<! G, S2S1 _<! G

-S1S2=S2S1인건 당연

-S1 union S2 _< G iff S1 _< S2 or S2 _< S1

-Normality Criteria

-generator에 대해서만 판단해도 충분

-Abelian Group의 모든 S는 NS이다.

-[G:S]=2이면 S는 NS이다.

-[G:S]=the smallest prm factor of |G|이면 S는 NS이다.(link)

-S _< Z(G)이면 S _<! G

-N_G(S)=G판단에 있어서 G의 generating set의 원소와, S의 generating set의 원소로만 판단해도 됨

-S:normal in G iff [S,G] _< S

-C(G) _< S이면 S는 normal(게다가 G/S는 abelian도 됨)(역도 성립)

-대표적인 normal subgroup:Z(G), C(G), Z(G)의 subgroup, normalizer, Sp(Sp는 normal 아닐 수도 있지만, normal될 때가 잦음), C(G)를 포함하는 Subgroup, 

-Characteristic

-필요조건:NS

-충분조건:given order, S is unique이면 S char G

-S1 char S2 and S2 _<! G이면 S1 _<! G

-S1 char S2 and S2 char G이면 S1 char G

-대표적인 char S:C(G), Z(G)

-(Cayley's Theorem)Every G giso S _< S_G

-G to S 보존되는 것

-abelian

-cyclic

-nilpotent(G의 upper central series에 H를 intersecting시키면 각 항은 H의 Upper central series보다 작은 걸 생각해보면 됨)

-solvable

-G to homomorphic Image 보존되는 것

-abelian

-cyclic

-nilpotent

-solvable

-G to quotient

-abelian

-cyclic

-divisible

-nilpotent

-solvable

-G_i to EDP(G_i) 보존되는 것

-abelian

-cyclic은 안됨

-nilpotent

-solvable


-Hall Subgroup관련

-NS:Hall subgroup이면 |NS|=|S|인 S는 NS뿐이다.(link)

(Hall subgroup이 NS인 경우에 적용가능함, NS인 것도 중요함)


-기타 성질들

-S1교S2는 subgroup된다.

-NS1교NS2는 normal subgroup된다.

-임의의 subgroup S는 S_[n]의 subgroup과 isomorphic하다.(S_[n], 중요)

-

-About Homomorphism관련

(homog:G1->G2, S1 _< G1, S2 _< homog(G1) _< G2, NS1 _<! G1, NS2 _<! homog(G1))

-homog(S1) _< homog(G1)

-homog^(-1)(S2) _< G1

-homog(NS1) normal in homog(G1)

-homog^(-1)(NS2) normal in G1

(즉 S2, NS2든 homog(G1)에서 생각하면 된다.)

-|homog(g1)| | |g1|

-|homog(G1)| | |G2|, |homog(G1)| | |G1| 

(따라서 |homog(G1)| | gcd(|G1|,|G2|) 이다.)

-|homog^(-1)(G2)| | |G1|

-|G1| | |G2|*|Ker(homog)| (이 자체는 너무 강함, Factor Group으로서 order 세는 것을 상기하는게 포인트)

-About Group Action관련

-Ker(act) _< G_x _< G

-Ker(act) _<! G

-G/Ker(act) acts faithfully

-te act iff te homog by act(G->S_J)

-|O_x|= [G:G_x]

(O_x도 G의 약수여야 한다는 점)

-g*x1=x2라면, G_x2=gG_x1g^(-1)(link)

(즉, 같은 orbit안에 있었다면, stablizer가 서로 conjugate하고, 따라서 stablizer의 order도 서로 같다.)

(G=1이면 역은 성립 안함)

-G=S_[n], J=[n]일 때

-transitive, faithfully

-|G_i|=(n-1)!, O_i=[n]

-for g in S_[n], act_[n] by <g>의 orbits은 g의 cycles가 나온다.

-G:permutation group on J

      -(Burnside)the number of orbits = the average number of points fixed by an element of G(link)

-left multiplication action

-G=G, J=G, g1 act g2=g1*g2일 때

-G_g={e}

-G=G, J={left cosets of S}, g1 act g2S =g1g2S일 때

-Transitively, 따라서 Orbit은 1개뿐

-G_S=S

-G_(g1S)=g1Sg1^(-1)

-ker(act)는 S에 포함되는 가장 큰 normal subgroup이 된다.

-|G|는 {[G:S]!*|S에 포함되는 가장 큰 normal subgroup|}을 나눈다. 

-Conjugation action

-G=G, J=P(G), g act E =g*E*g^(-1)일 때

-G_E=N_G(E)

-[G:N_G(E)]:the number of the conjugates of E

-S giso (g act S)

-ker(homo)=Z(G)


-G=G, J=G, g1 act g2=conj(g2), 특히 g1*g2*(g1)^(-1)

-G_g=N_G(g)=C_G(g)

-|g|=|g1 act g|

-homo by act에 대해서, Ker(homo)=Z(G) and G/Z(G) giso Inn(G)

-Z(G)의 원소들의 orbit은 singleton set

-(Class Equation)|G|<inf일 때, |G|=|Z(G)|+sum [G:C_G(g_i)]

-NS _<! G일 때, 임의의 conjugacy class E는 E교NS=empty or E<NS이다.

-G=S_[n], J=S_[n]일 때(아래 Examples란과 중복될 수 있음)

-g2=(a1,a2,a3...)(b1,b2,b3)...로 cycle decomposition, g1*g2*g1^(-1)=(g1(a1),g1(a2),...)(g1(b1),g1(b2)).... 

(cycle decomposition이란, (1~~~)(이전 cycle에 안나온 제일 작은 걸로 시작 ~~~)(이전 cycle에 안나온...))

-g1=conj(g2) iff g1과 g2가 같은 cycle type을 가짐

(cycle type이란 cycle decomposition한 후에 cycle length가 큰것부터 나열했을 때(disjoint cycle은 commute이므로)의 cycle length 수열, 길이가 1인 cycle도 적는다. 그렇게 하면 f:S_[n]->{ptt(n)}

-S_[n]의 conjugacy classes의 개수는 #ptt(n)과 같다.(link)

(g:{conjugacy classes}->{ptt(n)} is bijection)

(for a f:ptt(n), f=(a1번,a2번,...,an번), f를 cycle type으로 갖는 S_[n]원소개수는 n!/(1^a1 2^a2 ... n^an (a1!a2!...an!)))

(즉 한 conjugacy class안의 원소개수를 앎)

-E가 singleton이면 |C_(S_[n])(E)|구할 수 있음

-g가 commutator와 같은 cycle type을 가지면 conj(g)도 commutator가 된다.

-G=G, J=NS, g1 act g2 = g1*g2*g1^(-1)

-G_g=N_G(g)=C_G(g)

-for each g in G, conjugation by g is in Aut(NS)

-homo by act:G->S_NS인데, range를 줄여 G->Aut(NS)만 생각가능, Ker(homo)=C_G(NS)

(이때 conjugation by g on NS는 Aut(NS)의 원소이지만, Inn(NS)의 원소는 아닐 수 있다.)

-About Generator, Order관련

-abelian인지, normal인지 판단은 generator에 대해서만 해도 충분

-order(g)=order(conj(g))

-order(g1*g2)=order(g2*g1)

-order(g)=n일 때, order(g^a)=n/gcd(a,n)

-order(g)=n일 때, <g>의 generator는 ephi(n)개

-|G|=n and G:cyclic, m|n이면 te! S s.t. |S|=m(link)

-(Lagrange's Theorem)|G|<inf일 때, |S| | |G|, [G:S]=|G|/|S|

(G의 모든 S가 NS이면 Converse가 성립, 예를 들면 abelian인 경우)(link)

(p_n=prm, |G|=(p_1)^alpha1 * (p_2)^alpha2 ..., order가 (p_1)^alpha1, (p_1)^alpha1-1, ... 인 subgroup 존재, Sylow의 강한버전)

-|G|=prm이면 G giso Z_prm

-(Cauchy's Theorem)|G|<inf, prm||G|이면 G has an element of order(prm).(link)

-(Fundamental Theorem of Finitely Generated Abelian Groups)G:finitely generated abelian이면 free rank와 list of invariant factors가 유일하게 결정되고 invariant factor decomposition이 가능(반대로 list of invariant factors와 free rank만 결정해주면 finitely generated abelian group 1개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

(따라서 finite abelian of order n은 n만 소인수분해해버리면classification가능 by making list of invariant factors)

(invariant factor (n1,...,nk)가 만족해야될 것은, 각각이 2보다 같거나 큰 정수이고, n(i+1)|ni를 만족)

-(Sylow's Theorem)(특정 order의 G이 not simple임을 보일 때 자주 사용)

-Sp는 항상 존재한다.(link)

(더욱 강력한 명제는, |G|=p^n*m, (hall divisor, p:prm), te S s.t. S _< G and |S|=p^k, for k=0,1,...,n)(link)

-p-S, Sp에 대해서, te g in G s.t. p-S _<g(Sp)g^(-1)(특히 Sp1과 Sp2 2개는 반드시 conjugate and giso)(link)(link)

(Sp1과 Sp2는 같은 p에 대해서 얘기, S(p1)과 S(p2)는 다른 p에 대해서 얘기)

-#Sp=[G:N_G(Sp)] ≡ 1 (mod p)(link)(link)

-if #Sp !≡ 1 (mod p)이면 te distinct P:Sp, R:Sp s.t. [P:P교R]=[R:P교R]=p(link)

-Theorem 증명 순서

-Cauchy's Theorem for abelian

-Sylow's Theorem, Existence

-Cauchy's Theorem for general

-Sylow's Theorem, 강력한 명제

-Sylow's Theorem, p-S관련

-Sylow's Theorem, #Sp

-TFAE

-#Sp=1

-Sp:NS

-Sp char G

-All subgroups generated by elements of prm power order are p-G

-Sp의 성질들

-for NS of G, Sp of G일 때 NS교Sp:sylow p-subgroup in NS(link)

-for NS of G, Sp of NS일 때, G = NS N_G(Sp) (join) (link)

-for Sp of G, S:p-subgroup of G, S교N_G(Sp) = S교Sp(link)

-Classification Steps

-|G|를 통해 proper NS를 찾는다.(Sp같은 걸로다가)

-complement를 구한다.

-NS와 complement 각각을 조사한다.

-semidirect product를 위한 homog를 만들어 본다.

-NS, complement와 homog를 이용하여 semidirect를 만들고 non-isomorphic인걸 나열

-|G|=prm일 때

-G giso Z_prm

-p-G일 때

-Z(p-G)는 nontrivial(증명은 Class Equation생각)

-nilpotent

-every proper S of G는 proper S of N_G(S)이기도 하다.(proper가 포인트)(link)

-NS가 nontrivial이었으면 NS 교 Z(p-G)도 nontrivial(link)

-|NS|=p인 NS가 있다면 NS는 Z(p-G)에 포함됨

-|p-G|=prm^2이면 abelian이고 Z_prm x Z_prm 이거나 Z_(prm)^2

-|p-G|=prm^3이면(link1)(link2)(link3)

-abelian type

-Z/p^3Z

-Z/p^2Z x Z/pZ

-Z/pZ x Z/pZ x Z/pZ

-nonzbelian type

-Z(p-G)=C(p-G)(link)

-p-G/Z(p-G) giso Z/pZ x Z/pZ(link)

-prm=2일 때

-prm != 2일 때(link참고)

-prm-power map is group homomorphism

-<x,y | x^(p^2) = y^p = 1, yxy^(-1) = x^(p+1)>

-<x,a,b | x^p = a^p = b^p = 1, ab=ba, xax^(-1)=ab, xbx^(-1)=b>

-Sp는 자기자신, unique

-(Fixed Point Congruence)J:finite set, act_J by G에 대해, |J|≡|{fixed points}| (mod p)(link)

-|G|=p^m일 때, G has a normal subgroup of order p^n for 0<=n<=m(link)

-every MS는 [G:MS]=p를 만족하고 NS가 된다.


-|G|=prm1*prm2일 때(prm1<prm2)

-Sp(p=prm2) :NS

-따라서 G:solvable

-prm1이 (prm2 - 1)을 나누지 않으면(즉 prm1=2일 때) G는 cyclic

-prm1이 (prm2 - 1)을 나누면(즉 prm1 != 2 일 때)

-G giso OSDP(Sp(p=prm2), Sp(p=prm1)), up to isomorphic, 1개뿐



-|G|=prm1*prm2*prm3일 때(prm1<prm2<prm3)

-not simple(link)

-|G|=12(link)

-abelian type

-Z/12Z

-Z/2Z x Z/2Z x Z/3Z

-nonabelian type

-Alt(4)

-D_12

-OSDP(Z/3Z,Z/4Z, f) where f:Z/4Z->Aut(Z/3Z), inversion

-|G|=30(link1)(link2)

-Sp(3)과 Sp(5)중 적어도 1개는 normal

-Z/15Z과 giso인 S를 가짐

-abelian type

-Z/30Z

-nonabelian type

-Z/3Z x D_10

-Z/5Z x D_6

-D_30

-(Feit-Thompson Theorem)G:simple, |G|:odd 이면 G giso Z_p for some p:prm

-G:finite, N:normal in G, Sp:sylow p-subgroup of N, then G=N_G(Sp)N and |G:N| divides |N_G(Sp)|(link)

-About Quotient Group관련

-(First GISO Thorem)homog:G1->G2이면 ker(homog) _<! G1 and G1/ker(homog) giso homog(G1)

(NS존재 <-> homog 존재)

-(Second GISO Theorem)S1 _< G, S2 _< G, S1 _< N_G(S2)이면

S1S2 _< G이고

S1S2 _< N_G(S2)이고 따라서 S2 _<! S1S2

by First GISO Theorem, S1교S2 _<! S1이고 S1S2/S2 giso S1/S1교S2임을 알 수 있다.

(주의:S1 _<! S1S2인지는 모른다. 성립안할 수도 있음)

(S1 _<! S1S2아니더라도, [S1S2:S1]=[S2:S1교S2]는 앎)

-(Third GISO Theorem)NS1 _< NS2 이면(G/NS1)/(NS2/NS1) giso (G/NS2)

(NS가 아니어도, S1 _< S2 _< G이면 [G:S1]=[G:S2][S2:S1]이 성립)(link)

-(Fourth GISO Theorem)NS가 있을 때, te bijection from {S s.t. NS _< S} to {S s.t. S _< G/N} 

(NS _< S _< G인 S에 대해서, S _<! G iff S/NS _<! G/NS 을 얻을 수 있다.)
(주의:|G1|=|G2|, N1 giso N2, G1/N1 giso G2/N2라 해도 G1 giso G2인지는 모름)

-[G:NS]=m이면 for all g in G, g^m is in NS.

-(G/NS)의 largest abelian quotient group giso (h(G)/h(NS) where h:G->G/C(G) projection

-About Commutator관련

-G/C(G):the largest abelian quotient group(만약 G/NS:abelian이면 C(G) _<! NS임), 이게 C(G)의 핵심

-C(G) _< S이면 S:NS이고 G/S는 abelian(link)

-g1g2=g2g1[g1,g2](where [g1,g2]=g1^(-1)g2^(-1)g1g2)

-for any aut in Aut(G), aut[g1,g2]=[aut(g1),aut(g2)], 즉 commutator를 aut에 적용해도 commutator됨

-따라서 C(G) char G

-C(G)의 원소 중 commutator가 아닌 원소가 있을 수 있다.

(Free group on {a,b,c,d}에서 aba^(-1)b^(-1)cdc^(-1)d^(-1) 생각)

-C(G)를 구하는 방법

-G/NS해서 abelian되기만 하면 C(G) _< NS이므로, NS아무거나로 일단 quotient시켜 abelian인지 따져본다.

-S:normal in G iff [S,G] _< S

-(Abelianization of quotient = quotient of Abelianization)f:G->G/NS, g:G->G/C(G)일 때, f(G)/C(f(G)) giso g(G)/g(NS)(link)

-About Group Product관련

-About Direct Product

-Direct Product의 의의

-smaller로 larger group만들거나

-finitely generated abelian을 cyclic factor로 쪼개거나

-non-abelian이더라도 factor들(NS인)로 쪼갤 수 있다는 것, 쪼개면, 각각은 commute하고 order가 작아 조사하기 쉬움)

-EDP(G_i)에서 restricted direct product of the groups G_i는 normal subgroup in product of G_i

-EDP(G1,G2)의 conjugacy classes의 개수 = (G1의 conjugacy classes의 개수)*(G2의 conjugacy classes의 개수)

-EDP(G1,G2,...,Gn)/EDP(NS1,NS2,...,NSn) giso EDP(G1/NS1,G2/NS2,...,Gn/NSn)


-EAG(p,n)의 성질

-non identity 원소는 order가 p

-(p,n)일 때, order가 p인 subgroup의 개수는 (p^n -1) / (p - 1)

-(Recognition Theorem version Direct Product)

:NS1, NS2에 대해 NS1교NS2=1이면 IDP(NS1,NS2) giso EDP(NS1,NS2)

-About Semidirect Product

-Semidirect Product의 의의

-smaller->larger group만들기 가능, 각각 smaller가 abelian인데 larger가 non-abelian일 수도
-factor로 쪼갰을 때, 각각에 대해서만 조사하면 됨, 각각은 order가 작아짐, 단 direct완 다르게 commute인진 모름
-direct product보다 조건이 완화됨, NS1,NS2가 필요한게 아니라, NS랑 S만 있으면 됨.)

-S1 _< G1, NS1 _<! G1, S2 _< G2, NS2 _<! G2일 때 S1 giso S2, NS1 giso NS2라 해서 ISDP(NS1,S1)과 ISDP(NS2,S2)가 giso인거 보장못함

-OSDP(G1,G2)의 성질

-G1:NS of OSDP(G1,G2)

-G2:S of OSDP(G1,G2)

-order of OSDP(G1,G2)=|G1|*|G2|

-(G1,1)교(G2,1)=1

-OSDP(G1,G2,f)가 EDP(G1,G2)와 same일 TFAE

-identity:OSDP(G1,G2)->EDP(G1,G2) is homog
-f:G2->Aut(G1) is trivial
-G2:normal in OSDP(G1,G2)
-임의의 G를 giso인 OSDP(G1,G2,g) where G1,G2,g는 비교적 우리가 잘아는것, 형태로 표현하는 법
-1. G의 NS를 하나 찾아서 G/NS가 giso subgroup of G가 되는 NS 찾기
-2. S에 의한 conjugate action f:S->Aut(NS)확인
-3. G giso OSDP(G1,G2,g) where G1 giso NS, G2 giso S, g는 f보고 정의
-(Recognition Theorem version Semidirect Product)
:NS교S=1이면 ISDP(NS,S) giso OSDP(NS,S,f) where f:S->Aut(NS), f(s)=s * s^(-1)
-G=ISDP(NS,S)랑 동치

-g can be written in a unique way as nh where n in NS, h in S

-g can be written in a unique way as hn where h in S, n in NS(nh에다가 h h^-1 n h해주면 됨)

(즉, G=S1S2=S2S1)

-f1:S->G, identity function, f2:G->G/NS, natural projection, f2 o f1:isomorphism

-te homog:G->S s.t. homog:identity on S and ker(homog)=NS

-About Series In Group Theory관련

-G/MNS:simple

-(Jordan-Holder Theorem)finite nontrivial G는 composition series을 갖고(not unique), composition factors는 unique

(주의: G1 giso G2가 아니어도 same list of composition factors를 가질 수도 있다.)

-cyclic group<abelian group<nilpotent group<solvable group<all group

-About Solvable

-G:solvable이면 S:solvable

-G:solvable이면 homomorphic image도 solvable

-따라서 quotient of G도 solvable

-NS:solvable and G/NS:solvable이면 G도 solvable

-S1:solvable and S2:solvable and S1S2(defined as subgroup)이면 S1S2도 solvable

-finite EDP of solvable is solvable

-G:nilpotent이면 G:solvable

-additional theorem(증명들이 김)

-(Philip Hall)G:solvable iff for any n s.t. gcd(n,|G|/n)=1, G has a subgroup S of order n.        

-(Burnside)|G|=(p1)^a (p2)^b이면 G:solvable

-(Feit-Thompson)|G|:odd이면 G:solvable

-(Thompson)If for every pair x,y in G, <x,y>:solvable, then G:solvable

-모든 proper subgroup이 abelian이면 G는 solvable

-About nilpotent

-G:nilpotent이면 S:nilpotent

-G:nilpotent이면 homomorphic image도 nilpotent

-따라서 quotient of G도 nilpotent

-(주의)NS:nilpotent and G/NS:nilpotent라 해서 G가 nilpotent이진 않다.(Ex:Take G=S_[3], NS=A_[3])

-G:nilpotent이면 G:solvable

-S1:nilpotent and S2:nilpotent and S1S2(defined as subgroup)이면 S1S2도 nilpotent

-G/Z(G):nilpotent이면 G:nilpotent(왜냐하면 Z(G/Z(G))k = G/Z(G) = Z(G)k+1/Z(G) )

-finite EDP of nilpotent is nilpotent

-finite nilpotent관련

-G:finite nilpotent

-iff every proper subgroup of G is a proper subgroup of its normalizer in G

-iff every sylow subgroup is normal in G

-iff G is the direct product of Sp1, Sp2, ..., Spr where p1,p2,...pr is all distinct primes dividing |G|

-iff every maximal subgroup is normal


-About Free관련

-FG(E) is a group(즉 concatenating이 well-defined하고 associative만족함)

-(Universal Property of Free Group)f:E->G인 map이 있다면, te! g:FG(E)->G s.t. g:homog, restriction of g on E = f

-FG의 subgroup은 free이다.

-for any G, te FG and homog:FG->G s.t. G=homog(FG)

-(Universal Mapping Property of free product)for f_i:G_i->G, homog, te! F:FP(G_i)->G s.t. f_i=i_i o F where i_i:inclusion from G_i to FP(G_i)

-About Presentation관련

-

-About Short Exact Sequence관련

-ES(G1,G2,G3,f1,f2) iff SES(f1(G1),G2,G2/ker(f2),inclusion,quotient)

(따라서 Exact관련해서는 SES형태로 바꿔서 다루기 가능)

(Short Five Lemma)(Md에서도 성립)(link)

:For homo from SES1(G1,G2,G3,f1,f2) to SES2(G1',G2',G3',f1',f2')인 g1,g2,g3, 

-g1과 g3가 injective(surjective, isomorphism)이면 g2가 injective(surjective, isomorphism)

-SES(G1,G2,G3,f1,f2):left split iff equivalent to SES(G1,EDP(G1,G2),G2,embedding,projection)

(증명은 f:G2->EDP(G1,G2) 잘만들기)

-SES(G1,G2,G3,f1,f2):right split iff equivalent to SES(G1,OSDP(G1,G3,homog:G3->Aut(G1)),G3,embedding,projection)

where homog(g3)(g1)=f1^(-1) ( (f2'(g3) * f1(g1) * f2'((g3)^-1)) )

(증명은 f:OSDP->G2 잘만들기)

(따라서 left split가 훨씬 강하다.)

(Module에서는 abelian group일 때므로, OSDP=EDP이고 따라서 left split iff right split)

-Some Techniques using Sylow and another things(link참고)(link1)(link2)(link3)(link4)(link5)

-Counting Elements

-Subgroup Index and left multiplication action on left cosets

-G을 S_[n]의 subgroup으로 보고 해결

-Normalizer of Sylow의 Sylow 생각(another prime)

-Normalizer of distinct Sylow p-subgroups생각(same prime)

-Representation관련

-Every G has at least one rep(trivial rep생각)

-G=<g>, of order n

-f:G->GL(1:C), f가 MT-rep iff {f(g)}^n = 1

-For G:group, {rep of G} bijection {G-Md VS(F)}

-(Construction of G-Md VS(F) from a G-set)For J:G-set, make VS(F)=direct sum of Fj,act_VS(F) by G는 g를 basis원소에 act하는 걸로하면 됨

(즉, G:group이 있고 G-Set을 하나 안다면, G-Md VS(F)를 얻을 수 있고, 그로인해 rep of G를 하나 얻는다.)

-G:group이 있고 G-Set으로 G그 자체 택하고 action을 left translation을 주면, G-Md F[G]을 얻는다. 이때의 rep of G를 regular rep of G라 한다. 

-for finite G

-F[G]=direct sum of miVi, where mi=dim(Vi), Vi,Vj:nonisomorphic for distinct i,j, 게다가 모든 irr G-subMd appears in F[G]

-V:G-Md VS(F)가 W:nonzero proper G-subMd를 갖는다면, W의 basis를 이용해 대응된 rep of G의 MT-rep of G의 형태가 block upper triangular MT로만 되게(for any g in G) basis를 잡을 수 있다. 

-만약 W가 G-subMd인 complement를 갖는다면 block diagonal MT로만 되게(for any g in G) basis를 잡을 수 있다.

-(Maschke's Theorem)(F=R(Std), C일 때)for G:finite group, V:nonzero G-Md f-dim VS(F), V is a direct sum of irreducible G-subMds(link)

(즉 G:finite group, G-Md f-dim VS(R(Std) or C)는 completely reducible이다.)

-G-Md homo관련(G:group, f:V1->V2가 G-Md homo, V,V1,V2:G-Md VS(F))

-ker(f):G-subMd of V1

-Im(f):G-subMd of V2

-(Isomorphism Theorem for G-Md VS(F))te! F:V1/ker(f)->Im(f) s.t. F:G-Md isomorphism

-f:V1->V2:G-Md homo iff u:rep of G to GL(V1), v:rep of G to GL(V2)라 할 때 f(u(g)) = v(g)(f)), link보고 그림보는게 이해 쉬움(link)

-f가 G-Md iso면 u(G)->v(G) conjugation isomorphism을 얻는다.

-(Schur's Lemma)for V1,V2:irreducible G-Md VS(F), f:V1->V2는 G-Md homo일 때 f는 zero map or G-Md iso

-for V1:irreducible G-Md VS(F), Hom_G(V1,V2)=0 iff te no G-subMd of V2 s.t. G-Md isomorphic to V1

(V2의 irreducible factor중 V1과 isomorphic(as G-Md VS(F))한 것은 없다는 지표가 됨)

-End_G(V)관련

-for F=C일 때, V:irreducible G-Md VS(F), f in End_G(V,V)일 때, f=egv*id where egv(f)(link)

-따라서 f의 egv가 1개뿐이라는 것도 알게 됨

-for V:irreducible G-Md VS(F), End_G(V) aiso F

-End_G(V)에 해당되는 Matrix rep 버전이 Com(X), where X:MT-rep(isomorphic as algebra란 소리)

-for V=direct sum of V1 and V2 s.t. V1,V2:G-subMd of V s.t. Hom_G(V1,V2)=Hom_G(V2,V1)=0, End_G(V) aiso End_G(V1) x End_G(V2)(link)

-k개여도 확장됨, End_G(V) aiso End_G(V1) x End_G(V2) x ... x End_G(Vk)

(물론 이 Vi중 irreducible인게 있다면 그건 F와 aiso if F:ac-F)

-for V=direct sum of V1 and V2 s.t. V1,V2:irreducible G-subMd of V s.t. Hom_G(V1,V2):nonzero, End_G(V) aiso MT(2x2)(F)(link)

-m개여도 확장됨, End_G(V) aiso MT(mxm)(F)

-(위의 2개 내용으로부터)V=m1V1 + m2V2 + ... +mkVk(즉 irreducible V1이 G-Md isomorphic한게 m1개 ...)(as direct sum)일 때

End_G(V) aiso MT(m1xm1)(F) + MT(m2xm2)(F) + ... + MT(mkxmk)(F)(as direct sum)

-dim(V)=sum of mi*dim(Vi)

-dim(End_G(V))=sum of square(mi)

-Z(End_G(V))=F^k, (즉 not G-Md isomorphic submodule의 개수를 가르쳐줌)

-Class function관련(G:Group, V:G-Md VS(F), c:character of V, h:class function of G, R(G):=set of all class function of G, F(G):=set of all function from G to F)

-F(G):VS(F)

-R(G):subspace of F(G)

-{irr characters of G}:basis for R(G)

-G가 finite일 때(|G|=n)

-F(G):VS(F) isomorphic to F^n

-dim(F(G))=n >= dim(R(G))

-F(G)에 inner product를 줄 수 있다.(FR이나 C이면) for f1,f2 in F(G), <f1,f2>:=1/n * {sum over g in G  f1(g)*ct(f2(g))}(1/n = 1/|G|은 normalize위해서)

(즉, F(G)는 IPS(F)됨) 

-Character of rep(G)관련

-(Linear Independence of multiplicative characters)for f1,f2,...,fk:distinct multiplicative characters on G, f1,f2,...,fk:linearly independent over F

-c(identity)=degree of c(즉 dim(V))

-c is a class function on G

-for another U:G-Md VS(F) s.t. isomorphic to V as G-Md, c=character of U

(즉 G-Md iso한 V에서의 Character는 서로 같은 함숫값가짐 for any g in G)

(역은 F=C일 때 성립)

-for V=m1V1 + m2V2 + ... +mkVk(즉 irreducible V1이 G-Md isomorphic한게 m1개 ...)(as direct sum)일 때 character of V=sum of (mi*character of Vi)

-G가 finite일 때(|G|=n)

-for c:character of F[G], c(identity)=|G|, c(g)=0 for any non identity g.

-(F=C일 때)<c1,c2> = 1/n * {sum over g in G c1(g)*ct(c2(g))} = 1/n * {sum over g in G c1(g)*c2(g^(-1))}(link)

(사실 for all g in G, c1(g)*ct(c2(g)) = c1(g)*c2(g^(-1))이기 때문에 성립)

-for irr character c1 of G-Md V1, irr chacracter c2 of G-Md V2, <c1,c2>=1(if V1 G-Md isomorphic to V2) or 0(otherwise)(link)

-(F=C일 때)for V:f-dim and V=m1V1 + m2V2 + ... +mkVk, ci:character of Vi, Vi:irr G-subMd

-c=sum of mi*ci

-<c,ci>=mi

-<c,c>=sum of (mi)^2

-<c,c>=1 iff V:irr G-Md iff c:irr

-decomposition is unique(ci가 linearly independent임을 이용)

-irr G-Md V개수=irr character of G=conjugacy class of G의 개수(link)

-TP(V1,V2)관련(Vi:Gi-Md)

-TP(V1,V2):G1xG2-Md

-character of TP(V1,V2)(g1,g2):=character of V1(g1) * character of V2(g2)

-V1:irr G1-Md and V2:irr G2-Md iff TP(V1,V2):irr G1xG2-Md

-Every irr G1xG2-Md V is isomorphic to TP(V1,V2) for some irr G1-Md V1 and irr G2-Md V2

-Restricted, induced관련

-induced rep은 well-defined and independent of a choice of a transversal(link1)(link2)

-(Frobenius Reciprocity)<char of G, induced>=<char of H, restricted>(link)

 


*Ring Theory

-Ring, Subring관련

-zd는 not unit

-unit은 not zd

-for any x in R, x^3=x이면 R:CR(link)

-for any x in R, x^4=x이면 R:CR(link1)(link2)

-C_R(subR):subring

-N_R(subR):the largest subring of R which includes subR as ideal

-Z(R)관련

-commutative SR이다.

-for any ring R, R = Z(R)-A(algebra over its center)

-R=R일 때

-id1 + id2는 smallest id containing id1 and id2

-id1id2는 id contained in id1교id2

-R=CR일 때

-r:nilpotent이면 1+r:unit

-a|b iff a in (b) iff (a)<(b)

-(gcd(a,b))>({a,b})

(=될 충분조건은 ({a,b})가 p-id로 ({a,b})=(d)였다면 d=gcd(a,b)이다.)

-cprm-id는 element-wise하게 얘기할 수도 있음

-(Existence of the smallest ring containing R in which all elements in E become units)

E:subset of R, not contain 0 of R, not contain zd of R, closed under multiplication일 때

te CR_[1]인 R2 s.t. R2 contain R as subR and every element in E is a unit in R2

-R=R_[1]일 때

-id=R iff 1 is in id

-every proper id is contained in a M-id(link)

-R=DR일 때

-(Wedderburn's little theorem)finite DR은 field

-R=CR_[1]일 때, 

-R:field iff id of R은 0과 자기자신 뿐

-id:M-id iff R/id:field

(field를 construct하는 방법을 제시)

-id:cprm-id iff R/id:ID

-every M-id는 cprm-id이다.

-R=ID일 때

-finite ID는 field

-(a)=(b)이면 a,b:associate in R

-(uniqueness of gcd)c=gcd(a,b)이고 d=gcd(a,b)이면 c,d:associate in R

-r:prime이면 r:irreducible in R

-(Existence of Quotient Field)QF(ID)는 유일하게 존재한다.

-R=UFD일 때

-for nonzero nonunit r in R, r:prime iff r:irreducible

-for nonzero a, nonzero b in R, gcd(a,b)는 factorization of primes로 구할 수 있다.

-R=PID일 때

-(Characterization of PID)ID:PID iff ID has a multiplicative DHnorm_ID(link)

-for nonzero a, nonzero b in R, (a,b)=(r)인 r이 존재하고 r=gcd(a,b) up to associate, 따라서 te x,y, in R s.t. gcd(a,b)=ax+by

-for nonzero a, nonzero b in R, te x,y in R s.t. gcd(a,b)=ax+by, 따라서 (gcd(a,b))=({a,b}) 

-Every nonzero cprm-id is M-id(역은 CR_[1]에서도 성립)

(Characterization 빼곤 2개는 inverse가 성립함을 가리킴)

-Noetherian

-R=ED일 때

-(Characterization of ED)ID:ED iff ID has a EFnorm_ID

-Every id is p-id(그때의 generator는 norm이 minimum인 원소)

-for nonzero a, nonzero b in R, gcd(a,b)는 Euclidean Algorithm으로 구할 수 있다.

-Z(R)관련

-subring

-graded관련

-R:graded, id:graded일 때, R/id 또한 graded이고 homogeneous component of degree k 는 Rk/(id교Rk)와 isomorphic

-Functions Ring관련

-R=CR_[1]일 때 R[x]

-R[x]:CR_[1]

-R[x1,x2]:=R[x1][x2]로 several variables polynomial ring정의됨

-id:id of R, R[x]/id[x] riso R/id[x]

-따라서 id:cprm-id of R일 땐, id[x]:cprm-id of R[x]가 된다.

(M-id에 대해선 성립하지 않는다. 즉 id:M-id of R이라 해서 id[x]가 M-id of R[x]가 되진 않음)

-(Characterization of unit in R[x])P(x)=a0+a1x+...+anx^n:unit in R[x] iff a0:unit and ai:nilpotent for i>=1 

-(Hilbert's Basis Theorem)(link1)(link2)

:R이 Noetherian이면 R[x]도 Noetherian

-R=ID일 때 R[x]

-R[x]:ID

-deg(P1)+deg(P2)=deg(P1P2)

-R[x]^* = R^*   (zd가 없어서 nonzero nilpotent가 없기 때문)

-for nonconstant and monic P(x) in R[x], P(x):reducible in R[x] iff te a(x), b(x) in R[x] s.t. P(x)=a(x)b(x) and a(x),b(x)모두 nonconstant and monic

-for nonconstant and monic P(x) in R[x], P(x):reducible in R[x]이면 for any proper id of R, the reduced P(x) in (R/id)[x] can be factored into two smaller degree polynomials in (R/id)[x]

(이때 two polynomials가 nonconstant인지, monic인지 둘다 보장 안됨)

(역은 성립하지 않음)

(대우를 통해서 irreducible판정의 충분조건 얻음)

(Several Variables인 경우 조심, 예를 들면 Z[x,y]=Z[x][y]이고, (x)는 proper id in Z[x]이지만, Z[x]/(x) riso Z, 이런 경우)

-R=UFD일 때 R[x]

-(Gauss's Lemma)for P(x) in R[x],  P(x):reducible in QF(R)[x]이면 P(x):reducible in R[x]

-(Gauss's Lemma의 Partial Converse)for P(x) in R[x], P(x):reducible in R[x] and gcd of coefficients of P(x)=1이면 P(x):reducible in QF(R)[x]

(gcd=1이란 조건이, 어떻게 사용되냐면 P(x)=a(x)b(x), a(x)와 b(x)모두 not constant임을 보장해줌)

(gcd=1이란 조건위해 대게 monic인 것 사용)

(예를 들면 2x+2는 Z[x]에서 reducible, Q[x]에서 irreducible이고 2x+1은 Z[x]에서 irreducible Q[x]에서도 irreducible)

-R:UFD iff R[x]:UFD

-따라서 R:UFD이면 R[x], R[x1,x2],...도 UFD

-for P(x) in R[x], if p/q in QF(R) s.t. P(p/q)=0 and gcd(p,q)=1, p는 P(x)의 constant를 나누고, q는 P(x)의 leading coefficient를 나눈다.

