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7)  (0) 2013.08.13
[수학]Theorems(6)  (0) 2013.08.07
[수학]Theorems(4)  (0) 2013.07.29
[수학]Theorems(3)  (0) 2013.07.24
[수학]Theorems(2)  (0) 2013.07.23

1. 

p:odd prm

Show that p ≡ 1 (mod 4) iff x^2 ≡ (-1) (mod p) has an integer solution

(link)


2. 

G:finite group

H:subgroup of G

G=union of xHx^(-1) over all x in G

이면 G=H이다.

(link)


3. 

G:group

H:subgroup of G s.t. [G:H]<inf

이면 te N s.t. N:proper normal in G, [G:N]<inf

(link


4.

Prove that there is no simple group of order 525=3*5^2*7

(link)

5. 

|G|=21, non-cyclic group

Find the number of sylow 3-subgroups of G

(link)


6.

|G|=45=3^2*5, group

Prove that there is an element g in G s.t. |g|=15=3*5

(link)


7.

Find the number of sylow 7-subgroups of S_7

(link)


8. 

(TS,top1), (TS,top2), top1<top2일 때

(1) top1이 T2이면 top2도 T2인가?

(2) top1이 T3이면 top2도 T3인가?

(3) top1이 T4이면 top2도 T4인가?

(link)


9.

|G|=2^3 3^4 5^2 7인 finite abelian group일 때, elementary divisor로 classification, invariant factor로 classification(link)

'수학 > 기타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현론 복습노트  (0) 2015.06.06
[수학]Crystals For Dummies  (0) 2015.04.25
[수학]Young Tableaux, William Fulton  (0) 2015.01.28
[수학]확률,통계 재밌는 문제들  (0) 2013.10.12
Order Relation관련 용어 정리  (0) 2013.01.11




'이미지창고 > [수학]Examp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Examples(6)  (0) 2013.10.16
[수학]Examples(5)  (0) 2013.08.07
[수학]Examples(3)  (0) 2013.07.24
[수학]Examples(2)  (0) 2013.07.23
[수학]Example(1)  (0) 2013.07.22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6)  (0) 2013.08.07
[수학]Theorems(5)  (0) 2013.07.30
[수학]Theorems(3)  (0) 2013.07.24
[수학]Theorems(2)  (0) 2013.07.23
[수학]Theorems(1)  (0) 2013.07.22





'이미지창고 > [수학]Exerci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Exercises(4)  (0) 2014.06.30
[수학]Exercises(3)  (0) 2013.08.13
[수학]Exercises(2)  (0) 2013.08.07








'이미지창고 > [수학]Examp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Examples(6)  (0) 2013.10.16
[수학]Examples(5)  (0) 2013.08.07
[수학]Examples(4)  (0) 2013.07.29
[수학]Examples(2)  (0) 2013.07.23
[수학]Example(1)  (0) 2013.07.22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6)  (0) 2013.08.07
[수학]Theorems(5)  (0) 2013.07.30
[수학]Theorems(4)  (0) 2013.07.29
[수학]Theorems(2)  (0) 2013.07.23
[수학]Theorems(1)  (0) 2013.07.22




'이미지창고 > [수학]Examp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Examples(6)  (0) 2013.10.16
[수학]Examples(5)  (0) 2013.08.07
[수학]Examples(4)  (0) 2013.07.29
[수학]Examples(3)  (0) 2013.07.24
[수학]Example(1)  (0) 2013.07.22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6)  (0) 2013.08.07
[수학]Theorems(5)  (0) 2013.07.30
[수학]Theorems(4)  (0) 2013.07.29
[수학]Theorems(3)  (0) 2013.07.24
[수학]Theorems(1)  (0) 2013.07.22






'이미지창고 > [수학]Theor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Theorems(6)  (0) 2013.08.07
[수학]Theorems(5)  (0) 2013.07.30
[수학]Theorems(4)  (0) 2013.07.29
[수학]Theorems(3)  (0) 2013.07.24
[수학]Theorems(2)  (0) 2013.07.23






'이미지창고 > [수학]Examp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Examples(6)  (0) 2013.10.16
[수학]Examples(5)  (0) 2013.08.07
[수학]Examples(4)  (0) 2013.07.29
[수학]Examples(3)  (0) 2013.07.24
[수학]Examples(2)  (0) 2013.07.23

1. 발표하기 전, 청중들에게 발표자료를 먼저 보내서 발표전 읽게 권하는 게 좋다.

2. Title과 저자명을 상단에 쓰고 발표를 진행한다.

3. 

'기타 > R,Latex,발표,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내 Latex강좌 강의 정리  (0) 2014.03.19
R 명령문 정리  (0) 2014.02.09
[영어]Research Papers  (0) 2013.06.24

*계획

p 113 fla부터정리







Rule 


1. 접두사, 어근을 확실히 암기

2. 단어 자체를 외우는 것은 독해지문을 통해 외우고, 그때마다 접두사 어근을 연습해보자.















*접두사

1. Numerical Prefixes

1/2

hem(i), sem(i), dem(i), half

1

mon(o), un(i), singul, on

2

di, div, du(o), bi(n), tw

3

tri, thr

4

tetr(a), quadr(i), quater

5

pent(a)

hex(a), sex(a)

7

sept

8

oct(o)

9

novem

10

dec(a), dec(em), decim, te

100

hect(o), cent(i)

1000

kil(o), mill(i), thu

1만

myria

100만

mega

10억

giga

1조

tera

few

olig(o), par, pov

many

pol(y), mult(i)

all

pan, omn(i), al


2. Locative Prefixes(tr,fr이 붙으면 비교급, m과 t가 추가되면 최상급이 된다.)

in, between

end(o), esotr, in, intr, in, intro, intra, inter

center

centr

out

ex(o), e, ex, extra, extr(m), out

over

hyper, supr(m), ultr, over

up

ana, suf, sup, super, ultr, suprm, sur, up

down

cat(a), sub, down

under

hyp(o), infr, under

front, before

pro, prot(o), pro, pre, pri(m), fore

back, after, again

ep(i), re, retr(o), back

before

ant(e), ex

middle

mes(o), med(i), mid

after

post, after

both

amph(i), amb(i)

through

dia, per, through

beside

para, by

across

tra trans, tres

outward, outside

ant(i), con, contr, o, ob, oc, of, op, with

I

idi(o), ego

self

aut(o), sui, self

neutral

neutr

nearly, around

peri, circum, near

far, distant

ap(o), tele, far


3. Conditional Prefixes

large

macr(o), magn(i), max(i)

small

micr(o), min, min(i)

alike

hom(o), vice, quasi

same

iso, equ(i)

different, other

heter(o), pseud(o), step

involving change

met(a), var(i)

old

pale(o), archae(o)

new

ne(o), nov

good

call(i), e(u), ben(e), bon

bad

cac(o), dys, mal

together

syl, sym, syn, col, com, con, cor

apart

se


4. Negative Prefixes

lacking, nearly, absence

a, i, il, im, in, ir

not, without

an, non, un

not, bad, wrong, apart

dis, dif, de, mis


5. Modificatory Prefixes

toward, near

ac, ad, af, ag, al, ap, as, be

to

i, il, im, in, ir, em, en

from, away

a, ab, abs, for


6. roots

sem, sim:유사한, 동일한

seem:유사한, 동일한, (겉으로 보기에, 즉 추측성 with 근거)

lib, liv:허락하다, 자유로운

lic:허락하다, 자유로운

tax:정리, 정렬하다

tac:(군사를)정리, 정렬하다

que(s), qui(s):묻다, 얻다, 의심하다

rog:묻다, 얻다

spher:공, 구, 지구

glob:공, 구, 지구

earth:공, 구, 지구(흙, 세속적)

pul(s):때려서 달리게 하다.

pel:때려서 달리게 하다.

mat:주먹 혹은 방망이를 이용하여 때리면서 싸운다.

bat:주먹 혹은 방망이를 이용하여 때리면서 싸운다. 때려서 힘을 뺀다.

plau(d,s):날개 부딪치는 소리(칭찬)

lau(d):날개 부딪치는 소리(칭찬)

cre(d):(상업적)신용

fi(d)(bi(d)):종교적 믿음, 사람간 믿음

trust:믿다.

flec(t), flex:구부리다, 접다, 사용하다.

pl, plex:구부리다, 접다(배가 되다), 사용하다.

li, lig:묶다.(사회적인 책임, 신앙, 사회적인 위치 등)

nec, nex:묶다.(단순한 연결)

ornith:새

au,av:새

g(e)n,gener:태어나다, 낳다.

gna,na(s,t):태어나다, 낳다.

bir:태어나다, 낳다.

bear:태어나다, 낳다, 참다.(곰 생각)

melan:검은

nigr:검은

culp:비난하다

guil(t):비난하다

hem(o):피

salu, san:피, 건강

hier:피, 신성한

sacr,sanc,secr:피, 건강, 신성한



1. Titles

Title Guideline 1

:Aim to attract readers

 

Title Guideline 2

:State the main topic of your study in the title.

(informative, accurate)

(phrase형태로 쓰는게 좋다. 능동태의 완전한 문장은 좋지않다. 그리고 너무 긴 phrase도 좋지 않다.)

 

Title Guideline 3

:Your title should separate your article from other article in the field.

(assertive but not brag)

 

Title Guideline 4

:Use a strong title:Make it clear and complete but succinct.

(not clear한 주된 이유들:general word쓸 때, and과 with사용, noun cluster사용, nonstandard abbreviations사용)

(complete하게 만드는 방법:include and highlight the key items of your study)

(complete한 지 확인하는 방법:title과 question and answer비교, title에 main key terms가 적혀있는지 확인)

(succint, 권장:100characters(spaces포함) or 10 ~ 12 words)

(succint하게 만드는 법:omit unnecessary words, condense necessary words)

(unnecessary words의 예:Nature of, Studies on, Examination of, properties, The~~ 로 시작 시 'The')

(condense necessary words의 예:detail대신 category term사용, 명사단어 대신 형용사단어 사용, 전치사구 대신 noun cluster사용)

 

note) The Title Page

Title, 저자명, 저자의 소속, (running title, key words, total word count on the title page)

저자명:first name, middle initial, last name 순으로 쓴다.(Western style), superscript와 footnote를 사용한다.

 

Title Guideline 5

:The running title should be recognizable as a short version of the title.

(상단에 header로 쓰이거나, 하단에 footer로 쓰인다. )

 

 

 

Key words Guideline 1

:Select important and specific terms as key words

(권장:3~10 key words or phrase)

 

Key words Guideline 2

:Avoid words that appear in the title.

 

Key words Guideline 3

:Avoid general single key words that may apply to a very large number of papers.

 

2. Abstract

1. Abstract의 Content

적어라 !

(1) one paragraph에 paper의 content를 모두 요약해야한다.(100-250 words, 더적어도 됨)

(2) 본문 없이 그 자체로 구성되어지게 쓰여야한다.

(3) concise, informative, complete

(4) 가능한 적은 수의 단어로, 중요한 본문의 detail들을 적어라.

(5) Abstract를 그 분야의 비전문가가 읽을 수도 있게끔 적어라.

(6) Title에 있는 key terms를 모두 포함되게 적어라.

(simple words를 사용, sentence를 짧게 하라, sentence마다 1 topic만 다뤄라.)

(clear continuity하려면

-key terms반복,

-consistent order for details,

-keep the same point of view in the question and the answer

-use parallel form)

(현재에도 사실인 명제는 현재시제로 쓰고 실험의 결과는 과거시제로 써라.)

(될 수 있으면 능동태로 써라.)

적지마라 !

(1) Paper에 없는 내용을 적지마라.

(2) 약어,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 인용구, noun cluster 는 적지마라.

(3) table, figure를 포함하지 말고 refer하지도 마라.

2. Abstract의 Organization

Investigative research paper의 경우, informative abstract를 다음과 같이 쓴다. ( ( - )은 optional)

-(some background to help the reader understand the question, 1-2문장정도)

-Question or purpose(found in the Introduction)

-Experimental approach(only generally)

-Results(main results from the Result section)

-Conclusion (answer to the question, in the Discussion section) and implication(or speculation, recommendation)

-(paper의 significance)

 

Structured abstacts는 clinical reports and clinical journals에 쓰인다.

-informative와 다른 점은

subheadings(background, methods, results, and conclusions)을 갖는 것

not complete sentences로 구성되기도 한다는 점.

(Informative보다 길수도 있다. 따라서 대게 abstract의 길이와 subheadings을 먼저 state하도록 요구하기도한다.)

(Informative를 쓰기 힘들 경우, Structured를 먼저 쓰고 Informative로 바꾸면 쉽다.)

 

Descriptive research paper의 경우, informative abstract를 다음과 같이쓴다.

-decriptive statement

-decription of the new findings

-conclusion/significance/implication

3. Abstract에서 쓰이는 Signals

Question/Expermental approach:

To determin whether..., we...

We asked whether...

To answer this question, we...

X was studied by...

Results:

We found...

Our results show...

Here we report...

Answer/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u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mpli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results may play a role in...

Y can be used to...

4. Abstract를 condense하기위한 조언들

Omit unnecessary words and combine sentences

Condense background

Omit or subordinate less important information (definitions, experimental preparations, detils of methods, exact data, confirmatory results, and comparisons with precious results)

 

주의사항)

indicative abstract는 Review articles, reports에서 쓰인다.

3. Introduction

1. Introduction의 Purpose

(1) 청중들에게 paper에 대한 흥미 유발

(2) paper를 읽기위한 background제공

(3) paper의 내용을 overview

note) Abstract의 몇몇 부분은 repeated될 수 있다.

2. Introduction의 Organization

(1) Investigative Paper의 경우

Funnel Structure

Background

-signals(X is, X affects, X is a component of Y, X is observed when Y happens, X is considered to be, X causes Y)

-very broad->quickly narrow/너무 상관없는 부분 적지 않도록 하자.

Unknown/Problem

-signals(is unknown, is unclear, The question remains whether, does not exist, has not been established, has not been determined, Previous findings suggest that)

-Previous work를 묘사시 객관적인 어조를 유지하고 회의적인 말은 피하자. 이전 저자들을 비난하지는 말 것

Question/Purpose of Study

-signals(We hypothesized that, To determine, To study, To examine, To assess, To analyze, In this study we examined, Here we describe, Here we report, This report describes, We examined whether X is, We assessed if, We determined if, We analyzed Y)

-Introduction의 central point이다. 정확하게 쓰여져야한다. 

-이후 논문작성시 이 부분을 책상위에 적어두고, 각 문장마다 이것과 연관이 있는 지를 생각하며 적어라.

-현재시제로 작성한다.

-Unknown/Problem part로부터 logically하게 유도되어져야한다.

Experimental Approach

-signals(To test this hypothesis, we, we analyzed, For this purpose, by/using, For this study, To evaluate, To answer this question)

-1,2,3문장 정도로 작성한다.

-대게 과거시제로 쓰임

Main Results(Optional)

-signals(We found, was found, we determined, Our findings were, We observed that, Based on our observations)

-적는게 독자들이 좋아한다. 대부분이 paper 다 읽기 싫어하므로

Significance and Implication

-signals(consistent with, indicating that, make it possible to, may be used to, is important for, Our analysis implies/suggest, Our findings indicate that)

-적는다면 Introduction이 깔끔하게 끝이남, 독자들에게 overall perspective of paper을 제공함

(2) Descriptive Paper의 경우

Funnel Structure

Background

Discovery Statement

-시제는 현재나, 과거로 쓰여진다.

-Background로부터 논리적으로 유도돼져야 한다.

Experimental approach(Optional)

-과거시제로 쓰여진다.

Description

-현재시제로 쓰여져야한다.

Implication

note) 대부분의 Descriptive Paper는 Unknown/Problems이 없다.

note) 

Introduction의 분량은 one or two double-spaced pages(250-600 words), 가능한 짧게 써라.

Strong Verb와 short sentences 사용(instead of 명사화)

4. Materials and Methods

1. Materials and Methods section의 Purpose
Experimental approach를 describe함
note)특히 reviewer들이 주의깊게 이부분을 본다. 그리고 reject시키기도 한다.
2. Materials and Methods section의 Cover해야할 부분
Materials(약물, 미디어, 신체기관 등)
Subjects(환자, 동물, 식물 등)
Design(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실험군과 통제군 등)
Procedure(what, how, and why you did something)

note)
results section에 들어갈 것과 구분하여야한다. logical experimental step에 필요한 정보만을 적어라.
methods가 이전에 묘사된 적이 있는거라면 reference를 달아준다.(약간의 수정을 해서 experiment했다면 수정한 부분을 적어준다.)
충분한 details, 정확한 기술적 설명을 적는다. 덜 중요하다면 parentheses(괄호)이용
detailed한 procedure나 긴 details는 appendix에 넣기도 한다.
대체로 passive voice로 쓰기로 한다.(materials와 methods강조하기 위해서 그리고 독자는 실험의 주체가 누군지 관심없으므로)
(그렇다고 passive voice로만 쓰면 글이 지루해지므로 적절히 active voice도 섞는다.)
(passive와 active를 명백한 이유없이 바꿔가며 쓰지마라.)
시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타당한 사실, 과학적 사실, figure나 table을 refer하는 경우는 현재시제를 사용한다.
completed action을 report할 경우 과거시제를 사용한다.
용어들을 명확하게 사용한다.(ex:determine, measure, calculate, quantitate, quantify 구분해서 사용)
3. Materials and Methods의 Organization
Chronological order나 most to least important순으로 적는다.
Subheading을 쓰기도 한다. 혹은 topic sentence나 transition으로 signal하기도 함.


note)
Follow guidelines on ethical conduct(human이나 animal을 실험 대상으로 하는 경우)
규율을 따르고 있음을 적는다.(예를 들면, 환자의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환자의 동의를 얻었음을, 동물 권리를 따르고 있음을 적는다.)

5. Results

1. Result Section에서의 contents 

(1)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얻어낸 데이터를 지적하라.

(단, Materials and Method에서 묘사된 실험들과 Introduction에서 소개한 정보와 관련된 것들에 한한다.)

(논문의 이전의 실험들이나 관련없는 결과들은 제외한다.)

(실험에서 얻어진 모든 결과, 모든 데이터를 적을 필요 없다.)

(데이터를 요약하고 해석해서 독자들에게 알려야 한다. 해석되어진 데이터만이 의미있다.)

(2) 통제군을 포함하여라.

(3) 필요하다면 실험의 목적을 적어라.

(4) 실험 데이터가 논문의 hypothesis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적어라.

(어긋난다면 그 이유를 필요하다면 적어라.)

(5) 가장 관련깊은 결과물에 집중한다.

 

note)data:values, result:data의 해석

따라서 data는 table이나 figure에 나타내어지지만, result는 text에 나타내어져야한다.

note)"관련없는 것을 생략하기'와 '모순되는 결과를 생략하기'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후자를 반드시 넣도록 한다.

note)글을 쓰면서 더욱 더 많은 데이터를 모을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 하라.

 

2. Result Section에서의 구체적인 예제들

(1) 수치를 나타낼 때, 올랐는지 내려갔는지, 얼마나 올랐는지를 함께 적는다.

(2) A와 B를 비교하였다.(X)

     A와 B를 비교했을 때, 그들은 ~~~였다.(O)

     (즉, 해석을 같이 적어주어라.)

     (이러기 위해선 대게 해석부터 적고, data로 supporting하는게 좋다.)

(3) 통계

-확률, 수치 등을 적을 때, reference class를 명확하게 한다.

-한번에 통계적인 결과들을 여러개 나열시, 헷갈릴 수 있다. 이 때, 확률보단 숫자를 이용

ex)Out of 100 HIV,...

-통계적인 정보만을 나열하지 않는다. 해석에 근거가 되게 이용하여라.

3. Result Section에서의 Organization

(1) 첫 paragraph에서

-main findings을 적는다.(논문의 결론, question의 answer)

-혹은 짧은 overview로 시작하고 main findings를 적는다.(너무 많이 할애하진 말 것)

(2) 이후 paragraph에서

-chronologically

-혹은 중요순서대로

(실험의 목적, 기본지식, 실험의 결과들, 구체적인 결과들)

(results를 강조하기보단 figure를 강조)

-각 segment마다 1개의 실험에 한정한다.

-각 segment마다 다음 순서를 따른다. 목적or기본지식(topic sentence)->실험방법->결과->결과해석

(결과해석은 1, 2 문장만 이용)

 

note)figure와 table이 supporting하는 것이라면 text에서 괄호를 이용한다. in figure 3보다 (figure 3))

4. Word Choice

(1)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는 단어를 선택하여라.

ex)opposite of incease(x) (왜냐하면 증가의 반대는 유지이거나 감소이므로 2가지 해석 가능)

(2) 특정 전문 분야의 용어를 피하도록 노력한다.

(3) 중립적인 용어를 택한다.

ex) could not, failed to 보다는 did not을 이용한다.

(4) clearly, it is clear, obvious를 피한다.

(5) significantly("통계적으로")

(따라서 통계적인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markedly, subtantially를 써라. 그리고 구체적인 수도 적어주면 좋다.)

5. Signals for the Reader

(1) Purpose/Question

To determine ...

To establish if ...

Z was tested ...

For the purpose of XYZ ...

(2) Experrimental Approach

... we did ...

X was subjected to ...

... by/using ...

ABC was perfomed ...

Experiment X showed ...

(3) Results

We found ...

We observed ...

We detected ...

Our results indicates that ...

that ...

(4) Interpretation of Results

, indicating that ...

, consistent with ...

, which indicates that ...

This observation indicates that ...

A is specific for ...

6. 흔한 실수들 in Result Section

(1) purpose, experimental approach, result, interpretation 중 missing

(2) 상관없거나 지엽적인 내용 포함

ex)실험하는데 걸린 시간, data 값들(차라리 figure나 table을 적도록 한다.)

ex) they are listed in Table 3. (x) -> (Table 3). (o)

(하지만 main result는 text에 적도록 한다.)

(3) 실험에서의 과도한 details

(이러한 것은 Materials and Methods section에 적도록 한다.)

(4) interpretation의 이상의 비교, 추측, 결론들을 포함

(다른 연구와 비교하지 말고, 가능한 mechanism을 추측하지 말고, general conclusion을 끌어오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Discussion Section에 적도록 한다.)

 

6. Discussions

1. Discussion section의 purpose

Key findings를 interpret하고 draw conclusions(즉, answer the questions asked in Introduction)

그리고 how arrive to the answer를 설명

compare and contrast key findings with 이전 지식들

theoretical implications, practical applications를 state

note)

summarize, generalize하는 것이 목표이다. every details를 포함할 필요 없다. another introduction을 쓰지 않도록 한다.

예상 독자를 생각하며 쓴다면 간략하게 쓸 수 있다.

2. Discussion section의 Organization

Pyramid Structure

First Paragraph

Interpretation/Answer based on key findings

(독자들이 results나 데이터를 찾아볼 것이라고 가정하지말고 discussion에서 필요한 부분을 다시 적는다.)

(Introduction에서 소개된 question에 부합된 answer이어야 한다.)

(Interpretation은 너무 중요하므로 Last Paragraph에서 repeated돼야 한다.)

(바로 answer를 state하라. 이게 너무 abrupt하다면, 간단하게 purpose of the study만 몇줄 적어라.)

(controversial topic의 경우 interpretation을 last paragraph에 적도록 한다.)

Supporting evidence

Middle Paragraph

(From most to least important순으로 적는게 좋다.)

Comparisons/Contrasts

(Reference표시하기)

Limitations of your study

Unexpected findings

(실험이 잘못됐다고 생각하지 마라.)

(unexpected함을 먼저 말하고, 최대한 가능한대로 설명하라.)

Hypothesis or models

Last Paragraph

Summary

Significance

signals(can will serve=can be used>recommend>should be used for=is probably=indicated that X is might be=imply that X may...>Here we propose that=we hypothesize that, >란, level of certainty)

Implication

 

 

note)

tone:Beginner의 경우, 너무 기죽지 마라! too optionated, too strong의 여부를 native에게 물어봐라.

person and voice:일인칭과 능동태를 사용하여 discussion이 좀 더 lively and interesting하게 만들어라.(we사용 추천!)

tense:significance, answer을 present로 씀을 잊지마라.

continuity:topic sentence, transitions, key terms사용으로 continuity을 유지

 

note)

Result와 Discussion section이 combined되서 쓰여지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all results가 presented, discussed되어야 한다.

 

 

 

교재 p301쪽 보고 signal 추가정리 필요

7. Revision and Submission

(각 Chapter에서 제공하는 checklists를 활용하도록 한다.)

(the bigger toward the smaller)

(repetition이 항상 필요하다. 서랍에 두고 며칠 뒤에 꺼내 또 revise하도록 하여라. 적어도 6회-10회는 하여라.)

(coauthors, colleague, friend에게 도움 요청)

(perfect할 필요는 없다, clear하면 된다. revision이란 endless할 수도 있다.)

 


 

Revision Guideline 1

:Check the first draft for content and content location

 

전체 structure

Title

Abstract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Revision Guideline 2

:Check logical organization and flow of sections and subsections. Use the checklists at the end of Chapter 10-15(교재)

 

Revision Guideline 3

:Revise for style only after you are satisfied with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Use the basic writing principles to check for word choice, word location, sentence structure, and paragraph structure. Pay particular attention to key terms and transitions.

 

Revision Guideline 4

:Condense where possible

 

Revision Guideline 5

:Proofread your manuscript

 

 

'기타 > R,Latex,발표,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내 Latex강좌 강의 정리  (0) 2014.03.19
R 명령문 정리  (0) 2014.02.09
[발표]지켜야할 것들  (0) 2013.07.04

*Contents

1. Notation

-Set Theory

-Group

-Ring

-Field

-Module

-Vector Space

-Topological Space

-Algebraic Topology

-Topological Vector Space

-Metric Space

-Normed Vector Space

-Applications

-Combinatorics

-Geometry and Differential Geometry

2. Theorems

-Set Theory(with measure theory)

-Group

-Ring

-Field

-Module

-Vector Space

-Topological Space

-Algebraic Topology

-Topological Vector Space

-Metric Space

-Normed Vector Space

-Applications

-Solving MTx=b(Numerical), where MT:invertible

-2nd order elliptic pde

-Eigenvalue problem

-Combinatorics

-Geometry and Differential Geometry

-Linear Programming

-Homogeneous Linear Difference Equations(y_t, phi_p)

-Integral Transformation

-Lie Algebra관련

3. Examples

-Set Theory

-Probability Theory(몇개 통계 내용도 겹침)

-Stochastic Process

-Statistical Inference

-Topology

-각 구체적인 space(top이든 field든 space마다의 특징, seq, series관련도 포함)

-기초부등식

-Special Functions


*Notation

Set Theory

-iff:if and only if

- := defined

-<:set과 set 사이에서는 subset임을 가리키고, order가 있을 때(실수와 실수같은)는 order relation을 가리킨다.

- a= approximation

-nnn:nonnegative

-rv:real-valued

-erv:extended real-valued

-iv:complex-valued

-J:Any Set

-inc/dec:increasing, decreasing

-A교B:intersection, A교B

-AUB:union, 

-AΔB:symmetry difference

-a-union:arbitrarily union

-u-union:uncountable union

-c-union:countable union

-a-intersection:arbitrarily intersection

-u-intersection:uncountable intersection

-c-intersection:countable intersection

-f-union:finite union

-f-intersection:finite intersection

-c-sum:countable many sum, sigma

-f-sum:finitely many sum, sigma

-indi_(E) (x):indicator function on E

-P(J):Power set of J

-fC(J1,J2):the collection of all functions from J1 to J2

-fC(J):the collection of all functions from J to R

-N:the natural numbers set

-ETR:the extended real numbers set

-R^n:the finite cartesian product of R

-R^J:the cartesian product of R, indexed by J

-R^N:the cartesian product of R, indexed by N

-S:subspace, or subgroup 등(구분 필요하면 topological subspace:topS/linear subspace:LS)/subgroup:subgS)

-E:subset

-eps:epsilon, 별말 없으면 for any eps>0을 가리킴

-te:there exist(s)

-te!:there unique exist(s)

-abs:absolute, modulus

-≡:congruence

-n:integer

-[n]:{1,2,3,...,n}

-gcd:greatest common divisor

-ephi:Euler phi function

-prm:prime integer

-<:subset, inequality in real, 

-(a,b):ordered pair, open interval, 만약 open interval이랑 헷갈리면 ordered pair를 axb라 쓰기로 하자.

-[a,b]:closed interval

-]a,b[:x<=a or x>=b

-)a,b[:x<a or x>=b

-S_Z:minimal uncountable well-ordered set.

-X_i:X들의 collection, countable일 필요는 없음

-X_n:X들의 collection, countable일 필요 있음, sequence로도 간주가능

-UO1:unit circle in R^2

-UO2:unit sphere in R^3

-About Measure and Measure Space

-MC:Monotone Class

-C1:적어도 empty를 포함하는 Collection

-C2:적어도 empty와 전체 set을 포함하는 collection

-C3:algebra, field

-RC3:ring(대수학에서의 ring과는 다름)

-SC3:semialgebra

(nonempty, closed under f-intersection, 각 원소의 complement가 disjoint f-union in SC3으로 표현되는 collection)

(책마다 조금 다른게, 전체집합을 반드시 원소로 가져야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RSC3:semiring

(nonempty, closed under f-intersection, 각 원소의 relatively complement가 disjoint f-union in RSC3로 표현되는 collection)

-C4:sigma-algebra, or sigma-field

-C3(~):~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algebra

-C4(~):~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sigma algebra

-C(U)는 C의 원소들의 countable union들도 포함하는 collection

-C(I)는 C의 원소들의 countable intersection들도 포함하는 collection

-PC:Pi-system

-LC:Lambda-system

-sf:set function, a class of sets에서 ETR로 가는 function

-nnn sf가 monotone:for J1, J2 in domain s.t. J1<J2에 대해 sf(J1)<=sf(J2)

-nnn sf이 monotone(if):for J1, J2 in domain s.t. J1<J2  and J2-J1 in domain에 대해 sf(J1)<=sf(J2)

-nnn sf이 countably monotone1:

for J, {J_n} in domain s.t. J<c-union J_n에 대해 sf(J)<=c-sum sf(J_n)

-nnn sf이 countably monotone1(if):

for J, {J_n} in domain s.t. J<c-union J_n, c-union J_n in domain에 대해 sf(J)<=c-sum sf(J_n)

-nnn sf이 countably monotone2(if):

for {J_n} in domain s.t. c-union J_n in domain에 대해 sf(c-union J_n) <= c-sum sf(J_n)

-nnn sf이 countably monotone2(if)(dis):

for {J_n} in domain s.t. c-union J_n in domain and disjoint에 대해 sf(c-union J_n) <= c-sum sf(J-n)

-nnn sf이 f-additive:

domain이 closed under f-union and 

disjoint finite seq {J_n} in domain에 대해 sf(f-union J_n)=f-sum sf(J_n)

-nnn sf이 f-additive(if):

disjoint finite seq {J_n} in domain s.t. f-union {J_n} in domain에 대해 sf(f-union J_n)=f-sum sf(J_n)

-nnn sf이 c-additive:

domain이 closed under c-union and

disjoint countable seq {J_n} in domain에 대해 sf(c-union J_n)=c-sum sf(J_n)

-nnn sf이 c-additive(if):

disjoint countable seq {J_n} in domain s.t. c-union {J_n} in domain에 대해 sf(c-union J_n)=c-sum sf(J_n)

(워낙 general하게 정의한 것, (if)버전만 잘 알면 된다. nnn sf의 domain이 적절해지면, 예를 들면 C3, C4 등 (if)이면 not (if)가 성립)

-OM:Outer measure

-f-OM:finite Outer measure

-r-OM:Regular Outer Measure

-OME:Outer measurable subset

-PM:premeasure

-f-PM:finite premeasure, (PM은 domain이 C1이면 되는데, f-PM은 domain이 적어도 C2여야 함)

-sf-PM:sigma finite premeasure, (마찬가지로 sf-PM의 domain은 C2여야 함)

-PM*:Outer measure induced by PM:C3->[0,inf]

-PM*ME:PM*의 measurable set

-MAS:Measurable Space

-MS:Measure Space

-C(MS):Completion of Measure Space

-CMS:Complete Measure Space

-M:measure

-smf-M:semifinite measure

-sf-M:sigma finite measure

-CM:complete meausre

-LM:Lebesgue Measure

-R(LM):Real numbers with Lebesgue measure

-PrM(M1,M2):Product Measure

-MR:measurable rectangle, 즉 M1,M2의 measurable set의 product

-PrC1:C4({MR})

-PrC2:C4({all PrM*ME})

-C4(1)*:{ME1xJ2 s.t. ME1 in C4(1)}, sigma algebra되고 {All MR}의 subset

-C4(2)*:{J1xME2 s.t. ME2 in C4(2)}, sigma algebra되고 {All MR}의 subset

-

-MF:Measurable Function

-X1:(J1,C4(1))->(J,C4), X2:(J2,C4(2))->(J,C4), 각각이 MF일 때, 

X1*:(J1xJ2,PrC1)->(J,C4), X1*(x,y)=X1(x)

X2*:(J1xJ2,PrC1)->(J,C4), X2*(x,y)=X2(y) (그냥 X2 곱하기 (x,y)와 구분하기)

-ME:Measurable subset

-sf-ME:sigma finite measurable subset

-Null-ME:null measurable subset

-sM:signed Measure   

+sM:positive variation of sM

-sM:negative variation of sM

|sM|:total variation of sM

f-sM:finite sM

ms:mutually singular

+ME(with respect to sM):positive measurable set

-ME(with respect to sM):negative measurable set

Null-sME(with respect to sM):null set(Null-ME와는 약간 다르게 정의됨, 


Group

-G:group

-이항연산에 대해 닫혀있고

-associative

-항등원 존재

-역원 존재

-p-G:p-group

-group이면서 order가 p^a for some integer a>=0

-g:G의 원소를 가리킴

-S:subgroup

-p-S:p-subgroup

-subgroup이 order가 p^a for some integer a>=0

-Sp:Sylow p-subgroup

-어떤 G의 subgroup이 order가 p^a이면서 p^a||G| and p^(a+1) not | |G|일 때의 subgroup, 즉 the largest p-S in the sense of factor p

-#Sp:The number of all Sylow p-subgroup

-J(Sp):the set of all Sylow p-subgroup

-NS:normal subgroup

-S이면서 for all g in G, gSg^-1=S인 S

-MS:maximal subgroup(Measurable Space와 구분)

-proper S이면서 S를 포함하는 subgroup은 S와 G만 있는 subgroup

-MNS:maximal normal subgroup

-proper NS이면서 NS를 포함하는 normal subgroup은 NS와 G만 있는 normal subgroup

-S_<G:S is subgroup of G

-S_<!G:S is normal subgroup of G

-S char G:S is characteristic in G

-for all aut in Aut(G), aut(S)=S인 subgroup S

-conj(g):conjugate of g, e.g. x*g*x^(-1)

-homog:group homomorphism

-structure-preserving map between two algebraic structures(여기서는 two groups)

-

-S_J:Symmetric group on J

-모든 permutations on J들의 모임 with composite, 따라서 group

-act_J by G:action on J by G, GxJ->J

-act_J by g:permutation from action on J by g, J->J

-homo by act:homomorphism, G->S_J

-O_x:orbit of x under the action of G(필요하다면 in G on X등을 뒤에 적는다.)

-O_x:={y in X s.t. y=g act x for some g in G}

-G_x:stablizer of x in G

-G_x:={g in G s.t. g act x = x}

-Ker(act):kernel of act_J by G

-Ker(act):={g in G s.t. g act x =x for all x in X}

-즉 homo by act의 kernel이라 생각하면 쉬움

-

-Z(G):center of G

-Z(G):={g1 in G s.t. g*g1*g^(-1)=g1 for all g in G}

-C_G(E):centralizer of E on G

-C_G(E):={g in G s.t. g*z*g^(-1)=z for all z in E}

-즉 E가 center가 되게끔 하는 G의 원소들만 다 모은 것, 따라서 Z(C_G(E))=E가 성립할 것 같지만, E가 subgroup이 아니므로 안됨

(하지만 E가 subgroup이었다면 됨)

-N_G(E):normalizer of E on G

-N_G(E):={g in G s.t. g*E*g^(-1)=E}

-즉 E가 normal이 되게끔 하는 G의 원소들만 다 모은 것(하지만 E가 subgroup이 아닐 땐 조심)

-

-<g>:the group generated by g, i.e. cyclic group

-<E>:the smallest subgroup of G containing E

-

-[G:S]:index of S in G

-the number of left cosets of S in G

-

-G1 giso G2:G1 is group isomorphic to G2

-

-

-

-Aut(G):the automorphism group of G

-Aut(G):={all automorphism on G} with composite

-aut in Aut(G):the automorphism in Aut(G), 편의상 aut라 쓰기도 하자.

-Inn(G):the inner automorphism group of G

-inner automorphism이란 conjugation으로 만든 automorphism을 가리킨다.