(특히 Z[x], QF(Z)=Q에서 주로 사용)

(for P(x) in R[x], P(x) has no root in QF(R)임을 보일 때 사용하기도 함, 2,3 degree가 no root in QF(R)이면 irreducible in QF(R)이고 따라서 P(x):irreducible in R[x])


-R=PID일 때 R[x]

-R[x]:PID이면 R은 사실 Field여야만 함

-R=ED일 때 R[x]


-R=F일 때 R[x]

-R[x]:ED(using degree norm), VS(F)

(역도 참)

-R[x]:ED이므로 UFD이고 

-for any G(x) in R[x], G(x)=(P1(x))^m_1 * (P2(x))^m_2 * ... * (Pk(x))^m_k, 각 Pi(x)는 distinct하고 irreducible polynomials in R[x] 

-R[x]/(G(x)) riso R[x]/((P1(x))^m_1) x R[x]/((P2(x))^m_2) x ... x R[x]/((Pk(x))^m_k)(using Chinese Remainder Theorem)

-P(x) has a factor of degree 1 iff P(x) has a root a in F, i.e. P(a)=0

-(Irreducible Criteria)P(x), degree 2 or 3, 가 reducible iff P(x) has a root a in F, i.e. P(a)=0

-(Lagrange Interpolation Formula)(link)

:특정 지점에서 특정 값을 갖게하는 최소 degree polynomial 건설방법(unique), link참고

-특히 F_p[x]의 경우

-x^p - x +a:irreducible over F_p for nonzero a in F_p(link)

-F[x1,x2,...,xn]관련

-qdf_F관련

-qdf1, qdf2:equivalent iff MT_qdf1 =_congruent MT_qdf2

(따라서 M_qdf, quadratic map부분 참조)

-F(x)관련

-F=QF(ID)라면, QF(ID[x])=QF(ID)(x)

-Aut(F(x)/F)의 원소 f는 f(x)만 결정되면 for a in F(x), f(a)가 결정됨(link1)(link2)

-Irreducibility of a polynomial

-실질적 방법

-(Finding Proper id)

:nonconstant and monic P(x) in ID[x], te proper id s.t. P(x) in (ID/id)[x] cannot factored two smaller degree polynomials이면 P(x):irreducible in ID[x]

(만약 모든 proper id에 대해서 factored two smaller degree된다면 irreducible인지 판정할 수 없다, 하지만, 어떤 id에 대해서 irreducible factorization의 degree와 다른 id에 대해서 irreducible factorization의 degree가 다르다면, P(x)는 irreducible일 수 밖에 없다.) 

-(Finding Cprm-id, Eisenstein Criteria)

:nonconstant and monic P(x) in ID[x], te cprm-id s.t. coefficients of P(x)가 leading빼곤 다 cprm-id의 원소이고 상수항은 (cprm-id)^2의 원소가 아닌, 이면 P(x):irreducible in ID[x]

-(Root존재여부)

:nonconstant and (monic) P(x) in F[x],

-deg(P(x))=1이면 P(x):irreducible in F[x]

-deg(P(x))=2이고 no root in F이면 P(x):irreducible in F[x]

-deg(P(x))=3이고 no root in F이면 P(x):irreducible in F[x]

-P(x):reducible iff P(x+1):reducible


-관계

-P(x):irreducible in UFD[x]이면 P(x):irreducible in QF(UFD)[x]

-nonconstant and (monic) P(x):irreducible in QF(UFD)[x]이면 P(x):irreducible in UFD[x] 



-Homomorphism관련

-ker(homor)는 id가 된다. homor:R1->R2일 때 R1의 id

-homor:R1->R2일 때 homor(R1):SR of R2

-homor:R1->R2에서 R1:field면 homor는 injective이거나 zero homor이다.

-Quotient Ring관련

-(First RISO Theorem)homor:R1->R2일 때, R1/ker(homor) riso homor(R1)   

-(Second RISO Theorem)SR1 + id = SR2 이고 SR1교id1=id2 of SR1 이고 (SR + id)/id riso SR/(SR교id)(제일 마지막 결과가 앞선 2개를 포함함)

-(Third RISO Theorem)id1<id2일 때, id2/id1:id of (R/id1) 이고 (R/id1)/(id2/id1) riso (R/id2)

-(Fourth RISO Theorem)id가 있을 때, te bijection from {SR containing id} to {SR of R/id}게다가 id<E에 대해 E:ideal of R iff E/id:ideal of R/id

-(Chinese Remainder Theorem for CR_[1])id1,id2,...,idn에 대하여, 

-homor:R->(R/id1)x(R/id2)x...x(R/idn) (homor된다는 점)

-ker(homor)은 id1교id2교...교idn

-for any i,j idi(not equal i,j), idj가 comaximal이면 ker(homor)=id1교id2교...교idn=id1id2...idn 그리고 homor가 surjective

-for any i,j idi(not equal i,j), idj가 comaximal이면 induced riso에 양변에 ^*을 취해도 성립(group of units끼리도 giso된다는 것)

-Matrix Ring관련

-for id of R, MT(id):id of MT(R)

-id:id of R일 때, id=ker(homor), where homor:MT(R)->MR(R/id)

-MT(R_[1])의 id는 MT(id) where id is ideal of R_[1]이 된다.

-MT(F)의 id는 0과 MT(F)뿐

-Group Ring관련

-R[G]가 CR <-> G가 abelian

-R의 1이 RG의 1이다.

-SR _< R, S _< G일 때, SR[G]와 R[S]는 R[G]의 subring이다.

-zd가 항상 존재.

-augmentation map:R[G]->R관련

-homor되고, ker은 계수합이 0인 것들

-ker은 ({g-1|g in G})

-ker은 M-id된다.

-다른 대표적 id는 g_i의 계수가 다 같은 것들

*Field Theory

-Basic

-id of F는 0와 자기자신뿐

-for SR of F s.t. contains the 1 of F, SR=ID

-char(F)=0 or prm이다. char(F)=0이면 F has a subfield isomorphic to Q, char(F)=prm이면 F has a subfield isomorphic to F_p

-F는 VS(F)로도 간주할 수 있다. 특히 F2/F도 가능

-F^*의 finite subgroup은 cyclic이다.(link)

-Extension Field관련

-(Existence of Extension Field using irreducible polynomial)

:P(x):irreducible in F[x]이면 

-te F2/F s.t. F2 contain F as subfield and F2 contain a root of P(x)이고(link)

(homor f:F[x]->F[x]/(P(x)), for any P1(x) in F[x], P1(f(x))=f(P1(x))인 걸 생각)

-a=x (mod (P(x)) in F2라 할 때, a가 그 root이고, {1,a,a^2,...,a^(n-1)}:basis for F2 over F(deg(P(x))을 n이라할 때)

(즉 [F2:F]=n임을 앎)

(F2/F가 P(x)의 root를 갖고 있긴 한데, 모든 roots를 갖고 있진 않을 수 있음, 하지만 반복한다면 F와 all roots of P(x)를 포함하는 extension field만들 수 있음)

-F(a) isomorphic to F2(=F[x]/(P(x)))

-따라서 F(a)={linear combinations of {1,a,a^2,...,a^(deg(P(x))-1)}}로써 describe가능

(F와 P(x)의 root를 포함하는 field의 존재성을 보였는데, P(x)가 irreducible in F[x]일 땐사실상 증명을 통해 그게 unique up to isomorphism인 걸 보인 셈)

(사실 F[x]는 ED이고 따라서 UFD이므로 for any nonconstant P(x) in F[x]에 대해서도 같은 논의 가능, irreducible인 factor잡아서)

-char(F)=0이면 every finite length extension of F는 simple extension이다. 즉 F(a1,a2,...,an)=F(b)인 b존재

-F1 riso F2 by f이면

-induce F1[x] riso F2[x] by g이고

-for P(x):irreducible in F1[x], a:root of P(x), b:root of g(P(x))라 두면(b가 f(a)일 필요는 없음)

-te riso h:F1(a)->F2(b) s.t. h(a)=b and restriction of h on F1 is equal to f

(F2=F1인 경우면서 a != b인 경우 생각하면, F(a)와 F(b)는 대수적으로 같은 구조임을 앎)

-(Describing Simple Extension using algebraic element)

:a:alg(F)이면

-mP_(a,F)는 defined되고

-F(a) isomorphic to F2(=F[x]/(mP_(a,F)))

-deg(a)=deg(mP_(a,F))=[F(a):F]

-iff [F(a):F]:finite(a:alg(F)임을 판단하는 데에 쓰이기도 함)

-F2:FEF of F1이면 F2:AEF of F1(link)

-F2/F1, a:alg(F1)이면

-a:alg(F2)이고

-mP_(a,F2) | mP_(a,F1)

-F3/F2 and F2/F1이면 [F3:F1]=[F3:F2][F2:F1]

-F2:FEF of Fiff F2=F1(a1,a2,...,ak) for some algebraic ai over F1

-for F2/F1, F2=F1(a1,a2,...,ak) for some algebraic ai over F1 s.t. [F1(ai):F1]=ni이라면 [F2:F1]<=n1*n2*...*nk

-for F2/F1, the collection of all algebraic element over F1 in F2 is the subfield of F2

-F3:AEF of F2, F2:AEF of F1이면 F3:AEF of F1(link)

-[F1F2:F]<=[F1:F][F2:F] with equality if gcd([F1:F],[F2:F])=1

-Classical Straightedge and Compass Constructions관련

-Construction Rule

(1) straightedge-이미 주어진 두 점을 이어 선분(직선)을 그릴 수 있다.

(2) compass-이미 주어진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릴 수 있다.(원점은 어디든 가능)

->기본적으로 가능한 일은, 

-평행하지 않는 두 직선이 만나는 점을 찍을 수 있다.

-원과 직선이 만나는 점을 찍을 수 있다.

-두 원이 만나는 점을 찍을 수 있다.

-기초적으로 작도가능한 것들

(1) Euclidean Plane상에 각 좌표의 성분이 정수인 점들을 그릴 수 있다.

(2) 주어진 한 점(A), 한 직선(l), l에 평행이고 A를 지나는 직선을 작도 할 수 있다.

(3) 주어진 한 직선(l)상에 이미 아는 점(P)가 놓여있을 때, P를 지나고 동시에 l에 수직인 직선을 작도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을 참고)

-http://blog.naver.com/mclub3/10184519519 ​

-몇가지 Theorems

(1) a와 b가 constructible이면

a+b, a-b, ab, a/b도 constructible이다. (when b is not 0)

(a,b가 constructible일 때, ab가 constructible인 이유는 닮은삼각형 이용)

따라서 모든 contructible numbers의 set(F라 하자.)은 subfield of real numbers R

따라서 Q(rational numbers)은 subfield of 모든 constructible numbers의 set

(Q는 R의 smallest subfield이므로)

따라서 모든 유리수 길이의 segment는 그릴 수가 있다.

따라서 Euclidean Plane상에 각 좌표의 성분이 유리수인 점들을 그릴 수 있다.

(이 plane상에 추가적으로 더 찍힐 수 있는 points의 가능성은...3가지가 있다.

유리수 좌표의 두 점을 지나는 두 직선의 교점,

유리수 좌표의 두 점을 지나는 직선과 유리수 좌표의 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을 유리수로 갖는 원의 교점,

유리수 좌표의 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을 유리수로 갖는 두 원의 교점.

이 중에서

첫번째는 관심이 없고(새로 추가적으로 찍히는 point가 생기지는 않는다.)

세번째는 두번째로 귀결된다.

두번째는 관심이 있다. 새로 얻은 교점의 좌표가 유리수에 square root를 씌운 값이 나오기 때문

     (2) F는 Q의 원소에 유한번의 사칙연산 과 유한번의 taking square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모든 real numbers를 포함한다.(precisely)

(유한번의 사칙연산과 유한번의 taking square를 통해 얻은게 아닌 것은 F에 포함되지 않음을 보인다음, 유한번의 taking square만 증명하면 된다. 유한번의 사칙연산은 (1)에서 보임)

따라서 어떤 real number r이 constructible 이면 [Q(r):Q]=2^s for some  integer s>=0.

따라서 F는 algebraic extension of Q (not finite extension!!!)

-3대 작도불가능

(1) 주어진 cube에 대해 그 cube의 volume의 2배인 cube을 작도할 수는 없다.

(2) 주어진 원의 넓이와 같은 정사각형을 작도할 수는 없다.

(3) 임의의 각을 3등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각 t의 작도<->cos(t)의 작도와 cos의 3배각 공식+20도 이용)

-각 t를 작도할 수 있음 iff cos(t)를 작도할 수 있음

-ac(F):ac-F

-for any F1, te a extension field F2 s.t. F1<F2 and F2:ac-F

-{x in F2 s.t. x:alg over F1}=ac(F1), ac(F1) is unique up to isomorphism

(즉 어떠한 ac-F인 F의 subfield F2의 algebraic closure는 F안에 있다, 예를 들면 CQ의 algebraic closure를 포함한다.)

-for char(F)=p, Frobenius_F is injective

-SptEF관련(F2:SptEF_(P(x),F1))

-For an irreducible poly Q(x) in F1[x] s.t. it has a root in F2, Q(x) splits completely in F2[x](link)

(역은 [F2:F1]<inf란 조건 필요)(link)

-Separable관련(F1<F2, f(x) in F1[x])

-(separable criteria)f(x) has a multiple root a iff a is a root of both f(x) and D_x(f(x))

-f(x):separable over F1 iff gcd(f(x),D_x(f(x)))=1 in F1[x]

-(separable criteria for a perfect field)F1:perfect일 때, 

-f(x):separable over F1 iff f(x):product of distinct irreducible polynomials

-for F1:perfect일 때 F2:AEF of F1이면 F2:SEF of F1

-for F2:SptEF_(P(x),F1) with F1:perfect이면 F2:GEF of F1

-Cyclotomic Field of nth root of unity관련(Q(

-Cyclotomic Field of nth root of unity=SptEF_(x^n-1,Q)=Q(primitive nth root of unity)

-x^n - 1 = prod over all d:divisor of n CCTMP(x)_d(각 root of x^n - 1도 x^d - 1에선 primitive root가 되기 때문에)

-n=sum over all d:divisor of n ephi(d)(위의 identity에서 degree만 생각)

-CCTMP(x)_n은

-it is in Z[x](by induction on n, x^n - 1 identity and Gauss's Lemma)

-irreducible over Z(따라서 over Q에서도 irreducible)

-

-[Cyclotomic Field of nth root of unity:Q]=ephi(n)

-Aut관련, Galois Theory관련

-for f in Aut(F), f fixes the prime subfield of F

-for a in F2 s.t. alg over F1, for any f in Aut(F2/F1), a와 f(a) 모두 roots of m_(a,F1)

(즉, P(x) in F1[x]의 근 a in F2이면 for any f in Aut(F2/F1) f(a)도 P(x)의 근)

-for F1<F2<F3, Aut(F3/F2)<Aut(F3/F1)

-for S1<S2<Aut(F), F_S2 < F_S1

-for F2:SptEF_(P(x),F1), |Aut(F2/F1)|<=[F2:F1](=성립 iff P(x):separable over F1)

(좌측은 minimal polynomial의 distinct roots개수배만큼 곱해나가는 과정이고 우측은 minimal polynomial의 degree배만큼 곱해나가는 과정)

-for F1<F2<F3, S:subgroup of Aut(F3/F1)

-F3_S is a subfield of F3

-[F3:F3_S]=|S|<=[F3:F1], 특히 S=Aut(F3/F1)일 때를 보면, [F3:F3_Aut(F3/F1)]=|Aut(F3/F1)|<=[F3:F1]

(중요함, 첫번째 등호가 중요한데, multiplicative character on S, group의 character이용)

-Aut(F3/F3_S)=S, 즉 F3:GEF of F3_S for any S(증명은 [F3:F3_S]=|S|랑, S<=Aut(F3/F3_S)(subgroup)을 이용)

-S1 != S2이면 F3_S1 != F3_S2이다.

-if F2:FEF of F1, then F2:GEF of F1 iff |Aut(F2/F1)|=[F2:F1](이 경우 Aut(F2/F1)=G(F2/F1))

(증명은, ->은 위에서 보였고, <-은 minimal poly가 separable인 것을 보이면 됨)

(증명과정 중 다음도 알 수 있다. for a in F2, {all roots of m_(a,F1)}={all distinct galois conjugates of a over F1}

-for any f in Aut(F3/F1), Aut(F3/f(F2)) = f Aut(F3/F2) f^(-1)

-If F3:GEF of F1(즉 [F3:F1]=|Aut(F3/F1)|)

-F3:GEF of F2(즉 [F3:F2]=|Aut(F3/F2)|)(SEF NEF생각해보면 됨)(link)

-te bijection from {subgroup G s.t. G<Aut(F3/F1)} to {subfields F s.t. F1<F<F3}(link)

(Injection은 F3:GEF of F1이 없어도 성립, surjection은 F3:GEF of F1이어서 F3:GEF of F여서 성립)

-[F2:F1]=[Aut(F3/F1):Aut(F3/F2)](우변은 group index)

(F2:GEF of F1인지 모름, 보장안됨)

-[F3_S:F1]=[Aut(F3/F1):S]

-F<->G일 때 F:GEF of F1 iff G:normal in Aut(F3/F1)(link1)(link2)

(증명할 때를 참고하면 다음을 알 수 있다. If F3:GEF of F1, then every embedding g of F2 into closure of F1 fixing F1 is a restriction of f in Aut(F3/F1) on F2)

(즉, g(F2) < F3 라는 것)

-J<->G, K<->H일 때

-JK <-> <G,H>

-JK <-> G교H

-for P(x):separable over F, disc(P(x)) is in F(왜냐하면 Aut(SptEF/F)의 모든 원소에 의해 fixed되므로) 

-for monic P(x), disc(P(x)) is polynomial in the coefficients(왜냐하면 roots의 symmetric function이므로)

-finite field관련(F:finite field, char(F)=p, |F|=q)

-Frobenius_F is isomorphism

-the number of distinct subspaces W of dimW=k of dimV=n = (q^n - 1)(q^n - q)...(q^n - q^(k-1)) / (q^k - 1)(q^k - q)...(q^k - q^(k-1))

*Module Theory

-(R-subMd Criteria)E:subset of R-Md가 다음을 만족하면 E는 R-subMd이다.

:E is non-empty

for all r in R, for all x,y in E, x+ry is E

(Vector Space배울 때, subspace판별법과 같다.)

-Torsion관련

-Tor(Md)가 submodule되려면 R:ID여야함

-T

-Ann관련(M:R-Md, N:subMd of M, id:Rid of R)

-Ann_R(N)관련

-for N1<N2이면 Ann_R(N2)<Ann_R(N1)

-for R:PID, N1<N2 with Ann_R(N1)=<a>, Ann_R(N2)=<b>이면 a|b

-Ann_M(id)

-we can make Ann_M(id) an (R/id)-Md

-EDP(M1,M2,...,Mn)/EDP(S1,S2,...,Sn) R-md iso EDP(M1/S1,M2/S2,...,Mn/Sn), where Mi:R-Md, Si:R-subMd of Mi

-for finitely many R-subMd들 N1,N2, ..., Nk, L:=N1+N2+...+Nk라 했을 때

-TFAE

-L이 direct sum of Ni

-for any j in {1,2,3,...,k}, the intersection of Nj and the sum of Ni without Nj = {0}

-L isomorphic N1xN2x...xNk(componentwise로 R-Md만든거)

-for R:R_[1], M:R-Md, te I:injective R-Md s.t. M<I(따라서 Injective hull of M의 존재성 보일 수 있다.

(즉, any R_[1]-Md is a submodule of an injective Md)

-(Characterization of Noetherian Module)

for M:left R-Md, TFAE

-M:Noetherian

-Every nonempty set of submodules of M contains a maximal element under inclusion

-Every submodule of M is finitely generated

(주의:M:finitely generated라 해서 M의 subMd가 finitely generated인 게 보장이 안됨)

-Homomorphism, Quotient Module관련

-Hom(R-Md1,R-Md2):abelian group

-R이 commutative이면 Hom(R-Md1,R-Md2)는 R-Md가 될 수 있다.

-End(R-Md)은 R_[1]

-R이 CR_[1]이면 End(R-Md)는 R-A도 됨

-for M:R-Md, N:R-subMd of M, M/N:R-Md된다.

-for M:R-Md1, N:R-Md2, f in Hom(M,N), M/ker(f) isomorphic to Im(f) as module

-for R:R_[1], M:left R-Md, Hom(R,M) isomorphic to M as module

-for M:R-subMd, N:R-subMd, (M+N)/N isomorphic to M/(M교N)

-for N:R-subMd of L, N:R-subMd of M, (L/M)/(N/M) isomorphic L/N

-{R-subMd of M containing R-subMd N} bijective {R-subMd of M/N}

-This correspondence commutes with the processes of taking sums and intersections

-Hom(M,~)을 취하는 경우, M:R-Md

-Hom(M,EDP(M_i)) isomorphic to EDP(Hom(M,M_i))(finite경우만 link)

-for f in Hom(R-Md1, R-Md2), te homog f' s.t. f':Hom(M,R-Md1)->Hom(M,R-Md2)

(f가 injective이면 f'도 injective)

-for M,M1,M2,M3:R-Md, ES(0,M1,M2,M3) iff ES(0,Hom(M,M1),Hom(M,M2),Hom(M,M3))(link1)(link2)

(따라서 Hom(M,~)을 left exact covariant functor라 한다.)

-SES(M1,M2,M3,f1,f2):split iff SES(Hom(M,M1),Hom(M,M2),Hom(M,M3),f1',f2'):split

(split란 조건없었으면 SES가 유지안됨)

-(Characterization of Projective R-Md)for M,N,L,P:R-Md, TFAE(link1)(link2)

-P:Projective

-P is a direct summand of a free R-Md

-if SES(L,M,N), then SES(Hom(P,L),Hom(P,M),Hom(P,N))

-(Projective modules의 성질)    

-P1,P2:Projective R-Md이면 EDP(P1,P2)도 Projective R-Md

-for R:CR_[1]이고 P1,P2:Projective R-Md이면 TP(P1,P2)도 Projective R-Md

-Hom(~,M)을 취하는 경우, M:R-Md

-Hom(direct sum of M_i,M) isomorphic to EDP(Hom(M_i,M))(finite경우만 link)

(direct sum이란 것에 주의)

-for M,M1,M2,M3:R-Md, ES(M1,M2,M3,0) iff ES(0,Hom(M3,M),Hom(M2,M),Hom(M1,M))(link1)(link2)

(따라서 Hom(~,M)을 left exact contravariant functor라 한다.)

-SES(M1,M2,M3,f1,f2):split iff SES(Hom(M3,M),Hom(M2,M),Hom(M1,M),f1',f2'):split

(split란 조건없었으면 SES가 유지안됨)

-(Characterization of Injective R-Md)for M,N,L,I:R-Md, TFAE(link1)(link2)(link3)(link4)

-I:Injective

-for any Lid of R, any f in Hom(Lid,I) can be extended to Hom(R,I)

-if SES(L,M,N), then SES(Hom(N,I),Hom(M,I),Hom(L,I))

-(R:PID일 때) for any nonzero r in R, rI=I

(따라서 R:PID일 때, injective R-Md를 Injective R-subMd로 쪼개면 Injective R-Md됨)

-for R:CR_[1], M,N:left R-Md, f:M^n->N이 n-multilinear alternating일 때

-정의역의 adjacent components 2개를 바꾸면 함숫값이 -1달고 나옴

-정의역의 index에 permutation씌우면 함숫값에 the sign of the permutation을 곱한 것을 얻음

-꼭 인접한 것 2개 아니더라도 정의역의 components중 2개가 같으면 0됨

-



-Free관련

-For R:R_[1], A:set, te FM(R,A) satisfying universal property(link)

-For M:R-Md free on A, M:isomorphic to FM(R,A)

(따라서 free on A인 R-Md끼리는 모두 isomorphic as R-Md)

-Any R-Md1 is quotient of a free R-Md2

-For R:CR_[1], M:R-Md free on A, |A|=n일 때 

-M isomorphic R^n(즉 finite rank free module은 사실상 R^n)

-For S:ring s.t. R<S, S^n isomorphic TP(S,R^n) as left S-Md

-For R:CR_[1], M:R-Md free on A, |A|=n, N:R-Md free on B, |B|=m일 때

-TP(M,N) isomorphic R^(mn)

-free, projective, injective, flat포함관계

-free이면 projective

-projective이면 flat

-For R:ID, M:R-Md free of rank n<inf일 때 any n+1 elements는 R-linear dependent(증명은 R의 quotient field로 끌고가서 해서 vector space thm이용)

(즉 free Md에 대한 rank정의와 R:ID일 때 rank정의는 Md가 free이면 부합됨을 알 수 있으나, not free Md인 경우에는 rank개념 조심)

(예를 들면 R:ID, M:R-Md, rank(M)=n이라해서 M이 free인게 보장이 안됨)

-For M:free R-Md이면

-every subMd of M is torsion free

-Tensor Product관련

-for R:R_[1], M:left R-Md, TP(R,M) isomorphic M

-for R:R_[1], M:right R-Md, TP(M,R) isomorphic M

(Universal Property of TP wrt balanced maps)

-for R:R_[1], M:right R-Md, N:left R-Md, G:abelian group, |{f:MxN->G s.t. f:R-balanced}|=|{homog:TP(M,N)->G}|

(정의역이 TP(M,N)이고 공역이 G인 homog를 정의하려고할 때, homomorphism인지 체크하기가 쉬워진다.)

-TP(M,N)의 algebraic structure

-R:R_[1], M:right R-Md, N:left R-Md이면 TP(M,N):abelian group

-S:R_[1]. R:R_[1], M:(S,R)-biMd, N:left R-Md이면 TP(M,N):left S-Md

-S:R_[1]. R:R_[1], M:right R-Md, N:(R,S)-biMd이면 TP(M,N):right R-Md

-R:CR_[1], M:SR-Md, N:SR-Md이면 TP(M,N):SR-Md

(Universal Property of TP wrt bilinear maps)(link)

-for R:CR_[1], M:SR-Md, N:left R-Md, L:left R-Md, |{f:MxN->L s.t. f:R-bilinear}|=|{homoMd(TP(M,N),L)}|

(정의역이 TP(M,N)이고 공역이 L인 homoMd를 정의하려고할 때, homomorphism인지 체크하기가 쉬워진다.)

(n-multilinear로 확장가능)

-TP(f1,f2)의 algebraic structure

-For R:R_[1], M1:right R-Md, M2:right R-Md, N1:left R-Md, N2:left R-Md, f1:homoMd(M1,M2), f2:homoMd(N1,N2)이면 TP(f1,f2):homog

-For S:R_[1], R:R_[1], M1:(S,R)-biMd, M2:(S,R)-biMd, N1:left R-Md, N2:left R-Md, f1:homoMd(M1,M2), f2:homoMd(N1,N2)이면 TP(f1,f2):left R-Md homomorphism

-For R:CR_[1], M1,M2,N1,N2:SR-Md, f1:homoMd(M1,M2), f2:homoMd(N1,N2)이면 TP(f1,f2):R-module homomorphism(SR)

-(composite commutes with tensor product of R-Md homo)TP(f1,f2) o TP(g1,g2) = TP(f1 o g1, f2 o g2)

(Associativity of Tensor Product)

-TP(M,TP(N,L)) isomorphic TP(TP(M,N),L)(각각이 잘 정의된 상황에서 그리고 그 때의 algebraic structure로써 isomorphic)

(따라서 Tensor Product를 여러번하는게 잘 정의됨)

(Tensor Products commute with direct sums)

-TP(direct sums of Mi,N) isomorphic direct sums of TP(Mi,N)

-TP(M,direct sums of Ni) isomorphic direct sums of TP(M,Ni)

(summand가 유한개일 필요 없다, 무한개라도 direct product가 아닌 direct sum이기만 하면 성립함)

(각각이 잘 정의된 상황에서 그리고 그 때의 algebraic structure로써 isomorphic)

(Commutativity of Tensor Product)

-For R:CR_[1], M,N:SR-Md이면 TP(M,N) isomorphic TP(N,M)

(그렇다고 tp(m,n)이랑 tp(n,m)이 같은 것은 아님)

-TP(M,~)(TP(~,M)도 같음, commutativity of Tensor Product때문)를 취하는 경우

-for M:right R-Md, M1,M2:left R-Md, f in Hom(M1,M2)일 때 f가 surjective이면 tp(1,f):TP(M,M1)->TP(M,M2)도 surjective

-for M:right R-Md, M1,M2,M3:left R-Md, ES(TP(M,M1),TP(M,M2),TP(M,M3),0) iff ES(M1,M2,M3,0)

-if SES(M1,M2,M3):split, then SES(TP(M,M1),TP(M,M2),TP(M,M3)):split

-(Adjoint Associativity)

-for M1:right R-Md, M2:(R,S)-biMd, M2:right S-Md일 때 Hom(TP(M1,M2),M3) giso Hom(M1,Hom(M2,M3))

-MD over PID관련

-R:PID이고 M:R-Md, N:subMd of M

-M이 free이고 finite rank n 이라면 N도 free이고 te a basis {x1,x2,...,xn} for M s.t. te a1,a2,...,am in R s.t. {a1x1,a2x2,...,amxm}:basis for N and a1|a2|a3|...

-M:cyclic인 경우 M은 R/(a) where (a)=Ann_R(M)(homoMd:R->M에서 kernel과 first isomorphism thm이용)

-M이 finitely generated이면 

-(invariant factor form)M is isomorphic to direct sum of {R^r, R/(a1), R/(a2), ... , R/(am)} s.t. r:nnn integer, a1|a2|...인 not unit ai들

-(elementary divisor form)M is isomorphic to direct sum of {R^r, R/(p1^a1), R/(p2^a2), ... , R/(pm^am)} s.t. r:nnn integer, pi:prime(not necessarily distinct)

-M:free iff M:torsion free

-Tor(M) is isomorphic to direct sum of {R/(a1), R/(a2), ... , R/(am)}, 이경우 Ann_R(M)은 (am)

-(Primary Decomposition Theorem)

M:nonzero torsion R-Module with nonzero annihilator a=u(p1)^a1(p2)^a2...(prime factorization, u:unit), Ni:={x in M s.t. (pi)^ai x =0}일 때 M은 direct sum of Ni

-R:F[x]인 경우, V:VS(F), f:LT(V), P(x) in F[x](V는 F-Md일 뿐만 아니라, F[x]-Md도 됨, using f for x action on V)

-mP(f) is the largest invariant factor of V and all invariant factors of V divide mP(f)


-Z-Md관련(Abelian Group의 성질)

-Every Abelian Group is a Z-Md

-Every Z-Md is an abelian group

-Z-Md homomorphisms are the same as abelian group homomorphisms

-|G|=m일 때 G is Z/mZ-Md

-특히 m=prm이면 G is Z/pZ-Md, 즉, G is VS(pZ)

-For M:Z-Md, M:Injective iff M:divisible

-For M1,M2:injective Z-Md, EDP(M1,M2):injective

-Every Z-Md is a subMd of an injective Z-Md

(즉 any abelian group은 divisible group의 subgroup)

-there is no finite abelian divisible group

-any quotient of divisible group is a divisible group

-EDP of divisible is divisible

-for M:divisible group, N:torsion abelian Group, TP(M,N)=0(as Z-Md)

-finite abelian group의 성질

-direct product of of its sylow subgroups(nilpotent이므로)

-invariant factor가 group을 결정하고 group이 invariant factor을 결정함, G:of type (n_1,n_2,...,n_k)으로 표현 가능

-|G|=n일 때, 다음을 만족해야함

-n_i>=2 for all i=1,2,...,k

-n_(i+1) | n_i

-n_1*n_2*...*n_k=n

(따라서 n_1은 n의 모든 prm factor을 가진다.)

-elementary divisors을 이용한 elementary divisor decomposition을 이용하면 |G|=n인 abelian group classification 쉬움

(왜냐하면 n_i에 관한 곱셈조건이 덧셈조건으로 바뀌기 때문)

(elementary divisors를 이용하여 finite abelian group classification한 다음에 표를 만들어 invariant factors로 표현!)

-infinite인데 finitely generated abelian인 group의 성질

*Vector Space

-Basic

-(Hamel Basis)모든 VS(F)는 basis를 갖는다.    

-따라서 VS(F)의 임의의 subspace는 complement를 갖는다.(즉 direct summand인)

-따라서 free F-Md이고 projective이다.

-F의 원소에 norm을 줄 수 있다면, 모든 VS(F)는 nvs가 될 수 있다.(using Hamel Basis)

-(Rank Theorem for LT)dim(VS(F))=n이고 dim(LS)=m이면 dim(VS(F)/LS)=dim(VS(F))-dim(LS)(n,m중 inf가 있어도 성립)

(따라서 LT(VS1(F),VS2(F))를 이용해 생각하면 dim(VS1(F))=dim(ker(LT))+dim(Im(LT))

-projective, injective, flat

-For V1,V2:VS(F)일 때 TP(V1,V2):VS(F)

(특히 이 경우 tp(v1,v2):nonzero for nonzero v1,v2임을 알 수 있다. 그냥 R-Md의 TP에선 성립안할 수도 있음)

-F:finite field with q elements일 때

-dim(VS(F))=n인 경우 

-VS(F)의 different bases개수는 (q^n - 1)(q^n - q)...(q^n - q^(n-1))

-dim(LS)=k인 LS의 개수는 C(n,k)_q

-f-dim관련

-dim(VS(F))=n이면 VS(F):isomorphic as vector space to F^n

(따라서 dimension이 같고 base field가 같은 VS는 서로 isomorphic)

-F^n:VS(F)

(n=1일 때 생각하면 어떤 F든 VS(F)로 간주가능)

-VS(F)와 linear인 f:VS(F)->VS(F)를 1개씩 택할 때 마다 F[x]-Md를 만들 수 있고(set으로는 VS(F)그 자체이면서) 역으로도 가능

(x에 대한 action을 f로써 이용하여 정의하면 됨)

({W:F[x]-submodule} bijective {W:subspace of V and W:f-invariant})


-Function관련(정의역의F와 공역의 F가 다를 순 있으나 그래봤자 subfield관계여야함)

-VS(F)xVS(F)->F

-for (VS(F), b):quadratic space, SMT:a symmetric matrix associated to one of the forms in the equivalence class, f:qdf corresponding to SMT

-TFAE

-SMT:invertible

-b:regular

-rad(b)={0}

-if b:regular, then

-(Dimension Formula)dim(LS)+dim(LS^ㅗ)=dim(VS(F))

-(LS^ㅗ)^ㅗ = LS

-D(f) consists of a union of cosets of F-{0}/(F-{0})^2 as multiplicative groups

-D(f) is not a subgroup of F-{0}, in general

-

 

 

 

 

-for symmetric bilinear form f on VS(F)

-for E:orthonormal set, E:maximal iff for any x in VS(F) s.t. {x},E:orthogonal, x=0

-for E1:orthonormal set, te E2:maximal orthonormal set s.t. E1<E2 

-rad(f) is a LS of VS(F)

-te a linear subspace W s.t. f=f_rad(f) ㅗ f_W and f_W:regular(unique up to isometry)

-W교W^ㅗ=rad(f_W)

-for a linear subspace W, 

-TFAE

-dim(VS(F))=dim(W)+dim(W^ㅗ)(link)

(이렇다고해서 VS(F)=direct sum of W, W^ㅗ란 소리는 아님)

-W교rad(f)=0

-TFAE

-f_W:regular

-VS(F)=IDP(W,W^ㅗ)

(따라서 f_W:regular이면 f=f_W ㅗ f_(W^ㅗ))

-if f:regular, then W=(W^ㅗ)^ㅗ

-if f:regular and f_W:regular, then f_(W^ㅗ):regular

-any symmetric bilinear form f is diagonalizable(즉 특정 basis for VS(F)를 잡으면 f의 대응되는 matrix가 DMT(0,0,...0,a1,a2,..,ak)됨(앞 zero파트는 rad, 뒷 nonzero ai파트는 regular part)

-diagonal form계산관련

-<a1,a2,...,ak>, 어느 entry에도 F^*의 제곱을 곱해도 form은 isometric

-<a1,a2,...,ak>, a의 index를 permutation해도 form은 isometric

-for H(VS(F))

-h:regular

-(Characterization of H(VS(F)))

-for



-VS1(F)->VS2(F)

-LT(VS1(F),VS2(F))가 bijective하면 inverse도 linear(그냥 바로 확인됨)

-VS(F)->F(as VS(F))

-LF관련(V:VS(F), S:subspace of V, g:S->F, f:V->F)

-(Hahn-Banach in VS)(link)

-g:subLF(V,R), f:LF(S) s.t. f<=g on S일 때, te F:LF(V) s.t. F=f on S and F<=g on V

(즉 LF(S)가 어떤 subLF보다 작다면(subLF는 전체에서 정의된), LF(S)는 extension가능) 

(증명은 일단 S에다가 1차원만 늘리는 걸 찾은 다음에 HMP써서 얻으면 됨)

(g:convF여도 성립)

-VS(F)가 f-dim일 때(dim(VS(F))=n)

-LF관련(V:VS(F), S:subspace of V, g:S->F, f:V->F)

-with inner product <,>

-f:LF일 때, for any v in V, f(v)=<v,a> for some a in V(Orthonormal basis잡고 표현한거 생각)

({b_i}:orthonormal basis일 때 a=sum ct(f(b_i))b_i라 두면 된다. )

-M_qdf관련

-qm_qdf1 = qm_qdf2 iff qdf1=qdf2

-qm_qdf(ax)=a^2 * qm_qdf(x)

-b_qdf:symmetric bilinear form

-qm_qdf and b_qdf determined each other

-b:symmetric bilinear form on VS(F)가 주어지면 qdf_b, qb_b정의가능

-(VS(F),b) determines uniquely an equivalence class of qdf

(따라서 qdf관련 내용은 symmetric bilinear form에 대한 성질로부터 연구됨)

(symmetric bilinear form부분 참고)

-VS1(F)와 VS2(F)가 둘다 f-dim일 때(dim(VS1(F))=n , dim(VS2(F))=m)

-LTC(VS1(F),VS2(F)) is isomorphic to CMT(F)(mxn) as vector space

(따라서 LTC(VS1(F),VS2(F))는 dim이 mn인 VS(F))

(즉 LT(VS1(F),VS2(F))는 MT(F)로 표현이 가능 using fixed two ordered basis)

(이때 이 MT(F)는 represents LT(VS1(F),VS2(F))라 한다.)