-Inn(G)란 inner automorphism을 모두 모은 group with composite

-C(G):commutator subgroup of G

-C(G):=<all commutators>

-[g1,g2]:commutator of g1 and g2

-[g1,g2]:=g1^(-1)*g2^(-1)*g1*g2

-[E1,E2]:the group generated by commutators of elements from E1 and from E2.

-[E1,E2]:=<{[g1,g2] s.t. g1 in E1 and g2 in E2}>

-G1 ><! G2 (wrt homog:G2->Aut(G1)):(outer)semidirect product of G1 and G2(with respect to homog)

-


Ring

-R:ring

-(R,+):abelian group

-*:associative

-distributive laws가 성립일 때 (R,+,*):ring이라 한다. 줄여서 R이라 쓰기로 하자.

-r:ring의 원소

-R_[1]:ring with unity not zero

-R_[0]:ring without unity

-CR:commutative ring

-DR:Division ring

-SR:subring, (SR _< R)

-R의 subgroup이면서 closed under *인 것

-R^*:the set of units in R

-zd:zero divisor

-u:unit

-ID:Integral domain

-CR_[1]이 zd가 하나도 안가질 때 ID라 한다.

-R[x]:the ring of polynomials in the variable x with coefficients in R(R이 CR_[1]일 때를 생각할 때가 많다.)

-F(x):the field of rational functions

-P(x):polynomial 

-RG:Group ring

-R:CR_[1]이고 G={g1,g2,...,gn}으로 finite group G이고

-계수는 R의 원소인 G의 linear combinations 모임으로, ring이 된다.

-riso:ring isomorphic

-homor:ring homomorphism

-Lid:Left Ideal

-Rid:Right Ideal

-id:ideal

-(E):the smallest id of R containing E

-RE:the set of all finite sums of elements of the form like RG, 비슷하게 ER, RER등도 정의 됨

-p-id:principal ideal

-M-id:Maximal ideal

-prm-id:prime ideal(CR_[1]에서만 논의)

-PID:principal ideal domain

Field

-F:Field

-acF:algebraically closed field

-acF란, F[x]의 원소 중 non-constant polynomial의 root가 F에 속할 때, F를 algebraically closed field라 한다.

-Q:the rational numbers field

-R:the real numbers field

-C:the complex numbers field

-OF:the ordered field

Module

Vector Space(LT는 inf-dim에 대해서 관심, MT는 Normed Vector Space에 정리)

-VS(F):Vector Space over F, ()언급 없으면 R을 가리킴

-f-dim:finite dimensional

-inf-dim:infinite dimensional

-x:any vector

-s:any scalar


-A:absorbing subset

-B:balanced subset

-V:convex subset

-AV:absorbing convex subset


-LT(VS1(F),VS2(F)):linear transformation from VS1(F) to VS2(F)

-LT(VS(F)):linear transformation from VS(F) to VS(F)

-LTC(VS1(F),VS2(F)):collection of all LT(VS1(F),VS2(F))

-LF(VS(F)):linear functional from VS(F) to R

-subLF(VS(OF), OF):sublinear functional from VS(OF) to OF

-subLF(VS):sublinear functional from VS to R

-convF(VS):convex functional from VS to ETR

-

Topological Space

-TS:Topological Space

-C4(TS):Borel sigma algebra

-NTS:normal space

-RTS:regular space

-CRTS:completely regular space

-KT2:compact Hausdorff space

-LKT2:locally compact Hausdorff space

-BM:Borel Measure on TS ( (TS,C4) where C4(TS)<C4인 C4, 에서의 measure를 BM이라 정의하도록 하자.)

-V:convex subset(strict total order relation을 가진 E에서만 생각)

-K:compact

-pre-K:precompact, i.e. closure가 compact인

-C:connected

-Gd:countable intersection of open sets

-Fd:countable intersection of closed sets

-top_X:X에서의 topology

-Prod(TS_i):Product TS

-cl(E):the closure of E

-nbd(x):neighbourhood of x

-open(x):open set containing x

-TS1 homeo TS2:TS1 is homeomorphic to TS2

-seq cv:converge

-seq {f_n} pt cv:pointwise converge

-SCcl(TS), TS:T3.5일 때, Stone-Cech Compactification

-

-R(std):real with the standard topology

-R(l):real with the lower limit topology

-R(K):real with K-topology

-Prod(R,n):R^n, with the product topology from the standard topology


-fCconti(TS1,TS2):the collection of all conti functions from TS1 to TS2

-fCconti(TS):the collection of all conti functions from TS to R(std)

-fCcontiV(TS):the collection of all conti functions from TS to R(std) s.t. eps {x in TS||f(x)|>=eps} is compact

-conti:continuous

-cl(~):closure of ~

-ocl:one-point compactification of LKT2

-sCez:R^N중 eventually zero인것들의 collection

-sClz:R^N중 limit이 zero인것들의 collection

-sCcv:R^N중 cv하는 것들의 collection

-CGT:compactly generated topological space


Algebraic Topology

-

-


Topological Vector Space

-TVS:topological vector space

-LVS:locally convex space


-GV:open convex subset

-sf(GV):supporting function of open convex GV containing 0(set function을 가리키는 sf와 헷갈리지 않도록)

-sf(AV):supporting function of absorbing convex AV containing 0

Metric Space

-(MetricS,d):Metric Space with the metric d, d의 언급이 필요없을 시 MetricS라 하자.

-(CMetricS,d):complete metric space with the metric d, d의 언급이 필요없을 시 CMetricS라 하자.

-(KMetricS,d):Compact Metric Space with the metric d, d의 언급이 필요없을 시 KMetricS라 하자.

-d_sb:the standard bounded metric corresponding to d.

-d_uni:the uniform metric on fC(J,(MetricS,d))

-d_sup:the sup metric on fCbdd(J,(MetricS,d))

-uni conti:uniform continuous

-uni cv:uni cv 

-diam(E):diameter of E

-fCbdd(J,MetricS):the collection of all bounded functions from J to MetricS

-fCbdd(J):the collection of all bdd functions from J to R(std)

-fCcontibdd(TS,MetricS):the intersection of fCconti(TS,MetricS) and fCbdd(TS,MetricS)

-fCcontibdd(TS):the intersection of fCconti(TS) and fCbdd(TS)

-isom(MetricS1,MetricS2):isometry from MetricS1 to MetricS2

-cl(MetricS):the completion of MecticS

-totally bdd:totally bounded

-equiconti:equicontinuous

-pt bdd:pointwise bounded(under d)

-top of pt cv:topology of pointwise convergence 

-top of compact cv:topology of compact convergence

-

Normed Vector Space


-NVS(F):normed vector space over F(별말없이 BS는 over R)

-|| ||:norm

-LTCconti(NVS1,NVS2):collection of all conti LT(NVS1,NVS2)

-NVS1 tiso NVS2:NVS1, NVS2 are topologically isomorphic

-NVS2 iiso NVS2:NVS1, NVS2 are isometrically isomorphic

-BS(F):Banach Space over F(별말없이 BS는 over R), complete NVS(F)

-L^p(MS):L-p space over MS

-L^p:L-p Space over R(LM)

-l^p:l-p space over N, counting measure



-MT(F)(mxn):matrix over the field F, size of mxn

(별말 없으면 F=C이고 크기는 nxn, 분명히 제시해줘야할 때는 field, size순을 제시)

-CMT:the collection of all matrix over F, size of mxn

-tr(MT):the trace of MT

-inv(MT):the inverse of MT

-det(MT):the determinant of MT

-JCF(MT):the jordan canonical form of MT

-ct(MT):the conjugate transpose of MT

-rt(MT):the transpose of MT

-lind:linearly independent


-Row(MT):Row space of MT

-Col(MT):Column Space of MT

-Null(MT):Null Space of MT


-MT1 =_sim MT2:similar

-MT1 =_usim MT2:unitary similar

-MT1 =_osim MT2:orthogonally similar

-MT1 =_psim MT2:permutation similar



-charP(MT):the characteristic polynomial of MT

-mP(MT):the minimal polynomial of MT

-egv(MT):eigenvalue of MT, 

-egv(MT, egv):eigenvector of MT associated with egv, 그냥 egv라 쓰면 eigenvalue를 가리킴

-spec(MT):the set of all eigenvalues of MT

-specR(MT):the spectral radius of MT

-egS(MT, egv):the eigenspace of egv


-am(egv(MT)):the algebraic multiplicity of egv

-gm(egv(MT)):the geometric multiplicity of egv

-IMT:Identity Matrix

-NMT:normal matrix

-HMT:Hermitian matrix

-pdHMT:positive-definite HMT

-psdHMT:positive-semidefinite HMT

-SMT:symmetry matrix

-pdSMT:positive-definite SMT

-psdSMT:positive-semidefinite SMT

-UnMT:unitary matrix

-pdUnMT:positive-definite UnMT

-psdUnMT:positive-semidefinite UnMT

-OMT:Orthogonal matrix

-LMT:lower triangular matrix

-UMT:upper triangular matrix

-DMT:diagonal matrix

-dgMT:diagonalizable matrix

-udgMT:unitary diagonalizable matrix
-odgMT:orthogonally diagonalizable matrix(over R만 가능)


-IPS(F):inner product space over F

-HS:hilbert space




Application(목적위주로 적혀져야함, 기본 Basic은 위에 적혀져야하지만)

-Combinatorics

-ptt(n):partition of n>=1 integer

-#ptt(n):the number of all partitions of n>=1

-#ptt(n)_k:the number of all partitions of n>=1 into exactly k parts

-Geometry and Differential Geomety



*Theorems

Set Theory

-About Function f

-f^(-1)은 union, intersection, difference, inclusion을 모두 preserve함

-f은 inclusion과 union만 preserve함

-f가 1-1이면 f^(-1)(f(E))=E

-f가 onto이면 f(f^(-1)(E))=E

-About strict total order relation, < (trichotomous, transitive인 relation을 order relation이라 함)

-정의

-J with strict total order relation, E<J일 때

-a:largest element of E 란 a in E이고 x=<a for any x in E일 때 

-a:upper bound for E란, a in J이고 x<=a for any x in E일 때

-E:bounded above란, te j in J s.t. for any x in E, x<=j일 때

-J have the least upper bound property란, every nonempty E of J that is bounded above has a least upper bound.

-Well-ordered 

-정의:J with strict total order relation가 well-ordered란, every nonempty subset E of J has a smallest element  

-성질:

-J가 well-ordered이면 largest element(존재한다면)빼고는 나머지 원소들은 immediate successor를 항상 가짐

-J가 well-ordered이면 least upper bound property를 만족한다. 

-J가 well-ordered이면 J의 subset도 well-ordered

-J1, J2가 well-ordered이면 J1xJ2 with dictionary order도 well-ordered


-cartesian product는 intersection하고만 commute

-AΔB=A^C Δ B^C

-(a-union E_n) Δ (a-union F_n) < [a-union (E_n Δ F_n) ]

-(c-union E_n) 교 F = c-union (E_n 교 F)

-About Section

-J1xJ2의 subset E에 대해

-section은 complement, (arbitrarily)union, (arbitrarily)intersection, difference과 interchangable

-Map:J1xJ2->J3에 대해

-J3에 연산이 있었으면 section은 분배가능

-J3가 MetricS였다면, lim와 section이 interchangable

-Relation관련(symmetry, asymmetry, antisymmetry, reflexive, irreflexive, transitive, totality, trichotonmous)

-Order Relation관련 용어 정의(link)

-symmetry의 부정은 asymmetry도 antisymmetry도 아니다.

-reflexivity의 부정이 irreflexivity인게 아니다.

-asymmetry iff irreflexivity and antisymmetry

-order관련 relation은 transitive가 먼저 있어야함

-equivalence relation은 reflexive, symmetry, transitive

-(Well-ordering Principle)N의 nonempty subset은 smallest element를 갖는다.

-

-4가지 공리들에 관하여(AOC, HMP, WOT, ZL)

-(AOC), Given a collection C of disjoint nonempty sets, te a set D consisting of exactly one element from each element of C

-(Existence of a choice function), Given a collection C of nonempty sets, te a function c:C->union E in C s.t. c(E) is an element of E, for each E in C,

-(Well-ordering Theorem)임의의 E에 대하여, te strict total order relation s.t. E is well-ordered

-(Existence of S_Z)te uncountable well-ordered set s.t. every section is countable

-(HMP)E with strict partial order relation, te maximal subset F with strict total order relation

-(ZL)E with strict partial order relation이고 every subset F of E with strict total order relation has an upper bound in E이면 E는 maximal element를 갖는다.





-(Euler's Theorem)gcd(n1,n2)=1 이면 (n1)^ephi(n2) ≡ 1 (mod n2)

-(Euclid Algorithm)gcd(n1+n2*n3,n3)=gcd(n1,n3)


-Set Structure의 정의

1. PC:closed under f-intersection

2. LC:empty랑 전체갖고, closed under the complement, closed under the disjoint c-union

3. SC3:PC이고 각 원소의 complement가 disjoint f-union in SC3로 쓰여지는 것(전체집합을 가지거나 말거나)

(RSC3:PC이고 각 원소의 relatively complement가 disjoint f-union in RSC3로 쓰여지는 것(전체집합을 가지거나 말거나))

4. C3:empty랑 전체갖고, closed under the complement, closed under the f-union

(RC3:closed under the relatively complement, closed under the f-union)

5. C4:empty랑 전체갖고, closed under the complement, closed under the c-union

-About Premeasure, Outermeasure, measure, product measure, signed measure etc

-collection of subsets 관련 성질

-RSC3, RC3 모두 empty는 갖지만, 전체집합을 갖지 않을 수 있다.

-SC3->(disjoint f-union모으면)C3->(disjoint c-union모으면)C4됨

-RSC3->(disjoint f-union모으면)RC3

-RSC3<SC3, RC3<C3

-(Monotone Class Theorem):MC(C3)=C4(C3)(link)(특히 C3가 MC이면 C4가 된다.(link))

-C3가 finite이면 C4이다.

-About C3

-closed under complement, f-intersection, f-union, relatively complement

-{C3_n}이 inc이면 c-union C3_n은 C3가 된다.

-collection of subsets:C3 iff closed under relatively complement and containing 전체집합    

-About C4

-C4는 closed under c-union, c-intersection, complement, relatively complement

-C4는 확률론에선, 가진 information을 표현하는 한 기법이다.

-{C4_n}의 c-union은 C4가 안된다.(inc하더라도 안됨)

-C4(C)는 전체 집합 J에서 C의 원소들로 쪼개진 the finest partition의 원소들의 union+empty이다.

-countable infinite C4는 존재하지 않는다.(link)`

-J1<J2, C4 of J2가 있을 때, J1에 C4를 induce하는 방법은 J1교C4(link)

-J1<J2, C:collection of subsets in J2에 대해 C4(C)교J1은 J1의 C4가 되고 C4(C)교J1=C4(C교J1)

-f:J1->(J2,C4), 

-f^(-1)(C4)는 C4 on J1이 된다.

-f:J1->J2, C:collection of subsets of J2, f^(-1)(C4(C))=C4(f^(-1)(C)) 

-About PC, LC

-LC need not be closed under f-intersection

-C:a collection일 때 LC(C) < C4(C)

-(Dynkin's Theorem)PC<LC이면 LC(PC)=C4(PC) < LC

(즉 PC가 LC에 포함되면 PC의 확장은 LC를 벗어나질 못함)

-LC가 PC이기도하면 LC는 C4가 된다.





-Sequence of sets and indi의 성질

-liminf(E_n)의 해석

-te k in N s.t. for n>=k, x in E_n인 x들의 모임

-c-sum indi_(E_n^C) (x) <inf인 x들의 모임

-limsup(E_n)의 해석

-for infinitely many k in N, x in E_k인 x들의 모임

-c-sum indi_(E_n)(x)=inf인 x들의 모임

-liminf(E_n)=<limsup(E_n)

-[liminf(E_n)]^C = [limsup(E_n^C)]

-limsup(E_n U F_n) = limsup(E_n) U limsup(F_n)

-liminf(E_n 교 F_n) = liminf(E_n) 교 liminf(F_n)

-limsup(E_n 교 F_n) < limsup(E_n) 교 limsup(F_n)

-liminf(E_n U F_n) > liminf(E_n) U liminf(F_n)

-liminf(E_n)=limsup(E_n)일 때, lim (E_n)정의함

-lim (E_n), lim (F_n)이 있을 때, lim은 union에 대해 분배법칙 성립, lim은 intersection에 대해 분배법칙 성립

-E1<E2일 때, indi_E1 <= indi_E2

-indi_E^C = 1 - indi_E

-indi_inf(E_n) = inf(indi_(E_n))

-indi_liminf(E_n) = liminf indi_(E_n)

-indi_limsup(E_n) = limsup indi_(E_n)

-indi_sup(E_n) = sup(indi_(E_n))

-indi_union(E_n) <= sum indi_(E_n)

-indi_E1ΔE2 = indi_E1 + indi_E2 (mod 2)

-{E_n}:inc일 때, lim(E_n)=union E_n

-{E_n}:dec일 때, lim(E_n)=intersection E_n


-nnn sf에 관한 성질

-f-additive이면 monotone(if)성립

-empty->0일 때, f-additive(if) and countably monotone1 iff c-additive(if)

-OM, OME관련 성질

-OM정의:

sf:P(J)->[0,inf]가 empty->0, countably monotone1

-OME정의:

OM(A)=OM(A교E)+OM(A-E) for any A in P(J)일 때 E를 OME라 함

-OM성질

-충분조건

-nnn sf:P(J)->[0,inf]가 empty->0, countably monotone1 for {J_n}:disjoint, has finite value

-nnn sf:P(J)->[0,inf]가 empty->0, monotone, countably monotone2 for {J_n}:disjoint, has finite value

-필요조건

-monotone

-건설법

-nnn sf:C2->[0,inf]가 empty->0이기만하면 (nnn sf)*:P(J)->[0,inf]로 확장하며 건설가능

-PM* (PM on C3로 induce한 OM)의 성질

-PM*는 PM의 extension이다.(즉 C3상에서는 PM*과 PM은 같음)

-for E in C3, E는 PM*ME

-{all PM*ME}는 C4가 됨 -> C3(U), C3(I), C3(U)(I), ... 각각의 원소들 모두 PM*ME됨도 앎

-PM*는 r-OM

(구체적으로, for any E in P(J) and for any eps, te E1 in C3(U) s.t. E<E1 and PM*(E1)<=PM*(E)+eps)

(게다가 for any E in P(J), te E2 in C3(U)(I) s.t E<E2 and PM*(E)=PM*(E2))

-E가 PM*ME iff te E2 in C3(U)(I) s.t. E<E2 and PM*(E2-E)=0

(only if를 보일 때는 sf-PM일 때만 가능)

-restriction of PM* 

-to C4(C3)

-PM*는 M이 된다.

-C3(U)까지는 다른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과 PM*는 같아짐

(즉 for E in C3(U), M(E)=PM*(E) where M is a extension of PM)

-C4(C3)까지는 다른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보다 약간 클 수 있음

(즉 for E in C4(C3), M(E)<=PM*(E) where M is a extension of PM)

(단, PM*(E)<inf이면 M(E)=PM*(E) for E in C4(C3)됨)

-sf-PM이었다면, C4(C3)으로의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는 PM*가 유일

-to {all PM*ME} 

-sf-PM이었다면, {all PM*ME}으로의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는 PM*가 유일

-CM

(C3<C3(U)<C3(U)(I)<C4(C3)<{all PM*ME})<P(J))

(이 때 nnn sf s.t. empty->0, f-additive(if), countably monotone2(if) for {J_n}:disjoint로 induce생각가능)

(위 sf는 C3로 extension되고 unique한 PM됨을 이용)

-(sf-M,C4)로 induce한 OM, 이 경우 {all OME}로의 restriction은 (sf-M,C4)의 completion

-SC3에서의 nnn sf로 extension

-nnn sf:SC3->[0,inf], empty->0, f-additive(if), countably monotone2(if)(dis)로 OM induce가능

(조금 더 좋은 조건은 애초에 SC3에서 PM이기만 해도 됨)

-C3(SC3)에서의 unique PM, which is the extension of nnn sf on SC3

-nnn sf가 sigma-finite였다면 unique PM on C3(SC3)도 sigma-finite

(C3에서의 PM으로 induce한 PM*논의 가능)

-RSC3에서의 PM으로 extension

-RC3(RSC3)에서의 unique PM, which is the extension of PM on RSC3

-PM on RSC3가 sf-PM이었다면, unique PM on RC3도 sf-PM

-unique PM on RC3로 induce한 PM*에 대해서

-sf-PM이었다면, C4(RSC3)으로의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는 PM*가 유일

-sf-PM이었다면, {all PM*ME}으로의 measure, which is a extension of PM, 는 PM*가 유일

-{all PM*ME}에서 CM

-OME성질

-OM(A)=OM(A교E)+OM(A-E) for A in P(J) s.t. OM(A)<inf만 판정해도 OME판정 가능

-{all OME}은 C4가 된다.

-OM(E)=0이면 E는 OME

-기타성질

-{all OME}는 C4가 된다.

-restriction of OM to {all OME}는 CM이 된다.

-E1<E2 in P(J)에 대해 OM(E2-E1)=OM(E2)-OM(E1)이 성립하려면 E1:OME and OM(E1)<inf인 게 필요

-E1<E2 in P(J)에 대해 OM(E2-E1)=0이면 OM(E2)=OM(E1) (역은 성립 안함, 즉 OM(E2-E1)=0이 강함)

-OM1, M:restriction of OM1 to {all OM1ME}, OM2:OM induced by M일 때

-OM1<=OM2

-OM1(E)=OM2(E) iff te OM1ME E1 s.t. E<E1 and OM1(E)=OM1(E1)

-OM1이 r-OM iff OM1(E)=OM2(E) for any E in P(J)

-PM관련 성질

-PM정의:

sf:C1->[0,inf]가 empty->0, c-additive(if)

-PM성질:

-f-additive(if)

-monotone(if)

-domain이 C3에서는 

-monotone

-f-additive

-countably monotone1

-domain이 C4에서는 PM은 M이 된다.

-M, ME관련 성질

-ME관련

-{E_n}:ME이면 sup E_n, inf E_n, liminf E_n, limsup E_n 모두 ME

-Null-ME라 해서 subset이 Null-ME인지는 모름(Completion개념 필요)

-Measure Space(J1,C4,M)를 complete하게 만드는 방법은 C4을 C4'으로 확장한다.

-C4`={ME union subset of Null-ME}

-sf-ME의 c-union, c-intersection모두 sf-ME가 된다.

-M관련

-(Measure Equality)

:(J,C4)에서 M1, M2가 있을 때, C={E in C4 s.t. M1(E)=M2(E)}는 LC된다.

:(J,C4)에서 M1, M2가 있을 때, C가 PC이고, M1=M2 on C이면 M1=M2 on C4(C)

(즉 (R(std), C4(TS))에서 C4(TS)의 PC인 subcollection에서 ProbM1과 ProbM2가 서로 같으면 ProbM1=ProbM2 on C4(TS))

(구체적으론 DF1 from ProbM1과 DF2 from ProbM2가 같으면 ProbM1=ProbM2 on C4(TS))

(따라서 ProbM on (R(std), C4(TS))는 DF에 의해 uniquely determined)

-monotone

-(Conti from Below){E_n}:ME and inc이면 M(lim E_n)=lim M(E_n)

(C4에서 nnn set function이 Conti from Below and finite-additive이면 the set function은 Measure가 된다.)

(C4에서 nnn set function(J)<inf이면 Conti from ABoce and finite-additive이면 the set function은 Measure가 된다.)

-(Conti from Above){E_n}:ME and dec and M(E_1)<inf이면 M(lim E_n)=lim M(E_n)

-M(c-intersection E_n) <= M(liminf E_n) <= liminf M(E_n) <= limsup M(E_n) <= M(limsup E_n) <= M(c-union E_n)

(link)

-(Borel-Cantelli Lemma) c-sum M(E_n) < inf이면 M(limsup E_n)=0 

-f-M/sf-M/smf-M 관련

-f-M일 때는 Probability Measure 참조

-M이 있으면 smf-M도 만들 수 있고 M=smf-M + M2으로 decomposition가능, 이 때 M2는 0과 inf만 가짐

-smf-M(ME)=inf일 때, for any n in N, te F<ME s.t. F:measurable and n<=smf-M(F)<inf(link)

-sf-M의 합도 sf-M이 된다.

-sf-M(X)=inf일 때 X를 만드는 것들이 disjoint하게 만들 수도 있고, 각각이 n<=sf-M(ME_n)<inf 할 수도 있다.

-Product Measure관련(PrM(M1,M2))

-PrM과 Product C4만드는 과정(link1)(link2)

Step1-MR다 모은 것이 SC3됨, SC3상에서 적절한 nnn set function정의

Step2-PM on C3을 얻고, PM* on PM*C으로의 restriction을 PrM이라 한다.

(Real Analysis에선 Product C4를 C4({All PM*-ME})로 보고, Probability Theory에선 C4(C3({All MR}))로 본다.)

Tonelli와 Fubini Theorem으로 가는 Step

Step0 PrM의 유일성과 Completeness

-sf-M1, sf-M2로 만든 PrM는 sf-, unique, CM이다.

Step1 About PrC1

-PrC1의 원소의 section은 각 M1, M2의 C4의 원소가 된다.(using C4-Techniques)(link)

-MF on (X1×X2, PrC1)의 section은 MF on (X1,C4), on(X2, C4) 된다.(link)

-sf-M1, sf-M2, PrC1

-f-M1, f-M2일 때 먼저 해결(link1)(link2)

-sigma finite일 때로 확장(link3)

Step2 About PrC2

-sf-CM1, sf-CM2로 만든 PrM에서 PrM(E)=0인 E의 section은 각 sf-CM1=0, sf-CM2=0 a.e.(link)

-sf-CM1, sf-CM2로 만든 PrM에서 PrC2의 원소의 section은 각 sf-CM1, sf-CM2의 C4의 원소가 된다. a.e.(link)

-sf-CM1, sf-CM2, PrC2(link)

-sf-CM1, sf-CM2, nnn MF on (X1×X2, PrC2)(using simple+MCT)(link)

-sf-CM1, sf-CM2, integrable on (X1×X2,PrC2)(using Tonelli)(link)

note)(MF의 section말고 완전히 쪼개질 수 있는 case의 경우)

-MF1 on (X1,M1,C1_1), MF2 on (X2,M2,C1_2)-> MF1*MF2는 MF on (X1xX2, PrC1)(using simple)

-g1:integrable on X1 wrt M1, g2:integrable on X2 wrt M2->f=g1*g2:integrable on X1xX2 wrt M1xM2

게다가 int f d(M1xM2)=int g1 dM1 * int g2 dM2(using simple+integrable func)


note)counting measure에서의 Tonelli, Fubini theorem의 의의

Tonelli:double series interchangable when nnn sequence

Fubini:double series interchangable when abs cv double series

(abs cv double series란 |seq|의 finite partial sum의 double limit:finite을 가리킨다.)

-Measurable Function관련(f:(J1,C4(1))->(J2,C4(2), 특히 rdv도 MF인 것을 고려)

-(iff)C4(2)의 generating set의 inverse image가 C4(1)에 속한다.

-f^(-1)(C4(2))는 C4가 된다. 따라서 f는 f^(-1)(C4(2))-measurable(C4(1)이 무엇이든 항상 가능)

-MF의 정의역에 Measure가 있으면 공역에도 Measure를 건설할 수 있다.(by using MF, M)

-MF와 MF가 composite하면 MF를 얻는다.(conti(MF)인 경우가 많음)

-C(MS)에서 MF인 f가 있다면 MS에서 MF인 g를 만들 수 있다. s.t. f=g CM-a.e.

-CMS에서 MF인 f, f=g CM-a.e.이면 g도 MF

-(J2,C4(2))=(ETR,C4(TS))인 경우

-(J1,C4(1))의 measure가 f-M인 경우는 rdv을 참조

-g:erv이고 {MF_n}:rv, pt cv a.e. to g이면 g가 MF iff M은 complete

-MF판정법

-monotone이면 MF된다.(정의역에 ordering이 있을 때)

-C4(TS)의 generating set에 대해서만 판단하여도 된다.

-(J1,C4(1))=(TS,C4(TS))인 경우, conti이면 MF된다.

-{MF_n, 각 정의역 C4(1)이 같을 때}(적분관련 convergence는 더 밑에 있음)

(http://www.johndcook.com/modes_of_convergence.html 참조, well-organized)

-sup MF_n, inf MF_n, limsup(MF_n), liminf(MF_n) 모두 MF가 된다.

-{x in J1 s.t. lim MF_n(x) exists}는 C4(1)의 원소가 된다.(link)

-{MF_n}:cauchy in M이면 te subseq of {MF_n} and MF s.t. the subseq pt cv a.e. to MF(link)

-{MF_n}:cauchy in M iff {MF_n}:cv in M(link1)(link2)

-{MF_n}:cv in M이면 every subseq of {MF_n}도 cv in M

-{MF1_n}:cv in M, {MF2_n}:cv in M이면 {MF1_n + MF2_n}도 cv in M, {MF1_n * MF2_n}도 cv in M

(곱은 f-M에서만 가능)

-{MF_n}:pt cv a.e. (real-valued), g:(R,C4(TS)->(R,C4(TS)):conti이면 {g(MF_n)}도 pt cv a.e.

-{MF_n}:cv in Lp이면 cv in M(0<p<inf)(link)

-{MF_n}:cv in Lp이면 ||MF_n||_p 은 ||MF||_p로 수렴(역은 성립 안함)(1<=p<=inf)(link)

-{MF_n}:rv a.e., almost uni cv이면 {MF_n}:pt cv a.e.

-{MF_n}:rv a.e., almost uni cv이면 {MF_n}:cv in M

-(Scheffes's Lemma for MF_n)(link)

:{MF_n}:cv in L1 iff lim n->inf sup over E in C4 [int over E MF_n - int over E MF]=0

-{MF_n}가 있을 때, {x|lim MF_n(x) exists}는 ME

-{All nnn measurable simple functions}의 성질

-Vector Space over R

-곱셈, finite sup, finite inf에 closed

-적분(int)정의함

-int은 linear, monotone

-{ME_n}:inc이고 S:nnn measurable simple function일 때, 

int(S over c-union(ME_n))=lim n->inf int(S over ME_n)

-{nnn MF}의 성질

-Closure in the top of pt cv in the function space {All nnn measurable simple functions}={nnn measurable functions}

-+, *, 양의 실수곱에 대해 닫혀 있음

-(Approximation by Simple Functions)(S_n을 seq of simple function이라 하자.)(link)

-nnn MF가 있으면 te {S_n} s.t. nnn, simple measurable and pt cv to MF

-게다가 {S_n}은 MF가 bdd인 J1의 subset에서는 uni cv하게 됨

-(J1,C4(J1))에 sf-M가 있었다면, {S_n}을 finite support인 걸로 잡을 수 있음

(여기서 finite support는 TS에서와는 조금 다르게 생각, 즉 closure인 걸 빼고 생각하자, 정의역에 Topology가 있었다면 finite support 그대로 생각 해도 무관)

-MF(nnn일 필요는 없는)가 있으면 te {S_n} s.t. 0<=|S_1|<=|S_2|<=...<=|MF| and pt cv to MF

-게다가 {S_n}은 MF가 bdd인 J1의 subset에서는 uni cv하게 됨

-적분(int)정의함

-int(f over J)=0 iff f=0 a.e.

-monotone seq of nnn measurable simple functions을 이용하여 적분 정의

-혹은 그냥 seq of nnn measurable simple functions의 적분의 sup으로도 정의함

(전자로 정의하면 well-definedness 보여야)

-(Monotone Convergence Theorem)

:{nnn MF_n}:inc pt cv a.e. to MF일 때, lim과 int change가능(link)

-{nnn MF_n}:pt cv a.e. to MF f이고 f_n<=f a.e. (즉 inc대신)일 때, lim과 int change가능

-(Series and Integral)

:{nnn MF_n}, series랑 int change가능

-(Fatou's Lemma)

:{nnn MF_n}에 대해 int(liminf MF_n)<=liminf(int(MF_n)) (link)

-적분은 monotone, linear(스칼라곱은 양수에 대해서만)(link)

-nnn MF가 Integrable하면 

-MF^(-1)(MF=inf)은 Null-ME

-MF^(-1)(MF>0)은 sf-ME

-일반적인 MF(nnn일 필요 없는)의 적분(X를 MF라 하자.)

-quasi-integrable

-정의:int(X^+)<inf or int(X^-)<inf iff int(X)<inf 

-X:quasi-integrable->int(a*X)=a*int(X) for a in R

-linearity when {int(X^+)<inf and int(Y^+)<inf} or {int(X^-)<inf and int(Y^-)<inf}이면 int(X+Y)=int(X)+int(Y)(link)

-integrable

-정의:int(X^+)<inf and int(X^-)<inf iff int(|X|)<inf 

-M(E)=0인 E에 대해 int over E MF=0(정의 생각)

-integrable한 f,g에 대해 linearity, monotone

(Integration의 additive는 둘다 nnn MF(즉 같은 부호)이거나, 둘다 integrable이거나, 같은 부호 part가 integrable이거나가 성립해야만 가능)

(f,g:integrable이면 max{f,g}, min{f,g}도 integrable이고, int max{f,g}=int f +int g - int min{f,g})

-MF:integrable이면 MF^(-1)(MF is nonzero)는 sf-ME(link)

-MF:integrable이면 epsilon(int of |MF|의 upperbound)-delta(적분 영역의 upper bound)가 성립(link)

-MF:integrable이면 epsilon(int |f| over J - int |f| over E)에 대하여 finite measure E 존재(link)

-MF:integrable이면 E_n={x in J s.t. |MF(x)>n|}에 대해 lim n->inf int over E_n |MF| =0

-MF:integrable이면 E_n s.t. lim n->inf M(E_n)=0에 대해 lim n->inf int over E_n |MF| =0(link)

-uniformly-integrable (u.i.)

-정의:{MF_i}:u.i. iff lim a->inf sup over k [int over {|MF_i|>a} |MF_i|]=0 

({MF_n}일 때는 iff {MF_n}:D-Martingale 도 됨)

-성질

-{MF}, MF:integrable이면 {MF}:u.i.

-{MF_i}, |MF_i|<=g, g:integrable이면 {MF_i}:u.i.

-{MF_1,MF_2,...,MF_n}(finite sequence), 각각이 integrable이면 {MF_1,...,MF_n}:u.i.

-{MF1_i}, {MF2_i}:u.i., |MF1_i|<=|MF2_i|이면 {MF1_i}:u.i.

-(Crystal Ball Condition)(link)

:a>0, b>0에 대해 sup over i int |MF_i|^(a+b)<inf이면 {|MF_i|^a}:u.i., {|MF_i|^b}:u.i.

-(Crystal Ball Condition, General)(link)

:te g:[0,inf)->[0,inf) s.t. lim x->inf g(x)/x =inf and sup over i int g(MF_i)<inf이면 {MF_i}:u.i. 

-f가 integrable이고 f=g a.e. 이면 int(f)=int(g) and g도 integrable

-f가 integrable이면 f=g a.e. iff int over E (f) = int over E (g) for any E in PC generating C4(link)

-(Integral Comparison Lemma)

:(J,C4,M), C:sub sigma-algebra of C4, f:C-measurable, g:C-measurable일 때

-f=g a.e. iff for any E in C, int over E f dM = int over E g dM

-f>=g a.e. iff for any E in C, inter over E f dM >= int over E g dM

-int (|MF|)=int over [0, inf) M(|MF|>t) dt(link)

(특히, nnn인 MF에 대해서 이용됨)

-(Monotone Convergence Theorem)(link)

:{MF_n}:inc, pt cv a.e. to MF f이고 f_n>=g a.e., g:integrable이면 lim과 int change가능

:{MF_n}:dec, pt cv a.e. to MF f이고 f_n<=g a.e., g:integrable이면 lim과 int change가능

(pt cv a.e. to MF f 대신 cv in M와도 Monotone Convergence Theorem성립)

-(Series and Integral)

:g=series from k=1 to k=inf |MF_n|이 integrable이면 series랑 int change가능

-(Fatou's Lemma)

:{MF_n}에 대해 MF_n>=g a.e., g:integrable이면 int(liminf MF_n)<=liminf(int MF_n)

:{MF_n}에 대해 MF_n<=g a.e., g:integrable이면 limsup(int MF_n)<=int(limsup MF_n)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MF_n}:pt cv a.e. to MF f이고 |MF_n|<=g a.e., g:integrable이면 lim과 int change가능

:{MF_n}:pt cv a.e. to MF f이고 |MF_n|<=g a.e., g:integrable이면 cv in L1도 됨

:{MF_n}:cv in M, |MF_n|<=g a.e., g:integrable이면 lim과 int change가능, cv in L1도 됨(link)

-(Transformation Theorem)(link1)(link2)

:T:(J1,C4(1), M1)->(J2,C4(2)), Y:(J2,C4(2))->(ETR,C4(TS))이고 X=Y(T), T,Y가 모두 measurable일 때 

1. (J2,C4(2))에도 Mesure(M2라 하자.)를 줄 수 있다. using (J1,C4(1),M) and T

2. Y가 nnn이면 int over J1 X dM1 = int over J2 Y dM2

3. Y가 M2-integrable iff X:M1-integrable, 이 때, M2을 이용한 적분=M1을 이용한 적분

-Some Inequalities

-(Markov's Inequality)

:for a>0, M(|MF|>a)<=int(|MF|)/a(link)

-(Chebysheff's Intequality)

:for a>0, b=int(MF), M(|MF-b|>a)<=int(|MF-b|^2)/a^2(link)

-Lp-Space

-(0,inf]에서

-p-norm정의 Lp정의, 

-Lp is a vector space over R

-0<a<b<c<=inf, Lb is subset of (La+Lc)(link)

-0<a<b<c<=inf, (La intersection Lc) is subset of Lb(link)

-Monotone Convergence Theorem, DCT 등 사용 가능(DCT이용하면 cv in Lp보일 수 있으나, MCT이용가능 한 상황이라 해서 cv in Lp는 알 수 없음)

-(0,inf)에서

-simple measurable function with finite support is in Lp

(여기서 finite support는 TS에서와는 조금 다르게 생각, 즉 closure인 걸 빼고 생각하자, 정의역에 Topology가 있었다면 finite support 그대로 생각 해도 무관)

-MF is in Lp일 때, 기존 pt cv simple measurable functions가 with finite support인걸로 가능

(use E_n:={x in J s.t. |MF(x)|>=1/n})

-[1,inf]에서(Norm정의가능)

-Holder ineq(conj(p,q,r)가능)(=은 (non zero a)f=(non zero b)g a.e.)(link)

-Minkowski ineq(=은 f=(nnn k)q a.e. or g=(nnn k)f a.e.)(link)

(무한합도 가능, MCT이용)

-Complete NVS(즉 BS됨)

-[1,inf)에서

-(0,1)에서

-기타

-lim p->inf ||f||_p = ||f||_inf되는 충분조건

(1) f-M

(2) f is in Lq (q in [I2 )(link)


-{M_n}관련, M_n:fixed C4->[0.inf], C4는 sigma algebra of J라 하자.

-inc이고 setwise cv to a set function f이면 f도 measure다.(link)

-setwise cv to a set function f인데 f(J)<inf이면 f도 measure다.(link)(보충 필요)

-signed measure, sM 관련

-정의

-sM

:(J,C4), set function sM on C4가 다음을 만족

-sM(empty)=0, 

-sM assumes at most one of the +inf, -inf, 

-for disjoint {E_n} in C4, sM(c-union E_n)=c-sum sM(E_n)(즉 c-additive, but, sM이 nnn은 아님)

-(+ME)(with respect to sM), if sM(subME)>=0 for subME<+ME

-(-ME)(with respect to sM), if sM(subME)<=0 for subME<-ME

-Null-sME if sM(subME)=0 for subME<Null-sME

-

-{+ME_n}의 c-union, c-intersection, difference도 +ME된다./{-ME_n}도 마찬가지

-+ME의 measurable subset(subME)도 +ME/-ME의 measurable subset(subME)도 -ME

-ME1<ME2, |sM|(ME2)<inf이면 |sM|(ME1)<inf이다.

(하지만 +ME에서는 sM(subME)<=sM(+ME)가 성립, -ME에서는 sM(subME)>=sM(-ME)가 성립)

(절댓값 생각하면, |sM(subME)|<=|sM(ME)|가 성립, ME가 +든 -든)

-(Conti from Below){E_n}:ME and inc이면 sM(lim E_n)=lim sM(E_n)

-(Conti from Above){E_n}:ME and dec and |sM|(E_1)<inf이면 sM(lim E_n)=lim sM(E_n)

-(Hahn Decomposition Theorem)(link1)(link2)

:(J1,C4(1),sM)이 있을 때, te +ME, -ME s.t. {+ME, -ME}:a partition of J1

(다른 +ME2, -ME2도 성립한다면, (+ME Δ +ME2)는 Null-sME)

(0<sM(ME)인 ME의 measurable subset E중 +ME이면서 0<sM(E)인 것이 존재한다.) 

-sM은 항상 Maximum value와 Minimum Value를 assume한다.

-(Jordan Decomposition Theorem)(link)

:for any sM, te! two M1, M2 s.t. M1, M2:ms, sM=M1-M2(사실 M1은 +sM, M2은 -sM됨)

-sM, +sM, -sM, |sM| 과의 관계(+sM, -sM, |sM|모두 그냥 M이다.)

-sM:finite<->+sM:finite and -sM:finite

-sM:sigma finite<->+sM:sigma finite and -sM:sigma finite

-+sM(ME)=sup{sM(F)|F subset of ME and F:ME}, -sM(ME)=-inf{sM(F)|F subset of ME and F:ME}

(혹은 +sM(ME)=sM(ME intersection +ME), -sM(ME)=sM(ME intersection -ME), +ME와 -ME는 sM의 HD)

-(f:rv일 때)f:integrable wrt |sM|<->f:integrable wrt +sM and -sM

-sM1 ms sM2 <->  sM1 ms |sM2| <-> |sM1| ms |sM2| <-> sM1 ms +sM2 and -sM2

-sM1과 sM2 ms sM인 경우 linear combination of sM1 and sM2도 ms sM(well-defined되면)

-sM1<<sM2(Abs conti, (J,C4), 같은 C4에서의 signed measure에 관한 내용)

-정의:sM1<<sM2 if |sM1|(E)=0 for E in C4 s.t. |sM2|(E)=0

-성질:

-<<는 reflexive, transitive되나 antisymmetric은 안됨(따라서 equivalence 못만듦)

-sM<<M iff +sM<<M and -sM<<M

-sM1<<sM and sM2<<sM이면 sM1과 sM2의 linear combination(well-defined될 때)<<sM

-f-sM<<sM iff for any eps>0, te delta>0 s.t. for any E in C4 s.t. |sM|(E)<delta, |f-sM|(E)<eps

-(Radon Nikodym Theorem)(measure represented by integration over another measure)

:sf-M1 << sf-M2 이면 sf-M1을 represent하는 nnn rv MF가 존재, unique up to sf-M2-a.e.

:f-sM << sf-M 이면 f-sM을 represent하는 integrable wrt sf-M이 존재 unique up to sf-M-a.e.

(Probability Theory에서 rdv:(J,C4, ProbM)->(R^n(std), C4(TS)), F:=ProbM(rdv^-1)에 대해서 

sf-M1=F, sf-M2=LM일 때를 주로 가리키고 이 때 얻은 nnn, rv, integraable, MF를 density of F라 한다.)

(Probability Theory에서 DF를 통해 density f를 단지 미분으로 구할 수 있는 상황은, DF << lebesgue이고 이러한 경우가 안될 때는 언제냐면, DF가 불연속점을 가질 때이다. 

DF가 불연속점은 at most countable이고, DF가 미분 불가능한 점은 LM-a.e.이다.(Lebesgue's Theorem에 의해) 고로 DF가 거진다 미분가능하고 그때 density구할 수 있음. DF가 미분불가능할 때 density는 아무렇게나 정의해버려도 어쨌든 적분값은 상관없게 됨.)

(discrete rdv인 경우는, density=0 a.e.이므로 pmf로 새로이 정의한다.)



 


-integration over measure = integration over another measure

1. sf-M1 << sf-M2 이면 nnn, MF인 h의 integration over sf-M1 = hf의 integration over sf-M2인 nnn,MF, rv인 f 존재

2. f-sM << sf-M 이면 integrable h over |f-sM| 의 integration over |f-sM| = hf의 integration over sf-M인 


-LDT(Lebesque Decomposition Theorem)의 여러 version

1. sf-M1, sf-M2가 있으면 sf-M1=sf-M3 + sf-M4 s.t. sf-M3 << sf-M2 and sf-M4 ms sf-M1(unique)

2. sf-sM, sf-M이 있으면 sf-sM=sf-sM2 + sf-sM3 s.t. sf-sM2 << sf-M and sf-sM3 ms sf-M


note)요약

1. HDT, JDT, LDT

2. RNT(1)(measure represented...), RNT(2)(integration = integration)




Group

-Subgroup Criteria

-E:finite->non-empty, closed under multiplication

-E:infinite->closed under multiplication, closed under taking inverse.

-About homog:G1->G2, S1 _< G1, S2 _< homog(G1) _< G2, NS1 _<! G1, NS2 _<! homog(G1)

-homog(S1) _< homog(G1)

-homog^(-1)(S2) _< G1

-homog(NS1) normal in homog(G1)

-homog^(-1)(NS2) normal in G1

(즉 S2, NS2든 homog(G1)에서 생각하면 된다.)

-|homog(g1)| | |g1|

-|homog(G1)| | |G2|, |homog(G1)| | |G1| 

(따라서 |homog(G1)| | gcd(|G1|,|G2|) 이다.)

-|homog^(-1)(G2)| | |G1|

-|G1| | |G2|*|Ker(homog)| (이 자체는 너무 강함, Factor Group으로서 order 세는 것을 상기하는게 포인트)

-Z(G) _< C_G(~) _< N_G(~) _< G의 성질

-E

-Z(G) _< C_G(E) _< N_G(E) _< G

-C_S(E)=C_G(E)교S

-N_S(E)=N_G(E)교S

-E1<E2일 때 C_G(E2) _< C_G(E1)

-<g> _< C_G(g)

-C_G(<g>)=C_G(g)=N_G(g) _< N_G(<g>)

-C_G(E)=G iff E < Z(G)

-S

-C_G(Z(G)) = N_G(Z(G)) = G

-S _<! N_G(S)

-C_G(S) _<! N_G(S)    

-N_G(S)/C_G(S) giso a subgroup of Aut(S) (Aut(S)를 먼저 조사해서 N_G(S)/C_G(S)에 반영할 수 있음)

-S가 abelian이면 S _< C_G(S)

-S _< Z(G)이면 C_G(S)=N_G(S)=G이고 S _<! G이다.

-|S|=2이면 N_G(S)=C_G(S)

-S1 _< S2, S2:abelian이면, S1 _< S2 _< N_G(S1)

-NS

-C_G(NS) _<! G

-N_G(NS)=G

-|NS|=2이면 NS _< Z(G) _< C_G(NS) = N_G(NS) = G

-기타

-Z(G) _<! G, Z(G)는 abelian normal subgroup of G

-C_G(G)=Z(G)=intersection over all subset A, C_G(A)

-G/Z(G) giso Inn(G)

-G/Z(G):cyclic iff G:abelian

(Generally, S _< Z(G) G/S:cyclic이면 G:abelian)(link)

-S1S2의 성질

-|S1S2|=|S1||S2|/|S1교S2| (즉 S1S2의 order와 S2S1의 order가 같음, S1S2 _< G인지는 아직 모름)(link)

-S1S2 _< G iff S1S2=S2S1

-S1S2 _< G 이면 S1 _< S1S2 and S2 _< S1S2 and S2S1 _< G

-S1 _< N_G(S2)(or S2 _< N_G(S1))이면 S1S2 _<G and S2S1 _< G (역성립안함)

-S1만 normal인 경우

-S1S2 _< G, S2S1 _< G(normal subgroup인지는 모름)

-S1S2=S2S1

-S1, S2 둘 다 normal인 경우

-S1S2 _<! G, S2S1 _<! G

-S1S2=S2S1인건 당연

-S1 union S2 _< G iff S1 _< S2 or S2 _< S1

-order(g)=order(conj(g))

-order(g1*g2)=order(g2*g1)

-order(g)=n일 때, order(g^a)=n/gcd(a,n)

-order(g)=n일 때, <g>의 generator는 ephi(n)개

-|G|=n and G:cyclic, m|n이면 te! S s.t. |S|=m(link)

-(Lagrange's Theorem)|G|<inf일 때, |S| | |G|, [G:S]=|G|/|S|

(G의 모든 S가 NS이면 Converse가 성립, 예를 들면 abelian인 경우)(link)

(p_n=prm, |G|=(p_1)^alpha1 * (p_2)^alpha2 ..., order가 (p_1)^alpha1, (p_1)^alpha1-1, ... 인 subgroup 존재, Sylow의 강한버전)

-|G|=prm이면 G giso Z_prm

-Normality Criteria

-Abelian Group의 모든 S는 NS이다.

-[G:S]=2이면 S는 NS이다.

-[G:S]=the smallest prm factor of |G|이면 S는 NS이다.(link)

-S _< Z(G)이면 S _<! G

-N_G(S)=G판단에 있어서 G의 generating set의 원소와, S의 generating set의 원소로만 판단해도 됨

-S:normal in G iff [S,G] _< S

-C(G) _< S이면 S는 normal(게다가 G/S는 abelian도 됨)

-대표적인 normal subgroup:Z(G), C(G), Z(G)의 subgroup, normalizer, Sp(Sp는 normal 아닐 수도 있지만, normal될 때가 잦음), C(G)를 포함하는 Subgroup, 

-About Act_J by G(쉽게 act라 쓰겠다.)(Act에서는 Ker, G/Ker, Orbit, Stabilizer가 주된 관심)

-Ker(act) _< G_x _< G

-Ker(act) _<! G

-G/Ker(act) acts faithfully

-te act iff te homog by act(G->S_J)

-|O_x|= [G:G_x]

(O_x도 G의 약수여야 한다는 점)

-g*x1=x2라면, G_x2=gG_x1g^(-1)(link)

(즉, 같은 orbit안에 있었다면, stablizer가 서로 conjugate하고, 따라서 stablizer의 order도 서로 같다.)

(G=1이면 역은 성립 안함)

-G=S_[n], J=[n]일 때

-transitive, faithfully

-|G_i|=(n-1)!, O_i=[n]

-for g in S_[n], act_[n] by <g>의 orbits은 g의 cycles가 나온다.

-left multiplication action

-G=G, J=G, g1 act g2=g1*g2일 때

-G_g={e}

-G=G, J={left cosets of S}, g1 act g2S =g1g2S일 때

-Transitively, 따라서 Orbit은 1개뿐

-G_S=S

-G_(g1S)=g1Sg1^(-1)

-ker(act)=S에 포함되는 가장 큰 normal subgroup

-|G|는 {[G:S]!*|S에 포함되는 가장 큰 normal subgroup|}을 나눈다. 

-Conjugation action

-G=G, J=P(G), g act E =g*E*g^(-1)일 때

-G_E=N_G(E)

-S giso (g act S)

-ker(homo)=Z(G)

-G=G, J=G, g1 act g2=conj(g2), 특히 g1*g2*(g1)^(-1)

-G_g=N_G(g)=C_G(g)

-|g|=|g1 act g|

-homo by act에 대해서, Ker(homo)=Z(G) and G/Z(G) giso Inn(G)

-Z(G)의 원소들의 orbit은 singleton set

-(Class Equation)|G|<inf일 때, |G|=|Z(G)|+sum [G:C_G(g_i)]

-NS _<! G일 때, 임의의 conjugacy class E는 E교NS=empty or E<NS이다.

-G=S_[n], J=S_[n]일 때(아래 Examples란과 중복될 수 있음)

-g2=(a1,a2,a3...)(b1,b2,b3)...로 cycle decomposition, g1*g2*g1^(-1)=(g1(a1),g1(a2),...)(g1(b1),g1(b2)).... 

-g1=conj(g2) iff g1과 g2가 같은 cycle type을 가짐

-S_[n]의 conjugacy classes의 개수는 #ptt(n)과 같다. 

-E가 singleton이면 |C_(S_[n])(E)|구할 수 있음

-g가 commutator와 같은 cycle type을 가지면 conj(g)도 commutator가 된다.

-G=G, J=NS, g1 act g2 = g1*g2*g1^(-1)

-G_g=N_G(g)=C_G(g)

-for each g in G, conjugation by g is in Aut(NS)

-homo by act:G->S_NS인데, range를 줄여 G->Aut(NS)만 생각가능, Ker(homo)=C_G(NS)

(이때 conjugation by g on NS는 Aut(NS)의 원소이지만, Inn(NS)의 원소는 아닐 수 있다.)

-(Cauchy's Theorem)|G|<inf, prm||G|이면 G has an element of order(prm).(link)

-(First GISO Thorem)homog:G1->G2이면 ker(homog) _<! G1 and G1/ker(homog) giso homog(G1)

(NS존재 <-> homog 존재)

-(Second GISO Theorem)S1 _< G, S2 _< G, S1 _< N_G(S2)이면 S1S2 _< G, S2 _<! S1S2, S1교S2 _<! S1, S1S2/S2 giso S1/S1교S2

(주의:S1 _<! S1S2인지는 모른다. 성립안할 수도 있음)

(S1 _<! S1S2아니더라도, [S1S2:S1]=[S2:S1교S2]는 앎)

-(Third GISO Theorem)NS1, NS2, NS1 _<! NS2이면 NS2/NS1 _<! G/NS1, (G/NS1)/(NS2/NS1) giso (G/NS2)

(NS가 아니어도, S1 _< S2 _< G이면 [G:S1]=[G:S2][S2:S1]이 성립)(link)

-(Fourth GISO Theorem)NS가 있을 때, te bijection from {S s.t. NS _< S} to {S s.t. S _< G/N} 

(NS _< S _< G인 S에 대해서, S _<! G iff S/NS _<! G/NS 을 얻을 수 있다.)
(주의:|G1|=|G2|, N1 giso N2, G1/N1 giso G2/N2라 해도 G1 giso G2인지는 모름)

-(Cayley's Theorem)Every G giso S _< S_G

-About Simple G

-(Feit-Thompson Theorem)G:simple, |G|:odd 이면 G giso Z_p for some p:prm

-(Jordan-Holder Theorem)1<|G|<inf이면 G는 composition series을 갖고(not unique), composition factors는 unique

(주의: G1 giso G2가 아니어도 same list of composition factors를 가질 수도 있다.)

-About char S of G

-필요조건:NS

-충분조건:given order, S is unique이면 S char G

-성질:

-S1 char S2 and S2 _<! G이면 S1 _<! G

-S1 char S2 and S2 char G이면 S1 char G

-대표적인 char S:C(G), Z(G)

-About Commutator

-g1g2=g2g1[g1,g2](where [g1,g2]=g1^(-1)g2^(-1)g1g2)

-for any aut in Aut(G), aut[g1,g2]=[aut(g1),aut(g2)], 즉 commutator를 aut에 적용해도 commutator됨

-C(G)의 원소 중 single commutator [g1,g2]로만 표현안되는 게 있을 수 있다.

-G/C(G):the largest abelian quotient group(만약 G/NS:abelian이면 C(G) _<! NS임)

-C(G) _< S이면 S:NS이고 G/S는 abelian

-C(G)를 구하는 방법

-G/NS해서 abelian되기만 하면 C(G) _< NS이므로, NS아무거나로 일단 quotient시켜 abelian인지 따져본다.

-About Direct Products,

-restricted direct product of the groups G_i는 normal subgroup in product of G_i

-elementary abelian group (p,n) (p:prm, n>=1인 interger)의 성질

-non identity 원소는 order가 p

-(p,n)일 때, order가 p인 subgroup의 개수는 (p^n -1) / (p - 1)

-

-(Recognition Theorem)NS1, NS2에 대해 NS1교NS2=1이면 NS1NS2 giso NS1 x NS2

(NS1NS2를 internal direct product of NS1 and NS2, NS1 x NS2를 external direct product of NS1 and NS2라 부른다.)

(즉, G에서 NS1, NS2 where NS1교NS2=1, 이 있으면, NS1와 NS2는 commute한다.)

(즉 direct product의 의의는 

-smaller로 larger group만들거나

-finitely generated abelian을 cyclic factor로 쪼개거나

-non-abelian이더라도 factor들(NS인)로 쪼갤 수 있다는 것, 쪼개면, 각각은 commute하고 order가 작아 조사하기 쉬움)

-G_i to direct product 보존되는 것

-nilpotent

-About Semidirect Products

-G1 ><! G2
-order:|G1||G2|
-G1 normal in G1 ><! G2
-G2 subgroup in G1 ><! G2
-G1교G2=1
-for g1 in G1, g2 in G2, g2g1g2^(-1)=homog(g2) act g1
-G1 ><! G2가 G1 x G2랑 same 의 TFAE
-identity:G1 ><! G2->G1 x G2 is homog
-homog:G2->Aut(G1) is trivial
-G2:normal in G1 ><! G2
-(Recognition Theorem)NS, S, NS교S=1일 때, NS ><! S를 만들 수 있다.
-NS ><! S가 G랑은 별 관계 없을 수 있다.
-이 때 homog:S->Aut(NS)는 S의 원소 s마다, conjugation on NS by s로써 정의됨
-구체적인 semidirect product의 예
-Z/nZ ><! Z/2Z giso D_2n (wrt homog:inversion)
-Z ><! Z/2Z giso D_inf (wrt homog:inversion)
-Z/3Z ><! Z/4Z = non-abelian order 12 not isormophic to D_12, neither A_4. (wrt homog:inversion)
(Semidirect product의 의의는
-smaller->larger group만들기 가능, 각각 smaller가 abelian인데 larger가 non-abelian일 수도
-factor로 쪼갰을 때, 각각에 대해서만 조사하면 됨, 각각은 order가 작아짐, 단 direct완 다르게 commute인진 모름
-direct product보다 조건이 완화됨, NS1,NS2가 필요한게 아니라, NS랑 S만 있으면 됨.)
-About Series in Group Theory
-Series의 분류(포함관계를 강조할 때는 chain을 사용)
-각 subgroup의 성질에 따라:subgroup series, subnormal series, normal series, characteristic series...
-증가 감소 형태에 따라:ascending(=upper), descending(=lower)
-개수에 따라:finite, infinite(or transfinite if indexed by ordinal numbers)
-주요 series의 정의(or성질)와 series를 이용하여 정의된 용어들의 정의    
-composition series:subnormal, ascending, finite, factor=simple
-chief series:normal, ascending, finite, factor=simple
-upper central series:characteristic, ascending, 각 항이 center(정의는 recursive하게 됨)
-lower central series:characteristic, descending, 각항이 commutator subgroup(정의는 recursive하게 됨)
-commutator series:characteristic, descending, 각항이 commutator subgroup(정의는 recursive하게 됨)
-solvable:subnormal, ascending, finite, factor=abelian인 series를 가지면 G를 solvable이라 한다.
-nilpotent:finite upper central series인 series를 가지면 G를 nilpotent group이라 한다.
-About solvable

-G:solvable iff for any n s.t. gcd(n,|G|/n)=1, G has a subgroup S of order n.

-NS:solvable and G/NS:solvable이면 G도 solvable

-About nilpotent

-direct product해도 nilpotent

-subgroup도 nilpotent

-quotient group도 nilpotent

-|G|를 통해 알 수 있는 것

-(Fundamental Theorem of Finitely Generated Abelian Groups)G:finitely generated abelian이면 free rank와 list of invariant factors가 유일하게 결정되고 invariant factor decomposition이 가능(반대로 list of invariant factors와 free rank만 결정해주면 finitely generated abelian group 1개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

(따라서 finite abelian of order n은 n만 소인수분해해버리면claasification가능 by making list of invariant factors)

-finite abelian group의 성질

-invariant factor가 group을 결정하고 group이 invariant factor을 결정함, G:of type (n_1,n_2,...,n_k)으로 표현 가능

-|G|=n일 때, 다음을 만족해야함

-n_i>=2 for all i=1,2,...,k

-n_(i+1) | n_i

-n_1*n_2*...*n_k=n

(따라서 n_1은 n의 모든 prm factor을 가진다.)

-elementary divisors을 이용한 elementary divisor decomposition을 이용하면 |G|=n인 abelian group classification 쉬움

(왜냐하면 n_i에 관한 곱셈조건이 덧셈조건으로 바뀌기 때문)

(elementary divisors를 이용하여 finite abelian group classification한 다음에 표를 만들어 invariant factors로 표현!)

-infinite인데 finitely generated abelian인 group의 성질


-(Sylow's Theorem)(특정 order의 G이 not simple임을 보일 때 자주 사용)

-Sp는 항상 존재한다.(link)

(더욱 강력한 명제는, |G|=p^n*m, (hall divisor, p:prm), te S s.t. S _< G and |S|=p^k, for k=0,1,...,n)(link)

-p-S, Sp에 대해서, te g in G s.t. p-S _<g(Sp)g^(-1)(특히 Sp1과 Sp2 2개는 반드시 conjugate and giso)(link)(link)

(Sp1과 Sp2는 같은 p에 대해서 얘기, S(p1)과 S(p2)는 다른 p에 대해서 얘기)

-#Sp는 다음 2가지를 만족한다. #Sp ≡ 1 (mod p) and #Sp=[G:N_G(Sp)](link)(link)

(따라서 |G|=p^a1*other일 때(other의 factor에는 p가 없음) #Sp|other)

(따라서 |G|<inf and abelian G에 대해선 #Sp=1)

-TFAE

-#Sp=1

-Sp:NS

-Sp char G

-All subgroups generated by elements of prm power order are p-G

-Sp의 성질들

-NS교Sp:sylow p-subgroup in NS(link)

-Classification Steps

-|G|를 통해 proper NS를 찾는다.(Sp같은 걸로다가)

-complement를 구한다.

-NS와 complement 각각을 조사한다.

-semidirect product를 위한 homog를 만들어 본다.

-NS, complement와 homog를 이용하여 semidirect를 만들고 non-isomorphic인걸 나열

-|G|=prm일 때

-G giso Z_prm

-p-G일 때

-Z(p-G)는 nontrivial

-NS가 nontrivial이었으면 NS 교 Z(p-G)도 nontrivial(link)

-|p-G|=prm^2이면 abelian이고 Z_prm x Z_prm 이거나 Z_(prm)^2

-Sp는 자기자신, unique

-(Fixed Point Congruence)J:finite set, act_J by G에 대해, |J|≡|{fixed points}| (mod p)(link)

-|G|=p^m일 때, G has a normal subgroup of order p^n for 0<=n<=m(link)

-|p-G|=(prm)^3이면

-abelian이면

-총 3개의 group이 있음 up to giso

-non-abelian이면

-Z(p-G)=C(p-G)

-|G|=prm1*prm2일 때(prm1<prm2)

-prm1이 (prm2 - 1)을 나누지 않으면 G는 cyclic

-Sp(p=prm2) :NS

-

-|G|=prm1*prm2*prm3일 때(prm1<prm2<prm3)

-not simple(link)


-기타 성질들

-subgroup의 intersection은 subgroup

-normal subgroup의 intersection은 normal subgroup

-[G:NS]=m이면 for all g in G, g^m is in NS.

-NS:Hall subgroup이면 |NS|=|S|인 S는 NS뿐이다.(link)

-normality나 abelian이나 generating set의 원소들에 대해 판정하면 충분

-S1S2, NS1NS2 등 subgroup곱을 이용


-Matrix Group관련

-기초 용어

-MLG(Matrix Lie Group)이란 GL(n:C)의 subgroup이고 closed in GL(n:C) in the terms of entrywise convergence

(cv인 matrix seq를 잡았을 때 limit을 포함하거나 아니면 not invertible이거나)

-Compact MLG란

-cv인 matrix seq를 잡았을 때 limit을 포함하는 경우(not invertible말고)

-성분이 bdd되는 경우

위 2가지를 만족할 때의 MLG를 Compact MLG라 한다.

-connected MLG란, path-connected MLG를 가리킨다.(MLG인 경우 connected->path-connected가 성립해버림)

-성분이 R(std)인 Matrix Group

-GL(n:R):={MT in MT(R) s.t. MT:invertible} with matrix multiplication

-MLG

-not compact

-not connected(components 2개, GL(n:R)^+와 GL(n:R)^-)

-GL(1:R)은 R^* with multiiplication와 giso

-GL(n:R)^+:={MT in GL(n:R) s.t. det(MT)>0}

-GL(1:R)^+는 R with addition과 giso

(비슷하게 R^n with addition은 {MT in GL(n:R) s.t. MT:DMT with all positive diagonal} with matrix multiplication과 giso)

-SL(n:R):={MT in GL(n:R) s.t. det(MT)=1}

-MLG

-not compact(n=1일때만 compact)

-connected

-O(n):={MT in GL(n:R) s.t. MT:preserve inner product}

-MLG

-compact

-not connected(components 2개)

-MT in O(n) 

iff MT의 column vectors가 orthonormal

iff MT:OMT

-MT in O(n)이면 det(MT)=1 or -1

-reflection과 rotation모음

(all linear distance-preserving maps이므로 subgroup of E(n)이 됨)

-SO(n):={MT in O(n) s.t. det(MT)=1}

-MLG

-compact

-connected

-SL(n:R)과 O(n)의 intersection, 따라서 subgroup of SL(n:R), subgroup of O(n)

-rotation 모음

-SO(2)에 대해서

-FHG(SO(2),x) giso (Z,+)

-SO(n)에 대해서

-n>=3일 때

-FHG(SO(n),x) giso (Z/2Z, +)

-O(n:k):={MT in GL(n+k,R) s.t. MT:preserve Lorentz bilinear}

-MLG

-not compact(k나 n중 0이면 compact됨)

-not connected

-subgroup of GL(n+k,R)

-MT in O(n:k)

iff MT의 column vector의 Lorentz bilinear로 묘사가능

iff rt(MT)*g*MT=g for g=대각행렬, 성분이 첫 n개는 1, 이후 k개는 -1인 

-MT in O(n:k)이면 det(MT)=1 or -1

-O(n:1)에 대해서

-O(3,1)을 Lorentz Group이라 한다.

-not connected(components 4개)

-SO(n:k):={MT in O(n:k) s.t. det(MT)=1}

-MLG

-not compact

-not connected

-SO(n:1)에 대해서

-not connected(components 2개)

-SO(n:1)_identity(SO(n:1)의 connected components중 IMT를 포함하는 것을 가리킴)

-Sp(n:R):={MT in GL(2n,R) s.t. MT:preserve skew-symmetric bilinear}

-MLG

-not compact

-n=2일 땐 MT=(v1, v2), v1=(a,b), v2=(c,d)인 column vector일 때, ad-bc=1인 matrix의 모임

-HSBG={MT in GL(3,R) s.t. MT:UMT, 대각성분이 모두 1}

-MLG

-not compact

-connected

-성분이 C(std)인 Matrix Group

-GL(n:C):={MT in MT(C) s.t. MT:invertible} with matrix multiplication

-MLG

-not compact

-connected

-GL(1:C)는 C^* with multiplication과 giso

-SL(n:C):={MT in GL(n:C) s.t. det(MT)=1}

-MLG

-not compact(n=1일때만 compact)

-connected

-U(n):={MT in GL(n:C) s.t. MT:preserve complex inner product}

-MLG

-compact

-connected

-MT in U(n)

iff MT의 column vectors가 orthonormal

iff MT:HMT

-MT in U(n)이면 |det(MT)|=1 (|복소수|=1, 즉 크기가 1인 것만 앎)

-U(1)은 {z in C s.t. |z|=1} with multiplication과 giso

-FHG(U(n),x) giso (Z,+)

-SU(n):={MT in U(n) s.t. det(MT)=1}

-MLG

-compact

-connected

-SU(2)에 대해서

-FHG(SU(2),x)=trivial, 즉 simply connected

-O(n:C):={MT in GL(n:C) s.t. MT:preserve simple bilinear}

-MLG

-not compact

-MT in O(n:C) 

iff MT:OMT(성분이 complex지만...rt(MT)*MT=IMT되는 경우)

-MT in O(n:C)이면 det(MT)=1 or -1

-SO(n:C):={MT in O(n:C) s.t. det(MT)=1}

-MLG

-not compact

-Sp(n:C):={MT in GL(2n:C) s.t. MT:preserve skew-symmetric bilinear}

-MLG

-not compact

-Sp(n):=Sp(n:C) intersection U(2n)

-MLG

-compact

-FHG(Sp(n),x):trivial

-그 외 Matrix Group

-E(n):={f:R^n->R^n s.t. f:preserve metric and f:bijection} with composite

-f in E(n)은 need not be linear

-MLG(주의, E(n) is MLG of GL(n+1:R), not of GL(n:R))

-not compact(giso인 것이)

-not connected(giso인 것이)(components 2개)

-for f in E(n), f can be uniquely written as 

MT1_x*MT2 where MT1_x:translation by x, MT2:element in O(n)

-P(n:1):={MT=MT_x*MT2 s.t. MT_x:translation by x, MT2:element in O(n:1)}

-group of affine transformations of R^(n+1) s.t. preserve the Lorentz distance

-MLG(주의, P(n:1) is MLG of GL(n+2:R), not GL(n:R))

-not compact(giso인 것이)

-not connected(giso인 것이)(components 4개)

-MLG의 성질

-identity를 포함하는 (connected)components는 subgroup of MLG가 된다.

-Connected관련

-matrix multiplication, inversion of matrix는 GL(n:C)에서 continuous이므로 2개의 path곱이나 path의 inverse나 모두 continuous가 유지된다.



Note)(이후 삭제해도 됨)

몇가지 Techniques

1. strong induction with lattice theorem

2. group action에서의 성질(left multiplication, conjugation, 이때 G랑 J를 잘잡아야함, 특히 class equation중요)

3. 대표적인 normal subgroups을 이용(center, in normalizer, commutator subgroup, Sp, ...)

4. Index Theorem, left multiplication action(not simple임을 보일 때)

5. 직접 order가 prm인 원소 개수 세버리기.(S_n같은 곳에선 특히 유용)

 


Ring

-zd는 not u

-u는 not zd

-homor:R1->R2일 때, im(homor) _< R2, ker(homor) _< R1, ker(homor) is id.

-(Ring of fraction)CR에 대해 te! CR_[1] s.t. CR _< CR_[1] and not zd인 in CR은 unit in CR_[1]

(특히 CR이 ID였다면, CR_[1]은 Field가 되고, field of fraction 이라 한다.이 field는 ID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field)

-About ID

-(Cancellation Law)

-|ID|<inf이면 F된다.

-

-About subring

-(criteria)nonempty, closed under subtraction, multiplication

-

-About DR

-|DR|<inf이면 F된다.

-About Field

-for SR of F s.t. contains the 1 of F, SR=ID

-for any ID, te F s.t. ID _< F 

-homor:F->R는 반드시 1-1(for non trivial homor)   

-F의 id는 0와 F

-About R[x](별말 없으면 R은 CR_[1]이다.)

-SR _< R이면, SR[x] _< R[x]

-R[x]도 CR_[1]

-R=ID일 때

-deg(P1(x)*P2(x))=deg(P1(x))+deg(P2(x))

-R[x]에서의 u는 R에서의 u와 같다.

-R[x]도 ID

-R[x]의 field of fraction은 field of rational functions가 된다.

-R->F->F(x), R->R[x]->field of fraction of R[x], 이때 F(x)와 field of fraction of R[x]와 같다.

-

-구체적인 상황


-About MT(R)

-id:id of R일 때, MT(id)는 id of MT(R)

-id:id of R일 때, id=ker(homor), where homor:MT(R)->MR(R/id)

-MT(R_1)의 id는 MT(id) where id is ideal of R_1이 된다.

-MT(F)의 id는 0과 MT(F)뿐

-

-About RG(별말없으면 R은 CR_[1]이다. 그리고 1<|G|<inf인 경우만 생각)

-RG가 CR <-> G가 abelian

-R의 1이 RG의 1이다.

-SR _< R, S _< G일 때, SRG와 RS는 RG의 subring이다.

-zd가 항상 존재.

-augmentation map:RG->R관련

-homor되고, ker은 계수합이 0인 것들

-ker은 ({g-1|g in G})

-ker은 M-id된다.

-다른 대표적 id는 g_i의 계수가 다 같은 것들



-About id and quotient R

-id존재 <-> homor존재

-R이 zd를 안가져도 quotient R은 zd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riso theorem)homor:R1->R2가 있을 때, ker(homor):id of R1, im(homor) _< R2, R1/ker(homor) riso im(homor)

-(The Second riso theorem)SR _< R, id:ideal of R이면 SR+id _< R이고 SR교id:id of SR 그리고 (SR+id)/id riso SR/(SR교id)

-(The Third riso theorem)id1 of R, id2 of R, id1<id2이면 id2/id1:id of R/id1 그리고 (R/id1)/(id2/id1) riso R/id2.