-f1:LT(VS1(F),VS2(F)), f2:LT(VS3(F),VS4(F)), with dim(VS3(F))=l, dim(VS4(F))=k일 때         

-TP(f1,f2):LT(TP(VS1(F),VS3(F)),TP(VS2(F),VS4(F)))이고 

-represent하는 MT는 KP(f1의 represent MT, f2의 represent MT)

(TP(MT1(F),MT2(F))를 가리킴, where MT1(F):representing f1, MT2(F):representing f2)

-Every MT(F) is similar to a UMT(F)(F:ac-F일 때)

-About LMT, UMT

-LMT끼리 곱하면 LMT

-UMT끼리 곱하면 UMT

-About OMT

-det(OMT)=(-1) or 1


-About TMT

-임의의 invertible MT는 TMT(B1,B2)로 간주할 수 있다.

-TMT(B1,B2)를 구하는 방법은 B1의 원소들의 B2좌표들로 column을 만들면 된다.

-TMT(B1,B2)에다가 [v]_B1을 곱하면 [v]_B2가 나온다. 

-TMT(B1,B2)는 invertible and TMT(B2,B1)=inv(TMT(B1,B2))이다.

-TMT(B1,B2)의 (i,j)성분은 B1의 j번째 원소의 i번째 좌표 along B2


-About Proj(LS1,LS2)

-MT:Projection Matrix iff MT is idempotent(link)

-MT:projection matrix onto LS1 along LS2라면 IMT-MT는 Projection matrix onto LS2 along LS1이다.

(Im(MT)=ker(IMT-MT), ker(MT)=Im(IMT-MT)가 성립됨)

-dim(LS1)=r일 때, MT:Projection matrix onto LS1 iff MT:similar to diag(1,1,1,...,1,0,...,0), 1이 r개(link)

-rank(Projection matrix)=tr(projection matrix)(link)

-det=1

-About det

-det(MT1MT2)=det(MT1)det(MT2)

-det(MT)=det(rt(MT))

-det(ct(MT))=ct(det(MT))

-det(IMT - MT1MT2) = det(IMT - MT2MT1) if MT1MT2 and MT2MT1 are defined(link)

-spec(MT1MT2) = spec(MT2MT1) if MT1MT2 and MT2MT1 are defined except 0(즉 0의 중복도는 다를 수도 있음)

-About perm(MT)

-MT of mxn (m<=n)에서도 정의 된다 using σ:[m]->[n], injective

-Square MT일 때

-invariant over P*MT*Q where P,Q:permutation matrix

-invariant over transpose

-Laplace Expansion Theorem for permanent, (link)

-perm(MT1+MT2) = ... (link)

-

-About unimdMT

-invertible

-inverse도 unimdMT(M^(-1) = adj(M)/det(M)생각)

-integral egv는 반드시 1 or -1(link)


-About Invertible

-{x1,x2,...,xm}이 lind일 때 MT=[x1,x2,...,xm], ct(MT)*MT는 invertible이다.(Null(ct(MT)*MT)생각)

-TFAE

-MT:invertible

-MT has not 0 eigenvalue(link)

-det(MT) not 0

-About trace

-tr(MT)=tr(rt(MT))

-tr(MT1MT2)=tr(MT2MT1)

-tr(MT1MT2MT3)=tr(MT2MT3MT1)=tr(MT3MT1MT2), not equal to tr(MT1MT3MT2)

-tr(MT)=sum of egv with the coefficients of am(egv)(using jordan form)

-tr(projection matrix)=rank(projection matrix), 따라서 항상 정수(증명은 projection matrix참고)

-tr(idempotent matrix)=rank(idempotent matrix), 따라서 항상 정수(증명은 projection matrix참고)

-tr(nilpotent matrix)=0(왜냐하면 nilpotent matrix의 egv는 0뿐인 걸 통해 알 수 있음)

-(Shoda's Theorem)tr(MT)=0 iff MT:commutator(즉 te MT1, MT2 s.t. MT=MT1MT2 - MT2MT1)(link)

-If W:subspace of V, LT:V->V, LT(V)<W, then tr(LT)=tr(restriction of LT on W)(link)

-LT:MT(nxn)(R)->R(std) s.t. LT(MT1MT2)=LT(MT2MT1)이면 LT는 trace의 scalar multiplication

(proof는 e_(i,j)적절히 사용, LT(MT)=trace(MT)LT(e_(1,1))을 보임)

-About MPinv(MT)

-MPinv(MT)구하는 방법

-MT의 rank를 구한다. say r

-LU-Factorization of MT한 다음 L의 first r columns로 B, U의 first r rows로 C

-MPinv(MT)=rt(C) * inv(C*rt(C)) * inv(rt(B)*B) * rt(B)

-Ginv(MT)구하는 방법

-MT의 rank를 구한다. say r

-LU-Factorization of MT한 다음 L의 first r columns로 B, U의 first r rows로 C

-(CB):invertible이면 Ginv(MT) = B * inv(CB) * inv(CB) * C

-About Rank

-rank is subadditive

(rank(A+B)<=rank(A)+rank(B)-max(c,d), where c=dim(col(A)교col(B)), d=dim(row(A)교row(B))

-M:real entries이면

-rank(M)=rank(rt(M)M)=rank(Mrt(M))=rank(rt(M))

(증명은 M과 rt(M)M의 kernal비교)

-M:complex entreis이면

-rank(M)=rank(ct(M))=rank(rt(M))=rank(bar(M))=rank(ct(M)M)=rank(Mct(M))

(bar(M)은 모든 성분에 conjugate씌운 것)

-About charP(MT), mP(MT)

-{charP(MT)=0의 해}={egv(MT)}

-charP(MT)=charP(rt(MT))=charP(ct(MT))

-for monic P(x) in F[x], charP(cpMT(P(x)))=P(x)

-direct sum of MT1, MT2, ... 의 charP는 the product of charP(MTi)

-charP(MT)=the product of all invariant factors of MT(MT랑 RCF(MT)는 similar니까)

-(Cayley-Hamilton Theorem)mP(MT)|charP(MT)(mP(MT)는 the largest invariant factor이므로)

-charP(MT)|(mP(MT))^k for some k

-mP(diag)은 squarefree

-mP(JCF(MT))은 lcm(mP(jordan block1), mP(jordan block2), ...)이다.

-charP(MT,x)의 계수

-x^n의 계수 =1

-x^(n-1)의 계수 = sum of all first-order diagonal minors of MT * (-1) = tr(MT) * (-1)

-x^(n-2)의 계수 = sum of all second-order diagonal minors of MT

-...

-x^0의 계수 = det(MT) * (-1)^n


-About Equivalence Relations

-About Equivalence

-MT1 =_equi MT2

iff MT2 can be transformed into MT1 by a combination of ERO and ECO

iff MT1, MT2 have the same rank

-MT =_equi RREF of MT

-About Similar

-MT1과 MT2가 similar란, same linear operator인데 with different basis

-for F1<F2, MT1과 MT2가 over F1에서 similar iff MT1과 MT2가 over F2에서 similar(using RCF, uniqueness)

-similar이면 공유하는 것들

-rank

-det

-charP(즉 charP is independent of choice of basis)(link)

-tr

-egv and am(egv), gm(egv) (주의, egS는 공유안함, similar하게해주는 invertible MT에 의해 달라짐)

-mP

-elementary divisor(module하면서 정리)

-RCF

(MT와 RREF of MT는 similar가 아니다)

-dgMT경우

-similar인 DMT의 대각성분은 egv이고 invertible MT는 egv에 대응되는 egv로 이루어진다.

-(Characterization of dgMT) TFAE(link1)(link2)(link3)

-MT:dgMT

-lind인 n개의 egv를 가짐

-VS(F)=direct sum of all egs of MT

-any MT-invariant subspace has an MT-invariant complement(단 ac-F일 때)

(즉 MT:semisimple)

(따라서 MT의 egv가 서로 다른 n개로 존재한다면 dgMT가 됨, 하지만 dgMT라 해서 서로 다른 n개의 egv를 가지는 건 아니다.)

-mP(MT):squarefree

(각 invariant factor에서 linear factor가 1개씩만 있다는 것)

-{MT}:commuting이면 te a common egv for {MT}(link)

-for C:{dgMT}, C:commuting iff C:dg{MT}(link)

-C:dg{MT}이면 C의 원소의 합과 차도 dgMT가 된다.

-MT:dgMT이고 S:MT-invariant subspace이면 restriction of MT on S도 dgMT

-Every MT =_sim UMT(Using Jordan Canonical Decomposition)

-(Schur)Every MT =_usim UMT with egv diagonals

-About Congruent

-if MT2 = rt(...)MT1(...), then MT1 =_congruent MT2 

(MT1에 ERO을 좌승하고 그 ERO의 transpose를 우승, 이렇게 반복해서 얻으면 congruent)

-MT:SMT iff MT:odgMT iff MT =_congruent DMT

-(Sylvester's Law of Intertia)MT1:SMT, MT2:SMT일 때 

MT1 =_congruent MT2 iff inertia(MT1)=inertia(MT2)

-About egv, egv, egS

-임의의 MT에 대해 적어도 1개의 egv가 존재(ac-F란 조건 필요)

-egv(MT)를 모두 곱하면(counted by algebraic multiplicities) det(MT)를 얻는다.(charP(MT)에 x=0대입해보면 앎)

-egv(MT)를 모두 더하면 tr(MT)가 나옴(직접 (n-1)의 계수를 구하는 방식으로)

-한 MT에서 얻은 서로 다른 egv의 egv는 lind(link)

-egs(MT,egv1)+egs(MT,egv2)+...은 direct sum이 항상 됨

-egs(MT,egv1), egs(MT,egv2)...의 direct sum이 전체 VS(F)이 된다면, MT는 dgMT(역도 성립)

-gm(MT, egv1)<=am(MT, egv1)

-the sum of gm(MT,egv_i)=MT의 size iff MT:dgMT iff gm(egv_i)=am(egv_i) for each i

-spec(MT1MT2) = spec(MT2MT1) if MT1MT2 and MT2MT1 are defined(0의 중복도는 빼고)

-if {λ1,λ2,...,λn}:spec(MT)

-{λ1+1, λ2+1,...,λn+1}:spec(MT+IMT)

-{a+b*λ1, a+b*λ2, ..., a+b*λn}: spec(a*IMT+b*MT)

-specR(MT+IMT)<=1+specR(MT)

-(egv,egv1=x) of rt(MT) and (egv, egv2=y) of MT일 때

-egv * sum of xi = sum of xi*ith row sum

-egv * sum of yi = sum of yi*ith column sum

-Canonical Form관련

-RCF(MT):the rational canonical form of MT

-RCF(MT) is unique

-MT =_sim RCF(MT)

-MT1 =_sim MT2 iff RCF(MT1)=RCF(MT2)

-for F1<F2, M:MT(F1)이라 할 때, M은 MT(F2)로도 간주되고, 전자로보나 후자로보나

-RCF 같게 나옴(by uniqueness)

-invariant factors가 같음

-mP(MT)가 같음(the largest invariant factor이므로)

-charP(MT)가 같음(모든 invariant factors의 곱이므로)

-SNF(MT):the smith normal form of MT

-SNF(MT) =_equi (xIMT-MT) and SNF(MT) is unique

-

-JCF(MT):the jordan canonical form of MT

-JCF(MT) is unique up to a permutation of the jordan blocks along the diagonal 

-MT =_sim JCF(MT)

-(Jordan-Chevalley Decomposition)JCF(MT)에서 diag인 부분을 semisimple part, upper triangular part를 nilpotent part(link1)(link2)

구체적으로 쓰면

-for F:ac-F, any f-dim VS(F), any f:LT(VS(F)), te! f1:LT(VS(F)), f2:LT(VS(F)) s.t. f=f1+f2 and f1:semisimple, f2:nilpotent, f1 and f2:commute

-te polynomials P1(x), P2(x) s.t. P1,P2 둘다 constant term없고 P1(f)=f1, P2(f)=f2, 

-for LS1<LS2<VS(F) s.t. f(LS2)<LS1일 때, f1(LS2)<LS1 and f2(LS2)<LS1이다.

(P1만 잘 만들면 P2(x)=x-P1(x)하면 되고 다 확인됨)

-FNF(MT):the Frobenius normal form of MT

-(Existence of FNF for any MT in MT(nxn)(C))(link)

-About Irreducible MT

-MT:irreducible이면 k*IMT + l*MT도 irreducible(for nonzero k,l)

-the smallest number of nonzero elements of an irreducible MT of order n = n(link)

-MT has at least one nonzero element in each line(행, 열 모두) iff te Q:permutation MT s.t. MTQ:irreducible(link1)(link2)

-F=C인 경우(R(std)도 포함, SMT관련 등)

-(Gershgorin Circle Theorem)for A:MT(C)(nxn), R_i:=sum over j(j!=i) |a_(i,j)|, D_i:=B(aii,R_i), called Gershgorin disc, then for any egv of A, egv in D_i for some i(link)

-About Normal, NMT

-HMT, skew-HMT, UnMT 모두 NMT이다.

-TFAE

-MT:NMT

-for any in C^n, ||MT*x||_2 = ||ct(MT)*x||_2(link)

-MT:udgMT

-MT:maximal orthonormal egv를 가짐(즉 lind인 n개의 egv)

(MT=MT1 * DMT * inv(MT1), where MT1:columns이 egv, DMT:diagonal이 egv, 이걸 MT의 eigendecomposition이라 한다. MT가 NMT일 때 가능, iff)

-MT =_usim NMT iff MT:NMT

-About HMT

-NMT이므로 NMT의 성질을 따름

-(Characterization of HMT)

-M:HMT

iff for any in C^n, ct(x)Mx:real

iff NMT이고 모든 egv가 real이면 HMT이다.(link)(and NMT이면 udgMT이용)

-{all HMT}:closed under real scalar multiplication and +

-모든 대각성분은 real

-for H:HMT(h_(i,j)), column vector h=[h_(1,1), h_(2,2), ..., h_(n,n)], λ=[λ1, λ2, ..., λn] where λi:egv of HMT, te DSMT s.t. h=DSMTλ(link)

-(Toeplitz decomposition)for any M in M(nxn)(C), te! HMT1,HMT2 s.t. M=HMT1 + i*HMT2

-(HMT)^k도 HMT

-for any in C^n, ct(x)Mx:real iff M:HMT

-HMT가 가역이라면 inverse도 HMT이다.

-MT1:HMT of rank r이면 te P:permutation matrix and M:psubMT of MT1 s.t. M:rxr and of full rank r and ... (link)

-(Courant-Fischer Formula)HMT의 egv를 구하는 방법 제시, link참고(link)

 (lin에서 rt대신 ct쓰면됨)

(빨간 부분 오류임, 다음의 link참고)(link)

-(Weyl's Inequalities)for 1<=j<=i<=k<=n, λ_n <= λ_(n-1) <= ... <= λ_1

λ_k(HMT1) + λ_(i-k+n)(HMT2) <= λ_i(HMT1+HMT2) <= λ_j(HMT1)+λ_(i-j+1)(HMT2)(link)

-(Cauchy-Poincare Separation)HMT1:psubMT of HMT2, HMT1과 HMT2의 egv(link1)(link2)

-M1:psubMT of M2, M2:HMT,

-positive inertia(M1) <= positive inertia(M2)

-negative inertia(M1) <= negative inertia(M2)

-M1:psubMT of M2, size (M1)=(n-1)x(n-1), te x s.t. M2x=0 and ...(link참조)일 때 inertia(M2) = inertia(M1) + (1,1,-1)(link)

-M2:invertible, a0=1, ak=det(Mk) where Mk:leading principal kxk subMT of M2일 때 # of negative egv of M2 = # of sign changes in the seq (a0,a1,...,an)(link)

-spec(HMT1)={a1,a2,...,an}, spec(HMT2)={b,0,0,...,0}, spec(HMT1+HMT2)={a1+b,a2,a3,...,an}이면 HMT1HMT2=HMT2HMT1(link1)(link2)

-positive-definite(pd)의 성질

-모든 대각성분은 양수이다.((1,0,0,...,0)같은 것을 정의에 대입)

-positive-definite HMT는 invertible이고 inv도 positive-definite이다.(link)

-(Characterization using egv)HMT:pd iff all egv of HMT is positive

-positive-semidefinite(psd)의 성질

-모든 대각성분은 nnn이다.((1,0,0,...,0)같은 것을 정의에 대입)

-psd:invertible iff psd:positive-definite(characterization of psd,pd using egv 사용 with det)

-(Chacracterization using egv)HMT:psd iff all egv of HMT are nnn

(->는 egv대입, <-는 HMT이면 NMT이고 udgMT이고 udgMT표현에서 ct(x)DMTx >= 0생각)

-(Chacracterization using decomposition)HMT:psd iff te MT s.t. HMT=ct(MT)MT (MT가 square matrix일 필요 없음)(->는 HMT가 NMT이므로 udgMT이고 psd이므로 nnn DMT는 square로 분해되는 걸 이용)

-psd1 + psd2도 psd

-psd + pd는 pd

-spec(psd)는 majorize diagonals(if nonincreasing order하게 rearrange했을 때)

-i번째 큰 egv(psd + SMT) <= i번째 큰 egv(SMT)

-SMT의 경우

-HMT이므로 HMT, NMT성질 다 따름

-egv가 real인것도 알고, egv도 real이 되게 선택가능->SMT:odgMT가 된다.

-MT:odgMT이면 MT:SMT도 성립

-(Courant-Fischer Formula)SMT의 egv를 구하는 방법 제시, link참고(link)

-SMT1,SMT2 with tr(SMT1)>=0, tr(SMT2)<0이면 te x in R^n s.t. rt(x)SMT1x >= 0 and rt(x)SMT2x < 0

-about A:ACMT, (λ,x):egv, eigenvector of A

-te DMT s.t. D^2 = IMT and DAD의 모든 off diagonal entries는 nnn(link)

-if A(1,1,...,1) = 0, then inertia(A)=(a,b,c),

where a=A의 strict upper entries중 음수인 것의 개수, b=A의 strict upper entries중 양수 인 것의 개수, c=n-a-b 이고 n-a-b-1=the degree of reducibility of A(link)

-if A:irreducible and all coordinates of x are nonzero

then λ:simple and all subMT of order n-1 of A-λIMT are invertible(link)

-if te no i,k s.t. a_(i,k) != 0 and x_i = x_k =0

then the multiplicities of λ = p + 1 + sum from k=3 to n-1 (k-2)*s_k(link)

where p:the degree of reducibility of A,

s_k:the number of those indices j for which x_j = 0 and a_(j,l):nonzero for exactly k indices l != j.

-if A:irreducible and λ1>=λ2>=...>=λn and λ=λr and x_i:nonzero for any i

then λr:simple and te! unordered pairs r-1개 (i,k) s.t. i != k and a_(i,k)*x_i*x_k < 0(link)

-if A:irreducible and λ:multiple egv

then x has at least one vanishing coordinate.(link)

-if A:irreducible and λ:simple and te no (i,k) s.t. a_(i,k):nonzero, x_i=x_k=0

then x_j=0 이면 d(v_j)=2(여기서 d(v_j)란, A로 만든 graph에서의 degree)(link)

 

-about bSMT

-M:bsMT iff M=matrix with (1,1)-block=U, (1,2)-block=JVJ, (2,1)-block=V, (2,2)-block=JUJ, where J=square matrix with ones along the antidiagonal and zeros elsewhere.

-spec(M)=the union of spec(U+JV) and spec(V-JU)

 

-skew-HMT의 성질

-NMT이므로 NMT의 성질을 따름

-모든 egv는 complex(imaginary)

-UnMT의 성질

-NMT이므로 NMT의 성질을 따름

-모든 column은 orthonormal basis를 만든다.

-모든 row은 orthonormal basis를 만든다.

-egv의 절댓값이 항상 1(복소평면상에서 UO1에 놓임)

-Some Decomposition(from recent papers)

-(Vilmar)Find spec(MT) using partition MT into smaller one when MT looks little symmetric(link)

-(Vilmar)MT=block MT(A B C D), 2x2일 때, block MT(A αΒ α^-1C D)의 spectrum은?(link)

-About M1-MT

-for M:M1-MT

-all diagonals of M are nnn

-M:Z-MT

-any psubMT of M is also M1-MT

-if irreducible and not invertible

-0 is egv with am(0)=1 and positive eigenvector

-every psubMT of M(not M) is M2-MT(i.e invertible M1-MT)

-if irreducible and invertible, then inv(M):positive(nnn;보다 강함)(link)

-for M:Z-MT

-M:M1-MT iff all egv(M)'s real part is nnn(link)

-M:M1-MT iff all real egv of M is nnn(link)

-M:M1-MT iff all its principal minors are nnn(link)

-M:M1-MT iff M+eps*IMT:invertible for any eps

-for M:invertible and Z-MT

-M:M1-MT iff inv(M):nnn(link)

-

-About M2-MT

-for M:Z-MT

-M:M2-MT iff all egv(M)'s real part is positive

-M:M2-MT iff all real egv of M is positive

-M:M2-MT iff all its principal minors are positive

-for M:M1-MT

-M:invertible iff M:M2-MT(즉 M1-MT중 invertible인게 M2-MT)

-for M:M2-MT

-if M:irreducible, then inv(M) > 0 (not nnn인 것, positive)


 

-matrix norm관련(|| ||:any matrix norm)(M in M(nxn)(C))(|M1|<=M2, where |M1|각 성분에 modulus취한 것)(N in M(nxn)(C), nnn)(P in M(nxn)(C), positive entries)(n:nnn vector in C^n)(p:positive vector in C^n)

-specR(M)<=||M||(link)

-for any eps, te a matrix norm || || s.t. specR(M)<=||M||<=specR(M)+eps(link)

(따라서 specR(M) is the greatest lower bound of matrix norms of M)

-if te || || s.t. ||M||<1, then lim k->inf M^k = 0(link)

-lim k->inf M^K = 0 iff specR(M)<1(link)

-specR(M) = lim k->inf ||M^k||^(1/k)(link)

-specR(M1)<=specR(|M1|)<=specR(M2)(link)

-About N

-sum of all diagonals <= specR(N)

-for any psubMT N' of N, specR(N')<=specR(N)(link)

-if all row sums of N is fixed, then specR(N)=||N||, maximum row sum matrix norm(link)

-if all column sums of N is fixed, then specR(N)=||N||, maximum column sum matrix norm(link)

-min over i (sum over j N_(i,j)) <= specR(N) <= max over i (sum over j N_(i,j))(link)

(If N:irreducible, then either = holds iff all row sums are constant)

-min over j (sum over i N_(i,jf)) <= specR(N) <= max over j (sum over i N_(i,j))(link)

(If N:irreducible, then either = holds iff all column sums are constant, )(link)

(유사한 형태도 있음, (link))

-if for some a, b in R, ap <= Np <= bp이면 a <= specR(N) <= b(link1)

-if for some a, b in R, ap < Np < bp이면 a < specR(N) < b(link1)

-if for some a in R, an < Nn < bn이면 a <= specr(A) ( < bn관련해선 성립안함)(link)

-specR(N+IMT) = specR(N) + 1

-(Frobenius-Konig theorem)perm(N) = 0 iff te P,Q:permutation MT s.t. PNQ=block MT, (1,1)=X, (1,2)=O, (2,1)=Y, (2,2)=Z where O is an sxt zero MT with s+t = n+1

-If N has positive egv p,

-해당되는 egv는 specR(N)이고 specR(N):nonzero

-N^m의 row sum의 bound을 얻는다 using p(link1)(link2)

-if N has positive left egv p

-if n s.t. Nn >= specR(N)n, n:nonzero, then Nn = specR(N)n(link)

-N:irreducible iff (IMT+N)^(n-1):positive matrix(link)

-if specR(N) < 1, then inv(IMT - N) = sum from i=0 to i=inf N^i, nnn, invertible(link)

-specR(N) is egv with nnn egv n(link)

-if specR(N) <1, then

-(IMT - N):invertible

-inv(IMT - N) = sum from i=0 to i=inf N^i, 따라서 nnn

-if N^k:positive for some k>=1, then am(specR(N))=1(link)

-if N:irreducible(link)

-specR(N) > 0

-te positive egv corresponding specR(N)

-am(specR(N))=1

-(Characterization of primitive MT)

N:primitive

iff lim n->inf (N/specR(N)^n:exists

(이 때 limit = p*rt(q) / rt(q)*p > 0, p:perron vector of N, q:perron vector of rt(N))

iff for some m > 0, N^m:positive MT

-the index of imprimitivity of N = gcd of lengths of the directed cycles in dG(N)

-for M s.t. |M|<=N, if specR(M)=specR(N), then M =_sim N, link참고(link1)(link2)

-for any psubMT N'(not N) of N, specR(N') < specR(N)

-for N<=M, M != N, specR(N) < specR(M)

-for M <= N, N != M, specR(M) < specR(M)

-N:SMT이고 for fixed one s and column vector v s.t. 2<=s<=n, N*v >= λ_s * v일 때

if J={i in [n], vi >=0},

then J:nonempty and the degree of reducibility of submatrix N[J]<= s-2

(where N[J]=J에 있는 것들만 row, column가지고 온 것)

(degree of reducibility란, irreducible한 submt의 대각 blocks의 direct sum표현 시 block개수)(link1)(link2)

-About DQSMT

-for MT in MT(nxn)(C), MT:DQSMT iff 1:egv for MT and rt(MT) with egv = (1,1,...,1)

-About DSMT

-specR(DSMT)=1 with (1,1,...,1) eigenvector

-0<=μ(DSMT)<=1

-μ(DSMT)=0 iff MT:reducible(따라서 μ를 measure of irreducibility라 한다.)

-for a>=0, b>=0, a+b=1, μ(a*DSMT1 + b*DSMT2) >= a*μ(DSMT1) + b*μ(DSMT2)

-perm(DSMT) > 0(link)

-DSMT1*DSMT2:DSMT(Need to check)

-(Characterization by Majorization)MT:DSMT iff for any x in R^n(std), DSMTx majorize x

-for any DSMT of order n, minimum of perm = n!/(n^n), maximum of perm = 1

(minimizing matrix은 unique, 1/n * J, maximizing matrix는 n!개, all permutation MT)

-if DSMT:reducible, then DSMT =_psim diagonal block MT whose all diagonals:DSMTs(link)

-if DSMT:irreducible, then h:=the index of imprimitivity of DSMT일 때 h|n and DSMT =_psim superdiagonal block form, all the blocks are (n/h)-square(link)

(따라서 n:소수인 경우 h=1되고, 따라서 DSMT는 primitive임을 알 수 있다.)

-(Birkhoff's Theorem)

{all DSMT of order n} = conv({all permutation MTs of order n}, the convex polytope(link)

-About DSSMT

-{all DSSMT of order n}=conv({MT(nxn) s.t. MT:(0,1)-MT and 각 행, 열마다 1이 0개 혹은 1개})

-(Characterization by weakly submajorization)

MT:DSSMT iff for any x in R^n(std), MTx weakly submajorize x

-About DSPMT

-{All DSPMT of order n}=convex but not convex hull

-(Characterization by weakly supermajorization)

MT:DSPMT iff for any x in R^n(std), MTx weakly supermajorize x(Need to check)


-About P

-specR(P) is egv with positive egv p이고 am(specR(P))=gm(specR(p))=1(link1)(link2)

-

-Matrix Group관련

-GL(n,F)관련

-GL(n,F) giso OSDP(SL(n:F),F^*)(link)

-Z(GL(n,F))={k*identity s.t. k is in F}

-F가 R(std)일 때

-GL(n,R(std)) is open submanifold of MTC(nxn)(R(std))(det:continuous이고 det=0인 MT들의 모임은 closed이므로)

-dim(GL(n,R(std))=n^2(왜냐하면 open submanifold이므로 dimension유지됨)

-LG(prod, inverse 모두 smooth)

-Lie(GL(n,R(std))) isomorphic MTC(nxn)(R(std))

-FC일 때

-GL(n,C) is open submanifold of MTC(nxn)(C)(det:continuous이고 det=0인 MT들의 모임은 closed이므로)

-LG(prod, inverse 모두 smooth)

-F가 finite field with q elements인 경우

-|GL(n,F)|=(q^n - 1)(q^n - q)...(q^n - q^(n-1))

(basis 하나 택한 다음에1열, 2열,...순으로 만들어가면 됨)

-O(n,F)관련

-FR(std)일 때

-O(n,R(std)):closed submanifold of GL(n,R(std))

-Matrix에서의 특수한 연산, MT1:nxn, MT2:mxm

-About Kronecker Product, KP

-spec(KP(MT1,MT2))={all possible product of egv(MT1), egv(MT2)}

-About Kronecker Sum, KS

-spec(KS(MT1,MT2))={all possible sum of egv(MT1), egv(MT2)}

-Dual Space관련

-(VS(F))^* is a VS(F)

-te natural(basis안쓰고) injective LT(VS(F),dd(VS(F))(E:VS(F)->dd(VS(F)), E(v):evaluation at v)(link)

(위의 injective LT를 Ev_VS(F)라 하자.)

-f:VS1(F)->VS2(F), linear일 때 (f^*와 관계)

-f:injective(surjective) iff f^*:surjective(injective)(link1)(link2)

-for f-dim VS(F), (VS(F))^*의 성질

-dim(VS(F))=dim((VS(F))^*), 따라서 isomorphic as vector space

-for V,W:VS(F), f in Hom(V,W), M:represents f인 matrix, f^* in Hom(W^*,V^*)일 때, f^*를 represents하는 matrix는 rt(M) 

-for inf-dim VS(F), (VS(F))^*의 성질

-Tensor algebra of V관련(V:VS(F),

-ET(V)관련

-f-dim V일 때(dimV=n일 때)

-for 1<=k<=n, dim(kth exterior power of V)은 C(n,k)




*Algebra Theory

-Algebra관련

-F-A가 dim이 n일 때, basis의 원소끼리의 A-multiplication해서 낳은 결과의 basis의 계수들의 table만 만들어두면, 다른 vectors의 A-multiplication도 쉽게 할 수 있다. 

-C_(F-A)(E)와 N_(F-A)(E)는 subalgebra가 안될 수 있다.(Jacobi's identity가 있으면 가능, 즉 Lie F-A에선 subalgebra됨)

-Associative R-A is a ring R2 s.t. R2=R_[1] with f:R->R2 mapping identity of R->identity of R2 s.t. f(R) of R2 is contained in Z(R2)

(즉 Associative R-A는 ring으로써 정의가능)

-TA(M)관련

-M을 포함하는 R-A(M:R-Md일 때)

-TA(M)은 universal property를 갖는다.f:M->A인 R-module homomorphism은 TA(M)->A로 유니크하게 extended

-TA(VS(F))은 noncommutative polynomial algebra over F로 간주될 수 있다.

-TA(M):graded(TA(M)의 homogeneous component of degree k를 k-factor of M이라 하고, 그 원소를 k-tensor라 한다.)

-SA(M)관련

-M을 포함하는 R-A(M:R-Md일 때)

-C(M):graded where C(M):=id generated by all elements of the form tp(m1,m2)-tp(m2,m1) for all m1,m2 in M

-따라서 SA(M)도 graded이고(SA(M)의 homogeneous component of degree k를 kth symmetric power of M이라 한다.)

-kth symmetric power of M is equal to TP(M,M,...,M)을 subMd generated by {tp(m1,m2,...,mk)-tp(permuted)}로 quotient한 것

-dim(kth symmetric power of M)=CC(m,k) where m:dim(M)

-dim(SA(M))=sum over k=0 to m CC(m,k) 

-kth symmetric power of M은 universal property를 갖는다. f:MxMx...xM->N가 k-multilinear symmetric map이면 te! g:kth symmetric power of M->N s.t. g:R-Md homomorphism and f=g o i 

where i:MxMx...xM->kth symmetric power of M, N:R-Md

-SA(M)은 universal property를 갖는다.f:M->A인 R-module homomorphism은 SA(M)->A로 유니크하게 extended(where A:any R-A)

-dim(VS(F))=n일 때 SA(VS(F))은 commutative polynomial algebra in n variables over F로 간주될 수 있다.

-EA(M)관련

-M을 포함하는 R-A(M:R-Md일 때)

-A(M):graded where A(M):=id generated by all elements of the form tp(m,m) for all m in M

-따라서 A(M)도 graded이고(EA(M)의 homogeneous component of degree k를 kth exterior power of M이라 한다.)