-(The Fourth riso theorem)id of R이 있을 때 {SR s.t. containing id}와 {SR _< R/id}사이 bijection존재

(SR containing id:id of R iff SR/id:id of R/id)

-id1+id2:id(id1과 id2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id)

-id1id2:id(id1교id2에 포함되는 id)(주의:정의가 all finite sums, 그냥 prod만 다 모으면 +에 closed하지 않으므로 subring이 안됨)

-id1교id2:id

-Lid1교Lid2:Lid

-(E)의 이해=the smallest id(일반적), RER(R_[1]일 때), RE(CR_[1]일 때)

-id=R iff unit is in id

-R/id가 F이면 id=M-id

-R_[1]에서는 every proper ideal은 M-id에 포함된다.(M-id의 존재성)

-CR_[1]에서 

-RE=ER=RER=<E>

(R_1이어야 RE는 E를 포함하는 smallest Lid가 된다. CR이어야 ER=RE)

-(r1)<(r2) iff r1 is in (r2) iff r1=r3*r2 for some r3

-(1)=R

-(a)(b)=(ab)

-id가 0와 자기자신뿐이면 R=F

-id가 M-id이면 R/id:F

-id:prm-id iff R/id:ID

-M-id는 prm-id

-(Chinese Remainder Theorem)id1,id2,...,idn에 대하여, 

-homor:R->(R/id1)x(R/id2)x...x(R/idn) (homor된다는 점)

-ker(homor)은 id1교id2교...교idn

-for any i,j idi(not equal i,j), idj가 comaximal이면 ker(homor)=id1교id2교...교idn=id1id2...idn 그리고 homor가 surjective

-for any i,j idi(not equal i,j), idj가 comaximal이면 induced riso에 양변에 ^*을 취해도 성립


-About PID,UFD, ED

-F[x]:PID





     

Field

Module

Vector Space

-(Hamel Basis)모든 VS(F)는 basis를 갖는다.

-F의 원소에 norm을 줄 수 있다면, 모든 VS(F)는 nvs가 될 수 있다.(using Hamel Basis)

-About Direct Sum and Decomposition

-정의:

-sum of LS1, LS2, ..., LSn

-sum이 direct sum이란, sum=VS(F)이면서 for any i, LSi intersection sum except for i = empty

-external direct sum of VS(F)1, VS(F)2,..., VS(F)n이란, cartesian product이면서 operation은 component-wise

-성질:

-About Direct Sum

-For any LS1<VS(F), te LS2 s.t. the direct sum of LS1, LS2 = VS(F)

(not unique)







Topological Space

-몇가지 용어 정의들

-TS가 Baire Space이다란, c-union of closed set with empty interior has empty interior

(c-intersection of open dense is dense<<동치)

-TS의 subset이 first-category란, c-union of nowhere dense subsets

-TS의 subset이 second-category란, not first-category



-General 성질들

-어떤 subsets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top생각가능(즉, top의 intersection은 top됨)

-top들의 collection에 의해 generated top도 생각가능

-Topological Properties

-connectedness

-compactness

-local connectedness

-metrizability

-first-countable

-second-countable

-lindelof

-separable

-fundamental group(giso일 듯? 이후 수정)

-About Limit point, closure, interior, boundary

-cl은 monotone, commute with finite union, product

-cl취해도 변하지않는 성질들

-connected

-diam

-E의 interior, exterior, boundary는 TS를 partition함, 이때 interior, boundary는 cl(E)를 partition함

-(cl(E))^c = int(E^c)  /  (int(E))^c =  cl(E^c) (드모르간 법칙 같네)

(따라서 Baire Space의 정의를 closed sets이용해서 state할 수 있고, 혹은 open sets을 이용할 수도 있다.)

(E:dense in TS iff E^c has empty interior)

-Bd(E) = empty iff E:open and closed

-E1<E2, x:limit point of E1이면 x:limit point of E2

-About Mapping

-Projection의 성질

-open map(closed map는 아닐 수 있음)

-conti

-not closed(TS1xTS2->TS1에서 TS2가 compact라면 closed map됨, (link))

-conti criteria, f:X->Y

-X의 open개수가 많고 Y의 open개수가 적을수록 conti될 가능성이 높아짐

-Use closed in Y

-Use open in Y

-Use basis in Y

-Use subbasis in Y

-f(cl(E))<cl(f(E))

-Using Pasting lemma, open sets in X(uncountable개여도 상관없음)

-Using pasting lemma, finite closed sets in X

-f가 conti이면 sequentially conti(역은 domain TS가 first-countability필요)

-Y:KT2일 때는, f가 conti iff the graph of f is closed in XxY가 성립(if는 K인걸 이용, only if는 T2인 걸 이용)(link)

-open map, closed map, continuous map, quotient map의 성질(f(TS1)에서의 성질들이다 continuous image관련해서는)

-f:TS1->TS2, conti,

-f:(TS1,C4(TS1))->(TS2,C4(TS2))가 conti면 MF도 된다.

-f:S(<TS1)->TS2, TS2:T2일때, extension of f on cl(S)는 unique(link)

-f(connected)=connected

-f(compact)=compact

-f(path-connected)=path-connected

-f(lindelof)=lindelof

-f(dense)=dense

-f(separable)=separable

-f:open이기도 하면

-f(basis)=basis of f(TS1)

-f(locally compact)=locally compact

-f(first-countable)=first-countable

-f(second-countable)=second-countable

-f:surjective이면 f:quotient map

-f:closed이기도 하면

-f(T4):T4(link)

-f:surjective이면 f:quotient map

-TS2:order top이고, g:TS1->TS2, conti일 때, {x in TS1|f(x)<=g(x)}:closed in TS1, h=min(f,g):conti(link)

-f:TS1->TS2, closed

-TS1:T1이면 f(TS1):T1

-U:open in TS1, E2:subset in TS2, s.t. f^(-1)(E2)<U이면 te V:open in TS2 s.t. E2<V, f^(-1)(V)<U(link)

-About order topology(strict total order relation으로 생성한 top)

-T2

-T3

-T4

-least upperbound property가 성립 iff 모든 closed interval(not singleton)은 compact

-linear continuum가 성립 iff TS가 connected

-linear continuum이 성립할 때 구체적으로는 

-V는 connected이고 따라서 전체집합, intervals, rays모두 connected됨

-locally compact

-T4

-well ordered인 경우(least upper bound가 성립)

-T5

-About Subspace

-From TS to S

-모든 S에 대하여

-strict total order relation

-open

-closed

-basis

-closure(E<S, cl(E) in S =cl(E) in TS intersection S)

-T2

-T2.5

-T3

-T3.5

-CN

-T5

-f:X->Y, conti, S<X이면 g:S->Y도 conti

-f:X->Y, conti, f(X)<S1<Y이면 g:X->S1도 conti

-first-countability

-second-countability

-covering map(using restriction)

-S가 open in TS일 때만

-LKT2(LK만 되는지는 모름)

-S가 closed in TS일 때만

-compact

-LK

-lindelof

-T4

-기타

-S with induced order은 S as subspace랑 다르다. (S가 convex in TS이면 가능)

-From S to TS

-모든 S에 대하여

-f:X->S, conti, S<Y이면 g:X->Y도 conti

-S가 open in TS일 때만

-open

-S가 closed in TS일 때만

-closed

-About Product topology

-Prod(S_i) = subspace of Prod(TS_i)

-From TS_i to Prod(TS_i) (곱이 countable개이냐 아니냐/product top이냐 box top이냐 구분)

-open(box top에서만 됨)

-closed

-basis

-T2

-T3

-T3.5(product top에서만 됨)(link)

-f:TS->Prod(TS_i)의 conti(product top에서만 됨)

-seq의 수렴성(product top에서만 됨)

-connected(product top에서만 됨)

-compact(product top에서만 됨)

-path-connected(product top에서만 됨)

-Countable Prod일 때

-first-countability

-second-countability

-separable

-metrizable

-complete

-totally bdd(각 TS_n가 MetricS)

-Finite Prod일 때

-covering map

-From Prod(TS_i) to TS_i

-Using projection

-open

-f:TS->Prod(TS_i)의 conti

-seq의 수렴성

-metrizable

-connected

-T2

-T3

-T4

-About Quotient Topology

-QS:connected, 각 class가 connected in TS이면 TS도 connected

-TS:locally connected이면 QS:locally connected(link)

-restriction of quotient map to class or union of classes

-class or union of classes가 open혹은 closed였으면 restriction도 quotient

-quotient map이 open or closed map이었으면 restriction도 quotient

-About Connected, C

-C가 connected TS란, 

-there is no separation이 정의

(separation (U,V)란, U와 V가 disjoint, nonempty, open, union=TS을 가리킴)

-empty set is connected

-every singleton subset set is connected

-separation G1,G2에 대해 G1의 limit pt는 G2에 속하지 않는다. (G2의 limit pt는 G1에 속하지 않는다.)

(즉 Separation은 separated sets이다.)

-TS:connected iff te no separation

-TS:connected iff clopen sets은 TS랑 empty뿐

-G1,G2:separation of TS, S:connected이면 S<G1 or S<G2

-S_i가 connected일 때, union S_i도 connected(단 common pt가 있을 때)

-(Intermediate Value Theorem)f:C->TS with order top, conti이고 f(a)<r<f(b)이면 te c in C s.t. f(c)=r

-connected component는 closed이다.

(open일 때도 있는게, component가 유한개거나, locally connected이면 된다.)

-

-path-connected관련(connected임을 보이는 쉬운 방법중 하나)

-TS:path-connected이면 connected이다.(역은 성립 안함)

-S_i가 path-connected일 때, union S_i도 path-connected(단 common pt가 있을 때)

-path-connected components는 connected components에 포함된다.

(S:path-connected라해서 cl(S)가 path-connected인 것은 아니다.)

(path-connected component는 closed일 필요도 없고 open 일 필요도 없다.단, locally path-connected이면 open은 된다.)

-totally disconnected관련

-About Compact, K

-용어정의

-limit point compact란, 임의의 infinite subset E has a limit point

-sequentially compact란, 임의의 seq가 cv인 subseq를 가짐

-empty set은 compact

-모든 singleton set은 compact

-TS:compact iff every collection of closed sets in TS having finite intersection property, intersection of all elements in the collection is nonempty

-finite union of compact is compact

-LK

-CGT

-(Tube Lemma)

-TS1xTS2, TS2:compact, N:open in TS1xTS2 containing x_0 x TS2이면 te E s.t. N contains ExTS2, x_0 is in E, E:open in TS1

-S1<TS1, S2<TS2, S1과S2 둘다 compact, N:open in TS1xTS2 containing S1xS2이면 te E1,E2 s.t. E1:open in TS1, E2:open in TS2, S1xS2 < E1xE2 < N(link)

(두번째 것이 첫번째 것을 포함하지만, 첫번째 것만으로도 자주 나오니 구분해서 적음)

-(Extreme Value Theorem):f:K->TS with order top, conti이면 te c,d in K s.t. f(c)<=f(x)<=f(d) for all x in K

-비슷한 compact관련

-compact이면 limit point compact이다.

-compact이면 lindelof이다.

-Metrizable일 땐, compact=limit point compact=sequentially compact

-limit point compact의 closed subset은 limit point compact

-About "Locally Property"

-Locally connected

-TS:locally connected iff every connected components of every open in TS is open

-TS:locally path-connected iff every path-connected components of every open in TS is open

-TS:locally path-connected이면 path-connected component=connected component, 게다가 open(link)

-Locally compact, LK

-TS:locally compact of x란 nbd(x)를 포함하는 compact subset존재

-TS:locally compact란 모든 element x에 대해서 locally compact일 때

-E:compact->E:locally compact

-Locally homeomorphic

-TS1:locally homeomorphic to TS2란, 

te f:TS1->TS2 s.t. for any x in TS1, te open(x) s.t. f(open(x)) is open in TS2 and restriction f on open(x) is homeomorphism

(이 때 f를 local homeomorphism이라 한다.)

-every homeomorphism is local homeomorphism

-local homeomorphism은 open map, conti(link)

-bijective local homeomorphism은 homeomorphism

-f:TS1->TS2, local homeomorphism일 때 preserve하는 성질들

-TS1이 locally path-connected이면 f(TS1)도 locally path-connected

-TS1이 locally connected이면 f(TS1)도 locally connected

-TS1이 locally compact이면 f(TS1)도 locally compact

-TS1이 first-countable이면 f(TS1)도 first-countable

-Separation axioms관련 성질

-정의:(A,B는 {one point}거나 compact set이거나 open set이거나 closed set이거나...가능)

-A,B가 topologically distinguishable:te open set U s.t. A,B중 1개만 포함하는

-A,B가 separated:cl(A)와 cl(B)가 disjoint

-A,B가 separated by open nbd:te open G1, open G2 s.t. disjoint하고 G1은 A를 G2는 B를 포함

-A,B가 separated by closed nbd:te closed F1, closed F2 s.t. djsjoint하고 F1은 A을, F2는 B을 포함

-A,B가 separated by conti function:te f:TS->R(std) s.t. f(A)=0 f(B)=1

-A,B가 precisely separated by conti function:te f:TS->R(std) s.t. A={x in TS s.t. f(x)=0}, B={x in TS s.t. f(x)=1}

-T0(2pt, topologically distinguishable)

-(iff)모든 점이 topologically distinguishable

-T1(2pt, separated, separated란 each가 cl(the other)와 disjoint, or open sets으로도 해석 가능)

-(iff)모든 finite set은 closed

-E의 limit L iff open(L) intersection E는 infinitely many pts을 포함

(first-countability는 L을 포함하는 open set의 개수가 countable개 있음을 보장해주고, T1은 intersection의 원소가 무한개임을 보장해준다.)

-T2(2pt, separated by open nbd)

-seq의 limit은 기껏해야 1개

-TS:T2S iff TSxTS의 diagonal은 closed in TSxTS

-compact subspace는 closed됨

-compact와 pt는 separated by open nbd

-2 compact는 separated by open nbd

-f:TS1->TS2 conti, g:TS1->TS2 conti, TS2:T2일 때, {x in TS1|f(x)=g(x)}는 closed in TS1

(따라서 f:TS->TS conti, TS:T2일 때, fixed points의 모임은 closed in TS됨)

-T2.5(2pt, separated by closed nbd)

-CT2(2pt, separated by conti function)

-R(closed와 pt, separated by open nbd)

-(iff)closed와 pt에 대해 separated by closed nbd

-(iff)for any x in TS, any open U containing x, te open V containing x s.t. cl(V)<U

-(T1도 되면)T3라 한다.(T0,T1,T2 중 어느것이 되도 상관없음, 이후 일관성 때문)

-TS:T3이고 lindelof이면 T4

-TS:T3이고 second-countable이면 T4, CN, T5, metrizable, imbedded in R^N(product top or uniform top)

(metrizable임을 보일 때, TS가 imbedded in R^N (with product top or uniform top)임을 보인다.)

-CR(closed와 pt, separated by conti function)

-closed와 compact가 주어지면 separated by conti function 가능

(단, closed와 closed일 때까지로는 확장 못함)

-(T1도 되면)T3.5라 한다.(T0,T1,T2 중 어느 것이 되도 상관없음)

-TS:T3.5 iff TS homeo S of [0,1]^J for some J.

([0,1]^J 는 KT2됨)

-TS:T3.5 iff TS has a compactification

-TS:T3.5이면 te! SCcl(TS) up to homeo s.t. for any f:TS->KT2, conti, f can be uniquely extended to SCcl(TS), conti.

-N(2closed, separated by open nbd)

-(Urysohn's Lemma version 1)(iff)(2closed, separated by conti function)    

-(Urysohn's Lemma version 2)TS:normal일 때, 

te conti f:TS->[0,1] s.t. f(x)≡0 on A iff A:Gd closed

-(Urysohn's Lemma version 3)TS:normal일 때, 

te conti f:TS->[0,1] s.t. f(x)≡0 on A f(x)≡1 on B iff A,B:disjoint Gd closed

-(Tietze Extension Theorem version 1)TS:normal, E:closed, f:E->[0,1], conti일 때

te extension of f on TS -> [0,1], conti

-(Tietze Extension Theorem version 2)TS:normal, E:closed, f:E->R(std), conti일 때

te extension of f on TS -> R(std), conti


 

-(iff)for any closed set E1 in TS, any open E2 s.t. E1<E2, te open E3 containing E1 s.t. cl(E3)<E2

-(T1도 되면)T4라 한다.(T0는 안됨, T1,T2 중 어느 것이 되도 상관없음)

-TS:T4이고 connected이면 |TS|=1 or uncountable이다.

-CN(2separated sets, separated by open nbd)

-(iff)모든 subspace가 N

-(T1도 되면)T5라 한다.(T0는 안됨, T1,T2 중 어느 것이 되도 상관없음)

-PN(2closed, precisely separated by conti function)

-(iff)모든 closed set이 Gd

-(T1도 되면)T6라 한다.(T0는 안됨, T1,T2 중 어느 것이 되도 상관없음)

포함관계

T0>T1>T2>T2.5>CT2>T3>T3.5>T4>T5>T6

R>CR

N>CN>PN

-Countability axioms

-First-Countability

-TS가 first-countable이란, for any x in T, countable nbd(x)가 존재하고, 각 nbd(x)에 포함되는 또 다른 nbd(x)가 존재

-x:limit point of E이면 te {x_n} in E s.t. cv to x(역은 first-countability아니어도 성립)

-f:X->Y, X가 First-Countability이면 Sequentially conti->conti

-CGT

-Second-Countability

-TS가 second-countable이란, countable basis존재

-TS:second-countable이면 모든 discrete subspace는 countable이다.

-second-countable이면 separable이다.(metrizable이면 역도 성립)

-second-countable이면 lindelof이다.(metrizable이면 역도 성립)

-second-countable이면 first-countable이다.

-TS:second-countable이고 E:uncountable이면 uncountable many pts in E는 E의 limit pt이다. 

(즉 second-countable이면 uncountable E들은 limit pts를 uncountable개 갖는다 in E)

-Lindelof

-TS가 lindelof란 every open cover has a countable subcover(즉 compact보다 weak)

-countable TS이면 lindelof이다.

-compact이면 lindelof이다.


-Separable

-TS가 separable이란 countable dense subset을 가질 때

-every collection of disjoint open sets는 countable

-About Directed sets and Net, Net convergence

-Net convergence를 도입시 좋은 점

-x in cl(E) iff te seq {x_n} in E cv to x(단 TS가 first-countable일 때 only if가 성립-(*))

-f:sequentially conti iff f:conti(단 domain이 first-countable일 때 only if가 성립-(*))

-TS:sequentially compact iff TS:compact(단 TS가 Metric일 때 only if가 성립-(*))

((*)에서 seq를 net으로 바꾸면 단~~ 부분이 필요없어지게 된다.)

 -About LKT2

-LKT2의 해석방법

-compact nbd 

-pre-K open set

-TS1:LKT2 iff te TS2 s.t. TS1<TS2 and TS2-TS1 is singleton and TS2:KT2(link)

(TS1:LKT2일 때, TS2를 ocl(TS1)이라 표기하기로 하자. 왜냐하면 추가한 point가 TS1의 limit pt가 됨)

(TS2는 유일 up to homeomorphic)

(TS1:open subspace of ocl(TS1))

-E1:open containing x일 때, te E2:open containing x s.t. E2:pre-K, cl(E2)<E1(link)

-E1:open containing K일 때, te E2:open containing K s.t. E2:pre-K, cl(E2)<E1

-Baire

-CGT

-T3

-T3.5

-KT2의 성질

-isolated pt가 하나도 없으면 uncountable space이다.(link)

(isolated pt란, {pt}:open일 때, 그 pt를 isolated pt라 한다.)

-BaireS(link)

-LKT2됨(LKT2 성질들 다 만족)

-T3

-T4

-Metrizable iff second-countable

-

-About CGT

-CGT의 예:LK, K, first-countable, MetricS

-성질

-f:CGT->TS가 for any K, restriction of f on K is conti이면 f는 conti

-m-Manifold

-정의:T2, Second-countability, and for each point x has nbd s.t. homeomorphic to open set in R^m


Algebraic Topology

-About homotopy, homotopy of paths

-용어정의

-f1 _=homotopic f2란, f1:TS1->TS2, f2:TS1->TS2, f1,f2:모두 conti일 때 

te conti F:TS1x[0,1]->TS2 s.t. F(x,0)=f1(x), F(x,1)=f2(x) for all x in TS1

(이 때의 F를 homotopy f1,f2라 하자.)

-f1:nulhomotopic이란 f1 _=homotopic f2에서 f2가 constant일 때

-initial point final point가 같은 path1, path2에 대해서 path1 _=phomotopic path2란(두 paths:[0,1]->TS이고 conti인)

te conti F:[0,1]x[0,1]->TS s.t. F(x,0)=path1, F(x,1)=path2, F(0,t)=x_0, F(1,t)=x_1 for all x, t

(이 때의 F를 phomotopy path1, path2라 하자.)

-[TS1,TS2]:=homotopy classes of conti maps of TS1 into TS2

-TS가 contractible이란, identity:TS->TS가 nulhomotopic일 때

-FHG(TS,x)란 phomotopic classes of loop based at x where x in TS, first homotopic group of TS라 한다. 혹은 fundamental group of TS relative to the base point x라 한다.

-TS:simply connected란, path-connected이고 FHG(TS,x)=trivial group for some x in TS일 때

-h:TS1->TS2, h(x_0)=y_0, h:conti일 때, H:FHG(TS1,x_0)->FHG(TS2,y_0), H:group homomorphism을 얻을 수 있고, 이것을 homo from (h,x_0)라 하자. 

-f:TS1->TS2, conti, onto일 때 E:open in TS2가 evenly covered by f란, 

f^(-1)(E)=union of disjoint open sets in TS1 where the restriction of f on each open set is a homeomorphism onto E

-f:TS1->TS2가 covering map of TS2란, f:conti, surjective, for any y in TS2, te open(y) s.t. open(y):evenly covered by f일 때 f를 covering map of TS2라 하고 TS1을 covering space라 한다. 

-About _=homotopic, _=phomotopic

-about _=homotopic

-equivalence relation을 만든다

-f1 _=homotopic f2 of TS1 into TS2, g1 _=homotopic g2 of TS2 into TS3일 때 g1(f1) _=homotopic g2(f2)(link)

-TS1->R^2(std)인 경우

-straight-line homotopy를 통해서 임의의 conti function f1,f2가 _=homotopic임을 알 수 있다.

-특히 f1, f2의 image가 convex set에서만 생긴다면 straight-line homotopy의 image모두 convex set안에 유지

-about [TS1,TS2]

-[TS1, [0,1]] has a single element(link)

-[[0,1], path-connected TS] has a single element(link)

-TS2:contractible이면 [TS1,TS2] has a single element

-TS2:path-connected더라도(contractible보단 약한), TS1:contractible이면 [TS1,TS2] has a single element

-about contractible

-contractible TS는 path-conncected이다.

-TS1:contractible iff for any TS2, for any f:TS2->TS1, g:TS2->TS1, 둘다 conti, f _=homotopic g

-about _=phomotopic(1개의 TS의 성질 관심)

-equivalence relation을 만든다.

-path1의 final이 path2의 initial인 paths끼리 product연산(*)을 줄 수 있다.

(별말없이 path1*path2라 썻다면 path1의 final=path2의 initial인 상황)

-[path1]*[path2]=[path1*path2]로 정의하면 phomotopic classes에 product연산(*)을 줄 수 있다.

-phomotopy path1,path2(in TS1)에 conti인 k:TS1->TS2를 합성하면, phomotopy k(path1), k(path2)가 된다.  

-conti인 k:TS1->TS2가 있을 때 k(path1*path2)=k(path1)*k(path2)가 성립

-product연산 on phomotopic classes은 groupoid properties를 만족(link)

(group axioms가 성립하지 않는 유일한 다른점은 final과 initial이 같은 path classes사이에서만 연산된다는 점)

-path in TS를 n개의 path로 쪼개기 가능, [path]=[path1]*[path2]*...*[pathn]

-TS1->R^2(std)인 경우

-straight-line homotopy를 통해서 임의의 path1, path2 with same initial, final가 _=homotopic임을 알 수 있다.

-특히 path1, path2의 image가 convex set에서만 생긴다면 straight-line homotopy의 image모두 convex set안에 유지

-R^2(std)-{0}에서는 성립안함. UO1에서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path가 not phomotopic

-About Fundamental group(FHG(TS,x))

-FHG(TS,x)는 group이 된다.

-path from x to y가 있다면 FHG(TS,x)->FHG(TS,y)인 giso를 얻을 수 있다.

-TS가 path-connected이면 for any x, y in TS FHG(TS,x) giso FHG(TS,y)

(TS가 path-connected인 경우에 Fundamental Group에 대해서 이론전개하는 이유이다.)

(TS가 path-connected이면 FHG(TS,x)에서 base point 언급이 필요없을 것 같지만, base point 사이 path결정에 따라 giso가 달라지므로 일반적으로 TS가 path-connected여도 base point언급을 한다.)

-E:path-connected component(subspace)인 경우 FHG(E,x)=FHG(TS,x)가 된다.

-TS:path-connected이면 for x in TS, FHG(TS,x)가 abelian iff giso from FHG(TS,x) and FHG(TS,y)는 unique

-About simply connected인 경우

-FHG(TS,x)=trivial

-TS의 임의의 두 paths with same initial, final인 path1, path2는 phomotopic이다.

-About homo from (h,x_0)

-h1:TS1->TS2, h1(x_0)=y_0, h1:conti이고 h2:TS2->TS3, h2(y_0)=z_0, h2:conti일 때, 

homo from (h2 o h1, x_0)=homo from (h2,y_0) o homo from (h1,x_0)

-homo from (identity,x_0)는 identity group homomorphism이다.

-h가 homeomorphism일 땐 homo from (h,x_0)는 giso가 된다. 

-About Covering maps, Covering Space

-TS1:covering space of TS2 with covering map f:TS1->TS2일 때, for any y in TS2, f^(-1)(y) has a discrete topology induced from TS1

-covering map f:TS1->TS2

-local homeomorphism

-open map

-가장 쉬운 예: f:R(std)->UO1(subspace of R^2(std)), f(t)=(cos(2*pi*t),sin(2*pi*t))

-


Topological Vector Space

-용어정의:

-VS(F)가 TVS(F)란, +:VS(F)xVS(F)->VS(F), *:FxVS(F)->VS(F), VS의 연산 addition과 scalar multiplication이 continuous가 되게끔 VS(F)에 top을 줬을 때(scalar multiplication이 conti를 논할 때는 F에 topology를 줬을 때) (VS(F),top)을 TVS(F)라 한다. F언급안하면 R

-성질:

-TVS(F):T2 iff every singleton is closed

-TVS(F)에서 || ||은 conti이다.(? || ||이란 norm인것 같은데 어떤 norm을 가리키는거지? 나중에 체크)

-f-dim LS는 closed이다.

-F=R(std)일 때만 되는 것들

-R(std)에 norm을 줄 수 있으므로 TVS(R)는 NVS된다.

-F=C일 때만 되는 것들

-C에 norm을 줄 수 있으므로 TVS(C)는 NVS된다.

Metric Space

-any subset E is the intersection of open sets(countable intersection아닐 수 있음)

(주의:U_n := Union ball(x,1/n) for x in E, Intersection U_n is not E, but cl(E))

-any open set is an countable union of an increasing closed sets

-any closed sets is an countable intersection of an decreasing open sets


-totally bdd이면 bdd이다. 

-totally bdd under d iff totally bdd under d_sb


-metric d is conti(link)

-metric d가 induce한 top은 d가 conti가 되게하는 the smallest top이다.

-metric d와 d_sb는 같은 topology를 induce한다. 

-d(x,E)=0 iff x is in cl(E)

-d(x,K)=d(x,a) for some a in K

-d(E1,E2)=0, E1:closed, E2:closed, E1,E2:disjoint일 수 있다. (R^2(std)에서 xy=1과 x축 생각)

-{x|d(x,E)<eps}=union of the open balls {x|d(a,x)<eps} for a in E(따라서 open)

-d(x,E):TS->R>=0 is conti

-K<open1이면, te open2 s.t.K<open2<open1 and open2={x|d(x,K)<eps}

-F1과 F2가 disjoint closed인데 d(E1,E2)=0일 수도 있다.

-

-S도 MetricS됨(전체 Space의 d를 restriction)


-모든 compact set은 bdd and closed

(역은 성립안함)

-compact=limit point compact=sequentially compact

-compact metric space의 성질(KMetricS,d)

-(MetricS,d):compact iff (MetricS,d):complete and totally bdd

-(Lebesgue Number Lemma)for any open covering, te delta>0 s.t. diam(E1)<delta이면 te E2 in the covering s.t. E1<E2(link)

-(Uniform Continuity Theorem)f:KMetricS->MetricS가 conti이면 uni conti

-compact이므로 lindelof

-lindelof인데 metric이므로 second-countable

-complete

-LKT2, KT2의 성질들 모두 만족


-

-diam의 성질

-monotone

-E1교E2 is not empty 이면 diam(E1UE2) <= diam(E1)+diam(E2)

-diam(E)=diam(cl(E))

-

-conti criteria

-f:(MetricS1,d1)->(MetricS2,d2) conti <-> eps-delta definite이용((MetricS2,d2)가 R(std)일 때 주로 도움)

-f1:TS->R(std), f2:TS->R(std), f1 + f2, f1 - f2, f1 * f2, f1 / f2 모두 conti 

-

-seq {x_n} in (MetricS,d)가 cauchy이면 te subseq s.t. d(x_n_k+1,x_n_k)<=2^(-k)(link)

-seq {x_n} in (MetricS,d)가 cauchy이고 subseq가 cv이면 seq {x_n}도 cv(link)

-


-isom(MetricS1,MetricS2)는 one-to-one이고 imbedding이다.


-

-First-Countability

-CGT

-T4

-CN

-T5

-T6

-About Complete

-complete is not top property

-CMetrics의 closed S도 CMetricS됨

-(MetricS,d)가 complete iff (MetricS,d_sb)가 complete

-(MetricS,d)가 complete iff every cauchy seq {x_n} in MetricS has a cv subseq.

-(MetricS,d)가 complete iff every nested seq {E_n} of nonempty closed subsets s.t. diam(E_n)->0, the intersection of E_n is nonempty.

-for any MetricS, te isom(MetricS,S of completion of MetricS), uniquely up to isom

-(Banach Fixed Point Theorem)

:CMetricS의 complete subset E, f:contraction on E일 때, f는 fixed point을 유일하게 갖고, iteration으로 얻어진다.

-About Function Space(사전식 배열로 정리, uni top외의 top이 언급되는 theorem은 이 이용)

-fC(J,TS)에서 top of pt cv 정의가능

-seq {f_n} in fC(J,TS) cv in the top of pt cv iff {f_n}:pt cv.(fC(J,TS)의 product top과도 같음)

-fC(J,MetricS)에서 d_uni 정의가능, uni top

-fC(J,CMetricS)는 CMetricS됨 using d_uni

-(d_sup)_sb=d_uni, when d_sup이 정의될 때

(d_sup이 정의되면, d_sup으로 논하는게 마음 편함, d_uni는 복잡함)

-fC(TS1,TS2)에서 top of compact open 정의가능

-top of pt cv < top of compact open

-fC(TS,MetricS)에서 top of compact cv 정의가능

-top of pt cv < top of compact cv < uni top

-seq {f_n} in fC(TS, MetricS) cv in the top of compact cv iff for any K in TS, {f_n}:uni cv on K

-TS=K일 때

-top of compact cv = uni top

-TS=discrete일 때

-top of pt cv = top of compact cv

-fCbdd(J,MetricS)

-fCbdd(TS,MetricS)

-closed in fC(TS,MetricS) with uni top

-fCbdd(TS,CMetricS)는 CMetricS됨 using d_uni

-fCconti(TS1,TS2)

-fCconti(TS,MetricS)

-top of compact open = top of compact cv

-(Uniform Limit Theorem)closed in fC(TS,MetricS) with uni top

-fCconti(TS,CMetricS)는 CMetricS됨 using d_uni

-E가 totally bdd using d_uni이면 E는 equiconti

-E가 equiconti, for any a in TS, E_a:pre-K in MetricS이면 

-te S of fCconti(TS,MetricS) with top of compact cv s.t. E<S, S:compact

-TS=CGT일 때

-closed in fC(TS, MetricS) with top of compact cv

-{f_n}:cv in the top of compact cv to f이면 f도 conti

-TS=LKT2일 때

-E of fCcontiV(TS,MetricS), MetricS=R(std)일 때, E:pre-K iff E:pt bdd, equiconti, vanishes uniformly at infinity

-E<S, S:compact in fCconti(TS,MetricS) with top of compact cv이면

-E는 equiconti이고 for any a in TS, E_a:pre-K in MetricS

-TS=K일 때

-MetricS=KMetric일 때, E가 equiconti이면 E는 totally bdd

-MetricS:all closed, bdd subsets are compact일 때, 

-E:pre-K iff E:pt bdd, equiconti

-MetricS=R(std)일 때

-(Dini's Theorem)seq {f_n} in fCconti(TS,R(std))가 monotone, pt cv, limit f is conti이면 f_n은 uni cv 

(유사하게, seq {f_n} in fC(K in R(std), R(std)), 각각이 monotone(conti일 필요 없음), pt cv to f which is  conti on K이면 f_n은 uni cv도 된다.)

-MetricS=R^n일 때

-E:compact iff E:closed, bdd, equiconti

-{f_n} in fCconti(K,MetricS), {f_n}:pt bdd, equiconti이면 {f_n}은 uni cv인 subseq을 갖는다.


-eval:LKT2 x fCconti(LKT2,TS) -> TS는 conti



Normed Vector Space(Banach내용도 여기에, IPS도 여기에)

-NVS관련 기본적인 성질

-Vector Space에 Norm이 있어서 Metric생기고 그래서 topology도 있는 상황, NVS의 이해

-NVS에서 vector addition, scalar multiplication, || ||은 conti이다.

-NVS가 complete iff every abs cv인 series가 cv(link)

-About Linear subspace

-cl(LS)도 LS

-BS의 closed LS는 BS이다.

-About f-dim

-f-dim LS는 closed

-f-dim NVS에서는 임의의 two norms가 equivalent

-f-dim NVS는 BS이다.

-About LT(nvs1,nvs2)

-LT(nvs1,nvs2)의 norm은 inf(1가지), sup(3가지), 총 4가지 방법이 있다.

-LT(nvs1,nvs2):bdd와 iff인 것들

-conti at one pt

-conti at 0

-conti

-uni conti

-int{LT^-1(y in nvs2 s.t. ||y||<=1)}:nonempty

-About LTC(nvs1,nvs2)

-LTC(nvs1,nvs2):Vector Space

-About LTCconti(nvs1,nvs2)

-LTCconti(nvs1,nvs2):BS iff nvs2:BS(only if 에서 nvs1가 0이면 성립안함, nvs1가 nonzero라 가정필요)


-About Functions Spaces

-fCbdd(TS,R(std)):closed in (fC(TS,R(std)), d_uni), 따라서 BS

-fCconti(TS,R(std)):closed in (fC(TS,R(std)),d_uni), 따라서 BS

(따라서 fCcontibdd(TS,R(std)):closed in (fC(TS,R(std)),d_uni), 따라서 BS

-fCcontiV(TS,R(std)):closed in (fCcontibdd(TS,R(std)),d_uni), 따라서 BS

-fCcontiKS(TS,R(std))<fCcontiV(TS,R(std))<fCcontibdd(TS,R(std))=fCconti(TS,R(std))교fCbdd(TS,R(std))

(TS=K인 경우, fCcontiKS(TS,R(std))=fCcontiV(TS,R(std))=fCcontibdd(TS,R(std))=fCconti(TS,R(std)))

(TS=R(std)인 경우, fCcontiKS(TS,R(std))<fCcontiV(TS,R(std))<fCcontibdd(TS,R(std))<L^inf

-sCez<l^[1,inf)<sClz<sCcv<l^inf

-BS모음

-fCbdd(TS,R(std))

-fCconti(TS,R(std))

-fCcontibdd(TS,R(std))

-fCcontiV(TS,R(std))

-L^[1,inf]

-L^[1,inf]([0,1] with LM)

-l^[1,inf]

-sClz

-sCcv


-About Matrix

-Matrix를 보는 관점

-Linear Transformation(operator):VS(F)->VS(F)

-preserve bilinear

-구조적인 관점

-NMT

-HMT

-positive-definite

-positive-semidefinite

-SMT

-skew-HMT

-UnMT

-idempotent, nilpotent

-성분관점

-tr

-det

-invertible

-egv관련

-egv

-egv

-egS

-charP

-mP

-elementary divisor

-generalized egv

-similarity관점

-sim

-usim

-osim

-psim

-Canonical Form관점

-Jordan Canonical Form

-기타 Decomposition

-곱으로

-Cholesky Decomposition

-LU, LDU Decomposition

-Polar Decomposition

-합으로

-Jordan-Chevalley Decomposition

-With matrix norm

-

-About Projection Matrix

-정의:

-VS(F)=the direct sum of LS1, LS2일 때 Proejction onto LS1 along LS2란(Proj(LS1,LS2)라 쓰자.) Proj(LS1,LS2)(x)=x1 where x=x1+x2, x1 in LS1, x2 in LS2

(Projection onto LS1 along LS2는 Linear transformation이라 matrix로 표현가능하고 그것을 Projection Matrix라 한다.)

-LS1과 LS2가 orthogonal일 때의 Projection을 Orthogonal Projection, 그렇지 않을 땐 oblique projection이라 한다.

-성질:

-MT:Projection Matrix iff MT is idempotent(link)

-MT:Orthogonal Projection Matrix iff MT:idempotent and HMT(link)

-MT:projection matrix onto LS1 along LS2라면 IMT-MT는 Projection matrix onto LS2 along LS1이다.

(Im(MT)=ker(IMT-MT), ker(MT)=Im(IMT-MT)가 성립됨)

-{x1,x2,...,xm}:lind일 때 orthogonal projection matrix onto span{x1,x2,...,xm}을 얻을 수 있다.(link)

(f-dim VS(F)에서는 임의의 LS가 있을 때 VS(F)=the direct sum of LS, LS^ㅗ 으로 표현가능인 사실 이용)

-oblique projection은 LS1,LS2로 만들 수 있다.

(이 방법으론 사실 oblique, orthogonal projection 모두 포함, 즉 projection matrix 구하는 일반적인 방법)

-dim(LS1)=r일 때, MT:Projection matrix onto LS1 iff te MT2, MT3 s.t. MT=MT2*MT3*inv(MT2), where MT2:invertible, MT3은 IMT에서 first r digonals만 1이고 나머지 diagonals은 0인 matrix)(link)

-rank(Projection matrix)=tr(projection matrix)(link)

-About Idempotent Matrix

-정의:

-MT:idempotent란, MT^2=MT, MT:VS(F)->VS(F

-성질

-Idempotent Matrix의 예:IMT, 0, etc, 이중 IMT빼곤 다 not invertible

-MT:idempotent일 때, VS(F)=the direct sum of Im(MT), ker(MT)(증명은 아래 Projection Matrix참고)

-MT:idempotent일 때, ker(MT)=Im(IMT-MT)(증명은 아래 Projection Matrix참고)

-MT:idempotent이면 Projection Matrix만들 수 있고, Projection Matrix가 있으면 그건 idempotent이다.

(따라서 더이상의 성질은 모두 Projection Matrix에 정리한 것을 참고)


-About det

-About Invertible

-성질

-{x1,x2,...,xm}이 lind일 때 MT=[x1,x2,...,xm], ct(MT)*MT는 invertible이다.(Null(ct(MT)*MT)생각)

-TFAE

-MT:invertible

-MT has not 0 eigenvalue(link)

-det(MT) not 0

-

-About trace, tr(MT)

-성질

-tr(MT)=tr(rt(MT))

-tr(MT1MT2)=tr(MT2MT1)

-tr(MT1MT2MT3)=tr(MT2MT3MT1)=tr(MT3MT1MT2), not equal to tr(MT1MT3MT2)

-charP(MT)=f(t)=(t-a1)^d1 * (t-a2)^d2 * ... * (t-ak)^dk라 두면

-tr(MT)=d1*a1+...+dk*ak (즉 am(egv), egv와 tr(MT)사이 관계)

-증명은, f(t)의 계수가 (-1)*tr(MT)임을 이용하고 combinatorics하게 전개

-즉 tr(MT)는 sum of egv with am(egv)

-tr(projection matrix)=rank(projection matrix), 따라서 항상 정수(증명은 projection matrix참고)

-tr(idempotent matrix)=rank(idempotent matrix), 따라서 항상 정수(증명은 projection matrix참고)

-tr(nilpotent matrix)=0(왜냐하면 nilpotent matrix의 egv는 0뿐)(증명은 나중에)

-About charP(MT)

-정의:det(MT-t*IMT), 이것은 t에 관한 polynomial, 이것을 charP(MT)라 한다. 이것의 해는 egv(MT)가 된다.

-의미:

-MT의 정보들을 포함함, egv, det, tr

-성질:

-charP(MT)=0의 해는 egv(MT)가 된다.

-charP(MT)=charP(rt(MT))

-charP(MT)를 monic으로 뒀을 때

-charP(MT)의 t^(n-1)의 계수는 (-tr(MT))가 된다.

-charP(MT)의 상수항은 (-1)^n*det(MT) where n:MT의 size

-charP(MT)=f(t)=(t-a1)^d1 * (t-a2)^d2 * ... * (t-ak)^dk라 두면

-tr(MT)=d1*a1+...+dk*ak (즉 am(egv), egv와 tr(MT)사이 관계)(증명은, combinatorics하게)

-(Cayley-Hamilton Theorem)charP(MT)에 MT그대로 대입하면(상수항은IMT곱한) zero matrix나옴

-mP(MT)은 charP(MT)의 factor임을 알 수 있다.

(mP(MT)란, MT를 해로갖는 최소다항식을 가리킨다.)


-About similarity

-similarity종류와 정의

-MT1 =_sim MT2

-MT1=MT^(-1)*MT2*MT인 invertible MT가 존재할 때

-MT1 =_psim MT2

-MT1=MT^(-1)*MT2*MT인 invertible이고 permutation matrix인 MT가 존재할 때

-MT1 =_osim MT2

-MT1=MT^(-1)*MT2*MT인 invertible이고 orthogonal matrix인 MT가 존재할 때

-MT1 =_usim MT2

-MT1=MT^(-1)*MT2*MT인 invertible이고 unitary matrix인 MT가 존재할 때

-similarity성질

-about sim

-equivalence relation on the space of square matrix를 형성함

-MT1 _=sim MT2이면 MT1과 MT2는 same linear operator with different basis를 뜻하고 이때 similar하게 만드는 invertible matrix가 change of basis matrix를 뜻한다.

-sim이면 공유하는 것들

-rank

-det

-charP(즉 charP is independent of choice of basis)(link)

-tr

-egv and am(egv), gm(egv) (주의, egS는 공유안함, similar하게해주는 invertible MT에 의해 달라짐)

-mP

-elementary divisor(module하면서 정리)

-rational canonical form(나중에 정리)

-_=sim DMT인 경우

-이 때를 dgMT라 한다.

-dgMT일때 DMT의 대각성분은 dgMT의 egv들로 이루어지고 dgMT이게 해주는 invertible MT는 egv에 대응되는 egv로 이루어진다.(왜냐하면 _=sim은 egv를 공유하기 때문)

-MT:dgMT iff lind인 n개의 egv를 가짐

(따라서 MT의 egv가 서로 다른 n개로 존재한다면 dgMT가 됨, 하지만 dgMT라 해서 서로 다른 n개의 egv를 가지는 건 아니다.)

-Every MT _=sim UMT(Using Jordan Canonical Decomposition)

-about psim

-about osim

-about usim

-MT1 _=usim MT2이면 MT1 _=sim MT2성립

-_=usim은 equivalence relation

-_=usim DMT인 경우

-이때를 udgMT라 한다.

-udgMT이면 dgMT도 됨. udgMT는 dgMT의 특별한 경우

-NMT는 모두 udgMT이다. 

-HMT, UnMT 모두 udgMT이고 dgMT도 됨

-About egv, egv, egS

-정의:

-egv(MT)란 MT의 eigenvalue

-egv(MT, egv)란, MT의 eigenvector correponding to egv(eigenvalue)

-egS(MT, egv)란, egv(MT, egv)로 span한 space

-spec(MT)란, spectrum of MT라 부르고 the set of all eigenvalues of MT

-specR(MT)란, spectral radius of MT라 부르고 modulus가 가장 큰 eigenvalue의 modulus를 가리킨다.

-am(egv(MT))란 charP(MT)에서 (t-egv)의 중복도

-gm(egv(MT))란 egS(MT, egv)의 dimension

-성질:

-gm(MT, egv1)<=am(MT, egv1)(Jordan Canonical Form배운 뒤 해결) 

-임의의 MT에 대해, 적어도 1개의 egv가 존재

-한 MT에서 만든 서로 다른 egv1, egv2, ..., egvk의 경우 egv1, egv2, ..., egvk은 lind

-

-About Normal, NMT

-정의:

-MT:NMT란 ct(MT)*MT=MT*ct(MT)일 때의 MT를 NMT라 한다.

-MT:HMT란, ct(MT)=MT일 때의 MT를 HMT라 한다.

-MT:skew-HMT란, ct(MT)=(-MT)일 때의 MT를 skew-HMT라 한다.

-MT:UnMT란, NMT이고 ct(MT)*MT=IMT

-HMT가 positive-definite란, for any nonzero x, ct(x)*HMT*x > 0

-HMT가 positive-semidefinite란, for any nonzero xct(x)*H*x >= 0

-성질

-NMT의 성질

-HMT, skew-HMT, UnMT 모두 NMT이다.

-TFAE

-MT:NMT

-MT:NMT iff for any x in C^n, ||MT*x||_2 = ||ct(MT)*x||_2(link)

-MT:udgMT

-MT:complete orthonormal egv를 가짐(즉 lind인 n개의 egv)

-MT _=usim NMT iff MT:NMT

-HMT의 성질

-NMT이므로 NMT의 성질을 따름

-모든 egv는 real이다.(link)

-HMT가 가역이라면 inverse도 HMT이다.

-positive-definite의 성질

-positive-definite HMT는 invertible이고 inv도 positive-definite이다.(link)

-positive-definite HMT은 positive egv만 갖는다.

-모든 대각성분은 양수이다.((1,0,0,...,0)같은 것을 정의에 대입)

-positive-semidefinite의 성질

-모든 대각성분은 nnn이다.((1,0,0,...,0)같은 것을 정의에 대입)

-SMT의 경우

-HMT이므로 HMT, NMT성질 다 따름

-egv가 real인것도 알고, egv도 real이 되게 선택가능->SMT:odgMT가 된다.

-skew-HMT의 성질

-NMT이므로 NMT의 성질을 따름

-모든 egv는 complex(imaginary)

-


-UnMT의 성질

-NMT이므로 NMT의 성질을 따름

-모든 column은 orthonormal basis를 만든다.

-모든 row은 orthonormal basis를 만든다.

-egv의 절댓값이 항상 1(복소평면상에서 UO1에 놓임)

-About Canonical Form

-About Matrix Norm






-------------------------------------------------------------------------------------------------------

-About Positive-definite, or Positive-semidefinite

-H에 대해 H:positive-definite iff 모든 egv(H)가 양수

-psdH의 egv는 모두 nnn

-psdsymM은 주대각성분이 모두 양수이고, 주대각성분의 최댓값이 모든 abs(entry)중 최대이고, Gaussian elimination중 생기는 모든 leading principal submatrices가 psdsym이 된다.

-About Similarity


-About egv, egv, egS


-About Decomposition, Form


-About Invertible

-egv가 


-invariants under similarity:charP, mP, egv, tr, det, rank, 

-for distinct egv(MT(F)), lind egv(MT(F),egv)을 얻는다.

-egS(MT(F), egv)는 invariant subspace of MT(F)이다.

-acF에 대해선 tr(MT(F))=sum of all egv including multiplicity.


-canonical form

the collection of all NMT(C), unitarily similarity->diagonla matrix

the collection of all MT(acF), similarity->Jordan canonical form

the collection of all MT(F), similarity->Frobenius normal form

-MT(F)가 가역 iff all egv가 nonzero





-모든 VS는 norm을 갖는다.

-for any MT, te UM s.t. MT usim UM

-MT에 대해서 udg iff normal

-ct(MT)MT는 psdH가 된다.

-rank(ct(MT)MT)=rank(MT)

-H의 egv는 모두 real(따라서 symM의 egv도 real)



-

-MT의 egv는 union of {z in C||z-MT(k,k)||<=deleted abs kth-row sum of A} over k=1,2,3,...,n에 속한다.(Gershgorin)

-MT가 strictly diagonal dominant이면 가역이다.

-MT가 weakly diagonally dominant이고 irreducible이면 가역이다.

-symM이 weakly diagonally dominant이고 irreducible이고 모든 diagonal이 nnn이면 pdsymM이다.

-

-lim k->inf MT^k=0 iff specR(MT)<1

-for any || || on CMT, |egv(MT)|<=||MT||

-eps te || || on CMT s.t. for any MT in CMT, ||MT||<=specR(MT)+eps

-1-induced norm of MT(mxn)은 the maximum abs column sum of MT(mxn)

-2-induced norm of MT(mxn)은 sqrt(specR(ct(MT)*MT))

-inf-induced norm of MT(mxn)은 the maximum abs row sum of MT(mxn)

-(Frobenius norm)2-entrywise norm of MT(mxn)은 sqrt(tr(ct(MT)*MT))

-

-E:complete, f:E->nvs가 contraction이면 f는 unique fixed point을 갖는다.(iteration으로 얻을 수 있다.)

-

-Invariants under unitarily transformation:닮음변환에서 가능한 것들+Frobenius norm

-

-Householder Matrix is U and H

-Householder Matrix is elementary reflection matrix.

-H:Househodler Matrix over v일 때, Hx는 v를 법선으로하고 원점을 지나는 평면을 기준으로한 x의 reflection이다.

-임의의 MT는 QR-decomposition가능 (Q는 U의 곱, R은 UM, using Householder matrix, Givens Rotations, 혹은 Gram-Schmidt orthogonalization이용)

-임의의 MT는 upper Hessenberg matrix와 usim

-------------------------------------------------------------------------------------------------------


Banach Space

Inner Product Space


Hilbert Space


Application(목적위주로 적혀져야함, 기본 Basic은 위에 적혀져야하지만)

*Solving MTx=b(Numerical), where MT:invertible

-LU-Decomposition

장점:MT를 한번 LU로 decomposition하고나면 b가 달라져도 구하기 쉽고 계산량도 적음

Techniques:

-partial pivoting

LU-Decomposition중에서 pivoting이 0이거나 abs가 작을 때 쓰는 technique

psdsym인 경우 partial pivoting이 필요없다.

-Jacobi Method

-Gauss-Seidel Method

-Conjugate Gradient Method

*2nd order elliptic pde

-FDM

장점:MTx=b문제로 환원될 수 있다. 


*Eigenvalue problem

-Householder Algorithm

-QR-Decomposition

장점:

이론적 배경

-Jacobi Algorithm

장점:symM의 eigenvalues와 eigenvectors을 iterative하게 compute가능

이론적배경:Unitarily transformation은 Frobenius norm과 eigenvalue를 불변시킴 

단점:수렴이 늦음

-Power Iteration

*Combinatorics

-(Stirling's Formula)

:lim n->inf n!/{(sqrt(2*pi*n) * n^n * e^(-n)}=1, 즉 n!을 근사할 수 있음

-proof(using PD(1) and chf)(link1)(link2)

*Geometry and Differential Geometry


*Linear Programming

-정의:a technique for the optimization of a linear objective function, subject to linear equality and linear inequality constraints.

-특징:

-feasible region is a convex polyhedron(the intersection of finitely many half spaces)

-objective function:real-valued affine function defined on this polyhedron

-Linear Programming problem is to find a point on the polyhedron that is on the plane with the highest possible value.

-Objective Function/Subject to/로 표현, Matrix form(Augmented form, slack form)으로 쓰여진다.

-성질:

-Every Linear Programming(Primal Problem) can be converted into a dual problem

-(Weak Duality Theorem)Dual Problem은 Primal Problem의 Optimal Value의 upper bound를 줄 수 있다.

-(Strong Duality Theorem)만약 Primal Problem이나 Dual Problem 중 1개가 finite optimal value를 갖는다면, 서로는 같다.

*Homogeneous Linear Difference Equations(y_t, phi_p)

-형태와 associated polynomial equation:(link)

-사용용도:

-(In Time Series)p-th degree lag polynomial(Filter, Lag operator부분 참조)의 inverse구할 때 이러한 형태의 DE가 등장함

-성질:

-stability condition이란 associated polynomial equation의 모든 root의 abs가 >!일 때를 가리킨다. p-th order homogeneous linear difference equation의 associated polynomial equation이 stability condition을 만족하면, {y_t}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한다.(따라서 {y_t}:abs summable)(link)

*Integral Transformation

-형태

-functions space A1 with domain S1, functions space A2 with domain S2, A1과 A2를 잇는(A1->A2) integral transformation with kernel function, kernel function의 domain은 S1 x S2, (t,s)라 표현하자.

-kernel function이 inverse를 갖는다면, inverse transformation을 정의할 수 있음(A2->A1)

-integral range도 transformation마다 다름, 

-사용용도:

-(A1,S1)에서의 문제해결이 쉽지가 않아서 (A2,S2)로 보내서 solution찾아서 그걸 다시 inverse transform해서 original solution찾는 게 주 사용용도이다.

-성질:

-General Theory

-모든 integral transformation은 linear operator이다. 왜냐하면 integral이 linear operator이므로

-(Schwartz kernel Theorem)

:linear operator를 integral transformation으로 표현하는 방법(단 kernel의 조건이 조금 general되는 경우)

-(Fredholm theory)

-Specific Transformation

-About One-side Laplace Transformation

-(A1,S1)=(iv function, [0,inf)), (A2,S2)=(iv function, C), not all C, S2 depends on input function

-Kernel=exp(-ts), inverse kernel=exp(st)/(2*pi*i)

-integral range:[0,inf) (따라서 one-side라 함)

-inverse integral range:c-i*inf, c+i*inf, c:depends on input function

-사용용도

-density1, density2가 다르면 transformed도 다르다.(즉 transformed가 같으면 density도 같은 것)

(물론 density가 [0,inf)에서 0인 것에 대해서는 사용 못함)

*Lie Group

-


   


*Examples



countable, co-countable C4

-C4(all singleton)이랑 같다.

-J가 uncountable이었으면 이것은 countable generating set을 가질 수가 없다.(link)


C3인데 not C4인 예

-J=[0,1)로 잡고, C3=the collection of all f-union of disjoint intervals of the form (a,b] in J



E1에 strict total order relation, E2에 strict total order relation, E1xE2와 E2xE1에 각각 dictionary order relation주면 E1xE2와 E2xE1가 다른 order type을 가질 수도 있다. 그 예는?(link)


countable TS with strict total order relation이 not discrete topology인 예는?(link)



T0인데 not T1인 예

T1인데 not T2인 예

T2


U:open, U랑 int(cl(U))가 다른 예(link)

bijective이고 conti인데 not homeo인 예

quotient map인데 neither open nor closed(link)

sequential conti인데 not conti인 map(link)

continuous function의 image of limit point compact가 not limit point compact인 예(link)

T2에서 limit point compact인데 not closed인 subset의 예(link)

f:TS1->TS2, conti, TS1:locally compact, f(TS1):not locally compact인 예(link)


cofinite topology on uncountable set의 특징

-not first-countable

-not T2

-T1

-finite set만이 closed set이다.

-모든 E는 compact된다.

-특히 R에서

-


S_Z의 특징(order top이므로 order top의 성질을 모두 따름)

S_Omega.pdf


-S_Z는 largest element를 갖지 않는다.

-not compact

-not metrizable

-S_Z의 countable subset E는 upperbound in S_Z를 갖는다.

-least upperbound property만족

-모든 closed interval(not singleton)은 compact

-LKT2

-sequential closure와 그냥 closure가 다를 수 있음

-limit point compact

-sequentially compact

-first-countable

-not separable

-not second-countable

-not lidelof

-ocl(S_Z)=cl(S_Z)

-cl(S_Z)의 특징

-least upper bound property

-compact

-not first-countable

-not second-countable

-not separable

-lindelof

-not metrizable

-Z가 limit point of S_Z이다.


LL(long line)의 특징

-정의

-LL=S_Z x [0,1) with dictionary order with deleted smallest element

-특징

-path-connected

-locally homeomorphic to R(std)

(not imbedded in R(std))

R(std)의 특징

-C4(TS)는 C4({(a,b)}, C4({(a,b]}), C4({[a,b]}), C4({(-inf,a]}), C4({(-inf,a)})와 같다.

-모든 nonempty open set은 disjoint c-union open intervals로 표현가능(link)

-모든 closed interval(not singleton)은 uncountable이다.

any subset whose complement is countable is dense in R(std)(link)

-homeo (-1,1)(둘다 order top)

-R(std)<R(l)

-R(std)<R(K)

-nonempty perfect subset은 uncountable

-uncountable subset은 반드시 limit pt를 갖는다.

-[0,1]

-compact, limit point compact, sequentially compact

-connected, path-connected, locally connected, locally path-connected

-ocl(R(std)) homeo 1-dim sphere

-second-countable

-contractible

-metrizable

-T2

-T3

-T4

-C4(top)은 generating set을 {(a,b)}, {[a,b)}, {(a,b]}, {[a,b]} 다 가능

-Lebesgue Measure(LM)

-건설:RSC3={empty, all bdd intervals}, RSC3에 vol이란 PM을 주고, {all PM*ME}에서의 measure

(C4(RSC3)는 C4(TOP)가 된다. 즉 Borel sigma algebra)

-특징

-complete(Borel sigma algebra에서는 not complete

-f:R(std)->R(std)의 성질(a,b in R)

-정의역이 [a,b]인 경우

-f가 monotone이면 

-불연속점의 개수는 at most countable

-(Lebesgue's Theorem)미분불가능한 점의 개수는 lebesgue measure에 대해 almost everywhere

-{f_n} on [0,1], Berenstein Polynomial of degree n, uni cv to conti f(link1)(link2)

-f가 conti이면 antiderivative를 갖고,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FTOC)

:f:conti on [a,b], F(x)=int from t=a to t=x f(t)dt일 때, F는 미분가능, F'(x)=f(x)

(즉 f가 conti이면 anti-derivative를 갖고 그것은 diff라는 것)

-(Integration by Substitution)

:f1 on [a,b]:conti이고 te f2 s.t. C^1 on [c,d], f2([c,d])=[a,b]인 f2가 있다면

int from x=a to x=b f1(x)dx = int from t=c to t=d f1(f2(t))*f2'(t) dt가 성립

(즉 실제 적용시, 전자를 후자로 하게끔하는 f2를 찾는 것이다.)

(f1의 conti는 integral 정의를 위함이고, f2의 C^1도 등식의 후자에 integral 정의를 위함)

(증명은 FTOC이용)


-정의역이 (a,b)인 경우


-정의역이 R인 경우

-f가 monotone이고 bdd이면 불연속점의 개수는 at most countable

-{f_k}, {a_n}:any rv seq일 때, te {f_(n_k)} s.t. cv at all a_n(그 수렴값은 +inf, -inf을 취해도 된다고 할 때)(link)

 -About Convex Functions

-정의:

-I(interval, open이든 closed이든, finite이든 뭐든 어쨋든 interval, singleton일 수도)에서 정의된 f가 convex란, 

f(ax+(1-a)y)<=a*f(x)+(1-a)*f(y) for all x,y, in I, for all a in [0,1]

-f on I, f has support at t in I란, te linear function g(x)=f(t)+m*(x-t) s.t. g<=f on I

-성질:

-f:convex on I일 때, 

-[a,b]<I에 대해 f는 Lipschitz-conti on [a,b], f는 abs conti on [a,b], f는 conti at x in Int(I)

-left(right)-derivative exist on Int(I), 그리고 각각은 inc이다. 

-f:convex on open interval I일 때, E={x in I s.t. f' not exist at x}, E:at most countable이고 I-E에서 f'은 continuous

-f:convex on (a,b) iff te at least one line of support for f at each x in (a,b)



R(l)의 특징

-R(l)과 R(K)는 not comparable

-First-countability

-separable

-lindelof

-not second-countable

-not metrizable

-totally disconnected(path-connected component, connected component 모두 singleton)

-not compact

-not limit point compact

-not sequentially compact

-[0,1]

-not limit point compact

-not compact

-not sequentially compact

-T2

-T3

-T4

-CN

-T5

Sorgenfrey plane의 특징(inverse diagonal {(x,-x)}가 중요한 역할함)

-not lindelof(but lindelof 2개 곱해서 얻은 product topology임)

-T2

-T3

-not T4


R(K)의 특징

-[0,1]이 not compact subspace

-not path-connected, path-connected component={(-inf,0],(0,inf)}

-not locally connected

-not locally path-connected

-T2

-not T3

-connected



[0,1]x[0,1] with dictionary order(ordered square라 함)의 성질

-R(std)xR(std) with dictionary order의 subspace랑은 다르다.

-First-countability

-linear continuum

-connected

-compact

-not path-connected

-locally connected

-not locally path-connected

-lindelof

-not metrizable

-not second countable

R^n의 특징(n>=2)

-C4(TS)=C4({open rectangles})=C4({(-inf, x)}

(R^n에서의 order는 각 coordinate 모두에 성립하는 order로써 정의가능)

-임의의 nonempty open set은 nonoverlapping c-union of closed cubes로 쓰여질 수 있다.

(nonoverlapping이란, interior가 disjoint인)

-product top from each order top=uniform top=box top=top from euclidean metric=top from square metric

-with dictionary order from each standard order top이면, metrizable

-countable set을 빼도 path-connected, connected

-open connected E는 path-connected된다.

-E:compact iff E:closed and bdd wrt euclidean metric

-second-countable

-complete in euclidean metric, or square metric

-(Vitali Covering Theorem)

-Version 1(link)

:E:bdd subset, F:a collection of open balls which are centered at points of E s.t. every point of E is the center of some ball of F일 때

->te a seq (B1,B2,...)(유한 seq일 수도 있음) of balls from F s.t. (B1,B2,...):disjoint and E<union of (3B_i)

-Version 2(infinitesimal)(link)

:E:subset, F:a collection of closed balls with positive radius which satisfies 

"x in E, eps>0이면 te B in F s.t. x in B and rad(B)<eps"

이면 ->te a seq (B1, B2, ...)(유한 seq일 수도 있음) of balls from F s.t. (B1,B2,...):disjoint and E<union of (B_i) except for a null set

-Lebesgue Measure(LM)

-건설:RSC3={empty, cartesian product of bdd intervals}, vol이란 PM를 주고 extension해서 {all PM*ME}에서의 measure

(C4(RSC3)는 C4(TOP)가 된다. 즉 Borel sigma algebra, {all PM*ME}가 더 넓은 sigma-algebra)

-특징:    

-complete(Borel sigma algebra에서는 not complete)

-Lebesgue Measure 건설 과정을 보면은, RSC3->C3(RSC3)->C3(RSC3)(U)->C3(RSC3)(U)(I)->...->{all PM*ME}

-C3(RSC3)(U)(I)로 Lebesgue Measurable set을 approximation할 수 있다.(sf-M이므로 가능해짐)

(C3(RSC3)(U)(I)엔 open, closed, compact 다 포함되어있다.)

(outer measure값이 finite이면 조금 작은 compact 잡을 수 있다.)

(조금 큰 open set, 조금 작은 closed set 잡을 수 있음)

-C3(RSC3)(U)나 C3(RSC3)(U)(I)로 임의의 E in P(R^n)의 Lebesgue Outer Measure approximation가능

-Lebesgue Measurable인데 not borel set

-P(R^n)에서 not Lebesgue Measurable set

-f:R^n(std)->R^m(std)의 성질

-f:vector-valued일 때

-정의

-D_f(x_0)란 derivative of f(matrix을 가리킨다. entries는 partial derivatives, Jacobian Matrix라고도 함)

-n=m일 땐, J_f란 det(D_f)을 가리킨다. (Jacobian of f)

-x_0:critical point of ff:diff at x_0 and D_f(x_0)=0일 때

-C^n-f란, f의 n번 partial derivative가 exist and continuous

-성질

-(Inverse Function Theorem for multivariate, m=n)

:C^1-f on open U의 J_f가 non-zero라면(즉 derivative가 invertible), f는 U에서 inverse를 갖고 inverse도 C^1. 게다가 D_f(x_0)의 inverse matrix는 D_f^(-1)(f(x_0))   


-D_f(x_0)의 성질

-f:diff at x_0일 때(derivative의 존재성보다 약간 강한 조건임), D_f(x_0)는 the best linear approximation near at x_0가 된다.

-J_f의 성질

-Inverse Function Theorem

-Multiple Integral에서 transform이용

:좌표변환이라 함은, 기존좌표계 with dV(대게 직교좌표계)에서 

"이전 좌표계(구면, 원통 등 있다고 생각)->기존좌표계"인 함수 g를 찾고,

g를 이용하여 multiple integral 수정 with dV'=dV*|J_g|

-f:rv일 때

-정의

-f has local maximum at x_0란 f(x_0)>=f(x) on a nbd(x_0)

-x_0 is a extreme point of f란 f가 x_0에서 local maximum이나 local minimum을 가질 때

-x_0:saddle point of f란 critical point x_0 of f가 not extreme point of f일 때 

-Hessian of f at x_0란 D_(D_f)(x_0)

-성질

-lim (x,y)->(0,0) f(x,y)가 존재하면, lim x->0 f(x,0)도 존재하고 lim y->0, f(0,y)도 존재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f:diff at x_0, x_0:extreme point of f일 때 D_f(x_0)=0이다.

-C^2-f에 대해 x_0:critical point of f and Hessian of f at x_0:negative-definite이면 f has a local maximum at x_0

(C^2-f에 대해 partial converse:f has a local maximum at x_0엿다면 Hessian of f at x_0:negative-semidefinite)

-partial integral로 얻은 함수의 성질(편의상 n=2일 때 생각)

-f:(x,y)->R(std), int f(x,y) dx=F(y)라 하자. 이 때 F(y)가 conti at y_0할 충분조건은, 

-te g(x) in L1 s.t. |f(x,y)|<=g(x)

-f(x,y):conti wrt and at y_0

2가지를 다 만족시키면 된다.(Using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dF(y)/dy의 경우도 유사, link참조(link)

-(Integration by Substitution)

:f1:conti with compact support contained in some open set V in R^n이고

te f2:U->V s.t. U:open in R^n, f2:1-1, C^1, J_f2:non-zero in U일 때

int in V f1 = int in U f1(f2)|J_f2|

-star convex subset은 simply connected이다.

-any convex subspace has a trivial FHG

R^J의 특징(uncountable cartesian product)

-product top<uniform top<box top(J가 infinite이면 다 strict해짐)

-product top

-not metrizable

-not normal

-Function Space입장

-J=(MetricS, d), (R(std), euclidean metric)

-for f in R^J, the set of discontinuities of f is ME(link)

R^N의 특징

-product top

-metrizable(그리고 그 때 complete도 됨)

-path-connected

-connected

-not locally compact

-not compact

-second-countable

-uniform top

-metrizable by d_uni

-not connected, by bdd seq and unbdd seq(separation됨)

-locally path-connected(따라서 path-connected component=connected component)

-x,y가 같은 connected component iff x - y:bdd

-first-countable

-not second-countable

-not separable

-not lindelof

-box top

-not metrizable

-not connected, by bdd seq and unbdd seq(separation됨)

-not locally path-connected

(하지만 path-connected component와 connected component가 같음)

-x,y가 같은 connected component iff x - y:eventually zero

-not first-countable

-Sequence관점({x_n}, {y_n} in R^N, S_n:=sum from i=1 to i=n x_i, T_n:=sum from i=1 to i=n y_i)

-limsup과 liminf는 monotone

-limsup x_n = sup {all limit points of x_n} / liminf x_n = inf { all limit points of x_n}

-limsup x_n < r이면 x_n < r for large n

-limsup x_n > r이면 x_n > r for infinitely many n

-liminf x_n + liminf y_n <= liminf(x_n + y_n)<=limsup x_n + liminf y_n <= limsup(x_n+y_n) <= limsup x_n + limsup y_n

(따라서 {x_n}이 cv to x이면 limsup(x_n+y_n)=x+limsup y_n)

-{x_n}과 {y_n}이 nnn이면 limsup(x_n*y_n)<=limsup(x_n)*limsup(y_n)

-{x_n}이 nnn이면 limsup(1/x_n)=1/(liminf x_n), liminf(1/x_n)=1/(limsup x_n)

-(Kronecker's Lemma)(link)

:{x_n}:inc with lim n->inf x_n =inf이고 sum from n=1 to n=inf (y_n / x_n) cv with finite value이면 

(T_n / x_n):cv to 0

-(using Upcrossing)(link)

:{x_n}:cv in ETR(std) iff for any rationals a<b, beta(a,b)<inf where beta(a,b)는 link참조


-Series관점

-{x_n}:abs summable, {y_n}:abs summable->{x_n conv y_n}:abs summable


Topologist's Sine Curve의 특징(0x[-1,1]없는 걸 E라 하자. cl(E)도 주요 관심대상, 대게 cl(E)를 topologist's sine curve라 한다.)

-cl(E)는 connected

-cl(E)는 not path-connected

-

N(std)의 성질

-LKT2

-ocl(N(std)) homeo {0}U{1/n|n is in N}


UO1의 성질

-


Torus의 성질

-subspace in R^4(std)

-Torus=UO1xUO1 with product topology

-covering space R(std)xR(std)을 갖는다. using covering map:R(std)->UO1, f(t)=(cos(2*pi*t), sin(2*pi*t))

-Torus homeo doughnut-shpaed surface D in R^3(std)


Lagrange's Theorem의 역이 성립안하는 예(link)

N_G({g})와 N_G(<g>)가 다른 예(link)

S1S2=S2S1인데 S1 _< N_G(S2)가 아닌 예(link)

S1S2가 not subgroup of G인 예(link)

SNS가 not normal in G인 예(link)

S1 _< N_G(S2)인데 S1 _<! S1S2인 예(link)

order(g1)<inf, order(g2)<inf인데 order(g1g2)=inf인 예(link)

G=G, J=NS, conjugation action on J by G, homo by act, homo(g)가 Inn(NS)의 원소가 아닌 예(link)

homog:G1->G2, homog(G1) is not normal in G2인 예(link)

모든 원소가 finite order를 갖고, 임의의 자연수 n을 order로 갖는 g가 항상 존재하는 group의 예(link)

S<G, Aut(S)의 원소이지만, Inn(S)의 원소가 아닌 예(link)



V_4의 성질

-order:4

-ab=c, bc=a, ca=b형태

-abelian

-Aut(V_4) giso S3

-Inn(V_4)=1

D_2n의 성질

-order:2n, reflection:n, rotation:n

-rotation(2pi/n)을 r이라하고 reflection(중심과 1을 이은 직선 기준인)을 s라 하면 r과 s로 모든 원소 representation가능

-r*s=s*r^(-1), [r,s]=r^(-2)

-C(D_2n)=<r^2> _<! D_2n

-n>=3인 odd면 

-Z(D_2n)={e}, 

-<r^2>의 order:n

-D_4n giso D_2n x Z/2Z

-n=2k인 even이면 

-Z(D_2n)={e, r^k}

-<r^2>의 order:2n/4

-D_2n/<r^2> giso V_4



-D_8의 성질

-Z(D_8)=<r^2>=C(D_8)

-NS=<s,r^2>, <r>, <rs,r^2>, <r^2>

-conjugate class={1}, {r^2}, {r,r^3}, {s,sr^2}, {sr,sr^3}

-Aut(D_8) giso D_8

3차원 정다면체 관련

-정다면체의 한 꼭지점에서의 정다각형들의 내각의 합은 360도보다 작다.

-정다면체가 5종류이고, n:정n각형, p:한 점에서 만나는 정n각형의 개수 

(n,p)=(3,3), (3,4), (3,5), (4,3), (5,3)임을 앎

-v-e+f=2를 이용하면 다 앎

-symmetries group의 order는 v*(한 꼭짓점에 걸리는 변의 개수)


-GL_n(F)의 성질

-subgroup으로는 SL_n(F), LM(F), UM(F)

-Z(GL_n(F)는 k*identity, k is in F



-Q_8의 성질

-order8이면서 non-abelian인 예, 하지만 모든 S는 NS.

-Z(Q_8)=<-1>=C(Q_8)

-<i>={-1, -i, 1, i}

-N_(Q_8)(<i>)=Q_8

-N_(Q_8)(i)=<i>

-conjugate class={1},{-1},{i,-i},{j,-j},{k,-k}

-Aut(Q_8) giso S_4

-S_n의 성질

-n>=3이면 Z(S_n)=1

-n>=5이면 nontrivial proper normal subgroup은 A_n뿐

-n이 6만 아니면, Aut(S_n)=Inn(S_n) giso S_n

-n=6이면 [Aut(S_n):Inn(S_n)]=2

-n=prm일 때, |N_S_n(Sprm)|=prm*(prm-1), Sprm이란, Sylow prm-subgroup

-S_3의 성질

-NS=<(1,2,3)>

-Sp(p=3)=<(1,2,3)>

-Sp(p=2)=<(1,2)>, <(1,3)>, <(2,3)>, 총 3개 

-S_4의 성질

-Sp(p=2), 총 3개, giso D_8

-Sp(p=3), 총 4개, giso Z_3

-A_n의 성질
-n>=3이면 3-cycles로 generated됨
-n>=4이면 
-Z(A_n)=1(link)
-C(A_n)={1,(12)(34),(13)(24),(14)(23)}
-n>=5이면 
-non-abelian
-simple
-type(2,2)로 generated
-any two 3-cycles in A_n are conjugate in A_n
-perfect
-A_4의 성질
-A_4 giso 정사면체 group of symmetries
-order 6인 subgroup존재 안함
-Z(A_4)=1
-Sp(p=2)=<(1,2)(3,4), (1,3)(2,4)>, 1개
-Sp(p=3), <(1,2,3)>, <(1,2,4)>, <(1,3,4)>, <(2,3,4)>, 총 4개
-A_5의 성질
-order:60
-non abelian simple group중 order가 제일 작은 group임
(1-cycle, 3-cycle, 5-cycle, (1,2)(3,4)류, 각각 centralizer구하고(S_5에서 구하고 A_5에 들어가는놈 or 직접)
-conjugacy class의 order=1, 20, 12, 12, 15->따라서 simple(normal subgroup과 conjugacy class관계)


-H(R)의 성질
-RG인 RQ_8과는 다르다. 1+(-1) = 0 in H(R), but 1+(-1) is not zero in RQ_8
-not commutative DR
-H(Q)가 subring이고 DR이다.