-simple tensors에서는 anticommutative, 즉 for m1, m2 in M, tp(m1,m2)=-tp(m2,m1)

(그렇다고 for a1,a2 in EA(M), a1a2=-a2a1인건 아님)

-kth exterior power of M is equal to TP(M,M,...M)을 subMd generated by {tp(m1,m2,...,mk) s.t. mi=mj for some different i,j}로 quotient한 것

-dim(kth exterior power of M)=C(m,k) where m:dim(M)

-dim(EA(M))=2^m where m:dim(M)

-kth exterior power of M은 universal property를 갖는다. f:MxMx...xM->N가 k-multilinear alternating map이면 te! g:kth exterior power of M->N s.t. g:R-Md homomorphism and f=g o i

where i:MxMx...xM->kth exterior power of M, N:R-Md

-F[[x]]관련

-(infinite product of formal power series의 convergence)

if f_i(x) in F[[x]], lim i->inf deg(f_i(x)-1) = inf, then prod over i>=1 f_i(x):converge

-F[[x]]관련

-F[[x]] is a S_[inf]-set, S_[inf]:=union over n>=2 S_[n]

-Λ관련

-Λ:subalgebra of F[[x]](즉, closed under multiplication)

-Λ = IDP over n>=0 Λ^n, Λ^n := the subspace of symmetric functions of homogenous degree n

-{m_ptt(x) s.t. ptt in PTT(n)}:basis for Λ^n

-{p_ptt s.t. ptt in PTT(n)}:basis for Λ^n(link1)(link2)

-{e_ptt s.t. ptt in PTT(n)}:basis for Λ^n(link)

-{h_ptt s.t. ptt in PTT(n)}:basis for Λ^n(link)

-{s_ptt s.t. ptt in PTT(n)}:basis for Λ^n(RS-correspondence이용)(link)

-dimΛ^n=#ptt(n)

-generating function for e_n, E(t):=sum over n>=0 e_n * t^n

-generating function for h_n, H(t):=sum over n>=0 h_n * t^n

-generating function for p_n, P(t):=sum over n>=0 p_(n+1) * t^n, 특별히 p_(n+1)임

-E(t)H(-t)=1

-E(-t)H(t)=1

-ln (H(t)) = sum n>=1 p_n * t^n * 1/n(link)

-P(t)=H(t)/H'(t)

-(Jacobi-Trudi Formula)for ptt(n)=(a1,a2,...,al), s_ptt(n) = det(h_(ai - i +j)) for 1<=i,j<=l(단 if ai - i +j<0, h_(ai - i +j)=0, if ai - i +j=0, h_(ai - i +j)=1)




-Quotient Algebra관련

-(First AISO Theorem)ahomo:R-A1->R-A2일 때 (R-A1)/ker(ahomo) aiso ahomo(R-A1)

-(Second AISO Theorem)id1 of R-A, id2 of R-A s.t. id1<id2일 때, (R-A/id1)/(id2/id1) aiso (R-A/id2) 

-(Third AISO Theorem)id1 of R-A, id2 of R-A일 때, id1+id2/id2 aiso id1/id1교id2

-homomorphism관련(ahomo:R-A1->R-A2일 때)

-ker(ahomo):id of R-A1

-ahomo(R-A1):subalgebra of R-A2

-Tensor Product관련

-For R:CR_[1], A:R-A, B:R-A일 때 TP(A,B):R-A

(tp(a1,b1)tp(a2,b2)=tp(a1a2,b1b2)로 정의해서)

-Derivation관련
-Der(R-A):R-subMd of End(R-A)
-Der(F-A)는 F-subA of gl(F-A)
-for F:ac-F, f-dim F-A일 때 if x in Der(F-A), then x_ss and x_n 모두 Der(F-A)에 속한다.(link)
-Lie Algebra관련(L:Lie algebra, Ll:Linear Lie algebra)

-A-Multiplication은 anticommutativity를 만족함, i.e. brk[x,y]=(-brk[y,x])

-(Ado's Theorem)Every f-dim Lie F-A(char(F)=0인)is isomorphic to some Linear Lie Algebra

(따라서 Linear Lie Algebra위주로 공부하면 된다. 별말 없으면 f-dim위주로 공부하고 inf-dim은 따로 정리)

-dim<=2인 L은 unique

-L:abelian iff Z(L)=L iff [LL]=0

-id1+

-about id

-linear subspace>subalgebra>id

-대표적인 id는 0, ker(ahomo), [LL], Z(L), L

-주의, Im(ahomo)는 not id, subalgebra까진 됨

-id연산 관련

-id1+id2도 id

-[id1,id2]도 id

-id1교id2도 id of L(id of id1, id of id2도 됨)

-(Third Isomorphism Theorem)id1+id2/id2 aiso id1/id1교id2

-e_(i,j)

-e_(i,j)e_(k,l)=e_(i,l)d_(j,k)

-e_(i,j)e_(j,l)=e_(i,l)인데 e_(i,l)의 level은 level of e_(i,j) + level of e_(j,l)

-Simple L관련

-any simple L aiso subalgebra of gl(L)

-L:Simple일 때, Z(L)=0, [L,L]=L

-Semisimple L관련

-simple이면 semisimple

-L:semisimple iff L has no nonzero abelian ideal(link)

-(F:acc0)L:semisimple iff kf_L:nondegenerate(link)

(<-부분은 F:acc0필요없음)

-(Decomposition of semisimple L)L:semisimple이면 te{L_i} s.t. L=IDP(L_i), L_i:simple ideal of L(link1)(link2)

(게다가 every simple ideal of L coincides with one of L_i임을 알 수 있고, converse도 성립함)

-L:semisimple이면

-L=[LL]

-for any id of L, id:semisimple이고 id:a sum of simple ideals of L

-any homomorphic images of L:semisimple

-adj representation of L의 성질

-ahomo가 된다.(즉 representation of L가 된다.)
-kernel=Z(L)
-ad[x,y]=[adx,ady] for any x,y in L
-Aut(L)관련
-Char(F) = 0일 때, for f in Der(L) s.t. nilpotent, exp(f)는 well-defined, exp(f)는 Aut(Lie F-A)에 속한다. 
-Char(F) = 0일 때, Int(L):NS of Aut(L)
-for x in Ll s.t. x:nilpotent일 때 for y in Ll, exp(adx)(y)=exp(x)yexp(-x)

-Solvable관련

-L:solvable이면 subalgebra도 solvable

-L:solvable이면 homomorphic image도 subalgebra

-id:solvable and L/id:solvable이면 L은 solvable

-id1:solvable, id2:solvable이면 id1+id2도 solvable

-L:solvable iff RadL=L

-L:not solvable이면 L/Rad(L):semisimple(link)

-(F:acc0)f-dim L:solvable이면 te a flag (L_i) of L(link)

-(F:acc0)f-dim L:solvable이면 for x in [LL], ad_L(x):nilpotent(link), 따라서 [LL]:nilpotent 따라서 L:solvable

-(F:acc0)L:f-dim s.t. for any x in [LL], any y in L, tr(adxady)=0이면 L:solvable(link)

-Nilpotent관련

-L:nilpotent이면 subalgebra도 nilpotent

-L:nilpotent이면 homomorphic image도 subalgebra

-id1:nilpotent, id2:nilpotent이면 id1+id2도 nilpotent(link)

-L/Z(L):nilpotent이면 L:nilpotent

-L:nonzero nilpotent이면 Z(L):nonzero

-L^(n)<L^n, 따라서 L:nilpotent이면 L:solvable(역성립안함, t(n,F)생각)

-(Engel's Theorem)L:nilpotent iff for any x in L, x:ad-nilpotent(link1)(link2)(link3)

-L:nilpotent이고 id:nonzero ideal of L일 때, id교Z(L)은 nonzero(link)

-Trace, Killing Form관련(L:Lie algebra over F, dim(L)<inf, 

-kf_L

-symmetric bilinear form on L

-associative(kf_L(x,[yz])=kf_L([xy],z))

-for I:id in L, kf_I=restriction of kf_L on IxI(link)

-rad(kf_L):id of L(link)

-for I:abelian id in L, I<rad(kf_L)<Rad(L)

-


-Linear Lie Algebra관련

-Linear Lie Algebra성질

-Trace, Killing form관련

-for V:f-dim VS(F), LI of gl(VS(F)), x in LI

-tr([x1x2]x3)=tr(x1[x2x3])(link)

-for x in Ll s.t. x:nilpotent일 때 x:ad-nilpotent(역성립안함, identity matrix 생각)(link)

-for V:f-dim VS(F), Ll of gl(VS(F)) s.t. consisting of all nilpotent endomorphism,

-te nonzero v in V s.t. Lv=0(link)

-te a flag (V_i) in VS(F) with for all x in L x(V_i)<V_(i+1)

-for F:acc0, V:f-dim VS(F), LI of gl(VS(F))

-if LI:solvable, then te nonzero v in V s.t. v:egv for all x in LI(즉 common eigenvector)(link1)(link2)(link3)(link4)

(char(F)=prm이면 반례 존재, gl(2,F_p)에서  x=(0 1 1 0), y=(0 0 0 1), L=span{x,y}생각, x,y는 2x2 matrix)

(common egv라는게 같은 eigenvalue에 해당되지않아도 됨)

-(Lie's Theorem)if LI:solvable, then te a flag (V_i) in VS(F) with LI stablizes the flag.(link)

-for A<B, subspaces of gl(VS(F)), M={x in gl(V) s.t. [x,B]<A}, if x in M s.t. tr(xy)=0 for all y in M, then x:nilpotent(link1)(link2)(link3)

-(Cartan's Criterion)for all x in [LILI], y in LI, tr(xy)=0 iff LI:solvable(link1)(link2)

-for F:ac-FV:f-dim VS(F), Ll of gl(VS(F)), x in Ll, x=x_ss + x_n where x_ss:semisimple part, x_n:nilpotent part(By Jordan-Chevalley Decomposition)

-x:semisimple이면 adx도 semisimple(link)

-adx=ad(x_ss)+ad(x_n)=(adx)_ss + (adx)_n (ad(x_ss)=(adx)_ss인 것)(link)

-for F:acc0, V:f-dim VS(F), LI of gl(VS(F))


-Classical Algebras

-gl(n,F)관련

-dim=n^2


-sl(n,F)관련

-dim=n^2 - 1

-char(F) != 2 and n=2일 때 simple

-[LL]=L

(즉 basis의 원소를 commutator 형태로 표현하면 됨)

(즉 모든 원소가 tr=0)

-sp(2n,F)관련

-원소를 matrix로 표현시 gl(n,F)의 3개의 원소로 표현가능(link)

(사실 sp의 form을 정의할 때 쓴 MT는 nondegenerate하고 skew-symmetric인 form은 저런 형태뿐임 적절한 basis잡아서)

-dim=2n^2+n

-[LL]=L

(즉 모든 원소가 tr=0)

-o(2n+1,F)관련

-원소를 matrix로 표현시 gl(n,F)의 3개의 원소로 표현가능(link)

-dim=2n^2+n

-[LL]=L

(즉 모든 원소가 tr=0)

-o(2n,F)관련

-dim=2n^2-n

-[LL]=L

(즉 모든 원소가 tr=0)

-t(n,F)

-t(n,F)=direct sum of n(n,F), d(n,F)

-solvable

-n(n,F)

-d(n,F

-[d(n,F),n(n,F)]=n(n,F)


*Set Theory

-About Set Operation

-cartesian product는 intersection하고만 commute

-AΔB=A^C Δ B^C

-(a-union E_n) Δ (a-union F_n) < [a-union (E_n Δ F_n) ]

-(c-union E_n) 교 F = c-union (E_n 교 F)

-About Function f with set operation

-f^(-1)은 union, intersection, difference, inclusion을 모두 preserve함

-f은 inclusion과 union만 preserve함

-f가 1-1이면 f^(-1)(f(E))=E

-f가 onto이면 f(f^(-1)(E))=E

-About Well-Ordered Order Relation(Order Relation관련 용어 정의(link))

-J가 well-ordered이면 largest element(존재한다면)빼고는 나머지 원소들은 immediate successor를 항상 가짐

-J가 well-ordered이면 least upper bound property를 만족한다. 

-J가 well-ordered이면 J의 subset도 well-ordered

-J1, J2가 well-ordered이면 J1xJ2 with dictionary order도 well-ordered

-About Section

-J1xJ2의 subset E에 대해

-section은 complement, (arbitrarily)union, (arbitrarily)intersection, difference과 interchangable

-Map:J1xJ2->J3에 대해

-J3에 연산이 있었으면 section은 분배가능

-J3가 MetricS였다면, lim와 section이 interchangable

-About Major Axioms(AOC, HMP, WOT, ZL)

-(AOC), Given a collection C of disjoint nonempty sets, te a set D consisting of exactly one element from each element of C

-(Existence of a choice function), Given a collection C of nonempty sets, te a function c:C->union of all E in C s.t. c(S) is an element of S, for each S in C

(즉 C에서의 원소(set인)S마다 S의 원소를 택하는 choice function)

-(Well-ordering Theorem)임의의 E에 대하여, te strict total order relation s.t. E is well-ordered

-(Existence of S_Z)te uncountable well-ordered set s.t. every section is countable

-(HMP)E with strict partial order relation, te maximal subset F with strict total order relation

-(ZL)E with strict partial order relation이고 every subset F of E with strict total order relation(이런 F를 chain in E라 한다.) has an upper bound in E이면 E는 largest element를 갖는다.

({non strict partial order} bijection {strict partial order}이므로, non strict partial order로 theorem이 state되기도 한다.)

(AOC,HMP,WOT,ZL 중 1개를 쓴다는 것은 명시적인 선택 방법은 주지 않은 채 원소들을 선택함을 포함, 이 4개중 1개를 사용하여 증명하면 이 증명은 자동적으로 non-constructive, 즉 그 증명에서의 존재성 등이 실제로 존재하는 대상을 만드는 방법을 주지는 않는다는 것이 된다.)

*Measure Theory

-About Collection of subsets

-About C3

-(Monotone Class Theorem):MC(C3)=C4(C3)(link)(특히 C3가 MC이면 C4가 된다.(link))

-C3가 finite이면 C4이다.

-closed under complement, f-intersection, f-union, relatively complement

-{C3_n}이 inc이면 c-union C3_n은 C3가 된다.

-collection of subsets:C3 iff closed under relatively complement and containing 전체집합

-About C4

-C4는 closed under c-union, c-intersection, complement, relatively complement

-C4는 확률론에선, 가진 information을 표현하는 한 기법이다.

-{C4_n}의 c-union은 C4가 안된다.(inc하더라도 안됨)

-C4(C)는 전체 집합 J에서 C의 원소들로 쪼개진 the finest partition의 원소들의 union+empty이다.

-countable infinite C4는 존재하지 않는다.(link)`

-J1<J2, C4 of J2가 있을 때, J1에 C4를 induce하는 방법은 J1 intersection C4(link)

-J1<J2, C:collection of subsets in J2에 대해 C4(C) intersection J1은 J1의 C4가 되고 C4(C) intersection J1=C4(C intersection J1)

-f:J1->(J2,C4), 

-f^(-1)(C4)는 C4 on J1이 된다.

-f:J1->J2, C:collection of subsets of J2, f^(-1)(C4(C))=C4(f^(-1)(C)) 

-About LC

-LC need not be closed under f-intersection

-C:a collection일 때 LC(C) < C4(C)

-(Dynkin's Theorem)PC<LC이면 LC(PC)=C4(PC) < LC

(즉 PC가 LC에 포함되면 PC의 확장은 LC를 벗어나질 못함)

-LC가 PC이기도하면 LC는 C4가 된다.

-About Seq of Sets and Indi

-liminf(E_n)의 해석

-te k in N s.t. for n>=k, x in E_n인 x들의 모임

-c-sum indi_(E_n^C) (x) <inf인 x들의 모임

-limsup(E_n)의 해석

-for infinitely many k in N, x in E_k인 x들의 모임

-c-sum indi_(E_n)(x)=inf인 x들의 모임

-liminf(E_n)=<limsup(E_n)

-[liminf(E_n)]^C = [limsup(E_n^C)]

-limsup(E_n U F_n) = limsup(E_n) U limsup(F_n)

-liminf(E_n 교 F_n) = liminf(E_n) 교 liminf(F_n)

-limsup(E_n 교 F_n) < limsup(E_n) 교 limsup(F_n)

-liminf(E_n U F_n) > liminf(E_n) U liminf(F_n)

-liminf(E_n)=limsup(E_n)일 때, lim (E_n)정의함

-lim (E_n), lim (F_n)이 있을 때, lim은 union에 대해 분배법칙 성립, lim은 intersection에 대해 분배법칙 성립

-E1<E2일 때, indi_E1 <= indi_E2

-indi_E^C = 1 - indi_E

-indi_inf(E_n) = inf(indi_(E_n))

-indi_liminf(E_n) = liminf indi_(E_n)

-indi_limsup(E_n) = limsup indi_(E_n)

-indi_sup(E_n) = sup(indi_(E_n))

-indi_union(E_n) <= sum indi_(E_n)

-indi_E1ΔE2 = indi_E1 + indi_E2 (mod 2)

-{E_n}:inc일 때, lim(E_n)=union E_n

-{E_n}:dec일 때, lim(E_n)=intersection E_n

-About nnn sf

-f-additive이면 monotone(if)성립

-empty->0일 때, f-additive(if) and countably monotone1 iff c-additive(if)

-About OM, OME

-About OM

-충분조건

-nnn sf:P(J)->[0,inf]가 empty->0, countably monotone1 for {J_n}:disjoint, has finite value

-nnn sf:P(J)->[0,inf]가 empty->0, monotone, countably monotone2 for {J_n}:disjoint, has finite value

-필요조건

-monotone

-건설법

-nnn sf:C2->[0,inf]가 empty->0이기만하면 (nnn sf)*:P(J)->[0,inf]로 확장하며 건설가능

-PM* (PM on C3로 induce한 OM)의 성질

-PM*는 PM의 extension이다.(즉 C3상에서는 PM*과 PM은 같음)

-for E in C3, E는 PM*ME

-{all PM*ME}는 C4가 됨 -> C3(U), C3(I), C3(U)(I), ... 각각의 원소들 모두 PM*ME됨도 앎

-PM*는 r-OM

(구체적으로, for any E in P(J) and for any eps, te E1 in C3(U) s.t. E<E1 and PM*(E1)<=PM*(E)+eps)

(게다가 for any E in P(J), te E2 in C3(U)(I) s.t E<E2 and PM*(E)=PM*(E2))

-E가 PM*ME iff te E2 in C3(U)(I) s.t. E<E2 and PM*(E2-E)=0

(only if를 보일 때는 sf-PM일 때만 가능)

-restriction of PM* 

-to C4(C3)

-PM*는 M이 된다.

-C3(U)까지는 다른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과 PM*는 같아짐

(즉 for E in C3(U), M(E)=PM*(E) where M is a extension of PM)

-C4(C3)까지는 다른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보다 약간 클 수 있음

(즉 for E in C4(C3), M(E)<=PM*(E) where M is a extension of PM)

(단, PM*(E)<inf이면 M(E)=PM*(E) for E in C4(C3)됨)

-sf-PM이었다면, C4(C3)으로의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는 PM*가 유일

-to {all PM*ME} 

-sf-PM이었다면, {all PM*ME}으로의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는 PM*가 유일

-CM

(C3<C3(U)<C3(U)(I)<C4(C3)<{all PM*ME})<P(J))

(이 때 nnn sf s.t. empty->0, f-additive(if), countably monotone2(if) for {J_n}:disjoint로 induce생각가능)

(위 sf는 C3로 extension되고 unique한 PM됨을 이용)

-(sf-M,C4)로 induce한 OM, 이 경우 {all OME}로의 restriction은 (sf-M,C4)의 completion

-SC3에서의 nnn sf로 extension

-nnn sf:SC3->[0,inf], empty->0, f-additive(if), countably monotone2(if)(dis)로 OM induce가능

(조금 더 좋은 조건은 애초에 SC3에서 PM이기만 해도 됨)

-C3(SC3)에서의 unique PM, which is the extension of nnn sf on SC3

-nnn sf가 sigma-finite였다면 unique PM on C3(SC3)도 sigma-finite

(C3에서의 PM으로 induce한 PM*논의 가능)

-RSC3에서의 PM으로 extension

-RC3(RSC3)에서의 unique PM, which is the extension of PM on RSC3

-PM on RSC3가 sf-PM이었다면, unique PM on RC3도 sf-PM

-unique PM on RC3로 induce한 PM*에 대해서

-sf-PM이었다면, C4(RSC3)으로의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는 PM*가 유일

-sf-PM이었다면, {all PM*ME}으로의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는 PM*가 유일

-{all PM*ME}에서 CM

-About OME

-OM(A)=OM(A교E)+OM(A-E) for A in P(J) s.t. OM(A)<inf만 판정해도 OME판정 가능

-{all OME}은 C4가 된다.

-OM(E)=0이면 E는 OME

-About Other Properties

-{all OME}는 C4가 된다.

-restriction of OM to {all OME}는 CM이 된다.

-E1<E2 in P(J)에 대해 OM(E2-E1)=OM(E2)-OM(E1)이 성립하려면 E1:OME and OM(E1)<inf인 게 필요

-E1<E2 in P(J)에 대해 OM(E2-E1)=0이면 OM(E2)=OM(E1) (역은 성립 안함, 즉 OM(E2-E1)=0이 강함)

-OM1, M:restriction of OM1 to {all OM1ME}, OM2:OM induced by M일 때

-OM1<=OM2

-OM1(E)=OM2(E) iff te OM1ME E1 s.t. E<E1 and OM1(E)=OM1(E1)

-OM1이 r-OM iff OM1(E)=OM2(E) for any E in P(J)

-About PM

-f-additive(if)

-monotone(if)

-domain이 C3에서는 

-monotone

-f-additive

-countably monotone1

-domain이 C4에서는 PM은 M이 된다.

-About M, ME

-About M

-(Measure Equality)

:(J,C4)에서 M1, M2가 있을 때, C={E in C4 s.t. M1(E)=M2(E)}는 LC된다.

:(J,C4)에서 M1, M2가 있을 때, C가 PC이고, M1=M2 on C이면 M1=M2 on C4(C)

(즉 (R(std), C4(TS))에서 C4(TS)의 PC인 subcollection에서 ProbM1과 ProbM2가 서로 같으면 ProbM1=ProbM2 on C4(TS))

(구체적으론 DF1 from ProbM1과 DF2 from ProbM2가 같으면 ProbM1=ProbM2 on C4(TS))

(따라서 ProbM on (R(std), C4(TS))는 DF에 의해 uniquely determined)

-monotone

-(Conti from Below){E_n}:ME and inc이면 M(lim E_n)=lim M(E_n)

(C4에서 nnn set function이 Conti from Below and finite-additive이면 the set function은 Measure가 된다.)

(C4에서 nnn set function(J)<inf이면 Conti from ABoce and finite-additive이면 the set function은 Measure가 된다.)

-(Conti from Above){E_n}:ME and dec and M(E_1)<inf이면 M(lim E_n)=lim M(E_n)

-M(c-intersection E_n) <= M(liminf E_n) <= liminf M(E_n) <= limsup M(E_n) <= M(limsup E_n) <= M(c-union E_n)

(link)

-(Borel-Cantelli Lemma) c-sum M(E_n) < inf이면 M(limsup E_n)=0 

-f-M/sf-M/smf-M 관련

-f-M일 때는 Probability Measure 참조

-M이 있으면 smf-M도 만들 수 있고 M=smf-M + M2으로 decomposition가능, 이 때 M2는 0과 inf만 가짐

-smf-M(ME)=inf일 때, for any n in N, te F<ME s.t. F:measurable and n<=smf-M(F)<inf(link)

-sf-M의 합도 sf-M이 된다.

-sf-M(X)=inf일 때 X를 만드는 것들이 disjoint하게 만들 수도 있고, 각각이 n<=sf-M(ME_n)<inf 할 수도 있다.

-About ME

-{E_n}:ME이면 sup E_n, inf E_n, liminf E_n, limsup E_n 모두 ME

-Null-ME라 해서 subset이 Null-ME인지는 모름(Completion개념 필요)

-Measure Space(J1,C4,M)를 complete하게 만드는 방법은 C4을 C4'으로 확장한다.

-C4`={ME union subset of Null-ME}

-sf-ME의 c-union, c-intersection모두 sf-ME가 된다.

-About {M_n}(M_n:fixed C4->[0.inf], C4는 sigma algebra of J라 하자.)

-inc이고 setwise cv to a set function f이면 f도 measure다.(link)

-setwise cv to a set function f인데 f(J)<inf이면 f도 measure다.(link)(보충 필요)

-About Product Measure

-PrM과 Product C4만드는 과정(link1)(link2)

Step1-MR다 모은 것이 SC3됨, SC3상에서 적절한 nnn set function정의

Step2-PM on C3을 얻고, PM* on PM*C으로의 restriction을 PrM이라 한다.

(Real Analysis에선 Product C4를 C4({All PM*-ME})로 보고, Probability Theory에선 C4(C3({All MR}))로 본다.)

-Tonelli와 Fubini Theorem으로 가는 Step

Step0 PrM의 유일성과 Completeness

-sf-M1, sf-M2로 만든 PrM는 sf-, unique, CM이다.

Step1 About PrC1

-PrC1의 원소의 section은 각 M1, M2의 C4의 원소가 된다.(using C4-Techniques)(link)

-MF on (X1×X2, PrC1)의 section은 MF on (X1,C4), on(X2, C4) 된다.(link)

-sf-M1, sf-M2, PrC1

-f-M1, f-M2일 때 먼저 해결(link1)(link2)

-sigma finite일 때로 확장(link3)

Step2 About PrC2

-sf-CM1, sf-CM2로 만든 PrM에서 PrM(E)=0인 E의 section은 각 sf-CM1=0, sf-CM2=0 a.e.(link)

-sf-CM1, sf-CM2로 만든 PrM에서 PrC2의 원소의 section은 각 sf-CM1, sf-CM2의 C4의 원소가 된다. a.e.(link)

-sf-CM1, sf-CM2, PrC2(link)

-sf-CM1, sf-CM2, nnn MF on (X1×X2, PrC2)(using simple+MCT)(link)

-sf-CM1, sf-CM2, integrable on (X1×X2,PrC2)(using Tonelli)(link)

note)(MF의 section말고 완전히 쪼개질 수 있는 case의 경우)

-MF1 on (X1,M1,C1_1), MF2 on (X2,M2,C1_2)-> MF1*MF2는 MF on (X1xX2, PrC1)(using simple)

-g1:integrable on X1 wrt M1, g2:integrable on X2 wrt M2->f=g1*g2:integrable on X1xX2 wrt M1xM2

게다가 int f d(M1xM2)=int g1 dM1 * int g2 dM2(using simple+integrable func)

note)counting measure에서의 Tonelli, Fubini theorem의 의의

Tonelli:double series interchangable when nnn sequence

Fubini:double series interchangable when abs cv double series

(abs cv double series란 |seq|의 finite partial sum의 double limit:finite을 가리킨다.)

-About MF(f:(J1,C4(1))->(J2,C4(2), 특히 rdv도 MF인 것을 고려)

-(iff)C4(2)의 generating set의 inverse image가 C4(1)에 속한다.

-f^(-1)(C4(2))는 C4가 된다. 따라서 f는 f^(-1)(C4(2))-measurable(C4(1)이 무엇이든 항상 가능)

-MF의 정의역에 Measure가 있으면 공역에도 Measure를 건설할 수 있다.(by using MF, M)

-MF와 MF가 composite하면 MF를 얻는다.(conti(MF)인 경우가 많음)

-C(MS)에서 MF인 f가 있다면 MS에서 MF인 g를 만들 수 있다. s.t. f=g CM-a.e.

-CMS에서 MF인 f, f=g CM-a.e.이면 g도 MF

-{f_n}:pt cv a.e. to f이면 f가 MF인지를 모름(단, 정의역이 CMS이면 f가 MF임을 앎)

-(J2,C4(2))=(ETR,C4(TS))인 경우

-(J1,C4(1))의 measure가 f-M인 경우는 rdv을 참조

-g:erv이고 {MF_n}:rv, pt cv a.e. to g이면 g가 MF iff M은 complete

-MF판정법

-monotone이면 MF된다.(정의역에 ordering이 있을 때)

-C4(TS)의 generating set에 대해서만 판단하여도 된다.

-(J1,C4(1))=(TS,C4(TS))인 경우, conti이면 MF된다.

-{MF_n, 각 정의역 C4(1)이 같을 때}(적분관련 convergence는 더 밑에 있음)

(http://www.johndcook.com/modes_of_convergence.html 참조, well-organized)

-sup MF_n, inf MF_n, limsup(MF_n), liminf(MF_n) 모두 MF가 된다.

-{x in J1 s.t. lim MF_n(x) exists}는 C4(1)의 원소가 된다.(link)

(Egoroff's Theorem)

-ME1:finite measure, {MF_n}:finite a.e. on E, pt cv a.e. to MF이면 for any eps, te ME2<ME1 s.t. M(ME2)<eps and {f_n}:uni cv to f on ME1-ME2(link)

-{MF_n}:cauchy in M이면 te subseq of {MF_n} and MF s.t. the subseq pt cv a.e. to MF(link)

-{MF_n}:cauchy in M iff {MF_n}:cv in M(link1)(link2)

-{MF_n}:cv in M이면 every subseq of {MF_n}도 cv in M

-{MF1_n}:cv in M, {MF2_n}:cv in M이면 {MF1_n + MF2_n}도 cv in M, {MF1_n * MF2_n}도 cv in M

(곱은 f-M에서만 가능)

-{MF_n}:pt cv a.e. (real-valued), g:(R,C4(TS)->(R,C4(TS)):conti이면 {g(MF_n)}도 pt cv a.e.

-{MF_n}:cv in Lp이면 cv in M(0<p<inf)(link)

-{MF_n}:cv in Lp이면 ||MF_n||_p 은 ||MF||_p로 수렴(역은 성립 안함)(1<=p<=inf)(link)

-{MF_n}:rv a.e., almost uni cv이면 {MF_n}:pt cv a.e.

-{MF_n}:rv a.e., almost uni cv이면 {MF_n}:cv in M

-(Scheffes's Lemma for MF_n)(link)

:{MF_n}:cv in L1 iff lim n->inf sup over E in C4 [int over E MF_n - int over E MF]=0

-{All nnn measurable simple functions}의 성질

-Vector Space over R

-곱셈, finite sup, finite inf에 closed

-적분(int)정의함

-int은 linear, monotone

-{ME_n}:inc이고 S:nnn measurable simple function일 때, 

int(S over c-union(ME_n))=lim n->inf int(S over ME_n)

-{nnn MF}의 성질

-Closure in the top of pt cv in the function space {All nnn measurable simple functions}={nnn measurable functions}

-+, *, 양의 실수곱에 대해 닫혀 있음

-(Approximation by Simple Functions)(S_n을 seq of simple function이라 하자.)(link)

-nnn MF가 있으면 te {S_n} s.t. nnn, simple measurable and pt cv to MF

-게다가 {S_n}은 MF가 bdd인 J1의 subset에서는 uni cv하게 됨

-(J1,C4(J1))에 sf-M가 있었다면, {S_n}을 finite support인 걸로 잡을 수 있음

(여기서 finite support는 TS에서와는 조금 다르게 생각, 즉 closure인 걸 빼고 생각하자, 정의역에 Topology가 있었다면 finite support 그대로 생각 해도 무관)

-MF(nnn일 필요는 없는)가 있으면 te {S_n} s.t. 0<=|S_1|<=|S_2|<=...<=|MF| and pt cv to MF

-게다가 {S_n}은 MF가 bdd인 J1의 subset에서는 uni cv하게 됨

-적분(int)정의함

-int(f over J)=0 iff f=0 a.e.

-monotone seq of nnn measurable simple functions을 이용하여 적분 정의

-혹은 그냥 seq of nnn measurable simple functions의 적분의 sup으로도 정의함

(전자로 정의하면 well-definedness 보여야)

-(Monotone Convergence Theorem)

:{nnn MF_n}:inc pt cv a.e. to MF일 때, lim과 int change가능(link)

-{nnn MF_n}:pt cv a.e. to MF f이고 f_n<=f a.e. (즉 inc대신)일 때, lim과 int change가능

-(Series and Integral)

:{nnn MF_n}, series랑 int change가능

-(Fatou's Lemma)

:{nnn MF_n}에 대해 int(liminf MF_n)<=liminf(int(MF_n)) (link)

-적분은 monotone, linear(스칼라곱은 양수에 대해서만)(link)

-nnn MF가 Integrable하면 

-MF^(-1)(MF=inf)은 Null-ME

-MF^(-1)(MF>0)은 sf-ME

-일반적인 MF(nnn일 필요 없는)의 적분(X를 MF라 하자.)

-quasi-integrable

-정의:int(X^+)<inf or int(X^-)<inf iff int(X)<inf 

-X:quasi-integrable->int(a*X)=a*int(X) for a in R

-linearity when {int(X^+)<inf and int(Y^+)<inf} or {int(X^-)<inf and int(Y^-)<inf}이면 int(X+Y)=int(X)+int(Y)(link)

-integrable

-정의:int(X^+)<inf and int(X^-)<inf iff int(|X|)<inf 

-M(E)=0인 E에 대해 int over E MF=0(정의 생각)

-integrable한 f,g에 대해 linearity, monotone

(Integration의 additive는 둘다 nnn MF(즉 같은 부호)이거나, 둘다 integrable이거나, 같은 부호 part가 integrable이거나가 성립해야만 가능)

(f,g:integrable이면 max{f,g}, min{f,g}도 integrable이고, int max{f,g}=int f +int g - int min{f,g})

-MF:integrable이면 MF^(-1)(MF is nonzero)는 sf-ME(link)

-MF:integrable이면 epsilon(int of |MF|의 upperbound)-delta(적분 영역의 upper bound)가 성립(link)

-MF:integrable이면 epsilon(int |f| over J - int |f| over E)에 대하여 finite measure E 존재(link)

-MF:integrable이면 E_n={x in J s.t. |MF(x)>n|}에 대해 lim n->inf int over E_n |MF| =0

-MF:integrable이면 E_n s.t. lim n->inf M(E_n)=0에 대해 lim n->inf int over E_n |MF| =0(link)

-uniformly-integrable (u.i.)

-정의:{MF_i}:u.i. iff lim a->inf sup over k [int over {|MF_i|>a} |MF_i|]=0 

({MF_n}일 때는 iff {MF_n}:D-Martingale 도 됨)

-성질

-{MF}, MF:integrable이면 {MF}:u.i.

-{MF_i}, |MF_i|<=g, g:integrable이면 {MF_i}:u.i.

-{MF_1,MF_2,...,MF_n}(finite sequence), 각각이 integrable이면 {MF_1,...,MF_n}:u.i.

-{MF1_i}, {MF2_i}:u.i., |MF1_i|<=|MF2_i|이면 {MF1_i}:u.i.

-(Crystal Ball Condition)(link)

:a>0, b>0에 대해 sup over i int |MF_i|^(a+b)<inf이면 {|MF_i|^a}:u.i., {|MF_i|^b}:u.i.

-(Crystal Ball Condition, General)(link)

:te g:[0,inf)->[0,inf) s.t. lim x->inf g(x)/x =inf and sup over i int g(MF_i)<inf이면 {MF_i}:u.i. 