-Z/nZ의 성질

-|G|의 factor당 subgroup이 유일하게 존재

-모든 S가 char

-abelian

-G of order n의 generator개수:ephi(n)

-Aut(Z/nZ) giso (Z/nZ)^*

-Inn(Z/nZ) giso 1

-id, subgroup은 nZ
-n1Z+n2Z=gcd(n1,n2)Z
-Z[x]를 이용해 만든 방정식은 Z/nZ에서도 성립해야됨(해가 존재안함을 보이거나 존재해도 mod n으로 해석가능)
-gcd(n1,n2)=1일 때 Z/n1n2Z riso (Z/n1)x(Z/n2), (Z/n1n2Z)^*  giso (Z/n1Z)^*x(Z/n2Z)^*
(ephi가 multiplicative이고 ephi의 계산에 도움되는 내용을 줄 수 있다.)
-Z의 성질
-Inn(Z) giso 1

-Z[x]의 성질

-id={deg가 >=2인 것들}union{0}, Z[x]/id는 zd를 갖지만, Z[x]는 zd를 안가짐

-id={계수가 모두 even인 것들}, 


-Q의 성질

-additive group로 볼 때

-not cyclic

-te no maximal subgroup

-R(std)의 subspace로 볼 때

-not open subspace

-not closed subspace

-not locally compact

-C의 성질

-infinite product of complex numbers의 convergence

-정의:c-product from i=1 to i=inf (1+a_i)이 cv if te k s.t. c-product from i=k to i=n (1+a_i) cv to nonzero as n->inf

-성질:

-c-product from i=1 to i=inf (1+a_i)가 cv iff c-sum from i=1 to i=inf log(1+a_n):cv(link)

(단, Re(a_n) > (-1) for n=1,2,3,..., 만약 아니면 이게 성립할 때부터 곱셈시작으로 간주하면 됨)

-c-product from i=1 to i=inf (1+a_i)가 abs cv iff c-sum from i=1 to i=inf a_i:abs cv(link)

-f:C->C관련

-(Cauchy-Riemann Equation, CRE)

:Re(f)의 x미분=Im(f)의 y미분 and Re(f)의 y미분=Im(f)의 x미분*(-1), 이것은 iv-diff의 필요조건

-Power Series 관련(Center가 0인 경우만 따져도 됨)(PS(z)=sum from n=1 to n=inf (a_n)*(z)^n라 하자)

-PS(z1):cv이면 for |z|<|z1|, PS(z):cv

-(RoC의 존재성)for any PS, 

te R s.t. 

-0<=R<=inf, 

-|z|<R이면 PS(z):abs cv

-|z|>R이면 PS(z):diverge

-PS:uni cv on {z s.t. |z|<=A<R}

-RoC 구하기

-RoC={limsup(a_n)^1/n}^(-1)

-PS의 도함수 또한 RoC가 같다.

-PS1, PS2(with same center), PS1+PS2의 RoC>=min{RoC1, RoC2}, PS1*PS2의 RoC>=min{RoC1, RoC2}

-lim n->inf a_n=0이면 RoC>=1

-PS의 도함수는 term-by-term 미분해서 얻을 수 있다.

-


-Laurent's Series관련



-Elementary functions

-log(with principal branch):ocl(C) - (-inf,0] ->C

-exp:C->C-{0}

-entire

-

-Analytic관련

-정의:

-f:analytic at z if f has a power(taylor) series with positive RoC centered at z

(RoC:Radius of Convergence)

-성질

-f의 analytic 가능한 points의 모임은 open이다.

-f가 CRE를 만족하고 Re(f)와 Im(f)가 C^1이면 f:analytic on 가정만족하는 영역

-f:analytic on open E이면 for z_0 in E, f의 taylor series centered at z_0의 RoC는 dist(z_0, Bd(E))

-(Binomial Theorem)

:(1+z)^a where a:complex는 다음 taylor series를 갖는다. 

sum from n=0 to n=inf (aCn)*x^n 

(단, RoC는 a마다 그때그때 구해야함)

-(Residue Theorem)



-C^N의 성질

-iv-sequence관점

-|z_n|은 R^N 이므로 R^N에서의 sequence성질 모두 만족

-z_n≠0일 때, liminf(|z_(n+1)/z_n|)<=liminf(|z_n|)^(1/n)<=limsup(|z_n|)^(1/n)<=limsup(|z_(n+1)/z_n|)(link)

(즉, Ratio Test보다 Root Test가 더 좋다.)

-Re(z_n)과 Im(z_n)이 cv iff z_n:cv

-iv-series관점

-abs cv이면 cv도 됨

-abs cv 판정법

-

-iv-functions sequence of sequence(double seq, z_(m,n)을 m번째 seq로 볼 수 있다.)

-z_(m,n)이 double limit이 존재하면, lim m->inf lim n->inf z_(m,n)도 존재(역은 성립하지 않음)

-Tonelli나 Fubini정리 사용가능 조건이면

-sum from m=1 to m=inf {sum from n=1 to n=inf z_(m,n)}은 double series의 limit과 같게 된다.

(sum from n=1 to n=inf 부터 적어도 마찬가지)



 


fCbdd(TS):uniform metric을 주면 BS

fCconti(TS):uniform metric을 주면 BS

fCcontibdd(TS):uniform metric을 주면 BS


fCcontiKS(TS):uniform metric을 주면 BS

fCcontiV(TS):uniform metric을 주면 NVS


 

 





*기초 부등식

1. 1-x<=e^(-x) for x in [0,1]

2. (Young's Inequality)a:nnn, b:nnn, 1/p+1/q=1, p>0, q>0이면 ab<=(1/p)*a^p + (1/q)*b^q (link)

3. for iv {a_n}, iv {b_n} s.t. |a_n|<=1, |b_n|<=1, 

|Prod from i=1 to i=n a_i - Prod from i=1 to i=n b_i|<=sum from i=1 to i=n |a_i - b_i|



*Special Functions

1. Gamma function(T(z)라 적자.)

-History:Euler가 Factorial function n!의 domain 확장할 때 알아냄

-정의:factorial의 일반화(link1)(link2)

-성질:

-T(z):meromorphic with poles 0, (-1), (-2), ... 

-(1/T(z)):entire with zero at 0, (-1), (-2), ... 

-T(z+1)=z*T(z), T(1)=1(link)


-T(1/2)=sqrt(pi), T(3/2)=sqrt(pi)/2 (더 감소한다, 증가할 것 같았는데)(link)

-Re(z)>0인 z에 대해 T(z)는 적분으로 표현가능(link1)(link2)


2. Beta function(Β(z1,z2)라 적자.)

-정의:for Re(z1)>0, Re(z2)>0, Β(z1,z2):=int over [0,1] t^(z1 - 1) * (1-t)^(z2 - 1) dt.

-성질:

-Β(z1,z2)는 z1,z2에 대해 symmetry

-Β(z1,z2)={T(z1)*T(z2)}/(T(z1+z2))(link1)(link2)



들은 수업
1. 실변수함수론(신수진교수님)

수업:수업교재(Real Analysis, Royden 3판)보다는 Lecture Note중심, 교재의 Chapter10, 11, 12, 13을 배움

숙제:각 시험마다 숙제를 3개씩 내줌, 총 3번 시험을 치므로 학기중 숙제 9번, 출석체크 없으며 숙제도 성적에 반영안되고 스스로 공부하는 용

도움:Normed Vector Space, Topological Vector Space, Locally Convex Space, Banach Space, Lp Space, Outer Measure, Product Measure, Duality 위주로 배움, 매 수업(50분)마다 많은 양을 배우므로 그때그때 복습해가며 수업을 들어야한다. 특히 직전 수업까지의 내용을 필히 복습하고 수업을 들어야한다. 증명을 다 보진 못하더라도 내용은 알고 수업에 임해야함. 매주 월요일(18시40분~)퀴즈를 치름, 총 13번 침. 시험에는 안배운 용어들도 등장(ex. Totally bounded라는 개념을 수업에 다룬 적이 없어도 알거라 생각하고 첫시험에 나옴, 두번째 시험에는 첫번재 시험범위였던 Weak*compact등이 나옴)

반성:첫, 두번째 시험이후부터는 매 수업의 내용을 그때그때 정리하는 버릇이 들었고, 증명기법들이 쉬워져 따라가기 쉬웠다. 두, 세번째 시험부터는 숙제를 거진 다 풀고 시험에 임해서 편했다. 진작 이렇게 했었어야했는데... 그리고 너무 많은 양을 따라가다보니, 지금은 많이 까먹은 상태...


2. 수치해석학(곽도영교수님)

수업:Lecture Note중심, 기본적인 nonlinear equation해법(Bisection, Newton, Secant 등과 그것의 improved형태들), Approximation for curve, Interpolation, Numerical Integration using quadrature, ODE기본해법 복습, LU-decomposition, Eigenvalue Problem, QR분해 등을 다룸

숙제:코딩(C언어나, 매트랩 등으로 작성), 기본 적인 Theorem 증명

도움:코딩 숙제가 꾸준히 나와 좋으나(코딩 기억 유지하는 데에는), 수업이 타이트하지 않음, 크게 배운게 없을 정도, 고급 선형대수 배우는 느낌

반성:앞으로 할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될지 미지수. 그래도 선형대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데에는 도움이 됐다. 잘정리해둬서 박사과정 퀄 칠 때 다시 보기 좋게 해두자.


3. Scientific Writing(김은경교수님)

수업:Lecture Note 중심, Scientific Paper의 구성, 문법, 등을 배움

숙제:논문을 읽고 Critique해서 제출

도움:논문의 구성(Organization)과 기본적인 문법을 익히는 데에 도움, 아주 구체적인 글쓰기 방법들을 배움(ex. 확률이 자주 나온다면 확률보다는 구체적인 숫자 100에서 시작해서 데이터를 제시하는게 도움, 등)

반성:확실히 마지막 학기에 듣는게 도움 됐을 듯, 논문도 몇편 봐야하며 자기 논문을 쓴다면 Final 과제도 해결되므로.


밥을 먹을 수 있음에 감사하자.

운동을 열심히 할 수 있음에 감사하자.

공부에 집중할 수 있음에 감사하자.

여태까지 해온 것에 만족하자.

힘드면 기댈 수 있는 친구와 가족이 있음에 감사하자.

힘들었던 과거에 지금은 아무렇지 않음에 감사하자.





전공 공부를 함에 있어서 많은 부분들이 매워지지 못했다. 그 부분에 후회가 되지만, 그때 당시에는 노력을 했음을 잊지 말자. 이러한 빈 공간들이 수업을 듣거나 연구하는 데에 계속 힘들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믿는 한가지가 있다. 그러한 때가 오더라도 나는 극복해서 바른 길을 걸어갈 나라는 것을. 


포기하지말고 정리를 잘하자. 이번 학기에도 역시나 모든 내용을 커버하진 못하였다. 하지만, 방학때나 그리고 이후에 계속 잘 정리하여, 결국에는 커버가 될 것임을 안다. 비록 늦더라도 완벽해질 수 있다.


시간이 더욱 걸릴 수 있다.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포기하지 않고 계속 나아간다면 무언가를 만들어낼 성공을 할 것이라 믿지는 않는다.
그래도 포기를 하지 않을 것이다. 
창의적인 일에 실패를 하게 되더라도, 비록 내가 원하고자하던 길에 비켜서지는 날이 오더라도, 노력한 나는 가득채워져있을 것이다.



*몰랐던 용어

1. Prime, Subprime, Alternative-A Mortgage

신용등급이 낮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주택자금을 빌려주는 미국의 주택담보대출상품. 우리말로 ‘비우량주택담보대출’이라 한다. 신용도가 낮기 때문에 우대금리보다는 높은 금리가 적용된다. 미국의 주택담보대출시장은 집을 사려는 일반 개인들의 신용등급에 따라 크게 3종류 대출로 나눈다. 신용등급이 높으면 프라임(Prime), 낮으면 서브프라임(Subprime), 그 중간은 알트에이(Alt-A: Alternative-A) 모기지이다.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우대금리를 적용 받을 수 있다. 모기지 신용등급은 신용평가회사인 FICO(Fair Issac and Company)라는 곳에서 대출신청자의 과거 대출실적과 대출잔액, 거래기간, 신용대출실적과 신용조회수, 적정수준 대출유지 여부 등 5개 부문을 기준으로 점수를 매긴다. 거래기간이 길수록, 신용점수와 비교할 때 기존대출이 적을수록, 신용조회수가 많지 않을수록, 연체가 없고 적정수준의 대출을 유지할수록 신용점수는 높게 나온다. 점수는 최저 300점에서 최고 850점까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신용점수가 620점 미만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서브프라임 모기지를 받는다. 신용점수 620점은 넘지만, 소득증명이 불완전하거나 두 번째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는 알트에이 모기지에 해당된다.

2. the U.S. subprime mortgage crisis

사태의 발단은 2000년대 초부터 시작된다. 2000년대 초 IT버블붕괴, 911테러, 아프간/이라크 전쟁 등으로 美 경기가 악화되자 미국은 경기부양책으로 초 저금리 정책을 펼쳤다. 이에 따라 주택융자 금리가 인하되었고 그러자 부동산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주택담보대출인 서브프라임모기지론의 대출금리보다 높은 상승률 보이는 주택가격 때문에 파산하더라도 주택가격 상승으로 보전되어 금융회사가 손해를 보지 않는 구조여서 거래량은 대폭 증가하였다. 증권화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은 높은 수익률이 보장되며 신용등급이 높은 상품으로 알려져 거래량이 증폭했다. 하지만 2004년 미국이 저금리 정책을 종료하면서 미국 부동산 버블이 꺼지기 시작했으며 서브프라임모기지론 금리가 올라갔고 저소득층 대출자들은 원리금을 제대로 갚지 못하게 된다. 증권화되어 거래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을 구매한 금융기관들은 대출금 회수불능사태에 빠지게되고 손실이 발생하였고 그 과정에 여러 기업들이 부실화 된다. 미 정부는 개입을 공식적으로 부정했고 미국의 대형 금융사, 증권회사의 파산이 이어졌다. 이것이 세계적인 신용경색을 가져왔고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주어 세계 경제시장에 타격을 준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이다.

3. European sovereign debt crisis

2010년 유럽 국가부채위기는 유럽 국가들의 연쇄적인 국가부도 위기를 말한다.

4. Grexit

Greece(그리스)와 Exit(출구)의 합성어로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를 의미

5. Taxing Power

:과세권, 세금을 매기고 거두어들일 수 있는 권리

6. Moral Hazard

도덕적 위험 ((피보험자의 부주의·고의 등의 인위적 요소에 기인한 보험자측의 위험))7. Insolvency:지불불능상태8. Leverage

레버리지는 ‘지렛대’라는 의미로 금융계에선 차입을 뜻한다. 빚을 지렛대로 투자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레버리지는 경기가 호황일 때 효과적인 투자법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금리)으로 자금을 끌어와 수익성 높은 곳에 투자하면 조달비용을 갚고도 수익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9. refinance

:차환하다. 돈을 새로 꾸어서 기존의 빚을 갚다.

10. distressed debt

:부실채권

11. financial position

:재무상태 (현재의 자산과 부채)

12. financial sector

:금융권

13. balance sheet

:대차대조표, 기업이 결산 에 재정 상태를 한눈에  수 있게 도식화한 기업의 자산을 부채와 자본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양쪽으로 나뉘어 있다

14. Book Value

:장부가격, In accountingbook value or carrying value is the value of an asset according to its balance sheet account balance

15. Creditor

:채권자

16. collected debt

:회수된 빚

17. liquidity

:유동성


*Concepts

-loss sharing problem of past financial crises를 다룬다.

-금융위기란, 작은 가계, 작은 기업체들의 지불불능상태로부터 시작된다.

-생산량 부족이 심해짐->financial leverage가 감당수준 이상으로 많아짐->고위험은 곧 금리의 수직상승을 낳음->refinance많아짐->부실채권을 낳음->금융권 혼란

이러한 문제의 assets는 금융권의 재무상태를 악화시키고, 예금주들의 불안은 은행들의 불안정성을 낳고, 종국에 파산을 낳는다.

-금융위기시, residual assets의 처이리기간 동안 유동성이 떨어지고 그때 정부개입이 필요하다.

-정부개입, 부실채권사들이기와 equity investment or contribution to its equity, deposit insurance(3개)

-

TS(total size of financial crisis)

FSP_f(falling amounts of stock prices of financial sector)

FSP_r(falling amounts of stock prices of real economy)

DD(the amount of distressed debts of real economy)

DPL(the amount of depositors' loss)

B_f(the coefficient of book value of equity used in stock valuation)

CD(the amount of collected debts)

GP(the amount of government's purchases of distressed debts)

GEI(the amount of government's equity investment and contributions to equity of financial sector)

EV(a summation of value of stocks government holds and gain from reselling them)



(post-crisis moment)TS=FSP_f + FSP_r + (1-B_f)*DD + DPL - CD





'제거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접두사, 어근  (0) 2013.06.30
인생8(삶에 감사)  (0) 2013.06.13
Normed Vector Space  (0) 2013.05.14
Topological Vector Space  (0) 2013.05.14
Notation  (0) 2013.05.14

norm은 subLF(nvs), convF(nvs)도 된다. 


(Banach Fixed Point Theorem)

E가 complete, contraction on E가 있으면 contraction은 unique fixed pt를 갖는다.(시작점은 E상 어디든 상관 없음)


*CM(F)라는 nvs에서의 성질

1. f-d nvs이므로 모든 norm이 equivalent하다.

(두 norms가 equivalent해도 sub-multiplicative가 보존되진 않는다.)

2. 종류

(1) induced norm(sub-multiplicative성립)

-general

-p-norm

p=1일 때 maximum of absolute column sum으로 계산가능

p=2일 때 spectral norm이라 하고, 

||M||=root(SpecR(conj(M)*M))으로 계산가능, 특히 HM의 경우는, ||HM||=SpecR(HM)

p=inf일 때 maximum of absolute row sum으로 계산가능

-(p,q)-norm

(2) entrywise norm

p-norm만 생각

p=2일 때 Frobenius norm이라 하고, ||M||=root(trace(conj(M)*M))으로 계산가능, sub-multiplicative성립

p=inf일 때 max norm이라 하고, ||M||=max(M_(i,j)), sub-multiplicative성립안함

(3) Schatten norm(sub-multiplicative성립)

p-norm만 생각

p=1일 때 nuclear norm, or trace norm이라 한다.

p=2일 때 Frobenius norm과 일치

p=inf일 때 spectral norm과 일치

3. 성질

(1) Spec(M)의 모든 원소는 ||M||보다 같거나 작다.(for any norm || ||)

(2) eps, te || || on CM(F) s.t. for any M in CM(F) ||M||<=SpecR(M)+eps


1. 기초 함수들

vector addition:conti(open, closed, V, bdd 보존)

scalar multiplication:conti

translation:homeomorphism(open, closed, V, bdd 보존)

multiplication:homeomorphism(open, closed, V, bdd 보존)


2. Topology

E+open=open

s*open=open

s*nbd of x=nbd of x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tvs is determined by any local open neighbourhood base at 0.

for any nbd of 0, there exists nbd2 of 0 s.t. nbd2+nbd2 is a subset of nbd1 and nbd2=(-nbd2)

tvs가 T2<->tvs가 T1

nbd of 0=A


3. Theorem

open S is 전체 tvs 뿐이다.

f-d


NM:normal인 M

pdM:positive-definite M(M(C)일 때랑, M(R)일 때 정의가 다름)

psdM:positive-semidefinite M(M(C)일 때랑, M(R)일 때 정의가 다름)

HM:Hermitian M

UM:Unitary M

LTM:lower triangular matrix

UTM:uppwer triangular matrix

conj(M):conjugate transpose of M

inv(M):inverse of M

M_(i,j):M의 (i,j) entry

symM:Symmetric matrix (Real Matrix만을 가리킴)


*Matrix의 property관련

Spec(M):M의 eigenvalues를 원소로하는 집합

SpecR(M):M의 Spectral Radius

rank(M):rank of M

det(M):determinant of M

egv(M):M의 eigenvalue

egv(M,egv):M의 eigenvalue의 eigenvector(normalized된 걸 가리킴)

egS(M,egv):M의 eigenvalue의 eigenspace

sgv(M):singular value of M

JCF(M):M의 Jordan Canonical Form

SMF(M):M의 Smith Canonical Form

CharPoly(M):M의 characteristic Polynomial

MinPoly(M):M의 minimal polynomial











-------------------------------------------------------------------------------------------------------------------------

Topological Space

nbd(x):neighbourhood of x

open(x):open set containing x

nbd(E):neighbourhood of S

NTS:Normal Topological Space

Gd:G-delta set, i.e. countable intersection of open sets.


T2S:T2 space

R(sTS):The Field of Real numbers with the standard topology

LK:locally compact

KS:compact support

KC:compact closure

lptK:Limit point compact

seqK:sequentially compact

cl(E):closure of E

KGd:Compact and G-delta


LKT2S:Locally Compact T2 Space

cl(LKT2S):one-point compactification of LKT2S

-------------------------------------------------------------------------------------------------------------------------

Topological Vector Space

bdd:bounded subset

-------------------------------------------------------------------------------------------------------------------------

Normed Vector Space

|| ||:norm on nvs

nbdd:norm bounded subset



'제거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rmed Vector Space  (0) 2013.05.14
Topological Vector Space  (0) 2013.05.14
Vector Space  (0) 2013.05.14
Real Analysis Outer Measure  (0) 2013.05.13
운동계획  (0) 2013.04.21

f-d V는 모든 norms이 equivalent하다.


모든 Vector Space는 Hamel Basis를 갖는다.

->모든 Vector Space는 nvs가능(tvs, lcs 또한 가능)


LF(VS)는 subLF(VS)가 된다.


sf of (AV) is subLF(VS)

sf of (ABV) is semi-norm


finite intersection of A=A


*About M

M이 NM <-> M이 UDM

M이 pdM <-> egv(M)은 모두 양수

M이 psdM <-> egv(M)은 모두 nnn


M이 HM -> M은 NM, egv(M):real, egv(M,egv1)과 egv(M,egv2)는 orthogonal

M이 symM -> M은 NM, egb(M):real, egv(M,egv1)과 egv(M,egv2)는 orthogonal

M이 UM -> M은 NM

M이 UDM -> M이 DM

(UDM의 경우, inv(P)*UDM1*P=M2, P의 열들은 orthonormal인 egv(UDM1,egv), M2의 대각성분은 egv(UDM1)이다.)

M이 pd -> det(M):nonzero

M이 pd and sym -> inv(M)도 pd and sym


det(M): nonzero <-> det(conj(M)):nonzero

det(M): nonzero and M:sym -> inv(M):sym


{egv(M)}^2=egv(M^2)


conj(M)*M은 NM, UDM, psdM, rank(M)=rank(conj(M)*M)), 



M:HM이고 psd인 경우, square root of M 정의가능
M:symM이고 psd인 경우, square root of M 정의가능

lim M^k=0  <-> SpecR(M)<1 (증명시 || ||와 SpecR(M)사이의 부등식필요, 즉 nvs에서의 개념이 필요)

*Equivalence on CM(F)

1. sim

equivalence class끼리 공유하는 것

-rank, det, trace, egv(M), JCF(M), DM여부, CharPoly(M), MinPoly(M), SMF(M)

(주의:egv(M,egv)는 정확하게 공유하진 않지만, egv(M2,egv)=inv(P)*egv(M1,egv)가 됨, where inv(P)*M1*P=M2) 

이때 DM인 경우, there exist P, NM s.t. inv(P)*DM*P=NM where det(P):nonzero, P:HM, pdM

이 때, P, NM의 entry가 어떤 꼴인지 알 수 있다. egv들...

note)JCF(M)을 구하는 방법(--------------------)

step1-egv를 modulus에 따라 나열, egv1>=egv2>=...

step2-

2. Unitary(---------------)

3. SCF(----------------)

*About Subspace

egS(M,egv)는 M에 invariant


'제거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pological Vector Space  (0) 2013.05.14
Notation  (0) 2013.05.14
Real Analysis Outer Measure  (0) 2013.05.13
운동계획  (0) 2013.04.21
(Revised)Real Analysis(Abstract Measure and Convergence of Functions)  (0) 2013.04.17

PM->M확장의 예, Borel in R 정리하기. P437참조

p522참조, dimH(BM)부터 다시보기...motive가 부족

sigma compact의 의의및 성질, sigma bounded의 의의및 성질, bdd(LKT2S에서랑 tvs에서랑의 차이)공부하기

Chapter13도입하는 강의노트 제일 밑내용, 위상수학 정리쓰는거 이해하기.

~S에서, 로 시작하면 X는 그 Space를 가리킴.







X:any set

<:set과 set 상에서는 subset을 가리키고, 실수와 실수는 크고 작음을 가리킨다.

P(X):power set of X

E:any subset of X

MC:monotone class

C1:적어도 empty포함하는 collection

C2:적어도 empty와 X를 포함하는 collection 

C3:algebra/ SC3:semialgebra

C4:sigma-algebra

C4(any collection):any collection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sigma-algebra

(U를 붙이면 countable union도 다 모은 것, I를 붙이면 countable intersection도 다 모은 것)

OM:outer measure

OMC:the collection of all OME

f-OM:finite outer measure

OME:outer measure-measurable

CaraOM(Crvf):Caratheodory outer measure on X wrt Crvf.

PM:Premeasure

f-PM:finite Premeasure

sf-PM:sigma-finite premeasure

PM*:the outer measure on X induced by premeasure

MR:ME X ME, Measurable Rectangle

MR_n:sequence of measurable rectangles

PrM:Product Measure

PrC1:C4({MR})

PrC2:ProdM*ME

Crvf(X):collection of real-valued functions on X

E1 sep E2 by f:E1, E2 separated by f in Crvf

TS:topological space

BRC4(TS):Borel sigma algebra

BEC4(TS):Baire sigma algebra

BOM:Borel Outer Measure

BM:Borel Measure

MetricOM:Metric Outer Measure

K:Compact

preK:Precompact, 즉, closure가 compact인 것

s-K:Sigma Compact

LK:Locally Compact

s-LK:sigma locally compact(LK이면서 s-K인 Space)

MetricS:Metric Space

Gd:open sets의 intersection

FGd:closed set인데 open sets의 intersection해서 얻어진 것

KGd:open set의 intersection해서 얻은 Compact set

ISM:isometry

fCcontiKS(X):collection of conti and real-valued functions on X with compact support on X

fCcontiV(X):collection of conti and real-valued functions on X with vanishing

fCcontiB(X):collection of conti and bdd real-valued functions on X

fCconti(X):Collection of real-valued functions on X

R-OM:Regular Outer Measure

IR-BM:Inner Regular Borel Measure

OR-BM:Outer Regular Borel Measure

R-BM:Regular Borel Measure

BeM:Baire Measure

bddE:bounded E

s-bddE:sigma bounded E

BM-MF:Borel Measurable function

BE-MF:Baire Measurable function

Lf(X):Linear functional on X

pLf(X):positive linear functional on X


*기초 테크닉

1. disjoint seq {E_n}에 대해서만 보여도 되나? finite measure만 갖는 disjoint seq에 대해서만 보여도 되나?

2. 부등호의 한방향은 자명하지 않은가?

3. C4가 property1을 만족함을 보이는 방법중, E={property1되는 것들의 모임}, E가 C4의 generating set을 포함하는 sigma-algebra임을 보여도 된다.

3. C3가 MC이면 C4가 된다.(C4를 보이는 방법중 1가지)


(0) nnn set function

-monotone정의:E<F이면 set function(E)<=set function(F)

-monotone(if)정의:E<F이고 F-E도 set function의 정의역에 속할 때, set function(E)<=set function(F)

-countably monotone1정의:E<union F_n일 때,...

-countably monotone2정의:union F_n에 대해서

-countable additive정의:union F_n이 set function에 항상 속하고 각 F_n이 disjoint일 때...

-finite additive정의:union F_n이 set function에 항상 속하고 각 F_n이 djsjoint일 때...

(additive는 기본적으로 disjoint F_n에 대해서 논함)

((dis)는 F_n이 disjoint, (if)는 union이 set function에 속한다는 가정 필요, (f)는 각 F_n이 set function값이 finite일 때)

성질

-정의역이 P(X)인 경우, countably monotone2해도 monotone이 보장되지 않는다.

-SC3->(finite disjoint union)C3->(countable disjoint union)C4

-finite additive이면 monotone(if)얻어짐


(1) Outer measure의 정의와 성질

-nnn, set function on P(X)

-empty->0

-countably monotone1

성질

-충분조건1:empty->0 and countably (dis)(f)monotone1 보여도 됨(더 약하게 불가능)

-충분조건2:empty->0 and monotone and countably (dis)(f)monotone2 보여도 됨

(countably monotone2가 monotone보장 안된다는 것을 주의)

-monotone 얻어짐

-(건설방법), C1과 nnn set function s.t. empty->0만 있으면 outer measure 건설가능


(2) Outer measurable subset의 정의와 성질

-OM(A)=OM(A교E)+OM(A-E) for any A(OM(A)<inf인 A에 대해서만 판정해도 됨, countably monotone1에 의해>=만 판정해도 됨)

기타 정의

-OM(X)<inf일 때, finite outer measure라 함

-for any E<X, any epsilon>0, there exist OME E1 s.t. E<E1, OM(E1)<=OM(E)+epsilon 일 때, OM을 regular라 한다. 

성질

-{E_n}:disjoint OME일 때, OM(E1 교 (finite union of E_n))=sum OM(E1 교 E_n)

-OME를 다 모으면 C4됨, 이 C4에 OM을 restriction하면 CM됨(C3보이고, C4보임 using disjoint seq)

-E<B, B in P(X)일 때, OM(B-E)=OM(B)-OM(E)되려면 OM(E)<inf 이고 E:OME여야한다.

-OM(E)=0이면 E는 OME이다.

-E<F일 때, OM(F-E)=0이면 OM(F)=OM(E)이다. (역은 성립 안함, 즉 OM(F-E)=0인게 더 강함)

-OM:regular이면 (OM,OMC):saturated


(3) Premeasure의 정의와 성질

-nnn set function on C1 (PM)

-empty->0

-countable (if)additive

기타 정의

-C2에서 정의된 PM에서, PM(X)<inf일 때, f-PM라 함

-C2에서 정의된 PM에서, 0<=PM(E_n)<inf이고 X=union E_n인 {E_n} in C2가 존재하면 sf-PM

성질

-finite (if)additive성립, monotone(if)성립

-C3에서는 monotone성립,finite additive성립, countably (if)monotone1성립

-C4에서는 PM은 M된다.


(4) Outer Measure induced by Premeasure의 정의와 성질

-PM on C3에 의해 건설된 outer measure (PM*)

성질

-C3의 원소 E에 대해서는 PM*(E)=PM(E)

(즉 PM*는 PM의 extension이다.)

-C3의 원소 E는 PM*ME가 된다.

(OME를 다 모은 것이 C4가 됨을 생각해보면, C3(U), C3(UI), C3(UIU)...의 원소 모두 PM*ME된다.)

-임의의 E<X에 대하여 임의의 epsilon>0가 있으면 

there exist E1 in C3(U) s.t. E<E1 and PM*(E1)<=PM*(E)+epsilon

(PM*(E)<inf였으면 <=말고 <얻을 수 있음)

(즉 PM*는 regular)

there exist E2 in C3(UI) s.t. E<E2 and PM*(E2)=PM*(E)

-임의의 E가 PM*ME인지 판정법

E:PM*ME<->there exist E2 in C3(UI) s.t. E<E2 and PM*(E2-E)=0

(->임을 보일 때는, PM이 sigma-finite임이 필요, C3(U)를 잘 이용)

-restriction of PM* to C4(C3)

-M on C4(C3) (당연히 PM의 extension)

-E1 in C3(U), C4(C3)으로의 M which is a extension of PM 일 때 M(E1)=PM*(E1)

-E2 in C4(C3), C4(C3)으로의 M which is a extension of PM 일 때 M(E2)<=PM*(E2), =은 restriction(E2)<inf일 때)

(using definition of PM*, approximation on C3(U))

-sf-PM이면 C4(C3)으로의 extension of PM중 restriction of PM*이 유일

(PM:finite->restriction도 finite, PM:sigma-finite->restriction도 sigma-finite) 

-restriction of PM* to PM*C

-saturated(즉 locally ME->ME)(PM* regular이기 때문)

-sf-PM이면 PM*C으로의 extension of PM중 restriction of PM*이 유일 and CM

(PM:finite->restriction도 finite, PM:sigma-finite->restriction도 sigma-finite) 


note)SC3에서 시작한다면...(extension을)

SC3에 대한 이해

정의:closed under finite intersection/semi closed under complement

(i.e. A가 SC3의 원소일 때, X-A=finite union of disjoint sets in SC3)

성질:

-all finite disjoint unions of sets in SC3는 C3가 된다.

-예로는 [a,b)들의 collection을 생각, when a<=b

주의)

-finite union에 대해 closed하지 않을 수 있다.

SC3에서의 Extension

-nnn, set function on SC3

-empty->0

-finite (if)additive

-countably (dis)(if)monotone2

성질:

-충분조건:empty -> 0 and countable (if)additive

-C3(SC3)에서의 unique PM의 존재성 보장, 그리고 이것은 extension of nnn, set function on SC3

-PM* on PM*C is an extension of nnn, set function

-nnn, set function이 sigma finite였다면, 

-PM* on PM*C도 sf-M이다.

-PM*C으로의 extension of the set function중 PM* on PM*C가 유일

-PM* on PM*C는 CM이다. 

note) (sf-M,C4)에서 만든 outer measure의 OMC로의 restriction은 (sf-M,C4)의 completion이 됨을 알 수 있다.

note) OM1, M:restriction of OM1 to OM1C, OM2:OM induced by M

->OM1<=OM2이다.

->OM1(E)=OM2(E) iff te OM1-measurable A s.t. E<A, OM1(A)=OM1(E).

->OM1이 regular였으면 OM1(E)=OM2(E) for every E가능, 역도 성립

->not =인 예는 X={1,2}로 만들 수 있음.

(5) Product Measure

note) section은 complement, (arbitrarily)union, (arbitrarily)intersection, difference과 interchangable

정의, 건설

Step1-MR다 모은 것이 SC3됨, SC3상에서 적절한 nnn set function정의

Step2-PM on C3을 얻고, PM* on PM*C으로의 restriction을 PrM이라 한다.

Tonelli와 Fubini Theorem으로 가는 Step

Step0 PrM의 유일성과 Completeness

-sf-M1, sf-M2로 만든 PrM는 sf-, unique, CM이다.

Step1 About PrC1

-PrC1의 원소의 section은 각 M1, M2의 C4의 원소가 된다.(using C4-Techniques)

-MF on (X1×X2, PrC1)의 section은 MF on (X1,C4), on(X2, C4) 된다.

-sf-M1, sf-M2, PrC1(using finite일 때 먼저 C4-Techniques+MonotoneClass+sigma finite일 때)

Step2 About PrC2

-sf-CM1, sf-CM2로 만든 PrM에서 PrM(E)=0인 E의 section은 각 sf-CM1=0, sf-CM2=0 a.e.

-sf-CM1, sf-CM2로 만든 PrM에서 PrC2의 원소의 section은 각 sf-CM1, sf-CM2의 C4의 원소가 된다. a.e.

-sf-CM1, sf-CM2, PrC2,

-sf-CM1, sf-CM2, nnn MF on (X1×X2, PrC2)(using simple+MCT)

-sf-CM1, sf-CM2, integrable on (X1×X2,PrC2)(using Tonelli)

note)(MF의 section말고 완전히 쪼개질 수 있는 case의 경우)

-MF1 on (X1,M1,C1_1), MF2 on (X2,M2,C1_2)-> MF1*MF2는 MF on (X1xX2, PrC1)(using simple)

-g1:integrable on X1 wrt M1, g2:integrable on X2 wrt M2->f=g1*g2:integrable on X1xX2 wrt M1xM2

게다가 int f d(M1xM2)=int g1 dM1 * int g2 dM2(using simple+integrable func)


note)counting measure에서의 Tonelli, Fubini theorem의 의의

Tonelli:double series interchangable when nnn sequence

Fubini:double series interchangable when abs cv sequence


(6) Caratheodory Outer Measure

정의

-OM과 fCrv가 있고, A,B:separated by some f in fCrv이면 OM(A union B)=OM(A)+OM(B)성립할 때

note) MetricS에서 fCrv를 dist(x,E),E<X 로 잡아버리면, MetricOM을 얻는다. 