-f가 integrable이고 f=g a.e. 이면 int(f)=int(g) and g도 integrable

-f가 integrable이면 f=g a.e. iff int over E (f) = int over E (g) for any E in PC generating C4(link)

-(Integral Comparison Lemma)

:(J,C4,M), C:sub sigma-algebra of C4, f:C-measurable, g:C-measurable일 때

-f=g a.e. iff for any E in C, int over E f dM = int over E g dM

-f>=g a.e. iff for any E in C, inter over E f dM >= int over E g dM

-int (|MF|)=int over [0, inf) M(|MF|>t) dt(link)

(특히, nnn인 MF에 대해서 이용됨)

-(Monotone Convergence Theorem)(link)

:{MF_n}:inc, pt cv a.e. to MF f이고 f_n>=g a.e., g:integrable이면 lim과 int change가능

:{MF_n}:dec, pt cv a.e. to MF f이고 f_n<=g a.e., g:integrable이면 lim과 int change가능

(pt cv a.e. to MF f 대신 cv in M와도 Monotone Convergence Theorem성립)

-(Series and Integral)

:g=series from k=1 to k=inf |MF_n|이 integrable이면 series랑 int change가능

-(Fatou's Lemma)

:{MF_n}에 대해 MF_n>=g a.e., g:integrable이면 int(liminf MF_n)<=liminf(int MF_n)

:{MF_n}에 대해 MF_n<=g a.e., g:integrable이면 limsup(int MF_n)<=int(limsup MF_n)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MF_n}:pt cv a.e. to MF f이고 |MF_n|<=g a.e., g:integrable이면 lim과 int change가능

:{MF_n}:pt cv a.e. to MF f이고 |MF_n|<=g a.e., g:integrable이면 cv in L1도 됨

:{MF_n}:cv in M, |MF_n|<=g a.e., g:integrable이면 lim과 int change가능, cv in L1도 됨(link)

-(Transformation Theorem)(link1)(link2)

:T:(J1,C4(1), M1)->(J2,C4(2)), Y:(J2,C4(2))->(ETR,C4(TS))이고 X=Y(T), T,Y가 모두 measurable일 때 

1. (J2,C4(2))에도 Mesure(M2라 하자.)를 줄 수 있다. using (J1,C4(1),M) and T

2. Y가 nnn이면 int over J1 X dM1 = int over J2 Y dM2

3. Y가 M2-integrable iff X:M1-integrable, 이 때, M2을 이용한 적분=M1을 이용한 적분

-Some Inequalities

-(Markov's Inequality)

:for a>0, M(|MF|>a)<=int(|MF|)/a(link)

-(Chebysheff's Intequality)

:for a>0, b=int(MF), M(|MF-b|>a)<=int(|MF-b|^2)/a^2(link)

-Lp-Space, 

-(0,inf]에서

-p-norm정의 Lp정의, 

-Lp is a vector space over R

-0<a<b<c<=inf, Lb is subset of (La+Lc)(link)

-0<a<b<c<=inf, (La intersection Lc) is subset of Lb(link)

-Monotone Convergence Theorem, DCT 등 사용 가능(DCT이용하면 cv in Lp보일 수 있으나, MCT이용가능 한 상황이라 해서 cv in Lp는 알 수 없음)

-(0,inf)에서

-simple measurable function with finite support is in Lp

(여기서 finite support는 TS에서와는 조금 다르게 생각, 즉 closure인 걸 빼고 생각하자, 정의역에 Topology가 있었다면 finite support 그대로 생각 해도 무관)

-MF is in Lp일 때, 기존 pt cv simple measurable functions가 with finite support인걸로 가능

(use E_n:={x in J s.t. |MF(x)|>=1/n})

-[1,inf]에서(Norm정의가능)

-Holder ineq(conj(p,q,r)가능)(=은 (non zero a)f=(non zero b)g a.e.)(link)

-Minkowski ineq(=은 f=(nnn k)q a.e. or g=(nnn k)f a.e.)(link)

(무한합도 가능, MCT이용)

-Complete NVS(즉 BS됨)

-

-[1,inf)에서

-(Lp)^* iiso Lq

(단, p=1일땐 M가 sM일때, sigma-finite, 성립)

-(1,inf)에서

-(Lp)^* iiso Lq

-따라서 Lp:reflexive

-uniformly convex

-(0,1)에서


-기타

-lim p->inf ||f||_p = ||f||_inf되는 충분조건

(1) f-M

(2) f is in Lq (q in [I2 )(link)

-About sM

-{+ME_n}의 c-union, c-intersection, difference도 +ME된다./{-ME_n}도 마찬가지

-+ME의 measurable subset(subME)도 +ME/-ME의 measurable subset(subME)도 -ME

-ME1<ME2, |sM|(ME2)<inf이면 |sM|(ME1)<inf이다.

(하지만 +ME에서는 sM(subME)<=sM(+ME)가 성립, -ME에서는 sM(subME)>=sM(-ME)가 성립)

(절댓값 생각하면, |sM(subME)|<=|sM(ME)|가 성립, ME가 +든 -든)

-(Conti from Below){E_n}:ME and inc이면 sM(lim E_n)=lim sM(E_n)

-(Conti from Above){E_n}:ME and dec and |sM|(E_1)<inf이면 sM(lim E_n)=lim sM(E_n)

-(Hahn Decomposition Theorem)(link1)(link2)

:(J1,C4(1),sM)이 있을 때, te +ME, -ME s.t. {+ME, -ME}:a partition of J1

(다른 +ME2, -ME2도 성립한다면, (+ME Δ +ME2)는 Null-sME)

(0<sM(ME)인 ME의 measurable subset E중 +ME이면서 0<sM(E)인 것이 존재한다.) 

-sM은 항상 Maximum value와 Minimum Value를 assume한다.

-(Jordan Decomposition Theorem)(link)

:for any sM, te! two M1, M2 s.t. M1, M2:ms, sM=M1-M2(사실 M1은 +sM, M2은 -sM됨)

-sM, +sM, -sM, |sM| 과의 관계(+sM, -sM, |sM|모두 그냥 M이다.)

-sM:finite<->+sM:finite and -sM:finite

-sM:sigma finite<->+sM:sigma finite and -sM:sigma finite

-+sM(ME)=sup{sM(F)|F subset of ME and F:ME}, -sM(ME)=-inf{sM(F)|F subset of ME and F:ME}

(혹은 +sM(ME)=sM(ME intersection +ME), -sM(ME)=sM(ME intersection -ME), +ME와 -ME는 sM의 HD)

-(f:rv일 때)f:integrable wrt |sM|<->f:integrable wrt +sM and -sM

-sM1 ms sM2 <->  sM1 ms |sM2| <-> |sM1| ms |sM2| <-> sM1 ms +sM2 and -sM2

-sM1과 sM2 ms sM인 경우 linear combination of sM1 and sM2도 ms sM(well-defined되면)

-sM1<<sM2(Abs conti, (J,C4), 같은 C4에서의 signed measure에 관한 내용)

-<<는 reflexive, transitive되나 antisymmetric은 안됨(따라서 equivalence 못만듦)

-sM<<M iff +sM<<M and -sM<<M

-sM1<<sM and sM2<<sM이면 sM1과 sM2의 linear combination(well-defined될 때)<<sM

-f-sM<<sM iff for any eps>0, te delta>0 s.t. for any E in C4 s.t. |sM|(E)<delta, |f-sM|(E)<eps

-(Radon Nikodym Theorem)(measure represented by integration over another measure)(link1)(link2)(link3)

:sf-M1 << sf-M2 이면 sf-M1을 represent하는 nnn rv MF가 존재, unique up to sf-M2-a.e.

:f-sM << sf-M 이면 f-sM을 represent하는 integrable wrt sf-M이 존재 unique up to sf-M-a.e.

(Probability Theory에서 rdv:(J,C4, ProbM)->(R^n(std), {all LME}), F:=ProbM(rdv^-1)에 대해서 

sf-M1=F, sf-M2=LM일 때를 주로 가리키고 이 때 얻은 nnn, rv, integraable, MF를 density of F라 한다.)

(Probability Theory에서 DF를 통해 density f를 단지 미분으로 구할 수 있는 상황은, DF << lebesgue이고 이러한 경우가 안될 때는 언제냐면, DF가 불연속점을 가질 때이다. 

DF가 불연속점은 at most countable이고, DF가 미분 불가능한 점은 LM-a.e.이다.(Lebesgue's Theorem에 의해) 고로 DF가 거진다 미분가능하고 그때 density구할 수 있음. DF가 미분불가능할 때 density는 아무렇게나 정의해버려도 어쨌든 적분값은 상관없게 됨.)

(discrete rdv인 경우는, density=0 a.e.이므로 pmf로 새로이 정의한다.)

-(Lebesgue Decomposition Theorem, LDT)의 여러 version(link1)(link2)

:sf-M1, sf-M2가 있으면 sf-M1=sf-M3 + sf-M4 s.t. sf-M3 << sf-M2 and sf-M4 ms sf-M1(unique)

:sf-sM, sf-M이 있으면 sf-sM=sf-sM2 + sf-sM3 s.t. sf-sM2 << sf-M and sf-sM3 ms sf-M

p-53, Testing hypotheses부터

*계량경제학의 특징

-실험경제학이 아니고서야 경제학의 데이터는 실험에 의해 생성될 수 없다. 따라서 random variables로 간주한다.

 

*관련통계지식

-R squared

-model이 얼마나 fit하냐를 quantity로 제시해줌

-1에 가까울 수록 well fitted, 0에 가까울 수록 worst

-Influential Analysis

-어떠한 observation이 influential인지 확인, 그리고 그 observation을 반드시 포함하거나 반드시 제거할 지 결정

-Normal Distribution의 성질

-평균과 분산만 알면 됨

-(x1,x2)~jointly normal이고 uncorrelated이면 independent(대게는 uncorrelated라해서 independent하진 않음)

-jointly normal의 linear combination도 jointly normal

 

*주요 가정 모음

-Linearity

-f(종속변수), g(설명변수)추가 등의 테크닉으로 단순 linear만 포함하는게 아니게 됨

-Strict exogeneity(E(eps_i|X)=0)

-Strict exogeneity를 만족하면 다음을 만족한다.

-E[eps_i]=0

-E[epx_i * x_(j,k)]=0

-Cov[eps_i * x_(j,k)]=0

-No multicollinearity(P[rank(X)]=1)

-rt(X)*X:pd

-Conditional homoskedasticity(E[(eps_i)^2|X]:same for any i, positive)

-sample이 iid였다하더라도 만족되는 가정이 아님, 구체적인 x값이 있을 때 eps의 second moment가 0여야 한다는 점 때문)

-Unconditional homoskedasticity(E[(eps_i)^2]:same for any i, positive)

-sample이 iid였다면 만족되는 자동으로 만족되는 가정임

-No correlation between observations(E[eps_i * eps_j|X]=0, for distinct i,j)

-Spherical error variance(Homoskedasticity and No correlation between observations)

-Normality of the error term(eps|X ~ jointly normal)

 

 

 

*주요 테크닉

-f(종속변수)

-따라서 non-linear인 경우도 linear regression가능

-오차항을 어케두냐가 문제됨

-semi-log form(종속변수(y) 그대로 regression에 쓰지말고 log(y)형태로 쓰기)

-g(설명변수) term추가

-따라서 marginal effect가 설명변수 값에 따라 다른 경우도 linear regression가능

-양변에 E[]취해보기

-양변에 E[ |sth]취해보기

 

 

*주요 Estimator

-OLS(Ordinary Least Squares)

-under Linearity, Strict Exogeneity, No multicollinearity, Conditional homoskedasticity, No correlation between observations

-OLS for β

-b = argmin over β SSR(β) = inv(rt(X)*X) * rt(X) * y

-E[b|X] = β

-E[b] = β

-V[b|X] = σ^2 * inv(rt(X)*X)

-for any unbiased estimator β,  V[β|X] - V[b|X]:psd

-따라서 unbiased estimator중 가장 작은 variance를 가지는 estimator임, BLUE(Best Linear Unbiased Estimator)

-for any unbiased estimator β,  V[β] - V[b]:psd

-Cov[b, e|X]=0, where e = y - Xb

-OLS for σ^2, s^2 = SSR/(n-K)

-E[s^2|X] = σ^2

-P = X * inv(rt(X) * X) * rt(X), projection

-M = IMT - P, annihilator

-R squared

-OLS의 경우 regressor의 개수가 추가될 수록 R squared는 monotone increasing

-따라서 adjusted R squared 사용해야함

-Influential Analysis

-P_(i,i)는, [0,1]에 속하고, sum P_(i,i) = 1

-P_(i,i)의 크기가 K/n보다 많이 크면 i번째 observation이 influential한 것으로 판단,

-이 observation이 모델에 well-fitted이면 반드시 포함되어야할 관측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not fitted

-따라서 outliar로 보고 빼는게 좋은 관측치

 

*Time-Series

*예제모음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46)  (0) 2016.10.11
[수학]Theorems(45)  (0) 2016.03.07
[수학]Theorems(43)  (0) 2015.12.03
[수학]Theorems(42)  (0) 2015.11.09
[수학]Theorems(41)  (0) 2015.10.30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45)  (0) 2016.03.07
[수학]Theorems(44)  (0) 2015.12.03
[수학]Theorems(42)  (0) 2015.11.09
[수학]Theorems(41)  (0) 2015.10.30
[수학]Theorems(40)  (0) 2015.10.24

기본적인 부등식들 정리

일단은 분류 없이 적기

=조건을 안다면 밑에 =조건적기(충분, 필요)

가장 제너럴한 경우가 있더라도 구체적인 경우 그대로 두기, 가장 제너럴한 경우 제너럴하다고 적기

무한급수, 무한수열 등은 따로 정리, 유한개만 다루도록

참고교재

-cry4you, 절대부등식 정리 Inequalities1,2,3,4,5

-Equations and Inequalities

각각의 경우마다 실제 수들을 넣어보는 연습하기

각각의 notation을 따른다.

-실수 수열 x1,x2,.../y1,y2,.../z1,z2,.../

-증가 ix1,ix2,...(ix1<=ix2<=...)

-감소 dx1,dx2,...(dx1>=dx2>=...)

-strict 증가 six1,six2,...(six1 < six2 < ...)

-strict 감소 sdx1,sdx2,...(sdx1 > sdx2 > ...)

-양수조건이 필요하면 p붙여서, 음수조건이 필요하면 n붙여서

-psix1,psix2,...는 양수이면서 strict inc

-psdx1, psdx2,...는 양수이면서 strict dec

-양수이고 합이 1인 경우 weight의 w를 따서 w1,w2,...

-정수 수열 a1,a2,.../b1,b2,.../c1,c2,.../

-증가, 감소, strict 증가, strict 감소, 양수, 음수  모두 실수와 같이

-수열의 합은 Σ(~)

-Σ(x)는 x1,x2,...,xn, 즉 별말없으면 n항까지의 합

-Σ(x *y)는 (x1 * y1) +(x2 * y2) + ... (xn * yn)

-Σ(x^2)은 (x1)^2 + (x2)^2 + ... + (xn)^2

-Σ(x^y)은 x1^y1 + x2^y2 + ... + xn^yn

-수열의 곱은 Π(~)

-Π(x)는 x1,x2,...,xn, 즉 별말없으면 n항까지의 곱

-Π(x + y)는 (x1 + y1) * (x2 + y2) * ... * (xn + yn)

-x:fixed란, x1 = x2 = ... = xn

-Rev(x)란, x의 순서를 뒤집은 것

-Rearg(x)란, x의 순서를 섞은 것


-------------------------------------------------------------------------------------------------------

*Methods

-equivalent transforms이용

-양변에 양수곱하기

-음수곱하면 부등호 반대

-양변에 같은 수 더하기, 빼기

-양변에 양의 지수 취하기

-음의 지수 취하면 부등호 반대

-특히 -1를 취해서 역수 생각, 특히 분수들 나왔을 때


-irreversible transformations이용

-A >= B를 보이기 위해 A=A1+A2+...+An, B=B1+B2+...+Bn로 decompose해서 Ai >= Bi를 보임

-A >= B + C를 보이기 위해 A = A1 + A2로 쪼개서 A1 >= B, A2 >= C를 보임, 즉 꼭 둘 다 나눌 필요는 없음

-곱하기인 경우도 part를 나눠서 보여도 됨

-분모를 줄이거나 늘리기

-Estimation Method(Lower, Upper bound찾기)

-각 term의 bounds를 찾아 더한다.

-각 term의 더 좋은 형태의 bounds를 찾아본다.

-terms를 pairing해서 bounds를 찾아본다.

-팩토리알, (n-1)/n! = 1/(n-1)! - 1/n!으로 쪼개서 bound가 더하기 좋은 형태로 만들어본다.

-분수, 1/n^2 <= 1/n(n-1) , 즉 bound가 더하기 좋은 형태로 만들어본다.

-적절히 수정하였더니 자기 자신을 포함하는 형태의 부등식일 수 있음

-Symmetry

-부등식이 Symmetric인 경우(변수들에 대하여, 모든 변수들일 필요도 없고 몇몇개가 Symmetric이어도) 변수에 임의의 order를 줄 수 있다.

-Homogeneous

-부등식이 Homogeneous란, 각 변수 x1,x2,...,xn에 for positive t, tx1, tx2,..., txn을 넣어도 equivalent inequality를 얻을 때

-부등식이 Homogeneous되는 경우, 한 변수를 1로 만들거나, 각 변수의 합이 1이 되게 만들거나 등등, 변수 개수를 1개 줄일 수 있다.

-Use Algebraic Formula

-몇몇 항등식을 이용하여 term by term으로 비교할 수도 있다.

-α^n - β^n=(α-β)(...)

-

*Theorems

(AM>=GM)

-Σ(px) / n

>= (Π(px))^(1/n)

-(= if and only if) px:fixed

-(n=2) (px1 + px2) / 2 >= (px1 * px2)^(1/2)

-(n=3) (px1 + px2 + px3) / 3 >= (px1 * px2 * px3)^(1/3)

-Σ(px)

>= n * (Π(px))^(1/n)

-(= if and only if) px:fixed

-(n=2) (px1 + px2) >= 2 * sqrt(px1 * px2)

-(n=3) (px1 + px2 + px3) >= 3 * (px1 * px2 * px3)^(1/3)

-(Σ(px))^n

>= Π(px) * n^n

-(= if and only if) px:fixed

-(n=2) (px1 + px2)^2 >= 4 * px1 * px2

-(n=3) (px1 + px2 + px3)^3 >= 9 * px1 * px2 * px3

(GM>=HM)

-(Π(px))^(1/n)

>= n / (Σ(1/px))

-(= if and only if) px:fixed

-(n=2) (px1 * px2)^(1/2) >= 2 / (1/px1 + 1/px2)

-(n=3) (px1 * px2 * px3)^(1/3) >= 3 / (1/px1 + 1/px2 + 1/px3)

(AM>=HM)

-Σ(px) / n

>= n / (Σ(1/px))

-(= if and only if) px:fixed

-(n=2) (px1 + px2) / 2 >= 2 / (1/px1 + 1/px2)

-(n=3) (px1 + px2 + px3) / 3 >= 3 / (1/px1 + 1/px2 + 1/px3)

(CS)

-Σ(x^2) * Σ(y^2)

>= (Σ(x*y))^2

-(= if and only if) x = k * y for some real k

-(n=2) (x1^2 + x2^2) * (y1^2 + y2^2) >= (x1 * y1 + x2 * y2)^2

-(n=3) (x1^2 + x2^2 + x3^2) * (y1^2 + y2^2 + y3^2) >= (x1 * y1 + x2 * y2 + x3 * y3)^2

(Jensen)

-f(Σ(w*x))

>= Σ(w*f(x)) if f:위로볼록

-(= if and only if) x:fixed or f:linear

-(n=2) f(w1 * x1 + w2 * x2) >= w1 * f(x1) + w2 * f(x2)

-(n=3) f(w1 * x1 + w2 * x2 + w3 * x3) >= w1 * f(x1) + w2 * f(x2) + w3 * f(x3)

-Σ(w*f(x))

>= f(Σ(w*x)) if f:아래볼록

-(= if and only if) x:fixed or f:linear

-(n=2) w1 * f(x1) + w2 * f(x2) >= f(w1 * x1 + w2 * x2)

-(n=3) w1 * f(x1) + w2 * f(x2) + w3 * f(x3) >= f(w1 * x1 + w2 * x2 + w3 * x3)

(Jensen)

-(Σ(px))^p

> Σ(px)^p if p > 1

-(n=2) (px1 + px2)^p > ( (px1)^p + (px2)^p )

-(n=3) (px1 + px2 + px3)^p > ( (px1)^p + (px2)^p + (px3)^p )

-Σ(px)^p

> (Σ(px))^p if 0 < p < 1

-(n=2) ( (px1)^p + (px2)^p ) > (px1 + px2)^p

-(n=3) ( (px1)^p + (px2)^p + (px3)^p ) > (px1 + px2 + px3)^p

(Power Mean)

-(Σ(w*(px)^k1))^(1/k1)

>= (Σ(w*(px)^k2))^(1/k2) for nonzero real numbers k1 > k2

-(= if and only if) px:fixed

-(n=2) ( w1 * (px1)^k1 +w2 * (px2)^k1 )^(1/k1) >= ( w1 * (px1)^k2 +w2 * (px2)^k2 )^(1/k2)

(Weighted AM >= Weighted GM)

-Σ(w * px)

>= Π((px)^w)

-(= if and only if) px:fixed

-(n=2) (w1 * px1 + w2 * px2) >= (px1)^w1 * (px2)^w2

(Holder)

-(Σ((px)^k1))^(1/k1) * (Σ((py)^k2))^(1/k2)

>= Σ(px*py) for some k1,k2:positive holder conjugate

-(= if and only if) y^(k2)/x^(k1):fixed

-(n=2) ( (px1)^k1 + (px2)^k1))^(1/k1) *( (py1)^k2 + (py2)^k2 )^(1/k2) >= (px1 * py1 + px2 * py2)

(Minkowski)

-(Σ(px)^k)^(1/k) + (Σ(py)^k)^(1/k)

>= (Σ((px + py)^k))^(1/k) for some k >= 1

-(= if and only if) px = λ * py for λ >= 0 or either py, px is 0

-(n=2) ((px1)^k + (px2)^k))^(1/k) + ((py1)^k + (py2)^k))^(1/k) >= ( (px1 + py1)^k + (px2 + py2)^k)^(1/k)

(Rearreangement)

-Σ(dx * dy)

>= Σ(Rearg(dx)*Rearg(dy))

>= Σ(Rev(dx)*Rev(dx))

(Chebyshev)

-n * Σ(dx * dy)

>= (Σdx) * (Σdy)

-(= if and only if) dx:fixed or dy:fixed


*Some Cases

-ix1, ix2, ix3, ix4가 있을 때

(ix1 + ix4) * (ix2 + ix3)

>= (ix1 + ix3) * (ix2 + ix4)

>= (ix1 + ix2) * (ix3 + ix4)

-for k > 1

(k+1)^(1/2) - (k-1)^(1/2)

 > (k)^(-1/2)

-px1, px2에 대해서 (px1)^(px1) * (px2)^(px2) >= (px1)^(px2) * (px2)^(px1)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44)  (0) 2015.12.03
[수학]Theorems(43)  (0) 2015.12.03
[수학]Theorems(41)  (0) 2015.10.30
[수학]Theorems(40)  (0) 2015.10.24
[수학]Theorems(39)  (0) 2015.10.01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43)  (0) 2015.12.03
[수학]Theorems(42)  (0) 2015.11.09
[수학]Theorems(40)  (0) 2015.10.24
[수학]Theorems(39)  (0) 2015.10.01
[수학]Theorems(38)  (0) 2015.07.21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42)  (0) 2015.11.09
[수학]Theorems(41)  (0) 2015.10.30
[수학]Theorems(39)  (0) 2015.10.01
[수학]Theorems(38)  (0) 2015.07.21
[수학]Theorems(37)  (0) 2015.06.30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41)  (0) 2015.10.30
[수학]Theorems(40)  (0) 2015.10.24
[수학]Theorems(38)  (0) 2015.07.21
[수학]Theorems(37)  (0) 2015.06.30
[수학]Theorems(36)  (0) 2015.05.27

smoke-free

a couple pairs

hold A in high regard

work ethic

Don't lose heart

refresher course

liquidation sale

bear on A

come face to face with A

adversity

adversary

impetus

amid the turmoil of A

fixate upon A

uneasiness

I got a great bargain on it

settle in

lull

delve into

meet the needs of A

creator of A

lost in thought

mob scene

instigate

subdued

pick up(3)

surpass A

grace period

mitigate

foolhardy

colonist

parcel

laid-back

brisk

lenient

prickly

jitters

shatter(2)

driving force

acquaintance

iron(2)

then try another outlet

on the dot

No harm in trying, anyway

appetite

have nerve ing

You can't beat those kinds of deals

quote on A

He's fully behind them

restless

What possesses people to do V

We're all feeling the crunch

antics

Come to think of it, 

in a snap

sneeze

zap

stovetop

let's just keep our fingers crossed

set off

gourmet

tranquil

hitherto

innocuous

imbue

during childbirth

obstetric

A be prized for B
efficacy

epidural anesthetics

sterile(2)

I'm all for

slash

woodlark

get off

It's still being narrowed down

get a hold of you

dry(2)

round up A

I'll put it in a good word for you

recital

hinder

cater

headrest

cost a fortune

contractor

gaudy

not after last time

pave the way for A

resilient

A is the last thing one can think of 

stint

parlay

hefty

pay cut

pop into A

personhood

Supreme Court

untimely

winter charity drive

break ground

impressionable

stifle

nominal(2)

sales force

ailing conditions in Texas

cease to age

bestow

accusation

dean

sci-fi thriller

it rings a bell, but i can't name it

goalie

sort out

take a toll on A

, waiting for the snow to thaw

fabulous

palm tree

make one's livelihood

splash across

tread

traction

treacherous

paralegal

processed foods

produce

go for the day

budget one's time

livid

lambaste

reprimand

have the final say

boisterous

canine

tribulation

handful(2)

relate(2)

memoir

the daily highs

Papal States

convection

souffle

gear toward

befriend

go back on one's word

grumble(2)

lodge an appeal

defendant

severity

payout

asking price

onward

I'll take you up on that

eastbound

with a twist

elect(2)

egalitarian

down this hallway

They've dulled over time

phone charger

binge

every now and then

touchy subject

Sorry, I lost track of time

sign off on A

Don't trouble yourself

----------------------------------2번부터하면됨


weave

take A out on B

take my pick of A

nimble

libel

repeal

clout

motion(2)

table(2)

moot

deluge

indulge

against the clock

writ

scuttle

importune

top off A

pull through

incipient

austere

obtuse

villain

off-limits

pass on A

amenities

before long

tamper

devious

obedient

euphemism

mount

glean

retreat

flutter

stiff

defile

obstinate

loophole

vibrant

ambit

transplant

funnel A to B

flowery

tattle

manifest

get around to ing

beside oneself

outspoken

foam at the mouth

retort

irascible

repose

revamp

regurgitate

revoke

insidious

extolment

ember

overlook

a line of credit

ballot measure

idyllic

be content to 

deliberate

sway

hermeneutics

sacrilege

escalate into A

forbearance

acronym

filibuster

involuntary

supine

drab

coy

fickle

alteration service

adaptation

menial

chaste

vacuity

adroitness

insouciance

nonchalance

loft

decree

edict

docile

timid

What do you say to ing

reprobate

leach

ingenuity

garner

deign

be hailed as A

poise

pensive

surreptitious

afflict

overture

enervate

inundate

substantiate

persecute

not wanting to be a imposition

acquiesce

efface

frown upon A

stumbling block

indelible

hazy

compound(3)

hatred

dearth

broach

consort

allegiance

painstakingly

cope with

sobriety

backlash

ethos

maize

revel

rebel

libel

acclimate

accost

entreat

down the road

expletive

waive one's right

accede to a request

patronizing

magnanimous

allay

stomach(동사로)

impart

soggy

supple

simmered

pretentious

inflammatory

matriculate

shred

jaded

faded

alight

amicable

derelict

moral goading

imminent

temerity

platitude

contender

protagonist

wane

slop over

lunge toward A

brood

copious

precocious

rapport

reticence

ordinance

succumb

deflect

deflected

despondent

haphazard

oppressive

rhetoric

fascist

swerve

warped

litter(2)

wilderness preserve

douse

hold A against B

stranded

see to it that S V

and yet

debunk

lodge

ramification

provision

while to date ~~

curb

derail

a shot in the arm

prospector

, where soon after S V

wreak havoc on 

offshoot

twitch

underpin

impeccable

robe

strain

in the same vein

vain

vein

hubris

weed out A

weep for A

weary of A

spur A to v

watery grave

A usher in B

hold out

be used to ing

stuffy

grievance

brace

hylozoism

solipsism

pacify

staunch

stud

dreary

put forth

vouch

avouch

atrocity

atrocious

clemency

alienate

estrange

fugitive

status quo

quintessential

gestate

secure

procure

gruff

anthology

align

sod

just as well

prerogative

farce

jocular

sleet

flurry

perjure

euphoria

morose

racy

rummage

seethe

moribund

lesion

bauble

fathom

evacuate

specious

menace

paraphernalia

philanthropy

acquit

epoch

volley

trolley

enclave

clandestine

ghetto

cerebral

gusty

introverted

ovation

agitated

malaise

polemic

contention

contentment

jovial

exhume

jeer

elated

race review

spatula

expedite

vocational

at the bare thought of A

help yourself

come down to ing

fertility

waver

quench

bustle

clatter

racket

go about

contemplate

morass

prelude to A

redress

whine

holler

rectification

belie

overt

placid

demented with A

erudition

dyspepsia

unutterable

indignation

lament

grim

accrue

laden with A

indubitable

ennui

megalomaniac

shrewdness

abstain

repent

remorse

hard boiled(2)

inculcation

tyranny

deplore

vanity

homage

adulation

listless

diffidence

penurious

emigre

bow down to A

obtrude upon A

lunacy

deprived

embargo

dwell upon A

vexation

disposition

wretched

toil

reap

allude to A

console

harem

futile

emblem

obsolete

symbiosis

tinker with A

lucid

perennial

mutter

frivolous

stigma

equivocal

disparage

tweak

wisecrack

shell

beef up A

bum deal

de facto



























1. 리스닝 파트

vary by season

soothing

mellow

new temp

fit in permanently

perseverance

precedence

could use

liquidation sale=closing sale

against all odds

in a moving way

prestigious

bear on

agrarian lifestyle


pay phone

formidable

fixate upon

bi-partisan

raise some eyebrows

embark on

ember

somber

Republican

veteran

centrist

stark

salvage

faltering

presidential campaign

fall for the ruse

dismay

dismiss

dismissal:해고, 하교, 기각

beforehand

follow the law to the letter

It's pretty easy to fit it in

rack

wreck

wreak havoc on A

havoc

wrought

wrought-iron

wr

break in

have the time of one's life

drown him out

call number

that's a steal

transmission

solely to project an air of affluence

backfire


in~시리즈

intimate

intricate

intimidate

inebriated

indigenous

indignation

insolvent

indolent

insidious

inception

inimitable

infatuation

infatuated with A

insouciance

ingrain

instill

ingenuity(genuine:진짜의)

inundate

indelible

indubitable

indifferent

inculcate

inculcation


de~시리즈

delve into

decry

deluge:폭우, 쇄도, 쇄도하다, 물에 잠기게 하다.

devious

deliberate

delicate

despise

defile

destitute    

devout

decree

deny

decline

degenerative

deplete

denigrate

derange

deign

designation:지정, 호칭

deploy

deplore

dead on

dearth

dementia

demented(with A)

derelict

deflect

deflected

despondent

deciduous

defraud

defy

defiant

deliverance

delegate

debunk

derail

deprived

despair

devastatingly

demilitarized zone






utensil

slighted

I'll commit for the short-term

call in sick

round-trip ticket

it's under Chang

It slipped my mind

settle in 

set off

rage

fatigue

frantic

lull

tunnel vision

holistic

perpetuate

lost in thought

hermit

misfit

outcast

solitude

stride length

mob scene

away game

taunt

tout

instigate

pandemonium

trample

jeer

surveyor

stratum

strata

toll-free

airborne


re~시리즈

rebel

revel

rebuttal

repeal

libel

resign

recount

retreat

retrieve

retort(distort:왜곡하다)

repose

revamp

revalidate

revoke

reprobate

recede

reticence

repentance

repent

relent

reck

repulsive

refractory

rebuke

repudiate

redress

rectification

receptive

retroactive to (일자)



election ballot

sabotage

in droves

subside

heartworm

subdue


subdued

pigment

hypertension

amendment

opt for 

brings up the idea of ing

throw a party

throw in

even ahead of time

pick up:오르다, 익히다, 데리러 가다 등

luck out

hotline

Grand Prix

staggering


masculine

endings

grace period

in the time alloted

patio

rust-resistant

registrant

mildew-proof

wisdom:지혜, 타당성

full-ride scholarship

mitigate

foolhardy

repercussion

It left a lot to be desired

pale

bug:벌레, 가벼운 유행병

picture:사진, 상징


get~시리즈

get off the ground

get back on track

get around to ing

get away with it

get a grip on A


flunk

parcel

is over my head

pay off

pay sb off

lay off

get-together

flashy

different:다른, 다양한

backpacking trip

laid-back

voice 불만 to A


my hands are tied


on the~시리즈

on the fence of ing

on the tip of one's tongue

on the fringe of ing

on the blink

on the ball

on the house

on the same page


have yet to

bed and breakfast

botanical garden

trudge

keep A occupied

petition

texture

cuisine

ceramics

at its finest

event taking A as its inspiration

brisk

petty thefts

popular notion about A

mandate

lenient

lenience

theatrical performance

craze

go off:자리를 뜨다, 폭발하다, (알람 등이)울리다, (전기 등이)나가다, (음식이)상하다, (일이)진행되다

they are not far off

stop-gap measure

breakdown

pricky

Taken together, 

jitters

litter

westerly winds

balmy

shatter

unseasonably warm

snowpack

disconcert

tie the record

approve a measure

in a trial period

counterfeit

at all costs

treasure trove

hobbyist

You bet

splurge on A

Grab me a drink 

while you're at it

keep an eye out for A

who's picking up the tab?