성질

-fCrv의 원소중 'separating->OM(A union B)=OM(A)+OM(B)'가 성립하면 그 f는 MF on (X,OMC).


(7) TS에서의 OM나 (M,C4)이 있을 때

BOM정의:BR(TS)<OM*ME일 때

BM정의:BR(TS)<C4일 때

BEC4정의:fCcontiKS의 모든 원소가 MF가 되게하는 the smallest C4

BeM정의:BEC4<C4이고 M(K)<inf for all Baire K

bddE정의:E<K인 K존재

s-bddE정의:E<s-K인 s-K존재

RaM정의:BM, BM(K)<inf, OR-BM(all Borel set), IR-BM(all open set)

OR-M(E)정의:E는 C4원소이고, M(E)=inf{M(open):open in C4, E<open}

IR-M(E)정의:E는 C4원소이고, M(E)=sup{M(K):K in C4, K<E}

R-M(E)정의:E는 C4원소이고, IR and OR

E:regular(wrt M)정의:E가 IR, OR wrt M인 경우

R-M정의:모든 C4의 원소가 regular wrt M인 경우



note)필요한 위상수학 지식

0. T2S에서 K는 closed이다./ TS에서 K의 closed subset은 compact이다.

1. T2S가 NTS<->closed<open(1)에 대해서, te open(2) s.t. closed<open(2)<cl(open(2))<open(1).

2. MetricS is NTS

3. KT2S is NTS

4. NTS is completely regular.(

4. (Urysohn Lemma)

TS가 NTS<->For any disjoint closed subsets F1, F2, te f s.t. f:conti from TS->[0,1], f=0 on F1, f=1 on F2, 

5. (Tietze Extension Theorem)

TS가 NTS, f:closed subset of TS into R(sTS), conti -> te F s.t. F:conti from TS-> R(sTS), extension of f

6. LK <-> 모든 x에 대하여 compact nbd(x)가 존재 <-> 임의의 x에 대하여 te preK-open(x) 

7. K이면 LK이다

8. cl(LKT2S)=KT2S 

9. cl(LKT2S)에서

LKT2S는 open(not closed)

LKT2S에서 open은 cl(LKT2S)에서도 open

LKT2S에서의 open S도 LKT2S됨, 

LKT2S에서의 closed S도 LKT2S됨.

10. LKT2S는 completely regular이다.

10. LKT2S에서, E:closed <-> for any K in X, intersection of E and K is closed in K

10. LKT2S에서, 모든 open(x)(1)에 대하여 te preK-open(x)(2) s.t. open(x)(2)<cl(open(2)(x))<open(x)(1)

11. LKT2S에서, K에 대하여 te preK-open s.t. K<open

10. LKT2S에서, K<open(1) 이면 te preK-open(2) s.t. K<open(2)<cl(open(2))<open(1)

11. LKT2S에서, K<open(1) 이면 te s-K-open, KGd s.t. K<s-K-open<KGd<open(1)

11. LKT2S에서, K가 있으면 te f in fCcontiKS(X), s.t. 0<=f<=1, f=1 on K

11. LKT2S에서, K<open 이면, te f in fCcontiKS(X) s.t 0<=f<=1, f=1 on K, supp(f)<open

11. LKT2S에서, K<open 이면 te f in fCconti(X) s.t. 0<=f<=1, f=0 on K, f=1 on X-open.

12. LKT2S에서, KGd에 대하여, te f in fCconti(X), s.t. 0<=f<=1, KGd={x in X s.t. f(x)=0}

12. LKT2S에서, KGd에 대하여, te f in fCcontiKS(X), s.t. 0<=f<=1, KGd={x in X s.t. f(x)=1}

(이걸로 KGd는 finite union와 finite intersection에 닫혀있음을 알 수 있다.)

13. LKT2S에서, K, cover{open_i}에 대해서 partition of unity가 존재 s.t. 각각 함수는 KS를 갖는걸로

14. LKT2S에서, f:K->R conti,rv 이면 f는 X로 extension가능(conti, rv이면서)

13. KT2S에서, K의 complement: open/ open의 complement:K (익숙해질 것)

16. s-KT2S에서, BRC4=C4({all K}).

16. s-LKT2S에서, te seq{U_n} st. U_n:preK-open, cl(U_n)<U_(n+1), union(U_n)=X


note) 

K인데 not KGd인 예:X:uncountable with discrete topology->X:LKT2->cl(X)-X의 원소는 K인데 not KGd

note)

(BM,BRC4), BM(K)<inf for all K일 때, 

restriction to BEC4는 BeM, fCcontiKS의 모든 원소는 integrable on X wrt restriction.


성질

BEC4<BRC4(KT2S에서도 Strict하게 될 수 있음, =의 충분조건들:KMetricS, LK+seprable(모든 K가 KGd되서))


-(LKT2S)

-C={x in X s.t. f in fCcontiKS, a in R, f(x)>=a}, BEC4=C4(C)

-s-K-open은 union of KGd, 따라서 모든 s-K-open은 Baire

-C={KGd}, BEC4=C4(C)

(따라서 Baire set 대표적인 것은 KGd, s-K-open)


-preK-Baire set<->bdd Baire set

-모든 bdd E에 대하여 bdd E<KGd인 KGd존재

-모든 s-bdd E에 대하여 s-bdd E<s-K-open인 s-K-open존재

-E:Baire set이면 E와 X-E중 적어도 하나는 s-bdd

-E:Baire set일 때, E와 X-E 둘다 s-bdd <-> X:s-K

-모든 s-bdd Baire는 countable union of disjoint bdd Baire set.

-f:conti, rv, f^(-1){nonzero}:s-bdd이면 f는 Be-MF(즉, fCcontiKS보다 더 많은 함수들이 Be-MF되구나)

-E:closed in X, BEC4(E)의 원소는 intersection of E and F where F is in BEC4(X)

-E1:closed Baire set이고 E2<E1일 때, E2 in BEC4(X) <-> E2 in BEC4(E1)

-모든 compact Baire set은 KGd이다.


-(sf-RaM, BRC4):Regular

-(RaM1, BRC4), (RaM2, BRC4), for any f in fCcontiKS, int f dRaM1=int f dRaM2이면 RaM1=RaM2

(주의:RaM의 정의역이 반드시 BRC4일 필요는 없지만, 대게 BRC4에서만 다룰때가 많다.)


note)(BeM,BEC4)관련 정리

1. (BeM,BEC4), f-M             : IR인 E는 R도 됨

2. (f-M,C4), X:KT2                : {regular}는 C4됨

3. (BeM,BEC4), X:KT2          : BeM은 regular

4. (BeM,BEC4)                    : bdd Baire는 regular/s-bdd Baire는 거진 OR by s-K-open, 거진 IR by KGd

5. (BeM,BEC4), X:s-LKT2     : BeM은 regular




(8) MetricS에서의 OM이 있을 때

MetricOM정의:d(A,B)>0이면 OM(A union B)=OM(A)+OM(B)성립할 때

0<=p<inf, HOMp정의:...

임의의 E<X에 대하여 dimH(E)정의:...

0<=p<inf, HMp정의:...

0<=p<inf, NMHMp정의:...

dimH(BM)의 정의

기타 정의:

E<X,C={BM s.t. BM(E)=1}가 있을 때, 

dimH(E)가 variational principle wrt C를 만족한다란?

C의 원소 M이 a measure of full Hausdorff dimention wrt C란?

note)

-HOMp정의할 때, closed로도 가능, open으로도 가능

(그중에서도 ball, cube등으로 제한시켜버리면 상수배만큼 HOMp값이 차이난다.)

-MetricS=R인 경우, HOMp정의할 때, interval로도 가능

-MetricS=R^n, n>=2인 경우, there are A1>0, A2>0 s.t. A1*HOMn(LME)<=LM(LME)<=A2*HOMn(LME) for all LME

-MetricS=R^n, n>=1인 경우, HMn=LM 

성질

-모든 MetricOM는 BOM이다.(A_n잡고 eps, delta잡고B_(n,k) delta_n잡음

(open set의 subsets의 increasing seq에 대해선 OM의 conti from below가 성립함을 이용)


-모든 HOMp은 MetricOM이다.(A,B잡고 바로 delta잡아야)

-모든 HOMp는 Regular OM이다.


-모든 HMp는 R-BM이다.(게다가 Gd로 선택하면 Hmp값이 같게도 가능.)

-모든 HMp는 invariant under ISM of X

-f,g:Y->MetricS, d(f(y1),f(y2))<=C*d(g(y1),g(y2))이면 HMp(f(E))<=C^p * HMp(g(e)) for all E<Y.


-dimH는 empty->0, monotone, sup_n{dimH(A_n)}=dimH(union A_n)성립

-dimH(open in R^n)=n

-dimH(countable)=0(하지만, dimH(uncountable)=0인 uncountable set존재)


-E<TS, C={BM s.t. BM(E)=1}, sup over C {dimH(BM)}<=dimH(E)


(9) X:LKT2S, RRT in fCcontiKS(X), X:LKT2S, RRT in fCcontiV(X), X:KT2S, RRT in fCconti(X)

X:TS, F in (C(X)^*), F가 positive의 정의(즉, pLf의 정의):F(f)>=0 for f>=0 on Y, f in C(Y)

LKT2S에서, f in fCcontiKS(X), G:open in X일 때, f<G의 정의:

LKT2S에서, F is pLf(fCcontiKS(X)), (RaM_F,BRC4)의 정의:RRT에 의해 얻어진 (RaM,BRC4)을 가리킴 

sBM:sM인데 BRC4<C4인

sBeM:sM인데 BEC4<C4인

sRaM:sBM인데 sBM+와 sBM-가 RaM인 

nvs:{all (f-sRaM, BRC4)}, ||f-sRaM||=|f-sRaM|(X)로 정의


성질

-sBM이 sRaM<-> |sBM|:RaM

-(X=LKT2S, F is pLf(fCcontiKS(X)), K is compact in X)

F, K, C={f in fCcontiKS(X) s.t. f=0 on X-K}일 때, te nnn c(K) s.t. |F(f)|<=c(K)*||f||_inf for all f in C

F에 대해 te unique (RaM,BRC4) s.t. F(f)=int f d(RaM) for all f in fCcontiKS(X)

건설법

Step1 open에 대해 정의(Using F)

Step2 임의의 subset of X에 대해 정의(Using open)->OM만듦(BOM임을 앎)

Step3 OM(K)에 대해 묘사됨(Using F), OM(K)<inf도 앎

Step4 restriction of OM to BRC4는 (RaM,BRC4)임을 앎

Step5 F(f)=int f d(RaM)임을 보일 수 있음, RaM의 uniqueness 얻어짐 using f in fCcontKS

(M이 RaM임을 보이는 방법 중 1가지:M으로 F정의해서 F에 RRT 써서 M=RaM을 얻기)

(RaM_F,BRC4), RaM(open)=sup{RaM(preK-open), s.t. cl(preK-open)<open}

-(X=LKT2S, F is pLf(fCcontiV(X)), G is bLf((fCcontiV(X)), H is pbLf(fCcontiV(X)), K is compact in X)

G가 있으면 te H1, H2 s.t. G=H1-H2

nvs iiso (fCcontiV(X))^*

-(X=KT2S, F is pLf(fCconti(X)), G is bLf((fCconti(X)), H is pbLf(fCconti(X)), K is compact in X)

fCcontiKS=fCcontiV=fCcontiB

모든 F는 bdd됨, 즉 F는 H됨

G가 있으면, te H1, H2 s.t. G=H1-H2, ||G||=H1(1)+H2(1)

nvs iiso (fCconti(X))^*


요약(F:pLf, G:bLf, H:pbLf)

LKT2, fCcontiKS(X), F<->RaM

LKT2, fCcontiV(X), G=H1-H2, G<->f-sRaM

KT2, fCconti(X), G=H1-H2, G<->f-sRaM

-------------------------------------------------------------------------------------------------------------------------

MC의 성질:

-Monotone Class Lemma:MC(C3)는 C4(C3)가 된다.(C4임을 보이는 방법 중 한가지)

-empty와 전체 X를 기본적으로 원소로 가짐

Characteristic과 section의 성질 정리




-------------------------------------------------------------------------------------------------------------------------

*내용정리

1. 순수한 OM

성질들로 분류

-(TS) R-OM, BOM, BM, IR-BM, OR-BM, R-BM

-(MetricS) MetricOM

구체적인 예들

-CaraOM(fCrv)

-(MetricS) HOMp, HMp

2. PM*(from C3, or SC3)

-PrM(from M1, M2, 특히 sf-M1, sf-M2이면 unique, sf-CM1, sf-CM2이면 Fubini, Tonelli가능)



'제거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tation  (0) 2013.05.14
Vector Space  (0) 2013.05.14
운동계획  (0) 2013.04.21
(Revised)Real Analysis(Abstract Measure and Convergence of Functions)  (0) 2013.04.17
[경제논집]2012년도 51권 2호(p272~286)  (0) 2013.04.14

월(가슴,어깨,유산소), 수(등,복근,유산소), 금(삼두,어깨,유산소), 토(이두,복근,유산소):자기전에 운동 엄청하고 푹자기!!!!!

화,목,일:운동안함




1day

오후(1)-가슴(플랫벤치, 인클라인, 디클라인, 딥스, 케이블), 

오후(2)-어깨(비하인드, 사이드, 업롸이트로우)+유산소20분


2day

오후(1)-삼두(덤벨킥백, 행잉오버레이즈, 케이블, 딥스)

오후(2)-복근(크런치, 행잉레그레이즈)+유산소20분


3day

오후(1)-등(턱걸이, 렛풀다운, 바벨로우, 케이블)

오후(2)-어깨(비하인드, 사이드, 업롸이트로우)+유산소20분


4day

오후(1)-이두(바벨컬, 이지바컬, 덤벨컬)

오후(2)-복근(크런치, 행잉레그레이즈)+유산소20분

파란색은 나중에 공부하기



*Notation

(Funtion 묘사 순서, rv/erv->nnn->inc/dec->Mf->cv여부)

1. nnn:nonnegative

2. rv/erv:real-valued/extended real-valued

3. MAS:measurable space/

4. ME:measurable set

5. M/CM/sM/+sM/-sM/|sM|/f-sM/sf-sM/ms/LM:measure/complete measure/signed measure/positive variation of sM/negative variation of sM/total variation of sM/finite sM/sigma finite sM/mutually singluar/Lebesgue measure

6. MS/C(MS)/CMS(C(MS)는 MS의 completion, CMS는 complete measure space)

7. inc/dec:increasing/decreasing

8. f-M/sf-M/smf-M:finite measure/sigma finite measure/semifinite measure

9. f-ME/sf-ME/null-ME/+ME/-ME/null-s-ME/subME of ME:finite measurable set/sigma finite measurable set/null set/positive measurable set/negative measurable set/null set wrt sM/subset and measurable of measurable set

10. almost-ME/almost uni cv:(measure가 입실론보다 작은 ME)/전체에서 almost-ME뺀 set에서 uni cv

11. MF/SF:measurable function/simple function

12. cha_set=characteristic function on set

13. A << B:A abs conti wrt B

14. I1/I2/I3:(0,1)/(1,inf)/(0,inf)

([I1=[0,1), I1]=(0,1], [I1]=[0,1],...I2도 마찬가지)  

15. q/conj(p,q,r):holder conjugate q of p(p is in [I2]일 때만 정의)/ 1/r=1/p+1/q, p is in [I2]

16. VS:vector space over R


*주의사항

1. 별말없으면 erv이다. erv인지 rv인지, 특히 rv일때만 될 때가 몇 있다. 그럴 땐 rv적기.

2. a.e.란, property가 성립하지 않는 영역이 null인게 아니라, null의 subset, 주의하자. 단 CM일 땐 상관 없음

3. MF 자체는 M과는 상관없음, pt cv, uni cv얘기할 때도 상관 없음, 그러나 pt cv a.e., almost uni cv, uni cv a.e., cv in M, cauchy in M 등 Mf가 M과 상관있을 때가 대다수


*중요 examples

0. not complete measure space인 예:X=R, sigma algebra={empty, Q, R-Q, R}, M(Q)=0

1. semifinite measure인데 not sigma finite measure인 예

->real number에다가 counting measure

2. Egoroff Theorem은 f-M에서만 된다. sf-M에서도 안된다. R에서 f_n=char_[n,n+1]을 생각.

(pt cv a.e.인데 not almost uni cv인 예, 게다가 not cv in M이기도 함)

3. almost uni cv(pt cv a.e.도 됨)인데 not uni cv a.e.(cv wekaly도 안됨)인 예:f_n=n*char_[0,1/n] on [0,1]

4. nnn MF f의 integral값과 sup sf with finite support의 integral값이 다르게 되는 예 찾기.(X가 not sf-M일 때가 아마 될 건데...)

5. f_n:integrable on X, pt cv a.e. to MF f이고 f-M인데 f가 not integrable인 예:f_n=n on [0,1]

6. f_n:integrable on X, uni cv to MF f인데 f가 not integrable인 예:f=1/x on [1,inf), f로 수렴하는 SF_n생각

7. pt cv인데 not cv in M인 예:f_n=char_[n,n+1] on R

8. not f-M이면 0<a<b<inf, Lb is a subset of La가 성립 안할 수 있는데 그 예?

I3에서 LM, 1/b<t<1/a인 t에 대해 f_t(x)=x^(-t)*char_R\I1

9. f-M이고 0<a<b<inf, Lb is a subset of La가 strict함을 보이는 예?

I3에서 LM, 1/b<t<1/a인 t에 대해 f_t(x)=x^(-t)*char_I1

10. M_n이 dec, cv setwise to a set function일 때 set function이 M이 아닌 예?

M_n(E)=LM(E intersection [n,inf])

11. f-sM(rho1), sM(rho2)가 있을 때, rho1 << rho2 iff epsilon-delta가능, 이때 f-sM이 아니면 only if가 안되는 예는?

rho1=countaing measure on N, rho2=sum n in E 1/2^n  on N

11. VS모음:

f-sM

(이 중에서 sM2와 ms인 것들만 다 모으면 subspace됨, f-sM아니어도 closed under +, scalar multiplication함)

(이 중에서 << sM2인 것들만 다 모으면 subspace됨, f-sM아니어도 closed

(이 둘의 subspace의 intersection은 {0})

(이 중에서 sM2가 sf-sM2인 경우, f-sM의 원소는 << sf-sM2 + ms sf-sM2로 decomposition가능, by LDT)

13. arbitrage trick을 쓰면 Holder inequality의 필요조건을 알 수 있다? (R^n에 LM주면?, Z에 counting M주면?, f-M에선?)

14. [I2]에서 딱 한개의 p에만 속하는 f가 있을 수도 있다. in (R, LM), 건설하여라.

a>1, f=1/(|x|^1/p * |ln x|^a ) * (char_(0,e^-1) + char_(e,inf)),   p=inf인 경우, f=1 on R

15. (1) sf-M에서 f is in LI2]이고 not in L1인 예는?, 

     (2) M(X)=inf일 때, f is in Linf이고 f is not in L[I2인 예는?

(1) ([0,inf),LM), ME_n=[n,n+1),disjoint, Union=R, 이때 각 ME_n에다가 1/n주면 된다.

(2) f=1 on X라 두면 됨. 

16. (cv in Lp, 1<=p<inf)

(1) cv in Lp인데, not pt cv a.e. 인 예 (In [0,1], 구간이 [0,1], [0,1/2], [1/2, 1], ...에서의 char)

(2) pt cv인데, not cv in Lp인 예  (In [0,1], f=n*char_[0,1/n]꼴, p추가해야됨)

(3) cv in Lp인데, not cv in Lq인 예(p<q든, q<p든) ...(2)와 비슷하게

(4) uni cv 인데 not cv in Lp인 예 (f_n = n^(-1/p)*char_[0,n])

(5) uni cv 인데 not cv weakly인 예 (f_n = 1/n * char_[1,e^n])

note)Lp[0,1]에서는 uni cv이면 cv in Lp된다. 

17. (cv in M)

(1) f_n->f, g_n->g, 각각 cv in M인데 (f_n)*(g_n)이 not cv in M인 예 (f_n=g_n=x+1/n*char_[n,n+1])

(2) f_n cv in M인데 not cv in Lp인 예, f_n=n^(1/p)*char_[0,1/n](almost uni cv는 됨)

18. cv weakly(p고정일 때 얘기)인데 not pt cv a.e.인 예

f_n=cos(nx), f=0 on [0, 2pi]




11.1 MAS, MS(뒷 section내용이 포함되더라도 결론이 M이나 ME관련이면 여기다가 적기)

(1) inf-inf가 안나오게끔 해야함. (f-ME조건이 필요할 때가 이 경우일 때)

(2) null-ME의 subset이 null-ME인지 보장안됨(Completion개념 필요, C(MS)만드는법 알기)

(Completion의 원소는 ME Union subset of null-ME인데, disjoint union되게 할 수 있음!)

(3) conti from above, conti from below

이 결과로 

-M(liminf(E_n))<=liminf(M(E_n))<=limsup(M(E_n))<=M(limsup(E_n))

-countable sum of M(E_n)<inf이면 M(limsup(E_n))=0도 앎, Borel-Cantelli lemma

(주의:lim M(sup E_n))은 등장하지 않음, 위의 관계식과 다르게 논의 필요)

(4) M이 있으면 smf-M도 만들 수 있고 M=smf-M + M2으로 decomposition가능, 이 때 M2는 0과 inf만 가짐

(5) M이 있으면 아무 ME를 이용하여 M보다 같거나 작은 M2를 하나 만들 수 있음.

(5) sf-ME의 countable union, intersection도 sf-ME,

(6) sf-M의 합도 sf-M

(8) smf-M(ME)=inf일 때, 임의의 n in N에 대하여 n<=smf-M(subME)<inf인 subME of ME을 찾을 수 있다.

(9) sf-M(X)=inf일 때 X를 만드는 것들이 disjoint하게 만들 수도 있고, 각각이 n<=sf-M(ME_n)<inf 할 수도 있다.


기타:

def:

S:locally-ME란, f-ME intersection S가 ME일 때 (for all f-ME)

M:saturated란, {locally-ME} is a subcollection of {ME}

thm:

sf-M은 saturated and smf-M된다.


11.2 MF(M과는 관련없이 정의되지만 M과 관련이 있을 때가 잦음, 별말 없으면 erv)

(1) MF판정법(5가지, using rays 4가지, using Borel, inf and -inf 1가지)

(2) all MF는 +(well-defined된다면), 곱하기, 실수배, 실수더하기, abs(일반적으로 conti랑 합성하면 됨), inf, sup, liminf, limsup에 닫혀있다.

(positive part, negative part에 대해서도 닫혀있게 됨)

(3) MF가 nnn이면 seq of SF 만들기 가능(pt cv, uni cv on MF가 bdd인 영역)

(sf-M가 있을 때면, SF가 finite support를 갖는 것으로 만들 수도 있음)

(Mf가 nnn아니어도, |Mf|에 대해 만든 seq of Sf가 Mf로 pt cv하고 uni cv on |Mf|가 bdd 성립, sf의 부호=MF의 부호 가능)

(4) C(MS)에서 Mf인 f가 있다면 MS에서 Mf인 g를 만들 수 있다. (f=g CM-a.e.)

(5) CMS에서 Mf인 f가 있고, f=g CM-a.e.이면 g도 Mf이다.

(M이 CM <-> {f_n}:rv, Mf, pt cv a.e. to f이면 f가 Mf)

(6) f-M, {f_n}:rv, Mf, pt cv a.e. to rv, Mf f이면 {f_n}:almost uni cv

(7) {f_n}:rv a.e., Mf, cauchy in M이면 subseq존재 s.t. rv a.e. Mf, pt cv a.e. to rv a.e. Mf f.

(그리고 이 subseq는 cv in M to f이기도 함)

(따라서 cauchy in M <-> cv in M)

(8) {f_n}:rv a.e., MF, almost uni cv이면 {f_n}:pt cv a.e.

(9) {f_n}:rv a.e., MF, almost uni cv이면 {f_n}:cv in M

(10) {f_n}:MF이면 {x|lim f_n(x) exists}는 ME




note)cv of {f_n}

uni cv(Measurable보존)

pt cv(Measurable보존)

almost uni cv(Measurable보존)

pt cv a.e.(Measurable보존하려면 M이 CM이어야 가능)

uni cv a.e.(Measurable보존하려면 M이 CM이어야 가능)

cv in M(Measurable보존)

cauchy in M(Measurable보존)

{f_n}이 rv인 경우:pt cv, uni cv

{f_n}이 rv a.e.인 경우:almost uni cv, pt cv a.e. uni cv a.e., cv in M(cauchy in M)

f가 rv인 경우:uni cv

f가 rv a.e.인 경우:almost uni cv, uni cv a.e., cv in M(cauchy in M)


11.3 Integration


note)기본 Property

(1) linearity of Integration(이게 되면 funtion은 고정, 영역을disjoint하게 쪼개서 합으로 가능, using characteristic)

(2) Basic Inequality(integral 영역은 고정, f<=g일 때, int f<=int g)(a.e.를 붙이면 f<=g a.e란 뜻)

(3) limit(integral 영역은 고정, function의 seq pt cv a.e.가 있을 때 int와 limit의 change가능성)

(사실 characteristic function과 전체 Space X에서의 적분을 이용하면 function은 고정되고 영역의 seq로도 가능)


(1) nnn Sf

-linearity of integration, Basic inequality(nnn 실수 계수에 대해서), limit(cha_{E_n}:ME, inc)을 만족

-nnn인 Sf, MS가 있을 때마다 또 다른 measure만들 수 있다.

(2) nnn Mf(From nnn Sf)

-integration =0 <-> f=0 a.e.

-{f_n}:nnn, inc, MF, pt cv a.e. to MF f이면 limit성립

({f_n}:nnn, MF이기만 하면 series랑 int change가능)

({f_n}:nnn, MF일 때>Fatou Lemma)

({f_n}:nnn, MF, pt cv a.e. to MF f이고 f_n <= f a.e.가 있으면(inc대신) limit성립)

-linearity of integration(MCT필요, nnn 실수계수에대해서), Basic inequality a.e.

-nnn MF가 integrable하면 inverse image of inf는 null-ME, inverse image of >0은 sf-ME
-int liminf f_n <= liminf int f_n <= limsup int f_n <= int limsup f_n(마지막 <=은 domintating L1 function존재해야함)

(3) MF

-f=g a.e. -> int (f) = int (g)

-Integral은 f^+, f^- 둘중 하나만 Integrable하면 되고, Integrable은 둘 모두가 Integrable해야함

(Integrable은 기본적으로 MF여야함)

-linearity of integration(integrable한 f,g에대해), Basic Inequality a.e.(integrable한 f,g에대해)

-{f_n}:inc, MF, pt cv a.e. to MF f + f_n>=g(integrable) a.e. 이면 limit성립

  {f_n}:dec, MF, pt cv a.e. to MF f + f_n<=g(integrable) a.e. 이면 limit성립

(즉 (2)에서 nnn을 없앤 경우임)

(마찬가지로 inc없애고 inf쓰면 inc하게 만들 수 있음->Fatou Lemma, 마찬가지로 g(integrable)이 존재해야함)

(혹은 dec없애고 sup쓰면 dec하게 만들 수 있음)

(혹은 inc이나 dec없애고 아예 |f_n|<=g(integrable) a.e. 가 있으면 이땐 limit가 성립, 이때 series와 lnt의 change가능하려면                                             

g=series from k=1 to k=inf |f_n|이 integrable하면 됨)

-(*)f:integrable이면 inverse image of not 0는 sf-ME

-(*)f:integrable on X이면 epsilon(int of |f|의 upperbound)-delta(적분 영역의 upper bound)가 성립(f_n=min(f,n)이용)

-(*)f:integrable on X이면 epsilon(int |f| over X - int |f| over E)에 대하여 finite measure E 존재({f:not zero}:sf-ME이용)

-(*)f_n:integrable on X, f-M, uni cv to MF f이면 f가 integrable and int f = limit int f_n

( (*) 내용들 모두 Lp, 1<=p<inf에 대해서도 성립, 각 적분이 f^p로 바뀌어야할 수 있음)


note)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1. nnn, inc, pt cv a.e. to MF f라는 조건을 필요하는 MCT만 잘 다루면, 3개의 조건을 한개씩 없애도 될 때가 있다.

2. f=g a.e.는 integral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series와 int가 interchange되려면 f_n:nnn, MF 혹은 sum from k=1 to k=inf |f_n|이 integrable이면 된다.


note) cv in M에 대해서 정리

0. {f_n}:rv a.e.일 때만 얘기, 그리고 cv in M이면 f는 rv a.e.됨

    {f_n}:cv in M, {g_n}:cv in M이면 {f_n + g_n}도 cv in M {f_n*g_n}은 안 됨(f-M이면 됨)

1. cauchy in M과 동치

2. pt cv a.e.하는 subsequence존재, 즉 {f_n}:MF, cv in M이면 liminf f_n(x)=f(x) a.e.->f는 MF됨

3. {f_n}:MF, cv in M, |f_n|<=g, g in L1이면 limit성립, cv in L1도 됨


11.4 General Convergence Theorems(여기서부터 복습+숙제풀이+증명해보기)

(1) Definition

setwise convergence of set functions

(2) Theorem(주된 관심은 seq of M_n)

seq of M_n이 cv setwise일 때 limit set function이 measure일 충분조건:M_n이 inc, or limit set function(X):finite

({f-M_n}인 경우는 나중에 관심, 11.6)


(Generalized-Fatou)

seq of M_n cv setwise to M(항상 M이 되는건 아님), 

{f_n}:nnn,, MF, cv pt M-a.e. to MF f이면

int f dM <= liminf in f_n dM_n(Fatou Lemma의 최고 general Version)

(Generalized-LDCT)

seq of M_n cv setwise to M(항상 M이 되는건 아님), 

{f_n}:MF pt cv M-a.e. to f, 

{g_n}:MF pt cv M-a.e. to g

|f_n|<=|g_n|

int g dM = lim int g_n dM_n<inf이면

int f dM = lim int f_n dM_n<inf이다.(LDCT의 최고 General Version)


note) Fatou lemma 다양한 버전({f_n}:MF)

1. g(integrable bound)만 있는 경우(nnn인 경우가 포함됨)

2. g(integrable bound)+pt cv a.e. to MF f인 경우

3. g(integrable bound)+pt cv a.e. to Mf f+M_n인 경우




11.5 Signed Measure

(1) MF으로 M만들기

nnn MF, MAS있으면 또 다른 M만들기 가능

integrable있으면 f-sM만들기 가능

integral이 정의될 수 있는 MF가 있으면 sM가능

(이때 각 ME가 +ME인지, -ME인지, null-s-ME인지를 f로 판단가능)

(2) sM의 기본 성질

monotone이 깨지는 대신(+,-때문) finiteness만 유지됨

(하지만 +ME에서는 sM(subME)<=sM(+ME)가 성립, -ME에서는 sM(subME)>=sM(-ME)가 성립)

(절댓값 생각하면, |sM(subME)|<=|sM(ME)|가 성립, ME가 +든 -든)

continuity from below, above 모두 가능(above인 경우 signed-M(ME_1)의 finiteness가 필요)

+ME의 countable union, intersection, difference도 +ME/-ME의 countable union, intersection, difference도 -ME

0<sM(ME)인 ME의 subME중 +ME이면서0<sM(subME)인 것이 존재한다. 

(HDT)MAS에서 sM이 있으면 +ME와 -ME로 partition가능, unique up to symmetric difference null set.    

(그리고 이 partition시키는 +ME, -ME일 떄 sM의 값이 maximum, minimum이 된다.)

(JDT)MAS에서 sM이 있으면 Jordan Decomposition 가능, unique

(즉 sM이 있으면 +sM, -sM, ms하게 decomposition가능, unique함)

(3) sM, +sM, -sM, |sM| 과의 관계(+sM, -sM, |sM|모두 그냥 M이다.)

-sM:finite<->+sM:finite and -sM:finite

-sM:sigma finite<->+sM:sigma finite and -sM:sigma finite

-+sM(ME)=sup{sM(F)|F subset of ME and F:ME}, -sM(ME)=-inf{sM(F)|F subset of ME and F:ME}

(혹은 +sM(ME)=sM(ME intersection +ME), -sM(ME)=sM(ME intersection -ME), +ME와 -ME는 sM의 HD)

-(f:rv일 때)f:integrable wrt |sM|<->f:integrable wrt +sM and -sM

-sM1 ms sM2 <->  sM1 ms |sM2| <-> |sM1| ms |sM2| <-> sM1 ms +sM2 and -sM2

-sM1과 sM2 ms sM인 경우 linear combination of sM1 and sM2도 ms sM(well-defined되면)


11.6 The Radon-Nikodym Theorem

(1) abs conti wrt <<

-two M

기초성질:

-<<는 reflexive, transitive되나 antisymmetric은 안됨

-M1(X):finite, {f-M_n}:cv setwise to a set function, uniformly << M1이면 set function:M and << M1.

-M1(X):finite, {f-M_n}:cv setwise to a set function, each << M1일 때 sup{f-M_n(X)}:finite이면 

{f-M_n}:uniformly << M1

(따라서 set function:M and << M1)

-two sM(가장 일반적, 이것의 정의는 two M을 이용)

기초성질:

-마찬가지로 <<는 reflexive, transitive는 되나 antisymmetric은 안됨

-sM << M <-> |sM| << M <-> +sM and -sM << M

-sM1 << sM and sM2 << sM인 경우 linear combination of sM1 and sM2 << sM(well-defined되면)

-(rho1)f-sM, (rho2)sM가 있을 때, rho1 << rho2 iff epsilon-delta가능 (integral로 해석하면 재밌음)


-measure represented by integration over another measure

1. sf-M1 << sf-M2 이면 sf-M1을 represent하는 nnn rv MF가 존재, unique up to sf-M2-a.e.(역도 성립??)

2. f-sM << sf-M 이면 f-sM을 represent하는 integrable wrt sf-M이 존재 unique up to sf-M-a.e.


-integration over measure = integration over another measure

1. sf-M1 << sf-M2 이면 nnn, MF인 h의 integration over sf-M1 = hf의 integration over sf-M2인 nnn,MF, rv인 f 존재

2. f-sM << sf-M 이면 integrable h over |f-sM| 의 integration over |f-sM| = hf의 integration over sf-M인 


-LDT(Lebesque Decomposition Theorem)의 여러 version

1. sf-M1, sf-M2가 있으면 sf-M1=sf-M3 + sf-M4 s.t. sf-M3 << sf-M2 and sf-M4 ms sf-M1(unique)

2. sf-sM, sf-M이 있으면 sf-sM=sf-sM2 + sf-sM3 s.t. sf-sM2 << sf-M and sf-sM3 ms sf-M


note)요약

1. HDT, JDT, LDT

2. RNT(1)(measure represented...), RNT(2)(integration = integration)


11.7 Lp-Space

-I3  :

Sf with finite support is in Lp

f is in Lp일 때, 기존 pt cv SF가 with finite support인걸로 가능(p-norm approximation은 불가능)


-I3] :

p-norm정의 Lp정의, 

Lp is VS

0<a<b<c<=inf, Lb is subset of La+Lc

0<a<b<c<=inf, La intersection Lc is subset of Lb

-[I2]:

Minkowski ineq(=은 f=(nnn k)q a.e. or g=(nnn k)f a.e.)

(무한합도 가능, MCT이용)

Holder ineq(conj(p,q,r)가능)(=은 (non zero a)f=(non zero b)g a.e.)

BS

-[I2):

f is in Lp일 때, 기존 pt cv SF가 with finite support인걸로 가능(p-norm approximation은 가능해짐)

Lq의 원소 g 하나당 Lp^*의 원소 F하나 만들 수 있음(||F||=||g||_q) (p=1일 땐 M가 semifinite인게 필요)

(Lp)^*의 원소 F 하나당 Lq의 원소 g하나 만들 수 있음(||F||=||g||_q), (p=1일 땐 M이 sigma finite인게 필요)

(따라서, (Lp)^*와 Lq는 isometrically isomorphic, p=1일 땐 sigma finite인게 필요, 즉 Lp는 reflexive BS)

-I1

||f+g||_p ^p <= ||f||_p ^p + ||g||_p ^p가 성립 (삼각부등식같이 생겼지만, 아님)

Minkowski ineq(f,g가 nnn인게 더 필요해짐, =은 f=(nnn  k)q a.e. or g=(nnn k)f a.e.)

(무한합은?)