2. reading중

A take precedence over B

sore

sorely

solely

trembling

talk A out of ing

cut A some slack

slack

bring A to his senses

bring A to an end(=bring A to a closed)

give A the cold shoulder

reach a settlement

weave

weary

weary of A

lapse

sequel

keep it down

chickenpox

amnesty

sedate

riveting

take A out on B

nippy

sallow

nimble

malicious

tirade

vitriol

nudge

suavity

motion:(법률)명령신청

table:(논의를)연기하다.

moot

fair weather

screen


on the ball

in the long run

writ

means:수단, 방법, (개인이 가진)돈, 수입

meliorate

supplant

preempt

scuttle

feign


top off A

pull through

fall through

incipient

recipient

austere


ob~시리즈

obtuse

obedient

obstinate

obscurity

obscure

obtrude

oblivion

obsolete



mesmerize

typecast A as B

diabetic

pancreas

indulge

go-between

thwart

predispose A to V

amenities

A is looming

be one's own boss

before long


crucifixion


tamper

anathema

anesthesia

euthanasia

scour

locus

chasm

glean

opine

supine

interrogate

flutter

stiff


plow


resin

loophole

vibrant

ambit

leukemia

bone marrow

rib

driftwood

enigma

flirt

tattle

wither

manifest

beside oneself

mishap

opaque

the writing on the wall

out on a limb

lag

sag

gulf between A and B

lucrative

reclusive

elusive

avow

saccharine

sublunary

quarrel with A

irascible


ex~ 시리즈

extol

expedite

exquisite

exacerbate

expatriate

exasperate

exhume

excruciate

exalt

exult

exculpated

extraneous

exponent

expletive

extermination


Protestant Reformation

swoop

in one fell swoop

discord

smolder

overlook

sheer

undertone of A

pupil

peril

pronounce:발음하다, (법)선고하다.

a line of credit

ballot measure

make a commitment to A

water and sewer

sewage

come of age

limelight

swarm

aroma

house A

be in possession of A

idyllic

constitutional court

proponent

opponent

scorn for A

veer from A

every other day

electrolyte

maroon

propaganda

sway

sacrilege

chest of drawers

highboy

circa 1695

brass

copper

zinc

prose

poise

escalate into A

the Big Dipper

the Orion Nebula

forbearance

culpability


allegory

filibuster

an elliptical sentence

hiccup

archaic

antiquated

involuntary

potent

drab existence

coy

a late charge

lank hair

fickle

moody

complimentary

up in the air

up the creek

rags to riches

made of money

alternation service

adaptation

adapt

adept

adopt

adulation

menial

chaste

vacuity

adriotness

secure

nonchalance

biodegradible

grind

seep

loft

dough

crust

loaf

edict

docile

ponder

fringe:주변부, 눈썹 위까지 내려오게 자른 앞머리

fringe benefit

be terrible at A

with a six-month money-back guarantee

What do you say to ing

stereotypical

ascertain

calibrate

leach

garner

be hailed as A

pensive

surreptitious

affected:꾸며진, 허세부리는

overture

torrential rain

knee-deep

enervate

substantial

substantiate

persecute


acquiesce

cement

efface

multilateral

commutable

majority:(법률상)성년, 다수

civil war

aesthetics

frown upon A

postmaster

maritime

life raft

more often than not

hazy

compound:화합물, 복합체, 혼합시키다, (복잡한 일을)악화시키다.

hatred

take up arms

at best(=at most)

broach

seductress

allegiance

liasion

misconstrue

personification

painstakingly

trigger

sobriety

backlash

workmanship

ethos

items are going fast

goldsmith

balance:저울, 균형을 맞추다, 균형

aristocracy

morning shift

collage

hommage

colleague

homage

whim

more or less

acclimate

accost

entreat

at odds about it

down the road

creek

roomy

sponge

waive one's right

accede to a request

merge

patronizing

magnanimous

allay

soggy

sultry

supple

simmered

temporal:일시적인, 속세의

inclement

pretentious

inflammatory

matriculate

shred

jaded

faded

alight

amicable

confidential

dissociative

moral goading

A is antithetical to B

timid

hubris

humid

humility

humble

humiliate

humanitarian

temerity

platitude

contender

protagonist

wane

whine

slop over

lunge toward A

brood

copious

precocious

indebtedness

rapport

ordinance(=decree, legislation, regulation, prescript, statute)

succumb

hazard

haphazard

oppressive

rhetoric

fascist

pallet

cloak

tinge:옅은, 약간의, 색깔

swerve

tarnish

kick oneself

warped

sinuous

verdant

ranger station

douse

hold A against B

all at once

well ahead of time

stranded

see to it that S V

and yet

hit the slope

lodge

hind leg

ramification

provision

while to date ~~

potassium

curb

a shot in the arm

logistical policy

giraffe

spring equinox

hydrogenate

sunrise

sunset

prospector

correspondence:대응, 주고 받는 서신

premise

premises

behind bars

serialization

in installments

offshoot

folkloric

twitch

pine cone

seismic

the Age of Reason

hub

underpin

~~, science scoffs, ~~

steer

hysterical

blunder

don

robe

swastika

in the same vein

vain

vanity

vein

surveillance

stifle

weed out

spur A to V

in a quest to V

the fight-or-flight reaction

this stretches my budget

command vorage

watery grave

A usher in B

hop-off

hop in the backseat

unemployment benefit

give me a lift

I started to regret even as i was speaking

all by oneself

be used to ing

undue

be indebted to 

morass

precipitate

precipitation

prelude to A

holler

by the way

ideate

belie

it is high time to do

biography

anecdote

autobiography

poke fun at A

grit

gritty

placid

lie awake

weep for A

erudition

woe

dyspepsia

fellow creature

unutterable

once in a way

grim

lament

abolition

see the light of day

accrue

accusative

miserable

nostalgic

zest

hymn

laden with A

preoccupation

puritan

ennui

petting

crossing-sweeper

megalomaniac

savour

swear:욕하다, 맹세하다

wicked

shrewdness

abstain

maternal

afresh

remorse

hard boiled:완숙된,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

tyranny

listless

lunatic

crowned head

penurious

emigre

bow down to A

hand in hand

cessation

at any rate

embargo

nay

dwell upon A

pessimist

varied

vexation

doctrine

by no means

by means of A

futile

emblem

alpha-test

meme

toolkit

chapel=church

cathedral

prone

apprenticeship

python

symbiosis

tinker with A

lucid

perennial

Zen

mutter

frivolous

bogus

gratuitously

anomaly

wildcard

stigma

equivocal

disqualify

disparage

in person

tweak

wisecrack

beef A up

de factio

bum deal

























im~시리즈

impart

impartially

impetus

imbue

importune

impoverished

imperative

imposition:도입, 시행, 부담(disposition:타고난 성향)

impede

imminent

impetuous

impeccable

imprison





con~시리즈

conjure up

conform to A

convene

confrontation

consort

consent

content

concede

confederate

contraception

contravention

convulse

contentious

contention

convoke

conciliate

conspiracy

congenial

contemplate

confirmed







~sm 시리즈

euphemism

catabolism



과일 야채 채소시리즈

squash

cucumber

tangerine

watermelon

oriental melon

plum

bean sprouts

perilla leaf

ginger

chili

maize

cabbage

napa cabbage

radish

chives



날씨 관련

the elements







헷갈리는 류

monogram(디자인, 대게 사람이름의 첫글자를 따거나 회사 도안이나 문양)

acronym(앞 알파벳 딴거)

anagram(철자위치바꾼거)


문법내용

neither one:둘 다 아닌

persist는 목적어 없이도 쓰임

frustrating은 목적어 없이도 쓰임

배를 her이란 대명사로 받을 수 있음

by the hour:한시간 단위로(an이 아니라 the)

It's about time S 과거동사:지금은 ~해야할 때이다.(현재 내용이지만, 과거동사 와야함, 가정법임)

talented as he is:그는 재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as가 ~에도 불구하고의 의미면 보어가 as앞에 옴)

such형명

so 형 (명사 없이)

~~~ since. : 그 이후로 ~~~했다.

much of (관사 or 지시사) 명사

much better, even better, far better, still better, a lot better

소유격 형명

병렬구조에선 반드시 같은 품사

가산 명사:

-appointment, reception, work(책이나 작품이란 뜻일 때만)

불가산 명사:

-merchandise(상품), garbage(쓰레기)

가산, 불가산 둘 다 되는

-friendship, wind

집합명사(복수로 안쓰인다는 것)

-audience

목적어 ing

-consider, recommend, suggest, finish, quit, enjoy


-------------------------------------------------------

*예전 텝스 노트 복습용

stuffy

grievance

sordid

brace

embrace

overt

hylozoism

solipsism

pacify

staunch

stud

do sb disservice

dreary

dreadful

galvanize

banal

banality

put forth

capstone

milestone

unwary

precipitous

choppy

ratify

gratify

vouch

avouch

atrocity

atrocious

clemency

alienate

estrange

unanimous

fugitive

upbeat

belittled

status quo

quintessential

gestate

procure

gruff

itinerary

footpad

mugging

cohesive

coherent

anthology

retribution

retaliation

align

just as well

sod

prerogative

splotch

farce

facetious

jocular

sleet

flurry

perjure

euphoria

sneaky

deceptive

morose

racy

rummage

seethe

moribund

lesion

bauble

fumble

fathom

evacuate

specious

menace

mandible

jut

paraphernalia

blurt

ethnicity

philanthropy

nag

acquit

epoch

venue

chronicle

hearty

interrogate

restraining order

unattended

trolley

volley

touch on

deciduous tooth

track record

covet

righteous

clandestine

enclave

florid

petrify

cerebral

failure:실패, 질환

rowdy

catch sb off-guard

gusty

introverted

ovation

shove

play down

inasmuch as

shortfall

grandstanding

plague

plaque

agitated

taken aback

moldy

sedative

interlock

jump the gun

bury the hatchet










*습관노트작성법
1. 날짜와 만들고자하는 습관을 적는다.

2. 그 습관이 몸에 베이기까지 이 노트를 자주 본다. 하루에 1,2번씩이라도

3. 몸에 베이더라도 다시 놓치기 쉬운 습관은 업데이트할 때 그대로 유지한다.

4. 이전에 적은 습관을 지우지말고 업데이트한다.


*습관 2015 08 10

1. 자기전 휴대폰은 발밑에 둔다. 잘때는 그냥 잔다. 밤에는 아무 생각 안하는 게 좋다. 하지만 알람이 필요하므로 발밑에 둔다.

2. 일어나서 아무생각없이 바로 샤워한다. 절대 잠을 더 자야지라는 생각은 안하는 게 좋다. 개운한 아침을 맞이하는건 운이다.

3. 연구실와서 오늘 할일을 20분간 점검한다.

4. 다음의 것은 최대한 나중에 한다.

-행정일

-스캔 및 블로그 작성

-운동(몸이 제일 피곤할 때 해서 더 피곤하게해서 잔다.)

-영어단어외우기

-피아노

5. 잠이와서 미칠때 그때만 자고, 자다가 일어난 경우는 다시 연구실 나온다.

6. 영어 외 공부는 반드시 해야할 양, chapter별로 나눠서 계획짠다. 딱 80%정도했을때 존나하기싫을 정도의 양이어야하고 20%는 그 존나하기싫은데 이겨내서해야한다.

7. 해야할 일을 다했을 때 빼곤 절대 놀지 않는다. 연락을 받지를 마라.

8. 식사는 최대한 기숙사, 학생식당, 공대식당 중에서 해결하도록 하자. 그 외에도 적게 먹도록 하자. 


'글쓰기 > 잡소리(예전, 제거한 것, 예전 계획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여름방학계획  (0) 2016.06.17
계획  (0) 2016.03.20
발칙한 생각  (0) 2014.11.25
공부, 시험을 대하는 자세  (0) 2014.10.18
생각정리 20140614  (0) 2014.06.14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40)  (0) 2015.10.24
[수학]Theorems(39)  (0) 2015.10.01
[수학]Theorems(37)  (0) 2015.06.30
[수학]Theorems(36)  (0) 2015.05.27
[수학]Theorems(35)  (0) 2015.04.12

-뉴턴이 물리학의 시작, 그 배경엔 코페루니쿠스(지동설), 브라헤(관측자료), 케플러(운동기술), 갈릴레이(사고실험 등)->뉴턴

-케플러가 행성들의 궤도가 타원임을 알게 된 것은, '연습'과 브라헤의 방대한 자료 덕분이다. 당시에는 천상세계의 운동은 원운동만이 존재할 거라 믿었는데, 원궤도로 설명을 하자니 주전원의 개수가 너무 많이 필요했다. 그러던 와중 케플러가 연습으로 타원궤도가 맞추어보았더니 주전원이 없이도 운동이 아름답게 설명이 되었다.

-즉, 왜 타원궤도여야만 하는지는 설명하지 못해도, 타원궤도라는 것이 분명하였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은, 사람들에게 신뢰를 얻지 못했다. 지구가 돈다는 것을 지상에서 사람들이 느낄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케플러의 지동설 with타원궤도는 의심하는 사람이 없었다.

-케플러의 천상세계 타원궤도랑, 갈릴레이의 지상세계에서 물체를 움직이는 물체를 가만히 놓아두면 똑같은 빠르기로 움직인다고 보는 것이 그럴듯해 보였지만, 이유를 설명할 수 없었다. 그리고 뉴턴이 대답해주었다.

-고전물리학(뉴턴 역학, 맥스웰의 전자기학), 현대물리학(양자역학, 상대성이론)




*용어정의

-물리량(quantity):자연현상 중에서 특정한 현상을 수로 대표할 수 있도록 정의된 양

-유효숫자(significant figure):물리량을 대표하는 숫자 중에서 의미를 지닌 숫자

-과학표기법(scientific notation):유효숫자x10^k로 표현한 것, 유효숫자정보를 포함해서 나타내기 위함

-국제단위계(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기본단위(base unit, fundamental unit):길이(미터), 질량(킬로그램), 시간(초), 전류(암페어), 온도(켈빈), 물질의 양(몰), 밝기(칸델라)

-유도단위(a derived unit):기본단위에 해당하는 물리량의 조합으로 표현되는 것의 단위, 사람의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N(뉴턴)

-차원(dimension):7가지 기본물리량의 factorization으로서 다른 물리량들을 묘사할 때 기본물리량의 factor개수를 가리킨다.

-차원해석(dimension analysis):물리량의 차원으로서, 각 물리량의 관계를 조사하는 방법

-원점, 좌표축, 좌표, 변위, 평균속도, 이동거리, 평균속력

-직교좌표계(orthogonal coordinates)

-오른손좌표계(right-handed coordinate system):평소 교과서에서 보던 xyz 직교좌표계형태

-



*이론

-뉴턴의 운동방정식

-힘이 일정하면 간단

-힘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 '에너지'라는 새로운 물리량 도입해서 풀면 간단해진다.

-우리가 속해있는 우주의 자연현상을 기술하는 데는 꼭 오른손 좌표계를 사용하여야 한다. 왼손 좌표계를 사용하면 물리 법칙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다.

-어떤 물리량을 배울때 그 물리량이 벡터인지 스칼라인지를 아는 게 중요하다. 그래야 연산이 어떻게 될 지 아니까


*시간별 분류

1800~1863, 세도정치기


1863~1873, 홍선대원군 집권

-배경:

-철종이 아들없이 죽자 12세 고종이 왕위에 오르고, 고종의 아버지인 홍선대원군이 나서서 통치

-안동 김씨 가문의 세력 약화

-홍선대원군이 한 일:

-붕당과 문벌 관계 없이 고른 인재 등용

-비변사의 기능 축소, 의정부(정치)와 삼군부(정치)의 기능 부활

-대전회통(정조때 대전통편 이후 추가된 왕명과 규칙 정리), 육전조례 등 새로운 법전 편찬->통치 규범 재정비

-서원 정리

-만동묘(명나라를 위해 제사지내던)철폐

-재정확축(서원 정리하면서 서원에 딸린 면세지와 노비를 몰수함)

-삼정의 문란 개혁

-전정:토지 겸병 금지, 양전 사업으로 은결 색출

-군정:호포법 실시->양반에게도 군포 부과

-환곡:사창제(주민 자치적인 구휼 제도)로 개편

-경북궁 증건

-원납전(성금)징수

-당백전(화폐) 남발->물가 폭등

-농민의 부역 동원

-양반의 묘지림 벌목

-러시아 남하정책 견제하려고 프랑스 끌어들이려했으나 잘안되서 천주교 탄압->병인박해(1866)

-미국 제너럴 셔먼호가 대동강에서 통상요구->평양 군민(평안 감사 박규수의 지휘)과 충돌하여 침몰시킴, 제너럴셔먼호(1866)

-병인박해를 구실로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 침입->문수산성(한성근), 정족산성(양헌수)가 프랑스군 격퇴, 병인양요(1866)->프랑스가 외규장각 약탈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통상요구->조선이 거절->남연군(대원군아버지)의 묘 도굴 시도->지역 주민 항거로 실패, 오페르트 도굴 사건(1868)->서양 배척 쇄국 정책 강화됨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미국 함대가 강화도 침입->광성보 전투(어재연)에서의 항전->미군 퇴각, 신미양요(1871)

-척화비(통상수교거부의지 천명, 자주적 성격, 근대화 지체)건설(1871)

-반발:

-유생들 반발(서원정리때문)

-양반 반발(호포법, 묘지림 벌목)

-농민 반발(노역동원)

-끝:

-최익현의 하야 요구 상소로 실각함

1873~1897, 민씨 집권, 아관파천, 고종환궁까지

-친정체재(임금이 직접 나라를 돌봄)

-반대원군 정책

-청나라 돈 수입

-만동묘 부활

-대원군 인사 탄압

-통상 개화파 등장(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일본에서 정한론(한국 없애자)가 대두되다, 운요호를 동원하여 강화도에 접근, 조선 수병의 포격을 유도한 후 초지진과 영종도를 공격함, 운요호사건(1875)

-일본은 청과 조선의 종속관계를 들먹이며 청에게 책임을 물음->청은 조선과 일본이 조약맺기를 권유함->민씨 정권이 권력유지위해 일단 타협함, 강화도 조약(1876.2)

-반대세력:최익션의 왜양일체론

-체결내용:조선은 자주국, 3개 항구 개항(부산, 인천, 원산), 해안 측량권 허용, 치외법권 인정

-의의:최초의 근대적 조약, 불평등 조약

-부속조약:

-조일수호조규부록(1876.8)

-내용:일본외교관 여행자유, 개항장에서 일본화폐유통가능, 개항장에서 10리 이내 무역 허가

-조일무역규칙(1876.8)

-내용:3무(무관세, 무항세, 양곡의 무제한 유출 허용)

-1차 수신사 to 일본(1876.4)

-김기수, 일동기유 저술

-2차 수신사 to 일본(1880.5)

-김홍집, 조선책략(황쭌센) 국내에 갖고 들어옴

-연미론 대두

-이만손의 영남만인소 사건 1881, 영남의 많은 위정 척사 사상가(유생)들이 서양 세력과 교류하지 말 것을 왕에게 올린 상소 사건

-홍재학의 만언척사소 사건 1881, 

-통리기무아문 with 12사 설치(1880.12)

-의정부, 6조와는 별도의 기구로 국내외정세에 대응하기 위한 기관

-12사에서는 개화업무관장

-조사시찰단 to 일본(1881.4)

-12명의 조사와 50여명의 수행원이 일본의 정부기관, 산업, 군사, 교육 등을 시찰 후 국왕에게 보고서를 작성

-박문국(인쇄소), 전환국(돈만드는곳) 설치의 계기가 됨

-별기군 창설(1881.5)

-사관생도 100명, 일반생도 300명, 왕의 친위대, 보너스지급

-영선사 to 청(1881.2월에 만들어지고 9월에 출발)

-38명을 청의 천진에 파견, 무기 제조법 등을 배움, 임오군란 발발로 1년만에 귀국

-기기창(병기공장)설치의 계기가 됨

-기존 5군영 통폐합하여 2영(무위영, 장어영)으로 개편(1881.11)

-조미수호통상조약(1882.5)

-배경:조선책략

-내용:거중조정(한쪽이 문제 생길시 조약 상대국이 도와준다는 내용), 치외법권, 관세10%, 최혜국대우

-조영수호통상조약(1882.6)

-배경:청의 중재로 비준 지연 해결됨

-내용:높은관세와 아편문제로 비준이 지연됨, 최혜국대우, 내지통상권

-조독수호통상조약(1882.6)

-배경:청의 주선

-내용:최혜국대우

-도봉소사건(1882.6)

-무위영 소속 군인들이 13개월 밀린 봉금을 받는 과정에서 1개월분 급료가 모래가 섞인 쌀을 받아서 폭발

-임오군란(1882.6)

-배경:개화파 수구파 대립, 도봉소사건, 도시 빈민층 반발

-경과:

-선혜청(출납), 포도청(경찰서), 의금부, 일본 공사관 습격, 별기군의 교관 일본인 호리모또 살해, 궁궐 침입

-대원군 재집권(개화 정책 중단, 2영, 별기군, 통리기무아문 폐지, 5군영과 삼군부 부활)

-청의 군대 파견->대원군 압송, 명성황후 재집권

-이후 친청 정책, 척화비 철거

-3차 수신사 to 일본 1882.8

-박영효, 김만식 파견

-임오군란 사과하러감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1882.8.23)

-배경:임오군란

-내용:청의 종주권 확인, 청 상인의 내지통상권, 양화진 개방

-수호조규속약(1882.8.30)

-배경:임오군란 사과로

-내용:10리를 50리로 하고 2년후 100리로 할 것

-제물포조약(1882.8.30)

-배경:임오군란 사과로

-내용:배상금 지불, 일본 공사관의 경비병 주둔 허용

-훈련도감 폐지(1882.10)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1882.12, 외교, 통상 전문)+통리군국사무아문(1882.12, 내정)

-조일통상장점(1883.7):수입세10%, 선박세10%, 방곡령실시시 사전예고 조항(한달전 통고), 최혜국대우

-

-보빙사 to 미국(1883.7)

-11명 파견, 유길준은 미국에 남고, 민영익, 서광범은 유럽을 방문하고 돌아옴

-선진 영농 기술을 도입, 우정국(우체국)창설

-조이수호통상조약(1884.6)

-조러수호통상조약(1884.7)

-배경:청과 일본의 반대로 직접 수교, 베베르의 주선

-내용:영국과 2조만 다름

-갑신정변(1884.10)

-배경:

-임오군란이후 개화에 의견차이로 급진개화파, 온건개화파로 나뉨

-급진개화파(개화당)

-김옥균중심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본받은 급진적 개혁, 입헌군주제 지향, 문명개화론

-친일반청, 민씨 정권의 친청 정책 반대

-온건개화파(사대당)

-김홍집중심

-유교에 의해 이미 개화됐으니 청의 양무 운동을 본받은 점진적 개혁, 동도서기론

-친청이고 민씨 정권과 결탁

-국가재정바닥->일본에게 차관도입하려고 김옥균 파견->온건개화파의 방해로 실패

-청불전쟁(1884.8~1885.4)로 청의 군대의 절반이 조선에서 청나라로 돌아감

-일본의 급진개화파 지원 약속

-온건개화파가 급진개화파 탄압

-경과:

-우정국 개국 축하연을 기회로 온건개화파 요인을 암살하고 고종을 경우궁으로 옮김

-개화당 정부를 수립, 14개조 개혁 정강 발표

(14개조내용:최초문벌폐지, 국가 재정의 일원화, 입헌 군주제에 입각한 내각제 수립, 등등)

-청군의 개입, 일본이 군사적 지원 약속 지키지않음으로 3일만에 끝남

-실패요인:

-일본에 너무 의존

-민중적 지지 기반 약함

-청군이 청불전쟁으로 도와주지않을 거란 잘못된 판단

-조일, 한성조약(1884.11)

-배경:갑신정변

-내용:배상금 지불, 공사관 신축비용부담

-청일, 톈진조약(1885.3)

-내용:청일 양군의 조선에서 철수하기로함, 

-거문도 사건(1885.4~1887.2)

-배경:청나라가 임오군란, 갑신정변 모두 도와 내정개입이 심해지자 명성황후 스트레스 많이->친러정책으로 청나라 간섭막으려함

-내용:조러밀약설이 돌자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를 저지한다는 명분 하에 거문도를 불법 점령함

-조프수호통상조약(1886.6)

-배경, 내용:천주교 박해문제로 지연되다가 신앙, 포교권이 인정됨

-동학농민운동(1894.1~1894.12)

-배경:

-국가 재정 궁핍, 농촌 경제 피폐(수령과 아전의 수탈 심화, 곡물 대량 유출(입도선매, 고디래))

-동학의 교세 확장

-농민층의 의식 성장

-경과:

-교조신원운동(삼례집회(1892.10~11), 복합상소, 보은집회(1893.3~4)), 처음에는 최제우의 억울함을 풀고 포교의 자유를 인정받는 것을 내세웠으나, 척왜양창의(일본과 서양세력을 배척하여 의병을 일으킨다는 뜻)의 반봉건 반외세 정치운동으로 바뀜

-1차 봉기 for 반봉건

-고부민란(1894.1)을 시작으로 전주성 점령

-고종이 청나라에게 SOS요청함, 톈징조약때문에 일본군은 청군이 들어온 바로 다음날 들어옴

-전주화약 맺음, 폐정개혁 12개조 제안받아들임

-폐정개혁안 내용:신분제폐지, 삼정개혁 등

-농민적 자치기관인 집강소를 전라도에 건설, 교정청 건설, for 개혁실천

-2차 봉기 for 반외세

-청나라는 일본에 대해 공동 철별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일본은 청나라와 함께 같이 조선의 내정개혁하자하였으나 청나라가 거절

-일본의 경복궁 점령

-청일 전쟁 시작

-1차 갑오개혁(1894.7~1894.12)

-배경:1차 김홍집 내각(대원군 섭정, 김홍집, 유길준)

-내용:

-군국기무처 설치(초정부적 회의기구)

-교정청 폐지됨

-청일 전쟁으로 거의 독자적 개혁 without 일본도움

-개국 연호 사용

-6조->8아문

-경무청 신설, 사창제 도입(곡식대여), 과부 재가 허용

-과거제 폐지, 조혼 금지, 신분제 폐지, 연좌법 폐지, 고문 폐지

-2차봉기(1894.10), 전라도 삼례역을 시작, 남북접 집결, 우금치전투에서 패배(1894.11)로 끝남

-2차 갑오개혁(1894.12~1895.7)

-배경:2차 김홍집 내각(대원군 퇴진, 김홍집, 박영효 연립 내각)

-내용:

-군국기무처 폐지

-홍범 14조 반포


-교육입국조서 발표

-의정부+8아문->내각+7부

-사법부 독립

-훈련대, 시위대 2개 대대 설치

-교육입국조서 발표(소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등 각종 관립학교가 설립되기 시작함)


 

1897~1910, 대한제국

1910~1919, 무단통치기

1919~1931, 문화통치기

1931~1945, 민족말살통치기

1945~1948, 미군정기

1948~1960, 제1공화국

1960~1961, 제2공화국

1961~1963, 박정희 군정기

1963~1972, 제3공화국

1972~1979, 제4공화국

1979~1981, 최규하

1981~1988, 제5공화국

1988~1993, 노태우

1993~1998, 김영삼

1998~2003, 김대중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39)  (0) 2015.10.01
[수학]Theorems(38)  (0) 2015.07.21
[수학]Theorems(36)  (0) 2015.05.27
[수학]Theorems(35)  (0) 2015.04.12
[수학]Theorems(34)  (0) 2015.04.05

1. linux live usb creator를 이용하여 설치하고자하는 리눅스를 usb에 설치

2. 1번에서 설치한 usb로 부팅한 다음에 ubuntu설치(www.linuxbsdos.com참고)

-반드시 영어로 설치

-외장하드를 3개의 partition필요, 

-a:primary patition이고 use as:Ext4 journaling file system, mount point:/(root), size는 최소(6,7기가 이상이면 상관없음)

-b:primary partition이고 use as:swap area, size는 2기가정도

-c:free space

-device for boot loader installation:외장하드로 선택 필요

(반드시 설치하고자하는 기기종류와 운영체제 설치법을 구글링하여 얻은 자료 토대로 설치할 것)

3. 이후 우분투 설치후 SAGE설치법

-http://www.sagemath.org/documentation/html/en/installation/index.html

-"Pre-built Binary Install  Linux and OS X"선택

-우분투 버전에 맞는 sage를 다운받은후 (mirror사이트에서) 다운 받은 폴더에서

tar zxvf sage-x.y.z-x86_64-Linux.tgz

해서 압축을 푼 다음에

ln -s /path/to/sage-x.y.z-x86_64-Linux/sage /usr/local/bin/sage

-압축 푼 폴더 안에서 터미널에서 make를 입력하면 make가 안될 수 있다. 오류를 읽어보면 dpkg-dev이란게 없다고 하는데 터미널에서 sudo apt-get install dpkg-dev

-압축 푼 폴더 안에서 터미널에서 ./sage -sh한 다음에 exit하고 그다음에 ./sage -i dot2tex

-sudo apt-get install texlive해서 texlive도 설치

-우분투 소프트웨어센터에서 dot2tex검색해서 dot2tex2.8.7버전도 설치

-우분투 소프트웨어센터에서 texlive도 설치

-압축 푼 폴더 안에서 터미널에서 make입력, 시간이 오래 걸림


4. sage내에서 tableaux그리는게 가능, view(B)명령어 됨


'수학 > 기타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tropy, cross-entropy  (0) 2016.05.16
[수학]All about algebraic connectivity, a(G)  (0) 2016.03.12
표현론 복습노트  (0) 2015.06.06
[수학]Crystals For Dummies  (0) 2015.04.25
[수학]Young Tableaux, William Fulton  (0) 2015.01.28

L:lie algebra


1. L:solvable이면 for any x in [LL], ad_L x : nilpotent임을 보여라.

cf)L:nilpotent이면 for any x in L, ad_L x : nilpotent


2. x:semisimple in End(V)이면 adx:semisimple임을 보여라.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38)  (0) 2015.07.21
[수학]Theorems(37)  (0) 2015.06.30
[수학]Theorems(35)  (0) 2015.04.12
[수학]Theorems(34)  (0) 2015.04.05
[수학]Theorems(33)  (0) 2015.03.19

A VS B는 A가 승리




1강 선사시대의 전개


구석기:

-70만년전~BC 8000년경

-불사용

-덕천 승리산

-연천 전곡리

-청원 두루봉 흥수굴(흥수아이)

-공주 석장리

-주먹도끼, 슴베찌르개


중석기:

-이음도구


신석기:BC 8000년전 ~ BC 2000년전

-밭농사(조,피,수수)+목축

-(강가, 해안)정착생활, 원형움집, 중앙에 화덕

-토기:덧무늬, 이른 민무늬, 눌러찍기무늬, 빗살무늬

-농기구:돌괭이, 돌삽, 돌보습, 돌낫, 농경굴지구, 갈판, 갈돌

-가락바퀴, 뼈바늘

-족외혼

-신앙


청동기:BC 2000년전 ~ BC 5세기경

-벼농사

-잉여생산물

-사유재산

-정복전쟁

-배산임수

-계급발생

-선민사상

-고인돌, 돌널무덤

-지상 가옥 with 창고, 화덕은 구석에

-농기구:반달 돌칼

-토기:민무늬,미송리식,붉은 간토기, 덧띠 새김

-성역할 분화, 전문 장인 출현

-거울:거친 무늬

-동검:비파형

-농경무늬 청동기 유물


철기: BC 5세기경 ~

-중국과 교역(붓(한자사용), 명도전, 오수전, 반량전)

-돌널무덤,독무덤(장독),널무덤(나무관)

-농기구:철제

-우경시작

-토기:민무늬, 덧띠, 검은 간토기

-거울:잔무늬

-동검:세형 동검

-거푸집

-청동기의 의기화(의식, 제사에 쓰이는 도구로 전락)

-호랑이 모양, 말모양 등의 띠고리 장식(청동기~철기)

---------------------------------------------------------------------------------------------------------------------


2강 국가의 형성


고조선:BC 2333 ~ BC 108

-단군 조선(군장국가 단계)

-청동기

-단군(직책 이름, 제사장을 뜻함 not 사람 이름)

-단군 왕검

-제정 일치

-환인, 환웅 with 3신(풍백, 우사, 운사), 웅녀

-농경 생활

-선민 사상

-토테미즘

-홍익인간

-8조법(상해->곡물배상, 절도->노비(or 50만전))

-강성기(연맹왕국 단계)

-왕위 세습

-관직 설치(상, 대부, 장군)

-연나라와 대립, 요서지방에서

-위만조선

-위만(중국에서 망명한 사람)

-고조선 계승 근거

-상투, 조선옷, 국명 조선 계승, 토착민 출신 관리 등용

-철기 본격 수용

-8조법->60여조(풍속이 각박해짐)

-중계 무역(한(중국쪽)<->예,진)

-한과 대립

-조선상 역계경이 무리를 이끌고 진국으로 갔다.

-멸망

-한 4군 설치(낙랑, 진번, 임둔, 현도, 식민지 국가 됨)

-토착민 반발, 고구려 공격에 의해 소멸


부여

-연맹왕국단계(5부족 연맹체, 마가,우가,저가,구가+왕)

-1C에 왕호 사용

-3C말 선비(부여 왼쪽에 있던)의 침략에 고구려에 편입됨

-흉년이 들면 왕에게 책임 물음

-각 가마다 관리 있음(사자, 태사자)

-반농반목

-12월 영고

-순장(장이 죽으면 주위 사람도 함께 묻는 풍습)

-우제점복

-절도->12배 배상, 1책 12법

-형사취수제, 일부다처제(부영고 부형일순우)

-노동력중시

-사회구조(왕-호민(전쟁참여)-하호(전쟁참여하지 않음)-노비)


고구려

-제가회의에서 중요한 일을 결정

-부여에서 온 주몽이 세운 나라

-연맹왕국단계(5부족 연맹체, 관노부, 순노부, 소노부, 절노부, + 계루부(왕))

-약탈경제

-10월 동맹, 국동대혈

-데릴사위제(서옥제, 혼인시 남자가 여자집에서 삼), 형사취수제(고동맹 고데형)

-사회구조(왕-좌식자(전쟁참여)-평민-노비)


옥저

-읍군, 삼로, 후

-소금, 어물

-골장제(관에다가 조상 뼈 모음), 민며느리제(어린 여자 사서 키워다 아들이랑 결혼시키는 풍습)(옥골민)


동예

-읍군, 삼로, 후

-단궁, 과하마, 반어피, 해산물

-10월 무천(동무천 동족책)

-책화(다른 동네 침범시 소, 말로 배상)

-족외혼

-凸, 呂 모양 집터


삼한

-제정분리

-제사장, 소도에서 솟대와 함께

-목지국(마한 중에서 윗지역)의 지배자가 왕

-각 지역 군장들(대족장:신지, 견지/소족장:읍차, 부례)

-벼농사, 저수지 발달

-철제농기구

-철 생산(변한)

-수출 to 낙랑(평양일대에 있던 한4군 중 1개), 왜

-5월 단오/10월 계절제(삼단계 삼귀두)

-두레(품앗이 하기위한 마을 조직)

-귀틀집(집 건설형태)

-초가지붕 반움집

-마한 주구묘(무덤 옆 둘레에 도랑을 파놓은 것)


3강 고대 삼국의 성립과 정치 발전 + 4강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 5강 고대의 경제와 사회 생활


고구려(태고 동미고 소광장 문영류보)

-태조왕(3)

-왕위세습, 5부체제, 옥저정복

-고국천왕(3)

-부자 상속, 행정적 5부, 진대법(by 을파소 for 평민이 귀족의 노비로 되는 것을 막기위함, 그래야 세를 많이 거두니)

-동천왕(1)

-위축됨(by '위'나라 관구검 장군)

-미천왕(2)

-낙랑 정복, 서안평 공격

-고국원왕(1)

-백VS고(죽음 by 백제 근초고왕)

-소수림왕(3)

-불교 수용, 율령 반포, 태학설립

-광개토대왕(5)

-고VS백, 연호(영락)사용, 요동과 만주진출, 원병 to 신라(근거:호우명그릇)->가야중심이동(금관->대)

-장수왕(5)

-남하 정책(평양 천도, 그전엔 국내성), 남북조교류, 광개토대왕릉비, 중원고구려비(한강진출), 한성(in 백제수도) 함락

-문자명왕(1)

-부여 통합

-영양왕(1)

-살수대첩(고VS수)

-영류왕(1)

-천리장성 축조 시작

-보장왕(3)

-안시성 전투(고VS당,양만춘), 천리장성 완공, 평양성 전투(나당VS고, 연개소문 사후)

-멸망이후

-부흥운동(검모잠, 고연무, 안승(이후 신라로 망명))+신라 지원

-안동 도호부(당나라가 고구려에 세운 군정기관)


백제(고근 침비개문동 무성의)

-고이왕(4)

-관제 정비, 공복 제정, 율령 반포, 한강장악

-근초고왕(5)

-백VS고(평양, 황해도), 마한 병합, 요서산둥규슈 진출(칠지도), 가야 지배권 행사, 부자 상속

-침류왕(1)

-불교 수용

-비유왕(1)

-나제동맹

-개로왕(1)

-북위에 국서 보냄

-문주왕(2)

-웅진 천도(그 이전엔 위례성(서울)), 왕권 약화(귀족이 주도)

-동성왕(1)

-신라와 결혼 동맹

-무령왕(3)

-무령왕릉 지석, 22담로 설치(전국 특수 행정 관청), 양(남조)과 통교

-성왕(7)

-국호(남부여), 사비 천도, 22부/5부/5방(중앙/수도/지방), 불교전파(to일본, 노리사치계), 남조와 교류, 한강차지하고상실(나제동맹경렬), 관산성전투(신VS백, 신라 진흥왕때, 이싸움으로 성왕 죽음)

-의자왕(1)

-황산벌 전투(부소산성, 나당 VS 백제)

-멸망이후

-부흥운동(흑치상지, 복신, 도침, 풍)+왜 지원

-나당 연합군에 의해 진압됨

-웅진 도독부


신라(내눌소 지법진 진선진 무문신 성경혜 선원헌 흥진경)

-내물마립간(2)

-왕위세습, 왜구격퇴(with광개토)

-눌지마립간(3)

-나제동맹, 부자 상속, 망부석 설화(절개 굳은 아내가 타관이나 외국에 나간 남편을 고개나 산마루에서 기다리다가 남편을 만나지 못하자 죽어서 돌이 되었다는 이야기)

-소지마립간(2)

-나제동맹(결혼), 우편역(우편업무를 담당하는 기관) 설치

-지증왕(5)

-신라 국호, 왕 명칭, 우산국(울릉도) 복속, 우경 실시, 수도와 지방 행정구역 정리, 순장금지

-법흥왕(7)

-율령 반포, 불교 공인, 상대등(으뜸 벼슬)과 병부(군사기관) 설치, 공복 제정, 골품제 정비(경위제(중앙),외위제(지방)), 금관가야 복속, 연호(건원)사용

-진흥왕(6)

-화랑 정비, 한강 정복(단양적성비, 북한산비), 관산성전투(신VS백, 백제 성왕 죽음), 대가야 정복(창녕비), 원산만 일대 진출(마운령비, 황초령비), 황룡사 건립

(단양적성비 외엔 다 4개의 순수비)

(금법대진, 금관가야는 법흥왕, 대가야는 진흥왕)

-진평왕(2)

-위화부(인사담당) 설치, 원광 세속 5계(화랑이 지켜야할 계율)

-선덕여왕(4)

-황룡사 9층 목탑, 첨성대, 분황사 모전석탑, 비담과 염종의 난

-진덕여왕(2)

-김춘추 

-대당외교(백제에게 대야성 점령당한이후 고구려 보장왕 찾아가서 도와달랬더니 거절당하자 당나라가서 동맹맺음)

-집사부(왕의 명령 집행 보고 for 왕권전제화)설치 건의

-무열왕(=김춘추)(2)

-최초 진골계 왕(중대 시작), 사정부(공무원 감사) 설치

-문무왕(8)

-삼국통일, 외사정(지방 공무원 감사)파견

-계림 도독부

-나당 전쟁

-웅진 도독부 제거후 소부리주 설치

-매소성, 기벌포 전투 승리

-안동 도호부를 요동으로 밀어냄

-신문왕(8)

-만파식적(왕권강화+평화), 김흠돌(신문왕 장인) 모역 사건(귀족 숙청), 지방 9주 5소경완비, 국학, 관료전(수조권)지급, 녹읍(수조권+노동력)폐지, 군사조직(수도 9서당, 지방 10정), 집사부 이하 13부(중앙)

-성덕왕(1)

-정전(15세이상 남자에게 국가에서 지급한 황무지같은 미개간 토지 지급)

-경덕왕(4)

-녹읍 부활, 불국사, 석굴암, 국학->태학, 지방행정구역명을 중국식으로바꿈

-혜공왕(3)

-성덕대왕 신종 완성, 96 각간(상대등=각간=이벌찬)의 난(김지정), 피살(by 선덕왕+원성왕)

-선덕왕(1)

-하대 시작(진골 내물왕계)

-원성왕(1)

-독서삼품제(태학 졸업시험), but 실패

-헌덕왕(1)

-김헌창과 김범문의 난->6두품 강등

-흥덕왕(1)

-장보고->청해진(군사진영)설치

-진성여왕(4)

-원종과 애노의 난(최초의 농민의 난), 최치원 시무10조(당나라빈공과급제), 반신라 세력대두(6두품, 호족(지방 토착세력), 견훤, 궁예)

-경순왕(2)

-고려에 귀부, 최초의 사심관(고려 수도에 있으면서 고향의 일에 관여하는 벼슬아치)


가야

-고대국가로 발전 못함

-변한 12개국->6가야 연맹(금관가야 중심->대가야 중심, 5C후반)

-철생산 많음

-철제 농기구 사용

-벼농사

-철제 갑옷

-가야 토기

-금동관

-금관가야-대성동, 낙랑과 규수 중계무역

-대가야-지산동


발해(천인대건 대무문선)

-대조영(3)

-진 건국(이후 발해), 연호(천통), 주민 구성(지배층:고구려인, 피지배층:말갈인)

-무왕(4)

-연호(인안), 당과 대립, 신라와 대립, 영토확장(북만주 일대), 일본에 국서보냄(고구려와 부여계승할거라고)

-문왕(6)

-연호(대흥), 당과 친선(발해관), 신라와 친선(신라도), 3번 천도(동모산->중경현덕부->상경용천부->동경용원부), 주자감(교육기관)설치, 일본에 국서보냄(고구려와 부여계승할거라고), 불교유행함

-선왕(5)

-연호(건흥), 해동성국(발해 번영기를 중국이 부르던 말), 지방 제도(5경15부62주), 요동진출, 신라와 국경 접함

-대체로 일본, 돌궐과는 친선이고, 신라와는 대체로 대립, 당과는 문왕부터 친선

-거란 침입으로 멸망(발해 유민 일부 고려 유입)


각 국가별 행정(수도, 도, 광역시)

-고구려(5부,5부,3경)

-백제(5부,5방,22담로)

-신라(6부,5주,2소경)

-통일신라(6부,9주,5소경)

-9주 for 민족 융합

-발해(광역시, 도, 구 = 5경, 15부, 62주)

각 국가별 군사조직(중앙,지방)

-고구려(행정단위=군사단위)

-백제(행정단위=군사단위)

-신라(행정단위=군사단위)

-통일신라(9서당,10정)

-9서당 for 민족 융합

-발해(10위,지방군)

각 국가별 중앙행정조직

-고구려(대대로 이하 10여관등)

-백제(상좌평 이하 6좌평 16관등->사비 천도 후 22부)

-신라(상대등=이벌찬 이하 17관등)

-통일신라(집사부 이하 13부 17관등)

-외사정, 향, 부곡, 상수리제도(신라시대 중앙정부가 일종의 볼모를 이용해 지방세력을 통제하던 방식)

-발해(정당성(대장:대내상, 대내상이 국정 총괄함), 선조성, 중대성, 중정대(감찰기구, 통일신라의 사정부), 주자감, 문적원(도서관))

(정당성의 2원적 구조->당의 영향, 명칭은 유교적->독자성)

각 국가별 경제, 조세제도,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시대의 공통 경제

-귀족 경제 중심

-고리대 성행(ex 진대법)

-철제농기구

-조세:인두세, 호단위(재산 정도에 따라 3등급 분류)

-역:15세 이상 남자 동원

-관청수공업 주력

-고구려

-경무법(토지면적측정방법, 밭이랑 기준)

-무역:북방 유목민, 북조, 남조

-백제

-두락제(씨를 뿌린 량기준으로 세금 매김, 파종량기준)

-무역:남조, 왜

-신라

-결부제(수확량 기준, 결부속파)

-동시, 동시전(시장감독관아)

-무역:백제 고구려, 한강 진출 후엔 중국

-통일 후에

-동시, 남시, 서시

-조세:1/10(민정문서)

-호구를 남녀별 연령별 작성

-4개의 촌락=행정촌, 그 4개중 1개의 사해점촌의 촌주가 민정문서를 3년에 1번 작성

-공물:촌락 단위

-역:16~60세, 군역, 요역

-경주에서 사치가 많았음(귀족 경제(녹읍, 식읍(토지보너스, 조세,역,공납 모두 수취가능, 왕족 및 공신에게 지급됨), 노비소유, 고리대), 금입택, 사절유택, 등)

-무역:

-왜랑도 함(8C 이후 활발)

-대당(공무역, 사무역->신라방, 신라촌(신라소(대사관), 신라원(절), 신라관(여관))

-발해

-조세, 공물, 부역 모두 있었음

-밭농사 중심, 일부 벼농사, 목축, 수렵

-무역:당(산둥반도 발해관), 신라(신라도), 일본(일본도)

각 국가별 사회 체제

-고구려

-전쟁 패배자는 사형

-자유 교제에 따른 결혼

-대부분 자영농

-백제

-전쟁에서 퇴각한 군사는 사형

-횡령, 뇌물 받은 관리는 3배 배상, 종신 금고형(교도소 감금 not 노동)

-신라

-화백회의(여러 부족 대표들이 함께 모여 정치 운영->왕권견제, 만장일치제였음)

-골품제

-통일 전 족장 세력 편제 과정에서 설치

-법흥왕 때 경위제(중앙 17관등 골품제포함, 지방 11관등 골품제무관인 경위제 외위제 정비)

-통일신라때 3,2,1은 평민화, 중위제(아찬, 대나마, 나마에 설치함, 각 관등에 세부관등 둠으로써 5두품 불만해소하려함)

-진골(이벌찬1,자), 6두품(아찬6,비), 5두품(대나마10,청), 4두품(대사12,황)

-화랑도

-귀족과 평민 대립갈등조절

-국가 조직으로 발전(진흥왕)

-발해

-지배층:고구려인

-피지배층:말갈인

-몇 지식인은 당에가서 빈공과 응시해서 신라와 경쟁하기도 함

각 국가별 유학관련

-유학이란, 공자가 만듦, 맹자가 집대성, 4서(논어, 맹자, 중용, 대학), 5경(주역, 서경, 시경, 예기, 춘추, 그 외에도 경전 더 있음)

-고구려

-태학(유학, 역사 가르침), 경당(문무일치)에서 교육

-백제

-5경박사, 의박사(의학), 역박사(사주) 등 존재

-신라

-고구려, 백제보다 유학 뒤늦게 수용

-임신서기석(3년간 예기, 춘추 등을 학습할 것을 다짐하고 충성을 맹세하는 내용의 비석)

-통일신라

-독서삼품과(원성왕, but 실패)

-6두품 출신들이 유학을 많이 공부함

-강수, 설총, 최치원 등의 유학자들이 존재

-발해

-주자감

-

각 국가별 불교관련

-불교란, 

-BC5세기경 석가모니가 만듦, 소승(이기)과 대승(이타)으로 나뉘어졌고 대승불교가 중국->우리나라->일본으로 알려짐, 불교수용이 왕권 강화인 이유는 왕즉불(왕이 곧 부처이니까 왕 말 잘들어라)사상 때문, 

-현세를 주관하는 부처:관음보살

-미래를 구원하러 오는 부처:미륵불

-내세(죽은뒤)를 주관하는 부처:아미타불

-고구려

-소수림왕때 전래, 공인

-백제

-침류왕때 전래, 공인

-성왕때 일본에게 전파

-신라

-눌지왕때 전래

-법흥왕때 이차돈의 순교로 공인(토착 신앙에 젖어 있던 귀족들의 반대로 수용이 늦어짐)

-초기:열반종, 계율종

-중기:화엄종(의상, 왕권강화), 법상종(진표, 원측, 귀족중심), 법성종(원효)(초기, 중기 합해서 교종불교라 하고, 5교라 한다.)

-후기:선종(9산)

-교종:5교, 교리와 경전, 형식, 의례 위주, 왕실과 귀족 중심, 조형미술 발달

-선종:참선, 좌선, 수행 어디서든->지방 호족이 수용, 풍수지리설 도입(도선), 

-풍수지리설 때문에 경주쇠락, 개경 흥한다는 개경 길지설 생김(하지만 여전히 수도는 경주)

-선종+호족+6두품이 반신라세력됨

-원효(어릴 때 이름:설서당)

-법성종

-화쟁 사상(모든 논쟁을 화합으로 바꾸려는 사상)

-일심 사상(5교는 대승 불교에서 나온 것이므로 하나로 통합해야, 원융회통 사상)

-정토종(아미타 신앙, 극락 강조, 불교의 대중화)

-요석 공주 사이에 아들 설총 낳음

-의상(화엄종)

-화엄 사상(일즉다 다즉일->전제왕권 뒷받침)

-관음 신앙, 

-혜초

-왕오천축국전(인도, 중앙아시아 풍물 생생히 기록)

-발해

-문왕때 불교 융성

각 국가별 도교관련

-도교란, 

-노자가 만들고 장자가 완성

-민간 신앙

-불로장생(오래살자), 무위자연(자연과 함께 살자), 은둔(산으로 가자), 비조직적(교단이 없음), 상무(운동), 양생(좋은 것 먹기), 둔갑(오래 살자), 신선(신선처럼 살자)

-고구려

-주몽 건국 설화

-벽화 신선 그림

-사신도

-연개소문 도교 장려(왕실세력 불교 견제 하려고)

-백제

-사택지적비

-산수무늬 벽돌

-무령왕릉 지석(양나라 돈으로 산신(도교에서 토지신)에게 토지 매입)

-금동대향로(도교+불교)

-신라

-화랑도(세속5계)

-최치원(사산비명, 최치원은 유학자인데 비문의 내용은 도교적이었음)

-발해

-정효 공주 무덤 비문(불로장생)

각 국가별 그림 자료들

-(설민석)p 23 가야, 금동관, 철제갑옷, 애기 금동관, 지산동 고분, 가야 토기, 대성동 고분군, 판갑옷과 청동솥

-(설민석)p 28 광대토대왕릉비, 호우명 그릇

-(설민석)p 29 신라의 10개의 비(포항 중성리비, 영일 냉수리비, 울진 봉평비, 영천 청제비, 단양 적성비, 북한산비, 창녕비, 황초령비, 마운령비, 남산 신성비)

-(설민석)p 53 임신서기석

-(설민석)p 54 이차돈 순교비

-(설민석)p 55, 56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불상 + 금동미륵보살 반가상(중요, 삼국문화를 일본에 전파한 예, 모양이 다리를 꼬고있다는 것도 특징)

-(설민석)p 56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 탑(3,5,7,9,10층만 존재, ~지 탑:현재에는 터만 남았단 것)

-(설민석)p 57 도교관련 사료들 사진

-

7강 고려의 정치 발전


신라 하대의 혼란:골품제 모순, 왕권 약화(무열왕계와 내물왕계의 왕위 쟁탈전), 농민 동요, 진골 귀족의 사치, 신흥세력(호족:몰락한 중앙 귀족, 장보고, 군진 세력, 촌주출신)

-반신라:호족+6두품+선종불교계열

고려 건국 과정

-후백제, 후고구려(->마진->태봉->고려), 발해 멸망, 신라->고려 귀부, 후백제멸망

-의의:고구려계승, 발해유민흡수(민족재통합),중세 사회로의 전환, 호족 등장(지방문화발전), 국통은고구려 정통은신라계승

고려

-태조 왕건

-태봉+중국+신라의 관제 바탕으로 관제 만듦

-개국공신+호족(관리기용)

-북진정책(만부교사건, 반거란)

-숭불정책(연등회<팔관회, 규모)

-취민유도(세를 거둘 때 일정한 법도가 있어야 한다는 뜻)

-노비해방

-호족 통합(정략 결혼, 사성 정책(왕의 성을 하사), 역분전(인품과 개국 공로에 따라 지급한 수조권)하사)

-호족 견제(사심관(지방의 장)제도, 기인제도(호족 자식을 중앙에 보내게, 상수리제도를 계승)

-훈요십조(자식에게 남긴 10가지 유언)

-정계, 계백료서(신하의 도리를 담은 글)

-흑창(고구려 고국천왕 진대법 계승)

-발해 유민 포섭

-연호:천수(자주성)

-혜종/정종(1)

-빨리 죽음

-광종

-전제 황권 강화, 칭제건원(광덕, 준풍

-노비안검법(억울하게 노비된 사람 구제)->귀족 경제에 타격->귀족 견제

-과거제 실시(문과만 있음)

-주현 공부법(지방의 주, 현 단위로 세금을 정하는 법)

-경종

-4색 공복제정    

-경종

-시정전시과(수조권을 관품+인품에 따라 전,현직,산관(명예직)에게 지급)실시

-성종

-최승로(시무28조)

->중앙집권적귀족정치

->유교정치이념채택주장(불교폐단)->국자감 정비

->불교행사축소건의->연등회,팔관회폐지

->중국문화 취사선택(자주성), 외관(지방관)파견->12목 목사 파견 

-5조 정적평(지난 5명 왕 평가)->광종 전제정치 비판, 귀족 특권 옹호

-2성 6부 18품계 중앙행정조직 확립

-도병마사 설치

-지방 12 목사 파견, 경학박사 파견, 의학박사 파견

-향리제(지방출신으로 그 지방의 관리였다가 고려 정부에서 직책을 부여받은 지방관)마련

-고려VS거란(원인은 친송배거)->강동6주 획득(청천강기준 동쪽)(서희VS소손녕), 거란과 교류약속

-흑창정비->의창, 상평창(물가조절기관, 개경, 서경, 12목에 설치)

-3경(개경(개성, 수도), 서경(평양), 동경(경주))으로 경주 포함시킴

-노비환천법(노비안검법으로 해방된 노비를 다시 노비화시킴, 최승로 시무28조 처럼, for 귀족)

-고려 중기(993~1170)(1차 거란침입이 시점)

-목종

-강조의 정변(경종-천추태후 아들이 목종인데, 천추태후가 김치양과 불륜, 김치양 아들을 왕으로 세우려는 의도를 목종이 알고 강조에게 자기를 호위해달라고 부탁하나, 강조는 목종이 사망했다는 헛소문 듣고 현종을 왕으로 세운 다음에 김치양과 관련세력 다 죽이고 천추태후와 목종을 다른 곳으로 보냄, 허나 불안해서 목종도 죽여버림)

-개정전시과(전,현직관리에게 지급, 군인도 포함)

-현종

-5도양계확립

-거란VS고려(원인은 강조의 정변, 성종VS양규->현종은 나주로 피신)

-고려VS거란(원인은 현종의 친조(거란에게 찾아가 예의를 갖추라는, 거란 2차침입이후 한 약속)불이행->강감찬VS소배압, 귀주대첩->고려,송,거란의 세력균형, 개경에 나성 축조, 2번째 천리장성 축조(압록강 하구부터 도련포까지, 1번째는 고구려, 현재 중국위치에 천리장성)

-12목->4도호부 8목->5도 양계(군사, 행정이 나뉘어짐)

-숙종

-

-이후 대외 관계(여진(금)과의 관계)

-윤관(예종, 별무반:신기군(기병),신보군(보병),항마군(승병))->여진토벌(동북 9성 획득(2차 천리장성 오른쪽 상단)->이후 돌려줌)

-아골타 금 건국->사대 관계 요구->수락(by 이자겸)->북진 정책 좌절

-중기 정치

-문종:경정전시과(전직관리에게 안줌, 공음전 신설, 무관이 문관보다 토지분급액많음)

-문벌 귀족 사회(보수적, 사대주의), 왕실의 중첩혼, 음서(아버지, 할아버지의 공로에 의해 자식이 채용되는 것), 공음전(5품이상 고위 관리에게 지급된 토지, 세속가능))

-대표 인물:이자겸, 김부식(반대측 대표인물:묘청)

-이자겸의난(이자겸의 둘째 딸과 예종 사이 인종을 낳음, 인종과 이자겸의 셋째, 넷째 딸과 결혼, 인종VS이자겸, 이자겸이 인종 궁을 불지르게 하였으나 인종은 살고 인종이 나중에 이자겸 자객보내 죽임)

-묘청(서경파, 자주, 진취, 독립당, 국풍파(우리나라 정통), 대금 강경론, 고구려 계승, 불교+낭가)

-김부식(개경파, 사대, 보수, 사대당, 한학파(한문), 대금 사대론, 신라계승, 유교)

-김부식VS묘청(서경천도운동)->묘청 죽음 by 김부식파

-서경천도운동:서경에 궁 건립하고 나라이름(고려->대위), 연호:천개, 군대:천견충의군하자는 주장, 김부식에 의해 진압됨

-고려 무신 집권기(1170~1270)(무신집권기에도 무신이 왕이었던 것은 아니고 군사모임(중방,교정도감,정방)의 장이 바뀐 것)