Holder ineq(f,g가 nnn인게 더 필요해짐, =은 굳이 생각 ㄴ f^p=(fg)^p * g^(-p)에 기존 holder적용)


기타

-convexity of exponential, young's inequality, chebyshev's inequality of (p,t)

-f-M인 경우, 

0<a<b<inf에 대해 Lb is a subset of La(구체적으로 ||f||_q와 ||f||_p 부등식 얻음)

MF인 f에 대해, lim p->inf ||f||_p = ||f||_inf가 된다.(||f||_inf의 notation의 motive)

uni cv이면 cv in Lp됨

-lim p->inf ||f||_p = ||f||_inf되는 충분조건

(1) f-M

(2) f is in Lq (q in [I2 )

-counting M on Z의 성질

-1<=a<b<=inf일 때, La is a subset of Lb

-cv in M <-> uni cv

-Convergence of functions related with Lp ( p is in [I2 ) (p=inf일 땐 따로)

(1) 구분 필요

pt cv, pt cv a.e., uni cv, almost uni cv, uni cv a.e., cv in M, cauchy in M

그리고 추가된 cv in Lp, cauchy in Lp, cv weakly to f

(2) 주의({f_k} is in Lp일 때)

-f_k가 pt cv to f, f가 Lp의 원소인지는 보장안된다.

-cv in Lp라 해서 pt cv인 것은 아니다. 

-pt cv라 해서 cv in Lp인 것은 아니다.

-cv in Lp라 해서 cv in Lq인 것은 아니다. (p<q든, q<p든)

-uni cv라 해서 cv in Lp인 것은 아니다.

-uni cv라 해서 cv weakly to f인 것은 아니다.

-cv in Lp to f이면 부분수열이 존재 s.t. pt cv a.e. to f

-cv in Lp to f이면 cv in M to f됨

-cv in Lp to f이면 cv weakly to f 됨

(3) MCT, DCT, 등 (lim n->inf ||f_n||_p =||f||_p)

MCT, DCT:기존 가정에다가 ^p를 붙이고 생각해서 쓰면 된다.

-RRT의 증명 과정 순서(phi:Lq->(Lp)^*

(a) (p=1일 때)

(M:semifinite)phi가 isometry임을 쉽게 앎(holder+taking f)

(b) (1<p<inf일 때)

phi가 isometry임을 쉽게 앎(holder+taking f)

(c) onto임을 보이기

(M:finite)일 때

->f-sM건설

->RNT이용해서 g만듦 in L1

->SF에 대해선 다 됨을 앎

->Lp에 대해서 다 됨을 앎

->g is Lq,  ||g||_q = ||F||, uniqueness 앎

(M:sigma finite)일 때

->X를 disjoint 한 X_n으로 쪼갬(finite measure인)

->각각에서 g_n 얻음 in Lq, g를 건설

->D_n=union X_k from k=1 to k=n이용, f is in Lp, f^+, f^-각각에 대해 MCT써서 g가 F를 표현함을 보임

->g가 F를 표현함 for all f in Lp임을 보임

->g가 Lq임을 보임(M:finite일 때를 이용)

(M:걍 M일 때, p=1일 땐 안됨, 왜냐하면 g is in Linf의 supp(g)가 sigma-finite인게 보장안되므로)

->collection{sigma finite measurable sets}, 원소 E 각각 마다 g_E 건설가능

->collection에서의 set function 만듦, set function(E)=||g_E||_q ^q, 이때 set function은 monotone, upper bound

->collection에서의 {E_n}만듦 s.t. lim n->inf set function(E_n) = sup set function(E) over E in collection

->H=union E_n, H는 collection의 원소, g_H만듦, 그리고 g를 건설, 자연스럽게 Lq됨

->g가 적절한 지 체크(H보다 더 큰 collection 원소에 대해서, F표현하는지, ||F||=||g||_q인지)

11.8 Small Lp space

(1) for 0<p<=inf, lp=Lp(N, P(N), c), N:natural number set, c:counting measure

(2) 0<p<q<inf, 

eventually zero seq < lp < lq < c_0 < c < linf

(3) RRT가 1<=p<inf에 대해서 성립, (l1 iiso c^*)


*Techniques 모음

0. set function(empty=0, finite additive)이 countable additive<->conti

1. class->sup, inf->거기로 수렴하는 seq잡고->monotone부여(함수든 집합이든)->수렴하게만들고 수렴대상에 주 관심

2. 조건 완화:sigma finite->finite/MF or Lp->nnn MF->nnn SF->char/

3. {x|n-1<f(x)<=n}, {x||f(x)|>||f||_inf -e}, {x||f(x)|>=1}, 

4. Holder가 Lp에서 주로 쓰임(conjugate찾기, f=gh로 쪼개기, f in Lp이면 f^p in L1으로 조작질)

5. cauchy in M이나 cauchy in Lp나 모두 <1/2^j로부터 시작

6. set monotone하게 만들기:union, intersection from k=n to k=inf (from k=1 to k=n하여도 됨)

6. f를 monotone하게 만들기:f*char, min(f,n), sup{f_n}, inf{f_n} 

7. cv in M을 다룰 때 E_e,k잡기

8. E={x | f(x)<g(x)}를 countable union으로 쪼개기

9. {f not zero}가 sigma finite이다. 많은 것을 해결해줌



*몰랐던 용어들

1. 국가재정

국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화폐 자금을 형성하고 분배하는 경제 관계의 총체.

2. 외환보유고

외환보유고란 한 나라가 일시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대외(금과 달러·엔·마르크 표시) 외환채권의 총액이다. 국가의 지급불능 사태에 대비하고 외환시장 교란시 환율 안정을 위해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외화의 규모를 나타낸다.

3. 경상거래

국제 거래에서 이루어지는 자본 거래 이외의 부분상품의 수출입운임물물 교환,증여 따위가 포함된다.

4. 운임

운반이나 운수 따위의 보수로 받거나 주는 . ‘짐삯’, ‘찻삯’으로 순화

5. 경상수지

국제 거래에서 이루어지는 경상 거래에 의한 수지.

6. 수지

수입과 지출

7. GDP(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외국인이든 우리나라 사람이든 국적을 불문하고 우리나라 국경내에 이루어진 생산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8. 공공기관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공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 즉, 공공기관이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무를 수행하는 이른바 관공서는 물론 공기업·준정부기관(→준정부조직)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좁은 의미로서의 공공기관이라 하면, 정부의 투자·출자 또는 정부의 재정지원 등으로 설립·운영되는 기관으로서 '공공기관의운영에관한법률'[제4조1항 각호]의 요건에 해당하여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정한 기관을 가리킨다. 

9. 기획재정부

주요업무

  • 중·장기 경제사회발전방향 및 연차별 경제정책방향의 수립과 총괄 조정
  • 전략적인 재원 배분과 배분된 예산의 성과평가
  • 조세정책 및 제도의 기획·입안 및 총괄·조정
  • 국고, 국유재산, 정부회계, 국가채무에 관한 정책의 수립과 관리 총괄
  • 외국환 및 국제금융에 관한 정책의 총괄
  • 대외협력 및 남북경제교류협력 증진
  •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관리ㆍ감독 
10. 통화안정증권
한국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하기 위해 금융기관 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증권.
11. 환매
팔았던 물건을 도로 사들임
12. 세수
국민에게서 조세(租稅)를 징수하여 얻는 정부의 수입
13. 긴축
재정의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지출을 줄임.
14. 실물경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 판매, 소비활동 등과 관련된 경제활동을 말한다. 예를 들어, 실물경제가 악화된다는 것은 소비가 살아나지 않아 노동의 수요도 줄고 취업이 어려워지는 등 경제활동에 영향을 받는다는 뜻이다. 실물경제는 화폐시장 및 증권시장을 포괄하는 금융경제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15. BRICS
2000년대를 전후해 빠른 경제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흥경제 5국을 일컫는 경제용어.
16. 금융기관의 고정이하 여신
연체일이 3개월 이상인 부실채권
17. 자기자본
타인자본에 대한 용어이며 기업의 자산총액으로부터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재산액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그 원천은 기업의 소유주나 주주의 출자와 기업활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순이익으로 순재산액, 자기자본, 또는 자본이라 한다.
18. 가처분소득(Disposable Income)
개인의 의사에 따라 마음대로  수 있는 소득 의 개인 소득에서 세금을 빼고  전해의 이전(소득을 합한 것으로, 소비와 구매력의 원천이 된다.
19. 대손충당금
재무상태표(財務狀態表)의 자산으로 표기되는 받을어음 ·외상매출금 ·대출금 등 채권(債權)에 대한 공제의 형식으로 계산되는 회수불능 추산액.
20. 실물자산(비금융자산)
투자자산을 고전적인 방법으로 구분하면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으로 나눌 수 있다. 
'실물자산(real asset)'은 부동산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골동품, 우표, 금, 기념주화 등처럼 형체가 있는 자산을 말한다. 
'금융자산(financial asset)'은 주식이나 채권, 예금, 신탁 등을 가리킨다. 
21. LTV(Loan to Value ratio, 담보인정비율)
담보가치(주택가격) 대비 대출비율. LTV가 60%라 하면 시가 2억짜리 아파트에 1억2천을 대출해줌(실제론 이보다 적게해줌)
22. DSR(Debt Service Ratio, 부채상환비율)
경제 주체가 벌어들인 소득 중 빚의 원금과 이자를 갚는 데 들어가는 돈의 비율
23. 낙찰가율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다. 낙찰가율이 100%를 넘어서면 낙찰된 물건의 입찰 가격이 감정가보다 높다는 뜻이다.
24. 아파트 실거래 가격 지수
실제 거래된 재고아파트의 가격변동률
25.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거래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주택(아파트, 단독, 연립, 다세대)의 가격 변동률
26. 차주
돈이나 물건을 빌려쓴 사람
27. 다중채무자
2개 이상의 금융기관에 채무가 있는 자
28. 주택저당채권
은행, 주택할부금융사 등의 주택대출채권을 유동화전문회사가 매입해 이를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이다. 대출해준 금융기관이 직접 발행하기도 한다.
29. 유동화전문회사(Special Purpose Company)
금융기관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을 매각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립되는 특수목적(Special Purpose)회사. 채권 매각과 원리금 상환이 끝나면 자동으로 없어지는 일종의 페이퍼 컴퍼니다. SPC는 금융기관 거래 기업이 부실하게 돼 대출금 등 여신을 회수할 수 없게 되면 이 부실채권을 인수해 국내외의 적당한 투자자들을 물색해 팔아넘기는 중개기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외부평가기관을 동원, 부실채권을 현재가치로 환산하고 이에 해당하는 자산담보부채권(ABS)을 발행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한다.
30.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을 총괄하는 공기업으로 주택자금을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운영하여 국민의 복지를 증진시키고자 2004년 3월 설립한 공기업이며, 종전의 주택저당채권유동화(주)(1999설립)와 통합하여 설립하였다. 장기모기지론, 주택금융신용보증, 주택연금 및 유동화증권 발행의 네 가지 업무를 하는 기관이다. 국민들이 일생동안 반복하는 주택관련 금융거래를 도와주는 기관이다.
31. 출자
자금 내는 . 특히 회사 조합 따위 공공사업 수행하기 위하여 구성원 자본 내는  이른다.
32. 만기일시상환(balloon payment)
직전까지의 매회 상환금액에 비해 현저히 큰 금액으로 이루어지는 부채의 최종상환을 말한다. 예를 들어 20년 동안 매년 채권 발행액의 3%씩 상환하다가 만기가 되는 해에 남은 40%를 한 번에 상환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33. 비거치식 대출

거치기간 없이 바로 원리금을 갚아나가야하는 대출
거치기간을 연장하며 이자만 갚아나가 원금상환을 회피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건전한 대출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

34. 신용경색(Credit Crunch)
금융기관에서 돈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현상. 신용경색 현상이 발생하면 기업들은 자금 부족으로 인해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워지고 무역업체들도 수출입 활동에 큰 제약을 받게 된다. 신용경색은 금융시장에 공급된 자금의 절대량이 적거나 자금의 통로가 막혀있을 때 발생한다. 
35. 스트레스 테스트(Stress Test)
경제 여건 악화라는 충격이 가해졌을 때 은행들이 충분한 자본과 유동성으로 위기를 헤쳐 나갈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즉, 은행의 자본건전성 심사 방법이다. 경제성장률, 환율, 금리, 주가, 주택 가격, 연체율 등의 변수에 대해 여러 가지 가정을 하고 각 시나리오에서 은행의 자본건전성을 추정하는 것이다.

--------------------------------------------------------------------------------------------------------
*내용정리
1. 대외적 문제:글로벌 금융위기, 미국의 경기침체, 2012년 유로존의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BRICS 국가들의 경제성장률도 큰 폭으로 하락
2. 대내적 문제:실업률 증가, 소득양극화, 부동산 가격 하락, 가계부채 증가, 인구 증가가 멈춤, 저출산 고령화, 건설과 조선분야 부실, 금융기관의 고정이하 여신 증가, 연체율 증가
->수출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국내소비가 위축되고 투자가 큰 폭으로 줄어듦, 5년간 연평균 잠재 경제성장률 4%수준 하회할 것으로 예상됨
3. 현 목표:선진경제(복지 증가)
(저성장이 계속되고 복지 등 재정지출 수요가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이므로 각기 다른 기준으로 국가채무를 평가하고 재정위기에 대비해야함)

Point1.대외 악재가 주택가격 급락으로 이어진다면, 은행, 재정, 성장 위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3가지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경제를 더욱 악화 시킬 수 있다.(상호작용이 포인트)
Point2. 구체적으로 부동산 가격 급락이 미치는 영향
    요인:글로벌 경제위기에 선진국의 주택가격이 고점 대비 20~30%하락한 점(아직은 평균적으로 6.9% 하락)
    목표:따라서 우리나라 또한 고점 대비(2008년 9월)에 20~30%까지 하락한다면 맞이할 경제위기 분석
    성장위기에 미치는 영향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75%~76%)이 절대적으로 높으므로 부동산 가격 폭락은 소비와 투자 저하로 성
         장 경기에 직접 영향을 준다.(가계 자산총액=5,159조원, 부동산=3,797조원, 가계금융조사, 통계청)
         부동산 총액(3,797조원)의 20%인 759조원은 개인 가처분소득(DI, 643조원)보다 높으며 
         부동산 총액(3,797조원)의 30%인 1139조원은 개인 금융자산총액(1,197조원)에 맞먹음.
         따라서 부동산 가격 급락이 그 규모로 볼때 가계소비, 투자, 그리고 경제성장에 미칠 충격은 보다 직접적이고 장기적일
         것이다.
    재정위기에 미치는 영향
    :경기 악화->세수 감소->재정지출 증가->재정 적자, 정부 부채 증가
    게다가 금융 부실을 초래하여 정부 재정을 통한 공적자금 투입이 불가피해진다면 또한 재정 부실을 가져옴
    금융위기에 미치는 영향(가장 큼, 따라서 주택담보대출과 각 대출에 대한 분석과 대응책 마련이 강조됨)
    (1) 2012년 3월말 LTV가 60%을 초과하는 대출 중 이자만 납입하고 있어 만기 연장 시 원금을 상환해야할 가능성이 있는 고원금상환부담 대출이 35조원, 주택가격이 20%하락할 경우 93조원으로 3배 가까이 증가(금융안전보고서)
    (연체율이 LTV60%, DSR40%내외에서 급격히 상승하므로 이 수치가 의미 있음)
    (2) DSR>40%, LTV>60%, DSR>40%&LTV60% 각각이 외환위기 사태(금이, 소득, 부동산 가격)로 가정할 때 변화량, 각각은 7%(부채보유가구대비), 7.6%(담보대출가구대비), 5.1%(담보대출가구대비)의 증가(한국은행)
    (3) LTV>낙찰가율(낙찰가/감정가)인 고위험군은 2012년 6월말 1년 이내에 만기가 돌아오는 가구 중 7%인데, 주택가격이 일본처럼 36% 하락하고 낙찰가율이 50%라 하면 고위험군이 60%까지 된다. (김영식, 장민, 최성호)
    (4) 한국 주요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중 아파트의 비중은 80%가 넘는 것이 보통, 아파트 실거래 매매지수가 하락할 경우 은행의 대출 손실 위험이 커질 것이다. 2012년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LTV가 평균 48%인데, 50%<LTV<70%에 있는 주택담보대출은 전체 대출의 50% 가까운 수준이 될것이라 추측할 수 있고 실거래 매매지수가 30%하락한다면 이들 대출의 LTV가 70%<LTV<100%로 상승할 것이고 만약 낙찰가율이 70%라 하면 이들 대출은 경매에 부쳐질 경우 전액 원금 회수가 되지 않을 것이다.
Point3 해결방안
(1) 가계는 저축 늘리고 가계 대출규모 축소 
(2) 금융기관은 가계 대출의 만기를 연장
(3) 주택저당채권 시장 확대
(4) 신규 주택담보대출에 대해서는 비거치식 장기 분할 상환 방식을 권장, LTV 엄격히 적용, 
(5) 기존 주택담보대출에 대해서는 LTV 초과분에 대해서는 신용대출로 전환하여 금리를 높이거나 일시 차환을 요구하지 말고 기존의 금리를 적용하고 만기를 연장하는 방식으로
(6) 금융기관은 부동산 가격 급락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충분한 수준의 대손충당금을 쌓을 필요가 있음
(7) 정부는 저소득 저신용층에 재무설계를 도와 자립능력을 높이도록하고, 이러한 컨설팅을 받은 가계에 대해서는 금리를 낮춰주는 인센티브 제공

    
    


해야할 것

1. cv in measure, cauchy in measure 등의 motive와 특징, sup n |f_n|:finite의 의미 알기

2. 숙제하기

3. 증명해보기


note)

erv인지 rv인지 조심히 체크, cv in measure등에서 특히


1. notation

fct:function

rv:real-valued not erv

erv:extended real-valued(별말없으면 erv라 하자. 특별한 경우 rv라 적자.)

nnn:non-negative

σR:sigma-ring

σA:sigma-algebra

bar{A}:completion of sigma-algebra A

BσA:Borel-sigma-algebra

LσA:Lebesgue-sigma-algebra

MAS:Measurable Space

ME(wrt σA):Measurable Sets(wrt σA)

μ(on σA):Measure(on σA)

bar{μ}:completion of μ

MS:Measure Space

bar{MS}:Completion of MS

finite-ME(wrt σA wrt μ):finite Measurable sets(wrt σA wrt μ)

σfinite-ME(wrt σA wrt μ):σ-finite Measurable sets(wrt σA wrt μ)

(R,B):MAS

(bar{R},B_bar{R}):MAS

Mf(wrt σA):A-measurable fct

Sf:simple function


2. About class of sets, MAS

-σR과 σA는 3가지 조건 필요

(σR은 전체집합이 속할 필요가 없다. σA는 전체집합과 공집합이 속한다.)

-σA는 다음을 만족

closed under complement, countable union, countable intersection, difference

-generating이나, the smallest σA containg some class생각가능

-BσA는 metric space에서면 가능

-Product σ-algebra는 projection의 inverse image로 generated된 것(각각의 generator들 생각)

3. MS

-σA와 μ에 의해 결정됨

-completion개념있음

분류

-null set

-finite-ME

-σfinite-ME



4. μ

정의관련

-MS가 있을 때, 4가지 조건 필요

-erv f on MAS가 있을 때마다 μ만들 수 있음.

분류

(1)

-finite μ(X가 finite-ME라는 것)

-σ-finite μ(X가 σ-finite ME라는 것)

-semifinite μ

(finite->σ-finite->semifinite)

(2)

-complete(completion개념있음)(Mf와 필요충분조건있음)

성질관련

-기본적으로 inf-inf가 안나오게끔 가정이 필요함

-countable additivity

-monotonicity(general한 경우도 union과 intersection이용하여 monotone하게 만들 수 있음)
-continuity from below

-continuity from above

-infimum of sets, supremum of sets + Borel Cantelli

-a.e. in μ

(주의:"null set빼고 성립"이 아니라 "null set의 subset 빼고 성립"이다. 물론 complete MS인 경우는 구분 안해도 됨)

note)Techniques

-disjoint한 것들로 분해->countable additivity이용

-monotone하게 만듦->continuity이용


5. Mf

정의관련(별말없으면 erv인 fct)

using rays(4가지 방법), using borel(1가지 방법)

note)일반적인 measurable function은 MAS->MAS인 경우이다. continuity와 정의가 유사하나, 우리는 공역이 (bar{R}, B_bar{R})인 경우만을 주로 다룰 것이다.

note)MAS만 있으면 Mf생각가능, 정의상에서는 μ와는 관련 없음

성질관련

-Mf가 있을 때 Mf 만드는 방법->closed under +, 곱, sup, inf, limsup, liminf, 

-MS랑 관련지어

bar{MS}에서 Mf이면 MS에서 Mf인거 만들 수 있음(a.e. bar{μ})

bar{MS}에서 Mf가 있으면 a.e.다른 것도 Mf

bar{MS}에서 Mf의 pt cv a.e. 또한 Mf이다.(따라서 all Mf collection은 pt cv a.e에 closed됨)



Sf(rv인 경우만 다루고 기본적으로 Mf일 때만을 정의하자.)관련


6. Main Theorem

(1) Mf는 Sf로 근사가능(pt cv, Mf가 inf값을 안가지는 부분에서는 uni cv가능)

(이때 μ가 상관 없음, 만약 있고 그것이 σ-finite인 경우, Sf가 finite support인걸로도 만들 수 있음)

(pt cv a.e.가 아니라 완벽히 pt cv이다.)

(2) Egoroff, finite μ, {Mf_n}이 pt cv a.e.이면 almost uni cv


7. Convergen of functions

종류

-μ관련없이

pt cv

uni cv

-μ관련있음

pt cv a.e.

uni cv a.e.

almost uni cv

cv in μ(cauchy in μ와 동치)

note)가장 강력:uni cv, 가장 약함:cv in μ

note)cv in μ같은 경우 {f_n}이 rv여야만 함.





-------------------------------------------------------------------------------------------------------------------------

Examples

1. μ인데 not semifinite인 예

2. semifinite μ인데 not σ-finite인 예

3. σ-finite μ인데 not finite인 예

4. BσA의 completion이 LσA임을 보여라.

5. X:uncountable일 때 countable과 co-countable을 다 모아둔 σA에서의 measure생각 가능(countable인 것에 0, co-countable인 것에 1)






*기타 내용들

1. Banach-Tarski theorem(measure의 정의가 careful해야됨을 시사)

:

1. Rietz's Theorem(0<a<1)

a=1일때 성립안하는 예?


2. Banach인데 not RBS인 예

L^1, L^inf


3. Lp에서 dual은 Lq인데 이게 성립 안하는 p는 inf

(이때 dual이 더 큼)


4. A:nvs->nvs, LT

not conti인데 closed graph를 가지는 예

A:polynomial[0,1] with uniform norm->polynomial[0,1] with ||f||+||f'|| (각각은 uniform norm)

f_n = x^n 생각


5. Second-category인 nvs가 not complete인 예

Frechet metric이용, 


6. UBP에서 BS가정 없으면 안되는 예

S_f->l^2

An(ek)=0 (k not n), n*ek (k=n)

바른 길이 빠른 길이다.

급할 것은 하나도 없다.

수업을 최소화하고 내 공부만 할 때 효율이 높더라.


다음학기부터는 연구와 관련된 수업으로만 듣자. 앞으로도 쭉

1. 함수해석학/확률론/고급통계학/시계열분석/금융수학/큐잉이론/컴퓨터통계분석/다변량분석 등

2. 계량경제/게임이론. 등의 경제학

3. 기타 컴퓨터 수업들


2013-2학기

확률론/함수해석학/컴퓨터통계분석

2014-1학기

연구+새미나+교수법 등





1. Security(financial instrument, 증권, 유가증권)

:a tradable asset of any kind.

(대게 3가지로 분류됨, debt securities(banknotes(은행권), bonds(채권), debentures(회사채)), equity securities(common stocks(보통주)), derivative contracts(forwards(선물계약), futures(선물거래), options(옵션), swaps(스왑))


2. debt securities(부채증권, 채무증권)


3. bill(단기성 채권)


4. note(중기성 채권)


5. bond(장기성 채권)


6. central bank(중앙은행)


7. banknote(은행권)


8. debenture(corporate bonds, 회사채, 사채)

기업이 자금조달을 위해 직접 발행하는 채권으로 사채라고도 한다. 회사채는 주식과는 달리 회사의 수익에 관계없이 일정률의 이자가 지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금융기관에서 지급을 보증하는 보증사채와 무보증사채, 담보부사채가 있는데, 상장기업 또는 증권감독원에 등록된 법인이 기업자금조달을 위해서 직접 발행한다. 이자는 3개월마다 후불하며 만기가 되면 액면금액을 지급받는다. 회사채는 회사가 직접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공모 또는 사모로 채권을 발행하는 것으로서, 공모채는 금융감독원에 유가증권 발행신고서를 접수하여 일반 대중에게 매출하는 절차로 발행된다.


9. company limited by shares(stock company, incorporated company, 주식회사)

오늘날 사기업 가운데서도 가장 발달한 고도의 기업형태이다. 통설에 의하면 영국 동인도회사(1600년)와 화란 동인도회사(1602년)가 기원이라고 한다. 자본가가 소유한 자본뿐만 아니라 일반대중의 수중에 있는 유휴자본까지도 흡수하여 대규모사업을 영위하는 데 적합한 기업형태인 동시에 순전히 자본적 결합에 치중한 물적 회사이다. 이 때문에 주식회사에 있어서는 합명회사와 같은 인적인 색채는 없어져 구성원의 개성은 문제되지 않고 구성원 각 개인이 가진 자본만이 표면에 나타난다. 그리하여 이러한 주식회사는 자본주의경제가 발전하여 개별자본의 집중 · 집적을 통한 대규모기업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더욱 번성하여 왔으며 이 때문에 오늘날과 같은 독점자본주의 단계에 있어서는 이것이 지배적인 기업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주식회사의 본질적 특색으로는 ① 회사에 출자한 사원(주주)의 지위는 출자액을 한도로 하는 유한책임을 지도록 되어 있고 ② 주식은 등액균등이며 ③ 이것의 자유양도가 가능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주주는 출자자로서 주주총회에 출석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고 또 이익배당을 청구할 수 있을 뿐이다. 주주는 성격에 따라 ① 사업주주 ② 투자주주 ③ 투기주주의 셋으로 나눌 수 있다. 주식회사는 그 운영상 특색으로서 각기 그 기능을 달리 하는 세 기관으로 분립, 운영되고 있다. 즉 ① 의사결정기관으로서의 주주총회(입법기관) ② 집행기관으로서의 이사회(운영담당기관) ③ 집행을 감독평가하는 감사(사법기관)가 각각 존재하여 운영의 민주적 수행을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현재 우리 상법상으로 이사의 임기는 2년, 감사의 임기는 3년으로 되어 있다.

주식회사의 공통적인 성격은 그 성격상으로 보아 다음과 같다. ① 회사는 그 구성원과는 아주 별개인 존재로서, 자본체라는 점 ② 확정된 사업목적의 범위 내에서 법적 능력을 갖는 한 법인이라는 점 ③ 자본은 주식형태로 구성원의 출자에 의해서 형성되는 점 ④ 주식의 자유양도가 가능한 점 ⑤ 출자에 대한 책임은 유한책임에 그치는 점 ⑥ 경영과 소유가 분리되어 사업의 경영기능은 중역제도에 의하여 이사가 담당하고 출자자인 주주에게는 소유기능만이 분담되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10. private company(유한회사)


11. investment money(출자금)

:자금(회사 경영에 필요한 돈)으로 낸 돈


12. unlimited company(무한책임회사)


13. guaranteed bond(보증 사채)


14. unguaranteed bond(bond without guarantee, 무보증 사채)


15. collateral bond(secured bond, mortgage bond, mortgage debenture, 담보부 사채)

사채발행시에 담보가 요구되는 사채로서 발행회사와 수탁회사간에는 신탁계약을 하고 수탁회사는 사채권자(응모자)를 위하여 담보의 보전과 담보권의 행사를 맡는 방식이다.

 담보물건의 종류에 따라서 다시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부동산담보부사채와 주식이나 채권 등 유가증권을 담보로 하는 유가증권담보부사채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담보의 형태에 따라 동일담보물건에 대하여 사채를 전부 발행하고 그 담보물건을 장래에 발행되는 사채의 담보로 허용하지 않는 폐쇄식 담보부사채와 담보여력이 있는 경우에는 다음에 발행되는 사채의 담보로 사용하는 개방식 담보부사채로 구분할 수 있다


16. mortgage(저당권)


17. securities market(securities exchanges, stock market, 유가증권시장)


18. listed company(listed corporation, 상장기업)

상장기업이란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어 주식이 거래되고 있는 기업을 말한다. 한국에서 공식적인 유가증권 거래 시장은 거래소와 코스닥 두 곳이 있다. 예를 들어, A란 회사의 주식이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으면 A란 회사는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B란 회사의 주식이 코스닥에서 거래되고 있으면 B란 회사는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이 된다. 즉, 한국의 상장기업은 코스닥과 거래소라는 유가증권 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되고 있는 기업을 말하며, 코스닥 상장 기업과 거래소 상장 기업을 합쳐서 통칭 상장기업이라고 한다. 코스닥과 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의 명칭이다.


19. Securities Supervisory Board(증권감독원)

유가증권 발행·관리와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 증권기관의 감독과 검사 업무를 수행하던 무자본 특수법인.


20. Public Offering(공모)

공모(공개모집)란 새로 회사를 설립하거나 자본금을 증자할 때 주주 또는 특정 거래처 및 은행 등에 신주인수권을 주지 않고, 불특정 다수의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신주를 발행 모집하는 것으로, 주주나 특정 거래처, 은행 등에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사모(私募)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회사가 공모를 하는 이유는 주주층을 넓히고 주식을 분산해서 시장성을 높이며, 주식 매점 등에 대항하고, 재무제표상의 자본금을 조정하기 위해서이다. 주식의 공모는 발행회사가 직접 공개모집을 하는 직접발행과 증권회사 등에 의해 행하여지는 간접모집, 증권회사가 일단 총액을 인수하고 그 후에 일반대중에게 전매하는 총액인수방식이 있는데, 공모는 일반적으로 발행위험도 크고 사무절차도 복잡하므로 증권발행을 전문기관에 일임하는 간접발행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보통이다.


21. private placement(사모)

보험회사, 은행, 투자신탁회사 등의 기관투자가나 특정개인에 대하여 개별적 접촉을 통해 증권을 매각하는 기채방식으로 연고모집이라고도 한다. 공모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고, 기업내용공개를 회피할 수 있으며, 매입자 입장에서 유리한 조건으로 대량의 증권을 취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발행량이 한정되고 발행자가 유통시장에서 사후관리를 할 수 없으며, 기채시 담보에 엄격한 조건을 부과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22. corporation(법인)

자연인(自然人)이 아니면서 법률상의 권리·의무의 주체로 되어 있는 의인(擬人). 사회에서 법적인 주체로 되는 것은 자연인[개인]만은 아니고, 일정한 목적을 위해 결합된 사람들의 단체[사단]나 일정한 목적으로 갹출된 재산의 집합[재단]도 법적으로 사회활동을 할 수 있다.


23. incorporated association(사단법인)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결합한 사람의 집단으로 권리능력이 인정된 것을 말한다.
사단법인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회사와 같이 상법의 적용을 받는 것),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것(적십자사와 대한상공회의소와 같은 것), 영리도 공익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것(노동조합과 같은 것)이 있다. 보통 사단법인이라고 할 때에는 비영리사단법인을 가리킨다.


24. loan(program, 여신)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려주는 일


25. insolvent obligation(non performing loans, 부실채권)

금융기관의 대출금은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분류되는데, 부실채권은 정상을 제외한 나머지 4개를 포함한 것이다.

정상은 이자 납입과 원금 상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이며, 요주의는 주의가 필요한 대출금으로 짧은 기간(1개월 이상 3개월 미만) 연체되는 경우이다. 고정은 3개월 이상 연체되는 것으로 손해를 입을 가능성은 있지만 대출금을 담보가액으로 상쇄할 수 있는 경우이며, 회수의문은 피해 정도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담보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이다. 추정손실은 피해 정도의 추정이 가능하지만 이에 비해 담보가 턱없이 부족한 경우로 받을 가능성이 전혀 없는 여신이다. 


26. Asset-Backed Securities(ABS)

ABS는 영문 Asset-Backed Securities의 약자를 딴 것으로 자산(Asset)을 근거로(Backed) 발행되는 증권(Securities)이다.
일반적으로 '자산담보부증권'이라 불려왔으나 1998년 9월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자산유동화증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됐다. 
여기서 '자산'이란 자동차 가전회사등이 고객들로부터 미처 받지 못한 미수금(매출채권), 금융기관 대출금, 리스채등 각종 채권, 부동산 등 일반 자산이다.
즉, ABS란 기업의 부동산을 비롯한 여러가지 형태의 자산을 담보로 발행된 채권을 말한다. 보통 원리금 지급이 거의 확실한 선순위채권과 그렇지 않은 후순위채권으로 분리 발행된다. 
금융시장이 발달한 선진국의 경우를 보면 ABS는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으면서 적정한 수익률을 제공하는 금융상품으로 인식되며 발행규모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ABS는 국내에서 1999년부터 발행되기 시작했으며 금융·기업 구조조정과정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자주 쓰이고 있다.

자산유동화증권 중 금융기관이 집을 담보로 대출해주고 그 채권을 근거로 발행하는 것은 '주택저당담보부채권(MBS)'으로 별도로 분류한다.
또 투기등급의 고수입-고위험 채권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담보부증권(CBO)', 신용도가 낮은 기업들에 대한 은행의 대출채권을 묶어 이를 담보로 발행하는 '대출채권담보부 증권(CLO)'도 자산유동화증권(ABS)의 일종이다.  


27. index bond(인덱스 본드)

투자자의 입장에서 채권은 주식에 비해 안전한 상품이기는 하나 인플레이션에 따라 가격변동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나온 상품이다. 이것은 채권금리를 각종 물가지수나 실물의 가격에 연동시킴으로써 실질금리를 보장해 주기 위한 상품이다.


28. consumer price index(소비자 물가 지수)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지수.

29. nominal interest rate(명목금리)
채권, 예금 등 금융상품의 액면금액에 대한 이자율, 즉 유가증권 표면에 표시된 액면금리를 일컫는 말로 실효금리와 대조되는 개념이다.

30. real interest rate(실질금리)
금리수준을 물가상승률에 연계시킨 것으로, 인플레율이 명목금리를 상회하면 실질금리는 마이너스가 된다.

31. Asset Management firm(자산운용사)
채권과 주식을 매매하고 펀드를 관리하는 펀드매니저가 있는 회사. 자산운용사는 펀드를 만들고 운용하며, 펀드의 운용 상태를 정기적으로 투자자에게 공개하거나 보내준다. 보통 펀드의 투자 수익률은 자산운용사에 달려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운용사가 어디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32. Pension and Funds(연기금)
연기금은 연금과 기금을 합친 말이다.
기금(Fund)이란 특정 공공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가 예산과 별개로 운용, 집행할 필요가 있을 때 조성하는 자금을 말한다. 쉽게 이야기하면, 정부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이다. 
연금(pension)이란 노후의 소득보장을 위하여 근로기간 동안 기여금을 내고, 일정 연령에 도달하면 급여를 받는 제도로서, 국가에서 실시하는 공적연금은 사회보험의 형태를 띤다. 
연기금은 법률적인 용어는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연금은 기금에 포함되지만 보통 연금을 따로 떼어 생각하기 때문에, 연기금이라고 하면 '연금+기금'의 의미를 지닌다. 2004년 현재 54개의 기금이 있으며, 이중 규모가 큰 연기금으로는 국민연금기금, 공무원연금기금, 사학연금기금, 군인연금기금 등이 있다.
최근 각종 연기금을 주식과 국책사업에 투자하도록 하는 법 개정안을 놓고 여야간 논란이 되고 있다.
현행 '기금관리기본법'은 원칙적으로 기금의 주식 투자를 금지하고 있다. 단, 25개 기금이 개별법에서 투자를 허용하여 현재 국민연금기금, 공무원연금기금, 사학연금기금 등은 부분적으로 주식 투자를 하고 있다. 
정부는 '기금관리기본법'에서 기금의 주식투자를 금지하는 조항을 삭제함으로써 기금운용의 자율성을 높이고 수익률을 높임과 동시에 현재 정부가 추진중인 뉴딜정책(경제 살리기)의 종자돈을 연기금에서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여당과 야당은 연금운영주체를 어떻게 할 것인가, 연기금이 주식투자를 하여 주주가 됐을 경우 의결권을 부여할 것인가, 연기금의 뉴딜정책 투입 등을 둘러싸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2005년)

'제거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l Analysis(tvs, lcs, nvs, hs)에서의 주요 예제들  (0) 2013.04.05
마음가짐  (0) 2013.04.04
Real Analysis(hs<ips, bs<nvs<lcs<tvs)  (0) 2013.03.21
경제학 문제  (0) 2013.03.07
About Convergence of Functions  (0) 2013.02.08

+ Recent posts