-이고~이의민(중방이 군사+정치적 기구, 권력최강), 최충헌(교정도감 권력최강), 최우~임유무(교정도감+정방)

-최씨 정권의 세습정권 중심기구:도방, 교정도감, 정방, 삼별초, 서방

-이고

-이의방

-보현원 사건(보현원에서 문신들 많이 죽이고 보현원에 있는 못에 시체들을 버린 사건, 무신 집권의 발단)

-명종 옹립

-정중부

-중방의 권력 상승

-경대승

-도방설치(무신 정권 집권자의 사병집단)

-이의민

-실력본위, 하극상 만연

-최충헌

-도방확대

-교정도감설치

-봉사10조(왕에게 올렸던 정치개혁안)

-최우

-삼별초설치(최씨 정권의 특별사병)

-정방설치(인사행정 취급 기관, 최우 자기 집에 설치함)(1388년까지 존재)

-서방설치(문신자문, 등용기구)(1270년까지 존재)

-최항

-최의

-김준,임연,임유무

-농민, 천민의 난:망이망소이의난(공주), 김사미의 난(운문), 효심의 난(초선), 만적의 난(개경, 만적은 최충헌의 노비)

-반무신의 난: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교종 승려의 난(무신들이 조계종(선종)을 지원하게 되는 계기)

-고구려 부흥운동:최광수의 난(서경)

-백제 부흥 운동:이연년의 난(담양)

-전시과 붕괴->농장확대

-몽골(원)의 침입

-강동의 역:거란이 몽골에 쫓겨 강동까지 와서, (고려,몽골VS거란)->거란패배, 고려가 몽골에게 세금내도록 약속맺음

-몽골 사신 '저고여' 피살->몽골의 1차 침입, 살리타VS박서, 대패한 뒤에 고려의 화친제의

-강화도 천도

-몽골의 2차 침입, 김윤후VS살리타, 살리타 죽음

-1270년 무신집권기가 망하게 되면서 강화도->개경, 환도하게 됐고, 즉 몽골에게 항복을 의미함

-이 중에서 개경환도를 반대하는 삼별초의 항쟁(진도:배중손, 제주도:김통정, 제주도에서 여몽연합군에서의해서진압됨)+민중항쟁

-문화재 소실:초조대장경, 황룡사 9층 목탑

-원 간섭기

-영토상실(동녕부(서경, 충렬왕때 반환),탐라총관부(제주도, 충렬왕때 반환),쌍성촌관부(화주, 공민왕때 반환)

-관제격하

-중서문하성+상서성->첨의부(중서문하성의 문하시중->첨의중찬 으로 바뀜)

-중추원->밀직사

-조,종->왕, 폐하->전하, 짐->고, 태자->세자

(도병마사->도평의사사는 관제 격하가 아니라 기능 확대)

-내정간섭

-만호부(원나라의 군사조직의 관직)

-다루가치(원나라에서 고려의 점령지역에 두었던 감찰관)

-정동행성(일본정벌기구로 시작했으나 태풍으로 실패, 이후 내정간섭 기구됨)

-자원수탈

-공녀(기황후(원나라 황후가 됨), 조혼 유행, 결혼도감(공녀 축출 위한 관아))

-매(응방:원나라에 매를 바치기 위한 관아)

-특상물 징발(금, 은, 베, 인삼, 약재)

-몽골풍 유행(귀걸이, 피어싱, 은장도, 몽골식 변발 등)

(몽골에서는 고려양 유행, 음식이나 의복)

-공민왕의 개혁정치

-원,명 교체기

-신진사대부 등용

-권문 세족의 각종 폐해->충선왕 때부터 시정 노력->원의 간섭때문에 실패

-반원 자주 정책

-친원파 숙청(기철, 누이동생이 원나라 황후여서, 고려에서 행패부렸으나 숙청당함)

-정동행성 폐지

-첨의부 폐지->관제복구(중서문하성, 상서성)

-몽골풍 제거

-쌍성총관부 무력 탈환

-요동공격(고구려 계승 의식)

-왕권강화

-정방 폐지(권문세족 몰락위해, 권문세족:벼슬이 높고 권력이 있는 집안))

-전민변정도감 설치(from 신돈, 토지와 백성을 개혁하는 임시기구)

-대농장과 백성들의 노비화를 막기위해 설치하였으나 권문세족의 반발로 큰성과를 못얻음

-성균관 개편(순수 유교 교육 기관으로)

-과거제 정비

-결과

-권문세족의 반발로 실패

-개혁 세력의 미결집(신진사대부의 세력이 아직 미약)

-홍건적, 왜구의 침입

-홍건적(한족의 반란군) 침입

-반원자주정책 반대로 거슬러 올라감, 원과 다시 합세(홍건적한테 많이 당해서, 공민왕이 안동까지 피난), 이성계 활약(황주)

-왜구 침입

-신흥무인세력(이성계,최영)VS왜구

-최무선:화통도감(화약을 만드는 관아)설치, 진포대첩

-이성계:황산대첩

-신진사대부VS권문세족 + 신흥무인세력

-신진사대부(권문세족)

-무신집권기부터 등장(문벌귀족+무신정권기의 일부 무신+신진관인+부원세력)

-공민왕때 권문세족에 대항, 대거 등용

-중소지주, 향리자제 출신(부재지주(농지를 임대해서 소득을 일부 가져가는 형태), 대농장)

-과거(음서)

-능문능리(문학적 소양 부족)

-친명파(친원파)

-성리학(불교)

-개혁적(보수적)

-대표인물:정도전, 조준(이인임, 최영(권문세족이지만 같은 권문세족인 이인임을 제거))

-신흥무인세력

-이성계, 최영 등이 국민적 신망을 얻음

-고려멸망

-원명교체기->명나라 사신 '채빈'이 친원파 김의에게 살해됨, 명나라가 철령위를 설치하고자함->최영(요동정벌)VS이성계(4불가론)

(4불가론:

-작은나란 큰나라못이김

-농사가바쁜여름철엔 군사동원안됨

-명과 싸우면 왜구가 처들어올 것임

-장마철이라 덥고 습해서 활의 아교가 풀어지고 전염병이 유행할 것임)

-이성계 위화도회군->폐가입진(우왕, 창왕 폐위, 공양왕 옹립)->최영죽임, 과전법(권문세족 토지 무상몰수, 경기지역일부는 신진사대부에게 나눠줌)으로 국가건설 자금 모음

(이성계 킹메이커:정도전, 강씨부인, 아들 이방원, 정신멘토 무학대사)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개경)

-신라+태봉+당+송+독자적(2성6부제(성종))

-독자적:식목도감+도병마사(둘다 임시기구로 시작했고 재신추신이 참여, 독자적)

-당:중서문하성+상서성

-송:중추원+삼사

-왕

-식목도감(법제,격식제정, 재신(중서문하성의 2품이상)과 추신(중추원의 2품이상)이 참여, 만장일치)

-도병마사(군사문제의논, 재신과 추신이 참여, 만장일치)

-원간섭기때 도평의사사(=도당)되고 국정 최고 회의 기구되고 왕권은 약화됨

-조선 정종때 폐지됨

-2성

-중서문하성(정책결정)

-문하시중->재신->낭사

-상서성(정책집행)

-6부(이병호형예공)

-중추원(왕명 출납, 군사기밀)

-판원사->추밀->승선

-어사대(정치의 잘잘못을 논의, 풍속교정)

-어사대+낭사=대성제, 대성제가 하는 일:간쟁(정치 잘잘못 논의), 봉박(왕명거부권), 서경권(관리 임명과 법률 개폐시 동의하여 서명->서경권은 왕권견제 기능)

-삼사(화폐,곡식출납,단순회계)

-고려의 지방 행정 조직

-12목(성종)->4도호부 8목->5도(행정)+양계(군사)

-5도<-안찰사(6개월 임시직)

-주군, 주현<-지방관(실무는 향리가 함)

-속군, 속현<-지방관(실무는 향리가 함)

-향,부곡,소<-향리(소:특산물 만듦, 향,부곡,소:거주이주권도 없고 과거응시권도 없고 세금을 많이 내는 지역)

-촌<-향리

-양계<-병마사

-3경(개경, 서경, 동경)

-향리:

-조세, 공물, 노동력 징발(지역에서 거의 왕), 

-향리 중에 대장인 호장은 과거응시가능

-외역전을 받음(사후 반납해야됨)

(조선 향리는 수령(지방관)을 보좌, 과거 응시 자격 제한(3자녀중 1명만), 무보수)

(고려 향리, 조선 향리 공통점:역 세습, 행정 실무 담당)

-고려의 군사 제도

-중앙(개경, 직업군인이라 군인전 받음)

-2군 6위

-상장군+대장군 모여서 '중방'결성
-2군:왕의 친위부대

-6위-핵심 군단(3위), 경찰업무, 의장대, 궁궐 수비

-지방(의무군이라 군인전 안받음)

-양계<-주진군(상비군, 즉 항상 대비하는 군인)

-5도<-주현군(병농일치)

-특수군

-광군사(정종, for 거란)

-별무반(윤관, 동북9성 for 여진(금))

-삼별초(좌별초, 우별초, 신의군, for 몽골)

-고려의 관리 등용 제도

-과거제

-시험응시불가:부곡민, 노비, 승려 자제)

-문과(귀족, 상위향리 자제)

-제술과:서술, 문장

-명경과:유교 경전 암기

-잡과(백정)

-법률, 회계, 지리

-승과

-시험일:식년시(3)->격년시로 바뀜

-시험개요

-향시(1차)->상공(개경에서 응시해서 합격한 자), 향공(지방에서 응시해서 합격한 자), 빈공(외국인)

-국자감시(2차)(=진사시, 사마시)

-예부시(3차)(=동당감시), 문제 출제 위원인 지공거가 합격자 선발함

-좌주,문생의 관계

-지공거=좌주, 종백, 시험출제자, 아버지

-문생=합격자, 아들

-긍정효과:학문적 정통 계승

-부정효과:파벌 정치

-음서제(무신의 난을 촉발하게 된 계기가 됨)

-5품 이상 고위 관료의 아들, 손자, 사위, 동생, 조카 등에게 관직을 주는 제도(재상까지 승진 가능)

-종류

-정규 음서

-공신 자손 음서

-조종 묘예 음서

-고려의 경제

-역분전->(시정, 개정, 경정)전시과->녹과전(무신집권기 말기에 원의 침입으로 국고가 탕진되자 녹봉(쌀,보리 등 벼슬아치의 월급)대신에 땅을 줬음)->과전법(고려멸망시기 이성계가 나라세우는데 돈필요해서)

-전시과=전지(수조권)+시지(땔감채취권)

-조선시대에는 '시지'를 주지 않음

-세금

-조세:비옥도에 따라 3등급으로 나누어 부과, 생산량의 1/10

-조운제도:군현의 농민들이 세금을 조창으로 옮기고, 조창에서 경창(in 개경)으로 운반, 육운보다 수운이 많았다.

-공납:국가는 주현에게, 주현은 속현, 향, 소, 부곡에 할당, 상공(정기적), 별공(갑자기)

-역:16세~60세, 의무군, (농번기에는 잡역 동원 금지)

(소작농은 국유지에는 1/4, 사유지에는 1/2만큼 지대를 낸다.)

-상업

-자급자족, 화폐 미발달과 유통부진(상업 발달 부진)

-개경에 시전, 국영 점포 있긴 했음, 경시서(상행위 감독 관아), 상평창, 소금전매제

-고려전기:관영 상점, 비정기시장

-고려후기:시전 규모 확대, 항구 발달(벽란도가 특히 발달, 개경근처), 조운로를 따라 교역, 여관 상업 중심지로 발달

-수공업

-고려전기:관청, 소 수공업(향,부곡,소할 때 그 소, 향과 부곡은 농업중심)

-고려후기:민간, 사원 수공업(장인등장)

-무역

-송(비단,역재,서적,자기)<->고려(종이,인삼)

-일본(유황,수은)<->고려(곡식,인삼,서적)

-여진,거란(은,모피,말)<->고려(농기구,식량)

-아라비아(수은,향료,corea전래)

-고려의 사회

-귀족:왕족+5품이상, 공음전, 음서

-중류층:잡류(중앙 관청 말단 서리), 남반(궁중 실무), 군반, 역리(지방 역 관리), 향리(상층향리, 하위 향리)

(상층향리는 과거시험으로 귀족 될 수 있었음)

-양민:백정(농민), 상공업자

-향,부곡,소의 거주지는 특히 천민급 양민(왜냐하면 전쟁패배지역 주민이나, 유배로 온 주민 등이 많아서임)

-거주이전못함, 세금많이, 직업 선택없음(세습), 과거응시못함

-조선 태종때 되서야 없어짐

-신량역천인(신분은 양민인 천한 역(직업)을 가진 사람)

-노비:

-매매,상속,증여가능, 값이 개,돼지<노비<말,소

-일천즉천(엄빠중 1명이라도 노비면 자식도 노비)

-세금안냄

-공노비:입역노비(국가 소속, 급료받음), 외거노비(지방,농업종사,일정액납부)

-사노비:솔거노비(주인과 삶), 외거노비(백정과 비슷, 재산 축적하고 자기도 노비 거느리고, 주인에게는 신공바침)

-향도(향기로운 무리들, 불교동호회)->이후 조선에서 두레, 상두꾼으로 발전, 향약의 일부로 편입됨

-고려전기:석탑, 불상, 절 건축에 참여

-고려후기:농민 조직화, 마을 노력, 혼례 상장례

-동,서 대비원:보건소같은거

-혜민국:의약 전담 관아

-구제도감, 구급도감:재해 대비 임시 기관

-제위보:기금의 이자로 빈민 구제 재단

-법률은 당나라꺼 따름, 지방관이 사법권을 행사했음

-태형<장형<도형<유배형(귀향형:고향으로보내는 것, 귀양형:유배지로 보내는 것)<사형

-연등회(순수 불교 축제, 전국, 연초 실시) < 팔관회(불교+도교+민간 신앙, 서경과 개경에서 함, 연말 실시)

-여자의 지위

-남=여, 일부일처제, 균등 상속, 남귀여가(남자가 혼례를 여자집에서 치르고 여자집에서 살다가 자식이 어느정도크면 남자집으로가는 풍속), 여성도 호주가능, 족보도 연령순, 사위 외손자도 음서가능, 이혼률 높음, 재가 허용, 딸도 제사가능, 사위가 처가의 호적에 이름을 올리기도 함

-원간섭기~고려후기, 박유가 처첩제 주장, 그리고 몽골의 풍습인 일부다처제가 유행함->여성의 지위 하락 시작



11강 조선 전기의 정치 발전

-건국

-이성계+급진파(정도전, 조준)

-급진파(온건파)

-이후 훈구파(사림파)

-불교자체비판(불교의 폐단만 비판)

-토지개혁찬성(토지개혁반대)

-전기VS후기, 기준은 1592 임진왜란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태조(이성계)

-숭유억불, 도첩제(돈내야 승려될 수 있음)

-한양 천도(개경->한양)

-경복궁(조선의 정궁)건설

-재상 정치(정도전), 책:불씨잡변, 조선경국전, 삼봉집, 경제문감

-+@(조준, 책:경제육전, 최초 조선 법전)

-1차 왕자의 난(태조의 처가 2명인데 강씨(아들:이방번, 이방석(태조가 선택한 세자)), 한씨(아들:이방우,이방과,이방의,이방간,이방원,이방연), 이방원이 난을 일으켜 이방번, 이방석, 정도전, 등을 죽여서 2째 형인 이방의를 왕으로 앉힘, 정종)

-금인고명(조선 건국을 명나라가 인장을 찍으면 나라로 인정해주는건데 명나라가 안찍어준 사건)->요동정벌함

-두만강 지역 개척


-정종(이방과, 이방원이 사실상 조종함)

-개경 천도

-도평의사사 폐지하고 의정부(정치), 삼군부(군사)

-2차 왕자의 난(이방원 VS 이방간+박포 -> 이방원 승리)

-태종(이방원)

-한양 천도

-6조 직계제(의정부 거치지않고 6조<->왕 direct, 왕권강화임)

-사병 혁파(왕자의 난 때문인 듯)

-신문고 설치

-양전 사업(토지조사사업), 사원전(불교소속토지) 몰수

-호패법실시(민증제도임, for 도망자 색출, 치안 유지) -> 토지이탈방지, 조세확보

-낭사->사간원 독립(대성제가 하는 일을 독립시켜 자기의 상관만 둬서 왕권강화를 노린 것)

-종친의 정치 참여 제한(왕자의 난 때문인 듯)

-명나라, 사대외교

-여진, 무역소 설치, 귀순장려

-세종(이방원의 셋째아들 이도)

-의정부서사제(왕권 신권 조화, (사형, 인사, 군사)는 6조->왕 직접 가능)

-집현전(학술기구) 설치

-유교윤리보급(오례, 주자가례)

-왕도 정치(도덕적 교화, 인과 덕을 통한 정치)

-토관제도(토착민들이 서로 관리해먹고 사는 제도, 북쪽 4군 6진쪽, 강경책임)

-쓰시마섬(대마도) 정벌(이종무, 왜놈이 약탈해서 빡쳐서 위력함 보여줌, 승리하고 돌아옴)

(고려말 우왕때도 쓰시마정벌했음, 박위)

-삼포개항(부산포+염포+제포, 왜관(왜인들이 외교적인 업무나 무역하던 관사)설치 in 서울

-계해약조(무역선(세견선)은 50척만가능, 쓰시마 주도에게 쌀 매해 200석 주기로함)

-조선통신사 to 왜 파견(이후 1811년(순조)까지 존재, 선진문화 전파, 300명~500명 국빈예우)

-조선통보 발행, but 유통잘안됨

-문종(이도의 첫재아들, 이향)

-일찍 죽을 걸 예견하고 고명대신파(김종서, 황보인, 사육신, 생육신)에게 유언으로 단종 잘 보살펴 달라고함)

-단종(문종의 외아들, 이홍위)

-세조(수양대군)이 계유정난 일으켜 김종서와 안평대군(세종의 셋째아들), 황보인,  등 죽여서 세조가 왕됨

-세조(문종 동생, 이유)

-6조 직계제 부활

-이징옥의 난(도절제사 이징옥이 반란일으킨것, 걍 실패함), 이시애의 난(북도 수령을 남도사람으로해서 난일으킴, 걍 실패함)

-유향소(향촌자치기구,(좌수(대장),별감(부대장)), 수령보좌, 향리규찰, 풍속교정)(이시애의 난으로 폐지됨)

-집현전 폐지

-경연(신하들과 토론) 폐지

-경국대전쓰기시작함(이전,호전,예전,병전,형전,공전 중에서 호전, 형전 완수)

-직전법 실시(전현직->현직, 세습안되게 수신전, 휼양전 폐지)

-군사(5위제, 보법, 진관체제 실시)

-종친 등용(태종은 종친거부했는데 세조는 종친 등용)

-성종(세조의 손자, 이혈)

-경국대전완성(행정법)

-동국통감

-경연 부활

-홍문관(국왕자문기구) 설치(집현전계승)

-사림 등용(김종직 외)

-도첩제 폐지(불교계승이 아니라 불교 자체를 인정안하겠다는 뜻)

-관수관급제 실시(직전법은 관리들 퇴직후에 안주니까 재직때 수탈이 심해지자, 관수관급제로 국가가 직접 토지관리하고 관리들에게 녹봉을 주는 제도 실시)

-요역도 1년에 6일이내로 제한(하지만 현실은 무상노동요역이 더많았음 ㅠ)

-유향소 부활(향청이란 이름으로 부활, 관청에 속하게됨)

-연산군(성종의 폐비윤씨의 첫째아들, 이융)

-신문고폐지

-무오사화(김종직의 조의제문)

-갑자사화(폐비윤씨의 억울한 죽음을 알게된 연산군)

-사간원 폐지(언론탄압), 신하에게 신언패(씌우면 말못함ㅋㅋㅋ)

-영남 사림 대거 몰락

-중종반정으로 연산군 쫓겨남


-중종(성종 아들, 이역)

-사림 등용(for 훈구견제)

-조광조(사림파) 급진 개혁

-왕도 정치

-유향소(향청) 폐지하고 향약 실시

-현량과(추천받아서 등용) 실시해서 사림 대거 진출

-경연 강화

-언론 활성화

-소격서(도교를 주관하는 관청) 폐지->도교약화

-소학(성리학에서의 어린이 윤리서)보급

-방납(하급관리나 상인이 백성들의 공납을 대신하여 내주던 일)의 폐단->수미법(공납을 쌀로하자) 주장

-기묘사화(중종반정 공신 목록에 76명 배제하라고 조광조가 시킨 것(위훈 삭제)때문에 훈구파가 낙엽에 조광조 역적이라고 써서 소문냄)

-현량과 폐지

-삼포왜란(제포(진해), 부산포, 염포(울산) 3개의 항구에 왜인들이 활동제한 때문에 일으킨 난)

-비변사(아직은 임시기구)설치

-임신약조:계해약조의 1/2로 줄어들게하고 제포(진해)만 개항

-인종(중종-장경왕후 사이 아들, 이호)

-현량과 재실시

-명종(중종-문정왕후 사이 아들, 이환)

-을사사화(대윤VS소윤)

-대윤(사림):장경왕후+오빠 윤임

-소윤(훈구):문정왕후+남동생 윤원형

-처음에 인종이 왕되서 대윤이 이기는 듯했지만, 인종이 빨리 죽어 명종된 후 을사사화, 6년동안 사림파 100명 죽음

-정미약조:왜선의 약탈로 임신약조 취소했다가 일본측의 사죄로 통교를 다시 허가한 약조

-을묘왜변

-비변사 상설기구화

-제승방량체제 시행

-임꺽정의 난(탐관오리 죽이고 재물을 백성에게 나눠줌)

-승과 부활(문정왕후가 불교매니아)

-직전법 폐지

-선조(중종-창빈안씨(후궁) 사이 아들 덕흥대원군의 아들, 즉 중종의 손주, 이연)

-사림파가 정권잡음->서원을 중심으로 향약증가(향약과 서원으로 사림의 지위가 확고해짐)

-김효원이 이조전랑직에 있을 때 심충겸 후임자로 추천들어온 걸 거절해서 동인(김효원) 서인(심의겸)으로 갈라짐

-동인:

-주요인물:김효원,정여립

-특징:신진 사림, 척신세력척결에 적극적

-서인:

-주요인물:심의겸, 정철

-특징:기성 사림, 척신세력척결에 소극적

-정여립모반사건(정여립(동인)이 국가는 민중의 것 주장해서 역적으로 오해받음)->동인 1000명 죽음->서인집권

-정철건저의문제(정철(서인)이 세자책봉에 오지랖)->동인집권->서인에게 강경대응하자파(북인)과 온건파(남인)

-북인:

-주요인물:이산해

-특징:서인에게 강경대응

-남인:

-주요인물:유성룡

-특징:서인에게 온건대응

-임진왜란(1592~1599)

-배경:동인VS서인, (왜침없음(김성일)VS왜침있음(황윤길)+10만양병설(이이))

-전개:

-20일만에 한양함락, 선조 의주 피난, 경복궁(노비문서불태움), 명에 원군요청

-막은 3대 요소:조명연합+의병(곽재우, 북인, 승병)+관군(권율(행주대첩), 김시민(진주 대첩), 이순신(옥사당한부명노))

-옥포해전:보급로 차단

-사천해전:거북선

-당포해전

-한산도대첩:학익진

-부산포해전

(명일 휴전 회담 결렬)->정유재란 시작

-명량대첩

-노량대첩

-2년전쟁, 3년휴전, 정유재란2년(명량대첩, 노량대첩)->총7년간 전쟁

-왜란 후 16C이후 지나친 존화주의, 소중화사상(조선=little china), 재조지은(거의망한조선을 명나라가살렸다)

(이유는 선조가 자기의 무능함을 인정하기 싫어서 명을 지켜세움)

-비변사 최고기구화(구성원이 고위 관원으로 확대, 의정부+6조 유명무실화)

-속오군, 훈련도감 설치

-납속책(돈내면 신분상승)이 활발(돈 기준금액이 떨어져서)

-문화재 소실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소실

-왜란 전 실록 보관하던 3개의 사고(충주, 성주, 전주)중 전주 사고만 남음

-불국사 소실

-광해군(선조-공빈김씨(후궁) 사이 아들, 이혼)

-기유약조(부산포 개항(왜관 설치 in 부산), 세견선20척, 세사미두100석) 

-명과 후금사이 중립외교(후금이 명공격시 명이 sos요청해서 지원군보내주면서도 후금만나면 항복, 강홍립장군)

-폐모살제(왜란중 선조가 ㅌㅌ할때 광해를 세자로 정함, 광해(대북), 영창대군(소북), 대북vs소북인데 선조가 갑작스럽게 죽어서 대북이 지배, 소북파 대거 제거, 영창대군과 그외할아버지 죽이고 어머니는 폐위시킴)

-인조반정(서인주도+남인동조)->광해군, 북인제거

-대동법 실시(약 100년 걸림, 지주의 반발로)

-인조(선조의 손자, 이종)

-서인 feat남인 집권

-영정법

-이괄의 난(인조반정 공이 인정안되서 빡쳐서 난 일으키고 후금으로 ㅌㅌ해서 후금보고 조선치라고 야부리텀)

-정묘호란

-여진(후금)과 형제관계 됨

-병자호란(여친(청)의 군신요구에 척화파(김상헌, 윤집, 오직 성리학)VS주화파(최명길, 양명학+북학파)에서 척화파가 이겨서 군신요구거부했다가 청나라가 공격해온 것)

-결국 군신관계됨

-삼전도 굴욕, 청에 인질보냄(소현세자, 봉림대군)

-상평통보 주조시작

-효종(인조 둘째아들, 이호)

-북벌론(이때 사실 지금의 통일주장과 비슷, 하긴해야되는데 그렇게 적극적이진 않았음, 효종죽고나서 북벌론 흐지부지됨)

-나선(러시아)정벌, 러시아가 청공격해서 도와줌

-현종(효종 아들, 이연)

-예송논쟁

-서인(1년, 송시열 주자가례에따라)VS남인(3년)

-남인(1년)VS서인(9개월)

->여당이 남인인 시기가 오게됨

-숙종(현종 아들, 이순)

-명목상 탕평(여당을 자꾸 바꾸는 시스템)

-여당이 바뀌는 것을 환국이라 함

-경신환국(서인VS남인, 허적때문)

-서인:노론(남인에 대한 태도가 강경),소론(온건) 분리됨

-노론

-대표인물:송시열, 이이

-특징:남인에 강경

-소론

-대표인물:성혼

-특징:남인에 온건

-기사환국(남인VS서인, 장희빈세자책봉안된다고 송시열(노론)이 주장하니까 숙종이 빡쳐서 즐즐즐 서인 숙청)

-갑술환국(서인VS남인, 숙종이 인현왕후 다시 보고 싶은데 남인이 안된다고하니까 남인숙청+장희빈의 질투행각드러나 사약먹고 뒤짐, 남인사라짐)

-장길산의 난

-안용복(어민), 일본 어민이 울릉도 침범해서, 일본에다가 항의함(즉 울릉도 우리 나라땅임의 근거)

-백두산 정계비(청나라와 우리가 국경합의하여 정계비를 세운 것)

(토문강의 해석을 두고 19세기 후반에 조선과 청 사이의 의견차이->일제가 대한제국 외교권 박탈했을 대 청에게 간도 줘버림 ㅠㅠ)

-경종(장희빈 아들, 이윤)

-신임사화(소론VS노론, 왕통문제때문)

-영조(숙종의 아들, 이금)

-숙종의 부인중 첩민(최씨)의 아들이라 열등감 개쩜

-영조+노론이 힘을 합세해서 영조가 왕됨, 여당:노론

-이인좌의 난(소론인 이인좌가 영조는 숙종의 아들이 아니고 경종을 죽엿다면서 일으킨 난이지만 실패하여 노론의 세력이 가속화되고 소론을 재기불능됨)

-완론 탕평(노론과 소론의 교집합, 비교적인 온건한놈들 위주로 모음->탕평파라 함->탕평파 육성 정국, 탕평비 세움)

-노론서원, 소론서원 각각에서 의견을 산림이라는 곳에 모아 왕에게 전하는데, 이 산림의 의견을 부정함

-서원 정리

-이조전랑직 권한 약화(후임자 천거, 삼사 관원 선발 관행 폐지)

-균역법 실시

-5군영중(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 세 군영이 도성을 나누어 방위하는 체제 정비)

 -속대전(경국대전 속편)편찬

-신문고부활(태종설치, 연산군폐지, 영조부활)

-노비종모법(엄마신분따르기), 노비공감법(노비공납반틈)(자기가 천민엄마출신이라)

-삼심제실시, 가혹한 형벌폐지

-준천사 설립(청계천 공사 관아)

-영조 아들 이선과는 불화, 이선을 너무 강건하게 시켜서 미침, 그래서 나중에 영조가 죽임, 불쌍해서 사후에 사후세자라 이름 붙여줌, 이선의 아들 이산이 이후 왕됨

(영조때는 노론지배, 이선이 왕되기를 지지한 세력 또한 노론)

-정조(영조의 손자, 이산)

-영조(노론)가 아버지를 죽였으니 정조가 왕되면 노론 척결할까봐 노론들이 정조 왕되는거 반대많이 함

-사도세자는 역적이라 역적아들은 왕안된다길래 호적도 파내서 왕됨

-취임식날,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라'->노론들 기겁함

-노론들이 정조 죽이려고 자객보냄

-준론탕평(시시비비 따져서)

-벽파(노론), 시파(노론일부+소론+남인)에서 시파 중용(벽파도 끌어안긴함)

(노론들은 정약용(기예론, 천자추대설(백성이 왕을 뽑아야),목민심서(지방관의도리), 신유박해흑사도유배)개싫어함, 천주쟁이라고 싫어함)

-장용영(왕경호부대, 5군영에맞서는 스케일)를 둚

-규장각(도서관이지만, 초계문신제:초계문신제라고 과거 시험 합격자중 몇명 추천받아서 정조가 특별히 교육시킴 in 규장각->자기라인만듦, 대표인물:정약용(남인))설치

-서얼도 등용시킴, 서얼과 노비 차별완화

-수원 화성 경영(드림시티만드려고 함)

-금난전권폐지(금난전권의 폐지는 곧 난전상인에게도 권리주는 것, 신해통공이라 함)(단, 육의전은 제외)

-세도정치기

-비변사+훈련도감 장악(정2품 이상의 고위직만 정치 참여, 나머진 행정 실무만)

-소수가문의 권련독점

-순조(정조아들, 이공)

-11세때 왕돼서 34년간 재위

-안동김씨 집권

-신유박해(정조 때 혁신세력인 시파와 남인 세력 제거하려고 천주교 탄압)->정약용흑산도로유배

-홍경래의 난(1811)

-조선통신사->역지통신으로 바뀌고 조선통신사 끝남

-헌종(순조 손자, 이환)

-8세때 왕돼서 15년간 재위

-풍양조씨 집권

-철종(정조 조카의 아들, 이원범->이변)

-19세때 옹돼서 155년간 재위

-안동김씨 집권

-중인소청운동(중인 품제한 없애달라고)

-전국적 민란

-임술농민봉기(1862)부터 시작

-삼정이정청설치(but실패), 안핵사파견

-폐단:

-매관매직->탐관오리증가

-과거제 폐단

-삼정(전정(토지), 군정(군포), 환정(춘대추납))의 문란

-결과:

-미륵신앙, 정감록(예언집) 등이 유행

-소청(임금에게 상소, 청함), 벽서(벽에 글을 적음) 등으로 민란

-홍경래의 난(1811), 임술농민봉기(1862)

-홍경래(서북민에대한차별대우 때문에 발생, 농민, 중소상인, 광산 노동자로 구성), 임술농민봉기(탐관오리와 토호(토착세력)의 탐학(탐욕많고포학함)

-삼정의 문란을 막기위해 삼정이정청이라는 관청을 건설했으나 실패

-안핵사파견(for 민란을 무마하기 위해)

-고종

-홍선대원군->호포제제정하여 군포를 징수함












-조선의 중앙통치체제

-왕

-의금부:국가기밀, 국가죄인담당

-승정원:대통령 비서실, 대장을 '도승지'라 함

-의정부:3정승(영의정,좌의정,우의정)으로 구성, 왕권견제

-6조:각 조마다 업무를 분담하는 속사를 둠, 이조에서 전랑직은 문신의 인사권있음, 병조에서 전랑직은 무신의 인사권있음

-3사(권력독점방지, 부정방지, 언론기능, 5품이하 서경권)

-사헌부:의정부와 6조의 정책 비판,감시, 정책을 건의, 관리임명에 서경권행사 가능, 억울한 일 해결(통일신라-사정부, 발해-중정대, 고려-어사대), 사법권가짐

-사간원:왕의 잘못을 간쟁, 왕의 그릇된 명령을 돌려보내는 봉박 가능, 서경권행사 가능

-홍문관:학술연구, 경연, 서연(세자교육), 정책 자문, 서경권없으나 행사하고다녔음

-한성부:서울의 행정과 치안담당, 사법권 가짐

-춘추관:실록 편찬

-성균관:최고의 교육기관(입학생은 생원,진사를 원칙으로 한다.

(사법권가진 곳 3법사:한성부, 형조, 사헌부)

(18품계30등급(6품까지 상하 구분 있음), 고과제, 경관직(의정부와 6조 중심), 외관직(지방관직))



-조선의 지방행정조직

-8도<-관찰사(일원적, 관찰사 권한 강화(사법권,감찰권,행정권,군사권), 수령을 지휘감독), 임기1년)

-부목군현<-수령(향리는 수령보좌)

(모든 군현에 관리 파견, 수령권한강화, 향리권한약화, 향촌말단까지 통제, 향소부곡 소멸, 수시로 암행어사 파견, 임기5년, 상피제(출신지역으로 수령되진 못함))

(향리(아전)은 수령의 명령 집행, 역은 세습되나 외역전 지급없고 농민을 수탈함)

-면리통<-면임,이정,통수(관리파견안되는 아주 소단위)

(부목군현에서 '군'에 속함)

(오가작통제(5가=1통), 3통=1리, 여러리=1면)

-경재소:유향소 대장 좌수가 수령 이기려드는 것 막으려고 

-향약이 16C부터 강세, 향약의 첫 명분은 지방에도 유교윤리잘보급 이었는데 농민수탈만 늘어남, 수령->양인(양반,농민) 에서 양반->농민 지배로 바뀜, 향약과 서원에서 수령을 좌천시키기도 함, 향청(좌수)가 향약(도약정) 겸임하기도 함.

-서원:선현 제사, 교육담당, 봄가을향음주례->조선 후기 남설되어 농민 수탈, 당쟁의 소굴->영조가 300여개 흥선대원군이 600여개 철

-조선의 군사제도

-원리:16세~60세 양인이상 참가, 병농일치(농한기에 군사훈련)

-면제대상:현직 관리, 학생, 향리

-군역제도

-봉족제(15C):호단위

-보법:3인1조 

-대립제, 방군수포제 성행

-군적수포제(방군수포제를 합법화, 관아에 돈내면 군역안함)

-양반과 농민의 신분을 구분하는 기준이 됨

-양역 변통론(병농일치제로 다시가자, 호포론(양반도 수포내라) 등이 논의되었던 각종 논의의 총칭)

-균역법으로 결정됨(영조, 1년에 포2필->포1필로 하자, 그리고 부족한 세금은 지주들이나 선무군관포(신분상승), 어장세 등으로 채움)

-총액제(공동납부제, 세도정치기에 백성 수탈이 너무 심했음)

-전기

-중앙

-5위(문반 관료가 지휘)

-특수군

-구성:왕실, 공신, 고관 자제

-갑사:왕실 사병, 취재합격생

-구성:시험친 직업군인(not무과)

-사병혁파 이후 중앙군으로 편제

-근무기간에 따라 품계+녹봉 

-정군

-구성:농민(의무군)

-일정기간 교대복무

-복무기간에 따라 품계를 받았으나 낮음

-지방군(육군+수군)

-영진군

-병영(장:병마절도사, 각 도에 1개 또는 2개존재, 병영밑에 거진 이란게 있어서 거진의 수령이 주변 군현의 통수권을 가짐)

-수영(수영 밑에 포진과 포가 있음)

-잡색군(서리, 잡학인, 신량역천인, 노비 등으로 구성, 일종의 예비군)

-후기

-중앙

-5군영(임진왜란, 후금과의 항쟁 중 임기응변식 설치, 100년간 발전되어오다 17세기말 완성, 시간이 지날수록 서인 정권 유지의 기반)

-훈련도감(선조(왜란중 설치) 핵심군인, 상비군, 직업군, 삼수병(포,사,살수, 19세기 세도정치기 비변사+훈련도감을 소수가문이 점령)

-어영청(인조, 이괄의 난 이후, 북벌위해)

-총융청(인조, 이괄의 난 이후, 북벌위해)

-수어청(인조, 정묘호란 후, 남한산성 수비위해)

-금위영(숙종, 궁궐수비위해)

-지방

-양천 혼성군(왜란중, 양반+농민+천민구성)

-방어 체제의 변화:

-진관체제(세조, 군현 다위 소규모체제, 대규모 외침에 효과없음)

-제승방량체제(을묘왜변후 명종, 도 단위 대규모, 작전속도가 느림)

-속오군 체제(왜란후 선조, 진관 체제의 복구, 양반들은 회피함)

-교통과 통신(봉수제와 역참으로 중앙 집권적 행정 운영 강화)

-봉수제(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

-역참(역원들이 말타고 소식전함)

-조선의 관리등용제도

-종류

-과거:문과, 무과, 잡과, (승과), (취재)

-반역죄인, 탐관오리 자제는 응시못함

-재가녀자손, 서얼은 문과시험 못침, 무과와 잡과만 가능

-문과 시험 

-모집인원:도시 인구별

-정기시는 식년시로, 부정기시도 있음

-소과(초시,복시)합격해서 생원, 진사된 후 성균관에서 교육받고 대과 시험(초시,복시,전시)

-무과 시험

-초시,복시,전시 

-잡과 시험

-3년마다 관청에서 선발, 분야별 TO있음

-승과

-중종때 폐지, 명종때 잠시 부활

-취재

-갑사나 하급관리용 채용 시험

-음서

-천거(현량과, 추천제)

-특징

-과거제 중시

-합리적 인사행정(상피제, 서경권, 고과제

-조선의 교육제도

-서당->4부학당(서울, 중학, 동학, 남학, 서학)), 향교(지방, 부목군현에 1개씩, 교수나 훈도가 파견됨 from중앙, 후기 평민의 면역 도피처)->성균관(공민왕때부터 순수유학교육기관됨)

-기술학은 해당 관청에서

-조선의 토지제도

-과전법(태조)

-전현직

-수조권지급

-세습불허가 원칙이나 수신전, 휼양전 명목으로 세습됨

-풍흉고려

(수조지 부족으로 직전법시행)

-직전법(세조)

-현직

-수신전, 휼양전 폐지

(토지의 사적 소유 확대)

-관수관급제(성종)

-정부에게 세금내고 정부가 관리들에게 봉급주는 형태

-조와 세의 구별이 없어짐

-국가의 토지, 농민 지배력 강화

-녹봉제 100%실시(명종)

-직전법폐지, 수조권 폐지

-지주전호제강화(소유권에 기초한)

-부익부빈익빈

-조선의 수취제도

-담헙손실법(공양왕)(전주담험)->(태종)(관 다험)

-공법(세종)

-연분9등법

-토지 1결당 4두~20두, 풍흉고려, 비옥도는 고려안함

-전분6등법

-토지의 비옥도를 6등급으로 구분, 등급에 따라 1결당 x두가 다름

-문제점:계산복잡(전제상정소에서 계산해줌), 소작농 별도움 안됨, 최하 등급 관례화됨

-영정법(인조)

-양척동일법(효종)

-풍년, 흉년에 관계없이 1결당 4두

-소작농과 무관

-수수료, 운송비 등 부가세 많아서 사실상 농민 실제 도움 안됨

-조선의 공납

-상공(정기적), 별공(특별히), 진상(임금 배알(찾아뵘)시)

-군현단위로 부과->호별로 할당

-문제점

-대납제 폐단, 방납의 폐단(방납가랑, 서리 등이 도중에 헤처먹음)

-수요품과 공급품이 다르기도함

-저장과 수송 어려움

-농민 유망 증가(인징(옆집이 대신 냄), 족징(친척이 대신 냄))

-조광조(중종), 유성룡(선조):대동법 주장->광해군대 대동법 실시(이이:대동법 주장함)

-대동법

-광해군대부터 실시(경기도에 시작후 전국 확대로 100년 걸림)

-내용:

-토산물 대신, 쌀, 동전, 삼베, 목면으로 납부

-1결당 12두, 호별로 아니라 지주별로

-잉류지역(함경도, 평안도, 제주도, 울릉도), 4유수(강화도, 개성, 화성, 광주)는 자체경비로 활용

-결과:

-조세의 금납화

-상품 화폐 경제 발달(즉, 팔기위해서 물건 만드는)

-공인(국가 수요품을 국가에게 공과를 받고 사는 상인)등장

-선대제(계약 선도금주고 물건 만들게하는) 민영 수공업 발달

-공인->도고로 성장

-지주 부담 가중, 무전 농민 부담 감소, 장기적으로 양반체제붕괴(돈 최고 됨)

-조선의 사회

-법제적으로는 양천제(양인, 천민)

-실제로는 반상제(양반,중인,상민,천민)

-양반:과거,음서,천거 등으로 관료->군역면제대상자

-중인:서리,향리,기술관,역관->직역세습,같은신분끼리결혼,품제한있음

-서얼:서자(양반+양인), 얼자(양반+천민), 중인과 비슷한 대우, 토종 중인들이 무시하기도함, 문과응시가 정조때부터 허용됨, 철종때 허통(다른 신분과 교통됨)됨

-상민:농민+수공업자+상인을 가리킴, 농본억상(농민>수공업>상인>신량역천)

-천민:백정+노비(공노비(입역노비,외거노비),사노비(솔거노비,외거노비)

-노비제 변천(일천즉천->종부법(태종)->일천즉천(세조, 엄마가 아이아빠 속여서)->종모법(영조, 엄마를 속일순 없으니)

-임란때 납공노비화, 그러나 도망이 늘어서 공노비 해방시켜줌, 갑오개혁때 노비제 폐지

-사회제도

-환곡제

-의창:무이자

-상평창:이자

-사창:이자, 나라가아니라 양반들이 운영

-약재 판매

-혜민국:의약판매

-동,서대비원:보건소

-제생원:지방민 진료

-동,서 활인서:사랑의 밥차

-법률

-형벌:대명률, 태장도유사(고려와 같음)

-행정:경국대전

-민사소송:재판권은 지방관, 수령, 관찰사등이 가짐, 특히 관찰사 수령은 행정권과 사법권도 가짐

-초기에는 노비소송문제, 후기에는 산송(묫자리)문제가 소송 주 문제였음

-전기->후기 변화

-양반10%->양반70%(납속책, 공명첩, 군공)

-향전, 즉 구향(향안,청금록)VS신향(납속책,공명첩)->신향의 경제력+수령+향리결탁->신향승리

-신향이 향회장악, 향임됨

-수령+향리권한강화->세도정치기 탐관오리 증가

-구향은 동족 마을, 서원, 사우를 지어 떠남

(즉, 전기:수령권한강함, 중기:사족(향리)권한강함, 후기:수령+향리 모두 강함)

-가족제도변화(17세기 이후 성리학때문에 여성인권 떨어짐, 제사는 장남, 재산상속장남우대, 혼인후 남자집에서 삶)

-조선의 경제

-상업

-전기

-시전 상인(국역, 관청의 수요 조달)

-육의전(조선시대 독점적 상업권을 부여받고 국가 수요품을 조달한 여섯 종류의 큰 상점, 명주,종이,어물,모시,삼베,무명)

-경시서(시전관장관아, 존재는 고려부터)

-평시서(시전,물가관장관아)

-후기

-금난전권(육의전, 시전상인 들이 금난전권으로 난전을 금할 수 있었음, 정조대 폐지)폐지 후 난전(=사상)증가

-공인, 사상 등이 도고로 성장하게됨

-장시

-전기

-15C후반 등장, 5일장으로 발전

-16C중엽에 전국적 확대

-보부상의 활동

-후기

-보부상이 장시 연결, 일부 상설 시장화

-18C에 1000여개

-포구(항구)

-전기

-세곡이나 소작료 운송기지

-후기

-장시보다 거래규모큼

-강경포,원산포 등이 상업 중심지로 성장

-경강 상인(한강중심에서 중요 뱃길을 장악하여 곡류 따위를 도거리로 거래하던 상인)이 거상으로 성장

-객주(타지에서 온 상인에게 거처를 제공하며 물건을 맡아 팔거나 흥정해주던 사람, 여각도 비슷함)는 보부상과 연계해서 전국의 장시를 지배

-국제무역

-전기

-공무역위주, 명나라만 사무역가능

-후기

-만상(청나라와 교역한 부자상단), 내상(왜나라랑), 송상(한강유역에서 중계무역)

-공무역(개시), 사무역(후시, 불법적)발달

-화폐

-전기

-조선통보(세종)이 있었으나 유통부진

-후기

-경제발달과 대동법으로 화폐경제발달

-상평통보(인조가 주조, 숙종때(허적) 주로 유통)

-전황(화폐가 시장에 부족한 상황)의 발생

-수공업

-전기

-관영수공업중심(부역제(8개월 부역, 4개월 자유))

-후기

-공안등장->상품화폐경제발달->부역제기피증가

-나라에 장인세를 내고 자유롭게 생산활동하는 민영 수공업 발달

-광업

-전기

-국가직영

-잠채성행

-후기

-설점수세제(개인에게 채굴가능하게해주고 대신 세금받음)

-수령수세제(설점수세제가 비리많아서 수령보고 세금걷어라한 것, 이것도 그닥)

-덕대제(덕대,물주,노동자(경영자,자본가,노동자))

-자본주의적 경영방식

-분업했음

-덕대제하면서도 국가직영있었음(but 잠채가 유행)

-지대의 변화

-전기

-타조법(정율제)

-후기

-도조법(정액제)

-도지권 매매가능

-지주 전호제가 신분적 관계에서 경제적 관계로 바뀜



*농법 비교

-삼국~통일신라

-철제 농기구 보급

-우경 시작(6C지증왕)

-고려

-우경에 의한 심경법(깊이 갈이)이 일반화

-시비법(비료사용)

-밭농사 2년 3작(조,보리,콩)

-이앙법시작(고려말 남부일부지역에서만 시작 모를 어느정도 키운 다음에 본논으로 옮겨 심는것)

-목화재배(문익점이 중국 원나라갔다가 오는길에 목화씨들고옴, 목화(cotton)은 면의 재료)

-원나라 농법책 농상집요(by이압)가 소개됨

-조선전기

-이앙법 제한(가뭄이 심해서 국가에서 금지, 이앙법은 가뭄에 취약하므로)

-휴경지 소멸(비료를 잘줘서)

-2년 3작 일반화

-농사직설(우리나라 최초 농서), 금양잡록 간행

-조선후기

-이앙법 부활

-보, 제언 등으로 가뭄이겨내는 시설덕분

-2모작 가능, 벼+보리

-노동력절감

-견종법(고랑에다가 파종하는 방법)

-바람에 강함

-수분많음

-생산성 증가, 노동력 감소

(이전까지는 논종법(이랑에다가 파종)

-상품작물재배(for팔기, 그 당시 고구마와 감자가 외국으로부터 들어옴)

-농서많아짐(농가집성,색경,산림경제,임원경제지)

-결과

-광작가능, 소작농들은 상공업이나 광산 등으로 다른 일하러가게됨

-직접경영증가, 부농 등장

-상품작물재배 증가(쌀,목화,채소,담배,약초


*문화사 정리(사상, 교육, 

-고대

-삼국

-기초개념

-유학:공자가 만듦, 맹자가 집대성, 4서(논어, 맹자, 중용, 대학), 5경(주역, 서경, 시경, 예기, 춘추, 그 외에도 경전 더 있음)

-불교:BC5세기경 석가모니가 만듦, 소승(이기)과 대승(이타)으로 나뉘어졌고 대승불교가 중국->우리나라->일본으로 알려짐, 불교수용이 왕권 강화인 이유는 왕즉불(왕이 곧 부처이니까 왕 말 잘들어라)사상 때문, 

-공통

-교육이 수도, 귀족 중심

-금동미륵보살반가상:삼국문화를 일본에 전파한 예, 모양은 다리를 꼬고 있는게 특징

-고구려

-유학:태학, 경당(지방학교)에서 교육, cf)경당에서는 문무일치교육

-백제

-유학:5경박사, 의박사(의학), 역박사(사주)

-신라

-유학:고구려, 백제보다 뒤늦게 수용, 임신서기석(진흥왕~진평왕때 쯤으로 추측됨, 유학을 배우겠단 내용이 적혀져있는 돌)

-불교

-원효:5교는 하나다(원융회통=화쟁사상), 아미타신앙(나무아미타불하면 누구나 극락간다, 정토종)

-의상:화엄사상(일즉다다즉일)->전제왕권뒷받침, 관음신앙(관셈보살하면 현세좋아짐)

-혜초:인도랑 중앙아시아 여행기남김(왕오천축국전)

-통일신라

-유학

-독서삼품과(but 실패)

-유학자로는 6두품 출신이 많음

-대표인물

-강수:외교 문서에 능함

-설총:국학에서 학생지도, 이두(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은 표기법)정리

-최치원:시무10조

-국학(신문왕)->태학(경덕왕):박사과 조교를 두어 논어와 효경을 가르침

-발해

-주자감

-온돌장치, 모줄임천장, 주작대로, 4.6변리체

-고려

-국자감:성종, 양헌고(예종, 장학기금)

-승려

-의천:천태종, 화폐유통중요성(숙종), 왕실귀족지원받음, 

-지눌:조계종, 수선사결사운동

-혜심:유불일치설, 성리학수용토대

-역사서

-삼국사기:김부식, 사대주의적이며 유교적 , 신라계승, 삼국역사만 적음, 기전체+현존하는 최고의 역사서

-삼국유사:불교적이며 고조선계승, 단군조선~고려, 기사본말체    

-대장경

-초조:현종때 for 거란

-교장(속장경):고종때 의천, 교장도감(관청)

-재조(팔만대장경):고종때 for 원 

-인쇄된 책

-직지심체요절:청주 흥덕사, 현존하는 최고 금속 활자본, 현재 프랑스에 있음, 내용은 석가모니가르침

-조선

-배

-판옥선:2층구조, 거북선 이전모델(돌격용으로 적합하지않아서 거북선으로 돌격형으로바꿈), 12척으로 왜 300여척잡음(명량대첩), 임진왜란의 주력전선

-역사서

-동국통감(성종):고조선~고려말

-조선왕조실록:사초(사관이 국왕 옆에서 기록한것)와 시정기(관청의 문서)를 근거로 춘추관에서 작성, 평년체, 4대사고->5대사고(왜란후), 태조부터있음, 

-무예서

-무예도보통지(정조):이덕무, 박제가, 백동수 등이 편찬

-의서

-동의보감(허준, 광해군)

-천문

-의산문답(홍대용, 지전설, 무한우주론->성리학적 세계관 비판(화이의 구분을 부정))

-화가

-전기

-후기

-삼원:김홍도(씨름도), 신윤복(미인도), 장승업(영모, 호취도, 강렬한 필법이 특징)

-실학(후기에 등장)

-중농학파:정약용(목민심서, 흑산도로 유배, 기예론이지만 중농학파), 이익(폐전론)

-중상학파:홍대용, 박지원(열하일기), 박제가(북학의)

-동학(후기에 등장)

-최제우 창시(혹세무민죄로 처형당함)

-한울님을 마음에 모시는 시천주 강조

-

-동지(12월22일, 작은설):팥죽



'제거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삭제예정]150906(일?)텝스대비  (0) 2015.09.02
[한국사]시험대비2, 근현대사  (0) 2015.07.02
[수학]표현론 책읽기  (0) 2014.06.23
[Econometrics]Panel Data Analysis  (0) 2014.03.03
Latex 강의 3일차  (0) 2014.02.19

Title:Crystals For Dummies

Author:Mark Shimozono


*Summary


1. Tensor Product가 commutative(up to crystal graph isomorphism)한 것은 not natural(Representation Theory를 이용하여야 함)


2. Crystal Graph의 unary operation, dual(v), Dynkin Autormophism(*), # operation

-v은 arrow방향이 바뀐다는 게 중요

-*은 color가 바뀐다는 게 중요

-#은 v취한 다음에 *취한 것, 따라서 arrow방향과 color가 모두 바뀜 


3. B(dominant wt):connected, 그리고 그 때의 highest weight vector


4. B:connected이면 B isomorphic B(lambda) for some lambda(dominant)


5. Decomposition 

-general Crystal Graphs

-B(1)^k일 때

-Yamanouchi word가 highest wt vector이고 dominant wt를 wt로갖는 Yamanouchi word를 세는 일=Standard Tableaux개수 세는 일

-Recording으로 (P(b),Q(b)) 구할 수 있음

-B(r)xB(lambda)일 때

-LR coefficient 도입

-set of seq of weakly increasing words를 행렬로 나타낸 뒤 transpose의미로 bijection얻는 것(wt, shape)<->(shape,wt)

-B^beta일 때

-결국 horizontal strip을 반복적으로 넣는 행위는 semistandard tableaux를 세는 일

-Recording으로 (P(b),Q(b)) 구할 수 있음


*Question

1. P4, 2 paragraphs, Weyl Group관련

2. P4, simple root, simple coroot관련

3. P4, Rmk 2.4 gl_n-weight lattice, sl_n-weight lattice

4. P5, Crank와 automorphisms of conjugation이 commute하는 것

5. P9, Contragredient dual of a module이란

6. P9, Dynkin Diagram, Dynkin automorphism이란


dual부터 복습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37)  (0) 2015.06.30
[수학]Theorems(36)  (0) 2015.05.27
[수학]Theorems(34)  (0) 2015.04.05
[수학]Theorems(33)  (0) 2015.03.19
[수학]Theorems(32)  (0) 2015.01.16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36)  (0) 2015.05.27
[수학]Theorems(35)  (0) 2015.04.12
[수학]Theorems(33)  (0) 2015.03.19
[수학]Theorems(32)  (0) 2015.01.16
[수학]Theorems(31)  (0) 2015.01.16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35)  (0) 2015.04.12
[수학]Theorems(34)  (0) 2015.04.05
[수학]Theorems(32)  (0) 2015.01.16
[수학]Theorems(31)  (0) 2015.01.16
[수학]Theorems(30)  (0) 2014.06.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